KR101963544B1 - 휴대용 직화 구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직화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544B1
KR101963544B1 KR1020180147898A KR20180147898A KR101963544B1 KR 101963544 B1 KR101963544 B1 KR 101963544B1 KR 1020180147898 A KR1020180147898 A KR 1020180147898A KR 20180147898 A KR20180147898 A KR 20180147898A KR 101963544 B1 KR101963544 B1 KR 10196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ower case
protruding
gas supply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근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이춘근
이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9081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635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근, 이상선 filed Critical 이춘근
Priority to KR102018014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47J37/072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탄가스를 이용하여 실내외에서 간편하게 구이물(육류 및 생선)을 굽고 데울 수 있도록 하고, 휴대 및 설치와 구이판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며, 구이물을 고르게 익히도록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간편하게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한 휴대용 직화 구이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의 후단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용실에 부탄가스 용기를 수용하여 조절밸브를 통해 부탄가스를 배출하는 가스공급부와; 상기 가스공급부를 통해 배출되는 부탄가스를 상부케이스의 하측으로 토출 및 연소시켜 생성된 불꽃 열기를 구이부의 하부케이스 쪽으로 하향 발산하는 히터모듈를 갖는 화염부와; 상기 히터모듈의 자연 상승 방출 열기로 구이물을 데울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를 개방하고 이 개방부분으로 유입되어 히터모듈의 상단에 안착되는 보온용기와; 2등분으로 분할되어 좌·우측판으로 나누어지고 상측 구이면에 기름 배출을 위해 돌출된 리브가 다수 형성되면서 좌·우측판이 맞닿는 리브 부분의 돌출편 사이에 기름 낙하공간을 마련하면서 이 돌출편과 좌·우측판 측면 상단에 돌출된 제1 고정돌기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가스공급부 상측에 형성된 제1 고정홀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측 커버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이판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걸림부의 상단에 하측이 끼워 고정되고 꽂이대 및 구이통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원홈을 상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거치대와; 상기 가스공급부의 상측 양단에 천공된 제2 고정홀과 상부케이스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홀 및 양단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측 양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단 및 선단 내부에 제2 고정돌기와 제3 고정돌기를 형성한 뚜껑; 및 상기 뚜껑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양단에 제1·2 힌지를 돌출 형성시킨 손잡이가 마련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제1 힌지에 하향 형성된 걸림돌기가 수직상태로 세워질 때 상부케이스의 후측에 장공으로 형성된 방열공에 끼워져 걸림으로 운반시 뚜껑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어 구이판 및 기름받이를 거치시키는 지지틀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틀의 전후방 중앙에 구이판의 좌·우측판 전후측이 끼워져 구이물을 얹을 수 있도록 'T' 형상의 걸고리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틀에 상측이 결합되고 하부케이스 내부에 하측이 고정되어 지지틀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트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부는 하부케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이 지지브라켓에 일단이 축 고정 및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중앙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는 '∪' 형태의 제1 링크 및 제2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타단은 지지틀에 축 고정 및 이동되도록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하강 상태 또는 상승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작동레버가 지지틀의 선단부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직화 구이기{A portable gas range for direct fire roast}
본 발명은 휴대용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탄가스를 이용하여 실내외에서 간편하게 구이물(육류 및 생선)을 굽고 데울 수 있도록 하고, 휴대 및 설치와 구이판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며, 구이물을 고르게 익히도록 회전시키는 착탈용 구동부를 간편하게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한 휴대용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열기로 구이물을 익히는 장치로서, 열기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가스 및 숯의 화염을 이용하는 직접 가열방식과 전기를 이용하는 간접 가열방식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직접 가열방식 중 숯을 이용하는 직화 구이기의 경우 불꽃의 크기 조절이 어려워 구이물의 속은 제대로 익지 않고 겉만 태우는 문제점과 연소시 비산하는 재와 그을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탄가스를 이용하는 직솨 구이가 제안되었다.
즉, 상기 부탄가스를 이용하는 직접 가열방식의 직화 구이기는 불꽃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구이기는 불꽃을 육류를 얹는 구이판의 하측에서 발생시키므로 구이물에서 발생하는 육즙이나 기름 등이 낙하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구이시 구이물이 쉽게 구이판에 눌러붙으며, 이로 인해 구이물이 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불꽂을 상부에 발생시키는 상향식 구이기가 제안되었으며, 이들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3169호(2012.07.25. 공개) '휴대용 직화 구이기'와, 등록특허 제10-1454356호(2014.10.23. 공고)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구이기'와 공개특허 10-2014-0146882호(2014.12.29. 공개) 및 등록특허 제10-1715572호(2017.03.22. 공고)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가 제안되었다.
상기 구이기들은 구이물에서 발생하는 육즙이나 기름 등이 낙하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구이시 구이물이 쉽게 구이판에 눌러붙는 분제점을 개선하게 되었고, 상향식의 문제점인 구이 시간이 긴 문제점을 개선하게 위해 구이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리프트를 설치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 휴대성이 불편하며, 구이판을 이용한 구이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구이판과 꼬치구이용 꽂이대 및 구이통을 사용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6379호(2016.12.13. 공고) '휴대용 구이기가 제안되었다. 이 휴대용 구이기는 분할된 구이판을 보관할 때 측면 커버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구이판을 이용한 구이뿐만 아니라 꼬치구이용 꽂이대 및 구이통을 회전시키도록 작동하우징에 장착된 구동부 및 본체게 결합된 거치대를 구비하면서, 보온을 위한 보조구이판 및 운반손잡이를 장착한 뚜껑 용도의 화염기커버가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상기 휴대용 구이기는 분할된 구이판을 측면 커버 역할을 하도록 결합시키면 외관이 미련한 박스형태가 되므로 보관이 편리하고, 화염기커버에 장착된 운반손잡이를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으나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으므로 결합부분의 이탈로 화염기커버가 분리되어 낙하하면 본체가 파손될 수 있으며, 작동하우징에 구동부가 항시 장착되어 있으므로 구이판만을 사용하기 위한 휴대시 중략이 무거워 취급이 불편하고, 화염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이판은 위치가 고정식이므로 거리조절이 불가능하여 빠른 구이를 위한 상승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686379호(2016.12.13. 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454356호(2014.10.23. 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564624호(2015.11.02. 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715572호(2017.03.22. 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1686379호(2016.12.13.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함과 부족에 대해, 구조가 단순하고 기능적으로 합리적이며, 부탄가스를 이용하여 실내외에서 간편하면서도 빠르게 구이물(육류 및 생선)을 굽고 데울 수 있도록 구이판의 상승 및 하강 상태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리프트부를 개량하고, 손잡이를 장착한 뚜껑이 휴대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구이물을 고르게 익히도록 회전시키는 착탈용 구동부를 간편하게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한 휴대용 직화 구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직화 구이기는 하부케이스의 후단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용실에 부탄가스 용기를 수용하여 조절밸브를 통해 부탄가스를 배출하는 가스공급부와; 상기 가스공급부를 통해 배출되는 부탄가스를 상부케이스의 하측으로 토출 및 연소시켜 생성된 불꽃 열기를 구이부의 하부케이스 쪽으로 하향 발산하는 히터모듈를 갖는 화염부와; 상기 히터모듈의 자연 상승 방출 열기로 구이물을 데울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를 개방하고 이 개방부분으로 유입되어 히터모듈의 상단에 안착되는 보온용기와; 2등분으로 분할되어 좌·우측판으로 나누어지고 상측 구이면에 기름 배출을 위해 돌출된 리브가 다수 형성되면서 좌·우측판이 맞닿는 리브 부분의 돌출편 사이에 기름 낙하공간을 마련하면서 이 돌출편과 좌·우측판 측면 상단에 돌출된 제1 고정돌기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가스공급부 상측에 형성된 제1 고정홀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측 커버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이판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걸림부의 상단에 하측이 끼워 고정되고 꽂이대 및 구이통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원홈을 상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거치대와; 상기 가스공급부의 상측 양단에 천공된 제2 고정홀과 상부케이스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홀 및 양단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측 양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후단 및 선단 내부에 제2 고정돌기와 제3 고정돌기를 형성한 뚜껑; 및 상기 뚜껑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양단에 제1·2 힌지를 돌출 형성시킨 손잡이가 마련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제1 힌지에 하향 형성된 걸림돌기가 수직상태로 세워질 때 상부케이스의 후측에 장공으로 형성된 방열공에 끼워져 걸림으로 운반시 뚜껑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어 구이판 및 기름받이를 거치시키는 지지틀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틀의 전후방 중앙에 구이판의 좌·우측판 전후측이 끼워져 구이물을 얹을 수 있도록 'T' 형상의 걸고리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틀에 상측이 결합되고 하부케이스 내부에 하측이 고정되어 지지틀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트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부는 하부케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이 지지브라켓에 일단이 축 고정 및 이동되도록 장착되고 중앙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는 '∪' 형태의 제1 링크 및 제2 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타단은 지지틀에 축 고정 및 이동되도록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하강 상태 또는 상승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작동레버가 지지틀의 선단부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스공급부에 걸림홀을 형성하고, 이 걸림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고리 및 다수의 소켓을 갖는 착탈식 구동부가 마련되며, 이 구동부의 소켓에 상기 꽂이대 및 구이통의 일단이 끼워져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는 걸고리를 돌출 형성한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축설되어 연동하는 동력기어, 리들기어 및 소켓을 갖는 다수의 구동기어와, 상기 지지판의 전면으로 결합되어 동력기어, 리들기어 및 구동기어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면서 소켓이 노출되도록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장착되어 동력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 및 스위치를 장착한 함체가 지지판 후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직화 구이기는 휴대하기 위하여 뚜껑에 장착된 손잡이를 수직상태로 파지하면 손잡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부케이스의 방열공에 걸려 분리됨을 방지하므로 안전하며, 사용시 커버 역할을 하는 구이판을 분리시킨 후 지지틀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구이물을 굽고 데울 수 있는 리프트부의 작동레버의 작동으로 간편하게 구이판의 위치를 상승 및 하강시켜 구이물을 신속하게 익히고 데울 수 있으며, 구이판 사용시 분리되어 있던 구동부 및 거치대를 장착하여 꽂이대 및 구이통을 회전시켜 구이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고 구동부의 분리로 중량 감소를 통해 취급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직화 구이기이의 결합 및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거치대에 안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하부케이스에 장착되고 기름받이를 안착시킨 지지틀에 결합되는 리프트부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을 거치대에 안착시킨 상태에사 리프트부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하부케이스에 장착되고 기름받이를 안착시킨 지지틀에 결합되는 리프트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 및 거치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31)의 후단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용실에 부탄가스 용기(11)를 수용하여 조절밸브(12)를 통해 부탄가스를 배출하는 가스공급부(1)와; 상기 가스공급부(1)를 통해 배출되는 부탄가스를 상부케이스(21)의 하측으로 토출 및 연소시켜 생성된 불꽃 열기를 구이부(3)의 하부케이스(31) 쪽으로 하향 발산하는 히터모듈(22)를 갖는 화염부(2)와; 상기 히터모듈(22)의 자연 상승 방출 열기로 구이물을 데울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21)를 개방하고 이 개방부분으로 유입되어 히터모듈(22)의 상단에 안착되는 보온용기(23)와; 2등분으로 분할되어 좌·우측판(321, 321')으로 나누어지고 상측 구이면에 기름 배출을 위해 돌출된 리브(322)가 다수 형성되면서 좌·우측판(321, 321')이 맞닿는 리브(322) 부분의 돌출편(322') 사이에 기름 낙하공간(324)을 마련하면서 이 돌출편(322')과 좌·우측판(321, 321') 측면 상단에 돌출된 제1 고정돌기(323)가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상측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홈(311) 및 가스공급부(1) 상측에 형성된 제1 고정홀(13)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측 커버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이판(32)과; 상기 하부케이스(31)의 걸림부(312)의 상단에 하측이 끼워 고정되고 꽂이대(71) 및 구이통(72)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원홈을 상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거치대(73)와; 상기 가스공급부(1)의 상측 양단에 천공된 제2 고정홀(14)과 상부케이스(21)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홀(24) 및 양단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25)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측 양단에 가이드홈(41)이 형성되고 후단 및 선단 내부에 제2 고정돌기(42)와 제3 고정돌기(43)를 형성한 뚜껑(4); 및 상기 뚜껑(4)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양단에 제1·2 힌지(51, 51')를 돌출 형성시킨 손잡이(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 핵심기술은 구조가 단순하고 기능적으로 합리적이며, 휴대가 안전하고, 간편한 조립 및 편리한 사용으로 구이물을 신속하게 익히면서 보온이 용이하고, 구이물을 고르게 익히도록 구동장치를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개량하는 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구워진 구이물을 수용하는 보온용기(23)가 마련되고, 이 보온용기(23)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히터모듈(22)의 자연 상승 방출 열기로 구이물을 데울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21)를 상측을 개방하고 이 개방부분으로 유입되어 히터모듈(22)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져 외부로 소모되는 방출 열기를 활용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박스 형태의 양측면 커버 역할을 하는 구이판(32)은 2등분으로 분할되어 좌·우측판(321, 321')으로 나누어지고 상측 구이면에 기름 배출을 위해 돌출된 리브(322)가 다수 형성되면서 좌·우측판(321, 321')이 맞닿는 리브(322) 부분의 돌출편(322') 사이에 기름 낙하공간(324)을 마련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판(321, 321')의 돌출편(322')과 측면 상단에 돌출된 제1 고정돌기(323)가 하부케이스(31)의 상측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홈(311) 및 가스공급부(1) 상측에 형성된 제1 고정홀(13)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측 커버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손잡이(5)가 장착된 뚜껑(4)은 가스공급부(1)의 상측 양단에 천공된 제2 고정홀(14)과 상부케이스(21)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홀(24) 및 양단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25)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측 양단에 가이드홈(41)이 형성되고 후단 및 선단 내부에 제2 고정돌기(42)와 제3 고정돌기(4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는 뚜껑(4)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양단에 제1·2 힌지(51, 51')를 돌출 형성시키고 이 손잡이(5)의 제1 힌지(51)에 하향 형성된 걸림돌기(52)가 수직상태로 세워진 때 도 2의 확대도 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21)의 후측에 장공으로 형성된 방열공(26)에 끼워져 운반시 뚜껑(4)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33)를 거치시키는 지지틀(34)의 전후방 중앙에는 도 3에서와 같이 'T' 형상의 걸고리(341, 341')가 마련되고, 이 'T' 형상의 걸고리(341, 341')에 구이판(32)의 좌·우측판(321, 321') 전후측이 끼워져 구이물을 얹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33) 및 구이판(32)의 좌·우측판(321, 321')을 거치시킨 지지틀(34)은 리프트부(35)에 의해 승강되어 구이물을 히터모듈(22)에 근접시키거나 이격시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기 리프트부(35)는 도 2,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31)에 수평면이 고정되는 지지브라켓(351, 351')과 이 지지브라켓(351, 351')의 양측 수직면에 축 고정 및 이동되도록 일단이 장착되면서 중앙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는 '∪' 형태의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의 타단은 지지틀(34)의 수직면에 축 고정 및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링크(352)의 일단 및 하부케이스(31)에 연결되어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가 승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353)이 장착되며, 상기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의 하강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승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작동레버(36)가 지지틀(34)의 선단부분에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36)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31)의 선단 중앙에 돌출된 걸림부(312) 하단에 걸리면서 상기 걸림부(312)에 고정된 자석(37)에 부착되어 리프트부(35)의 상승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작동레버(36)가 도 7에서와 같이 걸림부(312)의 하단 및 자석(37)으로부터 이탈되면 코일스프링(353)으 탄성력 작용으로 리프트부(35)의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가 작동하여 구이판(32)을 거치하고 있는 지지틀(34)를 상승시켜 구이물을 신속하게 익힐 수 있는 환경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구이판(32)을 분리시키고 회전을 통해 구이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구동부(6) 및 거치대(73)를 부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도 4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부(6)는 가스공급부(1)에 형성된 걸림홀(15, 15')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고리(611, 611') 및 다수의 소켓(66)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32)를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9 및 도 11에서와 같이 걸고리(611, 611')를 돌출 형성한 지지판(61)과, 이 지지판(61)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축설되어 연동하는 동력기어(63), 리들기어(64) 및 소켓(66)을 갖는 다수의 구동기어(65)와, 상기 지지판(61)의 전면으로 결합되어 동력기어(63), 리들기어(64) 및 구동기어(65)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면서 소켓(66)이 노출되도록 보호하는 커버(62)와, 상기 지지판(61)의 후면에 장착되어 동력기어(6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7)와, 이 구동모터(6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68) 및 스위치(69)를 장착한 함체(60)가 지지판(61) 후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거치대(73)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착탈식 구동부(6)의 소켓(66)에 일단이 끼워져 회전하는 꽂이대(71) 및 구이통(72)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원홈을 상부에 다수 형성하고 하부를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31)의 걸림부(312)의 상단에 끼워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용 직화 구이기는 도 2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구이판(32)의 좌·우측판(321, 321')에 형성된 돌출편(322') 및 제1 고정돌기(323)이 하부케이스(31)의 가이드홈(311) 및 가스공급부(1)의 제1 고정홀(13)에 끼워져 결합되고, 손잡이(5)가 수평으로 누운 상태에서 뚜껑(4)의 가이드홈(41), 제2 고정돌기 및 제3 고정돌기(43)가 상부케이스(21)의 가이드 돌기(25) 및 걸림홀(24) 그리고 가스공급부(1)의 제2 고정홀(14)에 끼워져 결합시키면 도 1에서와 같이 보관 및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미감이 표출되는 박스 형태가 되므로 관리가 용이하다.
특히 이동을 위해 손잡이(5)를 파지하여 수직상태로 회전되면 걸림돌기(52)가 상부케이스(21)의 방열공(26)에 끼워져 걸리므로 뚜껑(4)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시킨 구이판(32)의 좌·우측판(321, 321')을 도 3에서와 같이 지지틀(34)의 걸고리(341)에 거치시키면 구이물을 익힐 수 있는 상태가 되고 구이물로부터 배출되는 육즙 및 기름은 돌출편(322')의 사이에 형성되는 낙하공간(324)으로 배출되어 기름받이(33)에 수거할 수 있으므로 구이를 위한 구이판(32)의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또한, 도 6및 도 7에서와 같이 작동레버(36)를 회전시켜 하부케이스(31)의 걸림부(312) 하단과 자석(37)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동시에 코일스프링(353)의 탄성력 작용으로 리프트부(35)의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의 상승으로 지지틀(34)을 상승시키면 이 지지틀(34)에 거치된 구이판(32)의 좌·우측판(321, 321') 역시 함께 상승하여 히터모듈(22)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에 근접하므로 구이물을 신속하게 익힐 수 있고, 구이물을 다 익힌 후에는 반대로 작동레버(36)를 하측으로 하강시켜 리프트부(35)의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를 하강시킨 후 작동레버(36)가 하부케이스(31)의 걸림부(312) 하단에 걸리고 자석(37)의 자력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면 구이물의 신속한 구이상태를 방지하면서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35)의 상승으로 신속하게 구워진 구이물은 히터모듈(22)의 상부에 안착된 보온용기(23)에 수용시키면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가되는 구동부(6)의 걸고리(611, 611')를 가스공급부(1)에 천공된 걸림홈(15, 15')에 거치시킨 후 하부케이스(31)의 걸림부(312)에 결합된 거치대(73)와 구동부(6)의 소켓(66)을 이용하여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꽂이대(71) 및 구이통(72)를 거치시킨 후 구동부(6)의 스위치(59)을 작동시켜 배터리(68)의 전원을 구동모터(67)에 인가하면 구동모터(67)의 회전력이 동력기어(63)로부터 리들기어(64)를 통해 다수의 구동기어(65)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65)에 결합된 소켓(66)의 회전으로 꽂이대(71) 및 구이통(72)을 회전시키므로 구이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 가스공급부 11: 부탄가스 용기
12: 조절밸브 13: 제1 고정홀
14: 제2 고정홀 15, 15': 걸림홀
2: 화염부 21: 상부케이스
22: 히터모듈 23: 보온용기
24: 걸림홀 25: 가이드 돌기
26: 방열공 3: 구이부
31: 하부케이스 311: 가이드홈
312: 걸림부 32: 구이판
321, 321':좌·우측판 322: 리브
322': 돌출편 323: 제1 고정돌기
324: 낙하공간 33: 기름받이
34: 지지틀 341, 341': 걸고리
35: 리프트부 351, 351': 지지브라켓
352: 제1 링크 352': 제2 링크
353: 코일스프링 36: 작동레버
37: 자석 4: 뚜껑
41: 가이드홈 42: 제2 고정돌기
43: 제3 고정돌기 5: 손잡이
51: 제1 힌지 51': 제2 힌지
52: 걸림돌기 6: 구동부
61: 지지판 62: 커버
63: 동력기어 64: 리들기어
65: 구동기어 66: 소켓
67: 구동모터 68: 배터리
69: 스위치 60: 함체
611, 611': 걸고리

Claims (4)

  1. 하부케이스(31)의 후단 상측으로 형성되는 수용실에 부탄가스 용기(11)를 수용하여 조절밸브(12)를 통해 부탄가스를 배출하는 가스공급부(1)와;
    상기 가스공급부(1)를 통해 배출되는 부탄가스를 상부케이스(21)의 하측으로 토출 및 연소시켜 생성된 불꽃 열기를 구이부(3)의 하부케이스(31) 쪽으로 하향 발산하는 히터모듈(22)를 갖는 화염부(2)와;
    상기 히터모듈(22)의 자연 상승 방출 열기로 구이물을 데울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21)를 개방하고 이 개방부분으로 유입되어 히터모듈(22)의 상단에 안착되는 보온용기(23)와;
    2등분으로 분할되어 좌·우측판(321, 321')으로 나누어지고 상측 구이면에 기름 배출을 위해 돌출된 리브(322)가 다수 형성되면서 좌·우측판(321, 321')이 맞닿는 리브(322) 부분의 돌출편(322') 사이에 기름 낙하공간(324)을 마련하면서 이 돌출편(322')과 좌·우측판(321, 321') 측면 상단에 돌출된 제1 고정돌기(323)가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상측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홈(311) 및 가스공급부(1) 상측에 형성된 제1 고정홀(13)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측 커버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이판(32)과;
    상기 하부케이스(31)의 걸림부(312)의 상단에 하측이 끼워 고정되고 꽂이대(71) 및 구이통(72)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원홈을 상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거치대(73)와;
    상기 가스공급부(1)의 상측 양단에 천공된 제2 고정홀(14)과 상부케이스(21)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홀(24) 및 양단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25)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측 양단에 가이드홈(41)이 형성되고 후단 및 선단 내부에 제2 고정돌기(42)와 제3 고정돌기(43)를 형성한 뚜껑(4); 및
    상기 뚜껑(4)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양단에 제1·2 힌지(51, 51')를 돌출 형성시킨 손잡이(5)가 마련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의 제1 힌지(51)에 하향 형성된 걸림돌기(52)가 수직상태로 세워질 때 상부케이스(21)의 후측에 장공으로 형성된 방열공(26)에 끼워져 걸림으로 운반시 뚜껑(4)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케이스(31)의 내측에 배치되어 구이판(32) 및 기름받이(33)를 거치시키는 지지틀(34)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틀(34)의 전후방 중앙에 구이판(32)의 좌·우측판(321, 321') 전후측이 끼워져 구이물을 얹을 수 있도록 'T' 형상의 걸고리(341, 341')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틀(34)에 상측이 결합되고 하부케이스(31) 내부에 하측이 고정되어 지지틀(34)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리프트부(35)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35)는 하부케이스(31)에 수평면이 고정되는 지지브라켓(351, 351')과 이 지지브라켓(351, 351')의 양측 수직면에 축 고정 및 이동되도록 일단이 장착되면서 중앙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는 '∪' 형태의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의 타단은 지지틀(34)의 수직면에 축 고정 및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링크(352)의 일단 및 하부케이스(31)에 연결되어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가 승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353)이 장착되며, 상기 제1 링크(352) 및 제2 링크(352')의 하강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승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작동레버(36)가 지지틀(34)의 선단부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작동레버(36)는 하부케이스(31)의 선단 중앙에 돌출된 걸림부(312) 하단에 걸리면서 상기 걸림부(312)에 고정된 자석(37)에 부착되어 리프트부(35)의 상승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1)에 걸림홀(15, 15')을 형성하고, 이 걸림홀(15, 15')에 끼워져 고정되는 걸고리(611, 611') 및 다수의 소켓(66)을 갖는 착탈식 구동부(6)가 마련되며, 이 구동부(6)의 소켓(66)에 상기 꽂이대(71) 및 구이통(72)의 일단이 끼워져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는 걸고리(611, 611')를 돌출 형성한 지지판(61)과, 이 지지판(61)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축설되어 연동하는 동력기어(63), 리들기어(64) 및 소켓(66)을 갖는 다수의 구동기어(65)와, 상기 지지판(61)의 전면으로 결합되어 동력기어(63), 리들기어(64) 및 구동기어(65)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면서 소켓(66)이 노출되도록 보호하는 커버(62)와, 상기 지지판(61)의 후면에 장착되어 동력기어(6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7)와, 이 구동모터(6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68) 및 스위치(69)를 장착한 함체(60)가 지지판(61) 후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0180147898A 2018-11-26 2018-11-26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196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98A KR101963544B1 (ko) 2018-11-26 2018-11-26 휴대용 직화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98A KR101963544B1 (ko) 2018-11-26 2018-11-26 휴대용 직화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544B1 true KR101963544B1 (ko) 2019-03-28

Family

ID=6590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898A KR101963544B1 (ko) 2018-11-26 2018-11-26 휴대용 직화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5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897B1 (ko) *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174895B1 (ko) *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GR20200100137A (el) * 2020-03-13 2021-10-13 Αναστασιος Ευαγγελου Τσουκης Κινητη βοηθητικη συσκευη ψησιματος πανω μερους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56B1 (ko) 2012-07-12 2014-10-23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464629B1 (ko) *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20150001823U (ko) * 2013-11-05 2015-05-13 주식회사 홈파워 적외선 가열 구이기
KR101539900B1 (ko) * 2014-12-18 2015-07-27 이진희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150116603A (ko) * 2014-04-08 2015-10-16 박정열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KR101564624B1 (ko) 2013-06-03 2015-11-02 (주) 크리쉐프 고구마 구이장치
KR101582538B1 (ko) * 2014-04-10 2016-01-07 유창호 양방향조리기구
KR101686379B1 (ko) 2016-02-05 2016-12-13 박정열 휴대용 구이기
KR101715572B1 (ko) 2016-10-11 2017-03-22 박종찬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1829240B1 (ko) * 2016-12-27 2018-02-14 주식회사 신영트레이딩 다기능 가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56B1 (ko) 2012-07-12 2014-10-23 박정열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564624B1 (ko) 2013-06-03 2015-11-02 (주) 크리쉐프 고구마 구이장치
KR20150001823U (ko) * 2013-11-05 2015-05-13 주식회사 홈파워 적외선 가열 구이기
KR20150116603A (ko) * 2014-04-08 2015-10-16 박정열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KR101582538B1 (ko) * 2014-04-10 2016-01-07 유창호 양방향조리기구
KR101464629B1 (ko) * 2014-05-27 2014-11-25 (주)헤움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101539900B1 (ko) * 2014-12-18 2015-07-27 이진희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1686379B1 (ko) 2016-02-05 2016-12-13 박정열 휴대용 구이기
KR101715572B1 (ko) 2016-10-11 2017-03-22 박종찬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양방향 구이기
KR101829240B1 (ko) * 2016-12-27 2018-02-14 주식회사 신영트레이딩 다기능 가열 조리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20200100137A (el) * 2020-03-13 2021-10-13 Αναστασιος Ευαγγελου Τσουκης Κινητη βοηθητικη συσκευη ψησιματος πανω μερους
KR102174897B1 (ko) *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174895B1 (ko) *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WO2021230603A1 (ko) *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WO2021230605A1 (ko) *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JP7441974B2 (ja) 2020-05-12 2024-03-01 ファイバー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用直火焼き器
JP7441975B2 (ja) 2020-05-12 2024-03-01 ファイバー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用直火焼き器
EP4151134A4 (en) * 2020-05-12 2024-04-24 Fibertech Co Ltd PORTABLE DIRECT FLAME ROASTING GR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544B1 (ko) 휴대용 직화 구이기
US3851639A (en) Portable combinatio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JP5975179B2 (ja) 焼き器
US20060225725A1 (en) Portable, collapsible cooking unit and utensil
KR101454356B1 (ko) 테이블 장착 및 휴대가 가능한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US20100132689A1 (en) Cooking grill
US20140261012A1 (en) Cooking grill having rack supporting individual grilling modules
US9237827B2 (en) Cooking appliance of the grill or barbecue type
KR200466279Y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1686379B1 (ko) 휴대용 구이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20180129592A (ko) 꼬치구이기
WO2010001135A1 (en) Barbecue
KR102076911B1 (ko) 구이장치
US6202638B1 (en) Grill cover
KR200485954Y1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CN208851294U (zh) 烧烤炉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20110117106A (ko) 휴대용 요리 시스템
KR20120058944A (ko) 숯불향 구이돌판 받침대
CN210697272U (zh) 一种上掀式电烤器结构
KR102099707B1 (ko) 휴대용 바비큐 장치
KR101430550B1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200217656Y1 (ko) 꼬지바베큐 자동구이기
CN112790624A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