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597Y1 - 숯불 화로 - Google Patents

숯불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597Y1
KR200377597Y1 KR20-2004-0035651U KR20040035651U KR200377597Y1 KR 200377597 Y1 KR200377597 Y1 KR 200377597Y1 KR 20040035651 U KR20040035651 U KR 20040035651U KR 200377597 Y1 KR200377597 Y1 KR 200377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brazier
upper cylinder
container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석
Original Assignee
김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석 filed Critical 김원석
Priority to KR20-2004-003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7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불 화로에 관한 것으로, 화로의 외관을 형성하여 내부에 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갖는 화로 본체(100)와, 상기 화로 본체(100)의 내부에 화로 본체(100)와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어 열원인 숯이 거치되는 숯거치통(200)과, 상기 숯거치통(200)을 상기 화로 본체(100)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삼발이지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화로 본체(100)는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밀폐되어 물이 수납되는 바닥면(116)을 갖으며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상부통체(110)와, 상기 상부통체(1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통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대(120)로 구성함으로써 화로 본체(100)와 숯이 수납되는 숯거치통(200)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숯불의 열이 화로 본체측으로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어 조리시나 취식시 부주의에 의한 화상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화로 본체측으로 숯불의 열이 최대한 차단되기 때문에 화로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화로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흡배기공에 의하여 숯불의 연소가 원활하게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숯불 화로{Charcoal fire brazier}
본 고안은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거나, 음식물을 조리하는 숯불 화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이 올려지는 숯거치통과 화로 본체를 분리하여 숯거치통에서 발생되는 열(熱)이 화로 본체측으로 전도(傳導)되지 않도록 한 숯불 화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숯불 화로는 원통체로 형성된 화로 본체의 내부에 숯이 수납된 숯거치대를 집어넣는 상태에서 화로의 상단에 구이판을 올려놓고 고기를 굽거나, 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숯불 화로는 화로가 단일 성형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숯불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화로측으로 직접 전도되면서 화로가 전체적으로 고온상태이기 때문에 조리 도중이나, 취시중에 화로의 열로 인해 화상을 입는 문제가 있으며, 필요에 의해 화로를 운반하기도 어렵다. 게다가 조리가 끝난 후에 숯불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가열된 상태의 화로는 상당한 시간동안 고온상태를 유지하므로 화로의 이동이나, 보관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숯불 화로는 화로가 놓여지는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숯에서 발생되는 열이 화로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여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화로의 취급이 용이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로의 외관을 형성하여 내부에 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갖는 화로 본체; 상기 화로 본체의 내부에 화로 본체와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어 열원인 숯이 거치되는 숯거치통; 상기 숯거치통을 상기 화로 본체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삼발이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로 본체는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밀폐된 바닥면을 갖으며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상부통체와, 상기 상부통체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통체를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통체의 외주면에는 연소공기가 흡배출되는 다수의 흡배기공이 천공되고, 양단 외주면에는 고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통체의 바닥면은 지면과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상기 받침대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숯거치통은 상단에는 숯거치통을 집게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취부할 수 있는 취부홈이 단차부가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취부공 또는 공기통공이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는 숯을 올려놓기에 적합하도록 수개의 걸림쇠 통공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쇠는 단면이 세모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발이지지대는 원형의 통체(310)에 일정간격을 갖고 3개의 다리가 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숯불 화로는 화로의 외측으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화로의 열효율은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숯불 화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밀폐된 바닥면을 갖으며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상부통체(110)와, 상기 상부통체(1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통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대(120)로 구성되는 화로 본체(100)와, 상기 화로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열원인 숯이 거치되는 숯거치통(200)과, 상기 숯거치통(200)을 상기 화로 본체(100)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삼발이지지대(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로 본체(100)는 상기 상부통체(110)의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받침대(120)를 나사(130)로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상부통체(110)와 받침대(120)를 일체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통체(110)에는 연소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되는 흡배기공(112)이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무늬(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꽃잎 무늬)의 형상으로 천공되어 있고, 양단 외주면에는 고리형 손잡이(11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통체(110)의 바닥면(116)은 지면과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받침대(12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숯거치통(200)에서 발생되는 열이 화로가 설치되는 지면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숯거치통(200)은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하측이 개구되어 있는데, 상단에 형성된 단차부(210)의 가장자리에는 숯거치통(20)을 집게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취부할 수 있는 취부홈(212)이 일정간격을 갖고 4개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숯거치통(200)의 내측의 형성된 단차부(220)에는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취부공(222) 또는 공기통공(22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는 숯을 올려놓기에 적합하도록 수개의 걸림쇠(230)가 하측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쇠(230)의 단면은 세모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재로 변한 상태의 숯이 걸림쇠(230)를 통해 상부통체(110)의 바닥면(116)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삼발이지지대(300)는 원형의 통체(310)에 일정간격을 갖고 3개의 다리(3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숯불 화로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숯불 화로는 상부통체(110)와 받침대(120)가 나사(130)로 체결되어 화로 본체(100)로 조립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로 본체(100)의 내부에 먼저 적정량의 냉수(W)를 공급하여 상부통체(110)의 내부 바닥면(116)에 냉수(W)를 수납시킨다.
이 상태에서 삼발이지지대(300)를 상부통체(110)의 바닥면(116) 중앙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숯(미도시)이 놓여진 상태의 숯거치통(200)을 올려놓게 된다. 이때, 숯거치통(200)의 걸림쇠(230)들은 삼발이지지대(300)의 통체(310)를 통과하여 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숯거치통(200)은 삼발이지지대(300)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석쇠(400)를 화로 본체(100)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숯거치통(200)의 걸림쇠(230)에 수납되어 있는 숯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하여 음식물 또는 고기의 조리를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걸림쇠(230)는 단면이 세모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발화상태가 지나 고체상태에서 가루상태가 되는 숯은 자연스럽게 걸림쇠(230)의 상부통체(110)의 바닥면(116)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바닥면(116)에 수납되어 있는 냉수(W)에 의하여 재로 변한 숯은 물에 혼합되므로 잿가루 등이 날리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숯불 화로는 숯거치통(200)에 수납된 숯에서 발생되는 열이 숯거치통(200)과 이격되어 있는 화로 본체(100) 즉, 상부통체(110) 또는 받침대(120)쪽으로는 전달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화로를 옮기고자 할 때, 화로본체의 양쪽 손잡이(114)를 운반자가 맨손으로 파지하고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통체(110)의 바닥면(116)에 수납되어 있는 냉수에 의하여 숯거치통(200)에서 삼발이지지대(300)를 거쳐 상부통체(110)의 바닥면(116)을 통해 지면으로 전달되는 열이 차단된다. 또한, 상부통체의 바닥면(116)은 화로가 설치된 지면과 일정간격(D)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화로가 설치된 장소에서 숯의 과열로 의한 화재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부통체(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흡배기공(112)이 형성되어 있어 숯거치통(200)에서 발화하는 숯으로 공기를 공급함과 아울러 연소된 공기는 원활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연소상태를 최적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숯불 화로는 숯불이 놓여지는 숯거치통과 분리되게 화로 본체를 마련하여 숯불의 열이 화로 본체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조리시나 취식시 부주의에 의한 화상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로 본체측으로 숯불의 열이 최대한 차단되기 때문에 화로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화로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흡배기공에 의하여 숯불의 연소가 원활하게 실시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숯불 화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숯불 화로의 작동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로 본체 110 ; 상부통체
112 ; 흡배기공 114 ; 손잡이
116 ; 바닥면 120 ; 받침대
200 ; 숯거치통 210,220 ; 단차부
212 ; 취부홈 222 ; 취부공
224 ; 공기통공 300 ; 삼발이지지대
310 ; 통체 320 ; 다리

Claims (7)

  1. 화로의 외관을 형성하여 내부에 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갖는 화로 본체(100);
    상기 화로 본체(100)의 내부에 화로 본체(100)와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어 열원인 숯이 거치되는 숯거치통(200);
    상기 숯거치통(200)을 상기 화로 본체(100)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삼발이지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 본체(100)는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밀폐되어 물이 수납되는 바닥면(116)을 갖으며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상부통체(110)와, 상기 상부통체(1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통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대(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체(110)의 외주면에는 연소공기가 흡배출되는 다수의 흡배기공(112)이 천공되고, 양단 외주면에는 고리형 손잡이(1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체(110)의 바닥면(116)은 지면과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상기 받침대(120)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거치통(200)은 상단에는 숯거치통(200)을 집게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취부할 수 있는 취부홈(212)이 형성된 단차부(210)가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수개의 취부공(222) 또는 공기통공(224)이 형성된 단차부(220)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는 숯을 올려놓기에 적합하도록 수개의 걸림쇠(230)가 통공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230)는 단면이 세모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지지대(300)는 원형의 통체(310)에 일정간격을 갖고 3개의 다리(320)가 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화로.
KR20-2004-0035651U 2004-12-15 2004-12-15 숯불 화로 KR200377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651U KR200377597Y1 (ko) 2004-12-15 2004-12-15 숯불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651U KR200377597Y1 (ko) 2004-12-15 2004-12-15 숯불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597Y1 true KR200377597Y1 (ko) 2005-03-14

Family

ID=4367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651U KR200377597Y1 (ko) 2004-12-15 2004-12-15 숯불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5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76Y1 (ko) 2009-06-15 2011-07-07 노상철 휴대형 숯불구이 화로
WO2014042342A1 (ko) * 2012-09-12 2014-03-20 Kim Young Bong 구이 용기
KR200492826Y1 (ko)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76Y1 (ko) 2009-06-15 2011-07-07 노상철 휴대형 숯불구이 화로
WO2014042342A1 (ko) * 2012-09-12 2014-03-20 Kim Young Bong 구이 용기
KR101415926B1 (ko) * 2012-09-12 2014-07-04 김영봉 구이 용기
CN104853658A (zh) * 2012-09-12 2015-08-19 株式会社世真高科技 烧烤装置
JP2015531645A (ja) * 2012-09-12 2015-11-05 セジン ハイテ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焼き器
EP2842467A4 (en) * 2012-09-12 2016-05-11 Sejin Hitech Co Ltd ROASTER
CN104853658B (zh) * 2012-09-12 2016-11-23 株式会社世真高科技 烧烤装置
US9861231B2 (en) 2012-09-12 2018-01-09 Sejin Hightech Co., Ltd Roaster
KR200492826Y1 (ko)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5179B2 (ja) 焼き器
KR20110108538A (ko) 다용도 조리기
US20190099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Applying Heat
KR200377597Y1 (ko) 숯불 화로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US7578291B2 (en) Closed cooking system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KR20160050973A (ko) 화로대
KR200213233Y1 (ko) 고기 구이기
KR101655298B1 (ko)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200347666Y1 (ko) 고기구이용 받침대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KR200361903Y1 (ko) 직화 조리기
US20160255995A1 (en) Stove-top barbecue
JP2005312672A (ja) 炭火焼コンロ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CN218186465U (zh) 碳烤炉
KR200185653Y1 (ko) 육류 구이기
KR200196671Y1 (ko) 고기 구이기
KR200280207Y1 (ko) 숯불구이기의 화덕 인출구
KR101242116B1 (ko) 가스렌지용 바비큐 조리기
JPH0436762Y2 (ko)
JP3964576B2 (ja) 携帯用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