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666Y1 - 고기구이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666Y1
KR200347666Y1 KR20-2004-0000193U KR20040000193U KR200347666Y1 KR 200347666 Y1 KR200347666 Y1 KR 200347666Y1 KR 20040000193 U KR20040000193 U KR 20040000193U KR 200347666 Y1 KR200347666 Y1 KR 200347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late
support
meat
m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학
Original Assignee
정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학 filed Critical 정원학
Priority to KR20-2004-0000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구이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로 식당의 식탁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 화덕이나 가스렌지등의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그 상부에서 불판이나 찌개용기등을 이용하여 고기구이를 하거나 찌개등을 끓이게 될때 크기가 다른 2종류이상의 불판과 찌개용기등을 사용할수 있고 불판에서 고기가 구워지면 보조가열판에 의해 고기가 타지않고 구운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되며 식탁에 맞닿는 받침대하단의 과열을 방지할수 있게 한 고기구이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즉, 상ㆍ하부받침대(10)(20)로 분리구성되어지되 외향경사면을 이루는 보조가열판(11)의 내ㆍ외주면에 기름받이홈(12)(13)이 각각 형성되고 보조가열판(11)내측에 불판보조받침부(15)와 용기보조받침부(16)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대(10)와; 주벽(21)상단의 받침턱(22)에 일정간격으로 열기배출홈(23)과 소폭으로 파여있는 화염투시홈(24)이 형성되고 주벽(21)하단의 일측에 연소공기유입홈(25)이 형성되고 주벽(21)하단의 외측은 물받이홈(26)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받침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받침대이다.

Description

고기구이용 받침대{Supporter stand for meat roast}
본 고안은 고기구이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로 식당의 식탁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 화덕이나 가스렌지등의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그 상부에서 불판이나 찌개용기등을 이용하여 고기구이를 하거나 찌개등을 끓이게 될때 크기가 다른 2종류이상의 불판과 찌개용기등을 사용할수 있고 불판에서 고기가 구워지면 보조가열판에 의해 고기가 타지않고 구운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되며 식탁에 맞닿는 받침대하단의 과열을 방지할수 있게 한 고기구이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식탁에서 사용되는 고기구이용 받침대는 화덕주위를 감싸는 주벽형태로 구성되어 주벽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열기 배출홈과 받침단턱이 형성된 받침대 상부에 기름받이홈이 구비된 불판을 올려놓는 형태로 되어 있는 바 이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받침대는 화염에서 발생하는 열공기는 배출홈을 통해 배출되어지나 연소공기의 유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연소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 받침대의 중앙은 빈공간으로 형성되어 지므로 그 만큼 불판은 받침대주벽을 커버할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불판크기가 커지게 될뿐만 아니라 불판에서 고기가 구워지는 동안에 고기에서 흘러내리는 기름은 불판에 형성된 기름받이홈을 통해 분리처리되도록 되어 있는바, 이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자주 교체사용하게 되는 불판의 크기가 크고 기름받이홈이 형성되어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므로 많은 불판을 교체 및 세척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불판의 전체가 가열면을 구성하게 되므로 불판에서 고기가 완전히 구워지게 되면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판에서 구워진 고기를 별도의 그릇에 담아놓게 되므로 고기가 식으면서 고기맛이 떨어지게 되었다.
또, 불판은 항상 일정한 크기를 갖게 되므로 고기의 종류나 고기를 구워지는 사람의 숫자에 맞추어 적절한 크기의 불판을 제공할수 없었고, 특히 고기를 먹고 난후에 불판을 제거하고 찌개등을 끓이기 위해 뚝배기등을 올려놓기 위해서는 별도의 받침대를 설치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식탁상면에 재치된 받침대가 과열되어 식탁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ㆍ하부 받침대로 분리구성되어지되 보조가열판과 그 주연부에 기름받이홈이 형성되고 보조가열판 내측에 소형크기의 불판이 재치되는 불판 보조받침부와 찌개용기등이 재치되는 용기보조받침부가 형성된 상부받침대와, 주벽 상단에 열기배출홈과 받침턱 및 화염투시홈이 형성되고 주벽하단에 연소공기가 공급되는 연소공기유입홈과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수가 담겨지는 물받이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받침대로 이루어진 고기구이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성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상부받침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하부받침대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하부받침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받침대 11 : 보조가열판
12,13 : 기름받이홈 14: 기름배출구멍
15 : 불판보조받침부 16 : 용기보조받침부
20 : 하부받침대 21 : 주벽
22 : 받침턱 23 : 열기배출홈
24 : 화염투시홈 25 : 연소공기유입홈
26 : 물받이홈 27 : 보조받침턱
28 : 통기구멍 30 : 불판
40 : 용기
본 고안의 고기구이용 받침대는 식탁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 화덕 또는 가스레인지등의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그 상부에서 불판이나 찌개용기등을 이용하여 고기구이를 하거나 찌개등을 끓이기 위해 사용되어 지는 것으로서, 받침대는 상ㆍ하부 받침대(10)(20)로 분리구성되어 하부받침대(20)상부에 상부받침대(10)가 재치되고 상부받침대(10)에 불판(30) 또는 찌개용기(40)등이 올려져서 사용된다.
상부받침대(10)는 외향경사면을 이루는 보조가열판(11)이 형성되고 보조가열판(11)의 내ㆍ외주면에 기름받이홈(12)(13)이 각각 형성되어 일측의 기름배출구멍(14)을 통해 기름이 분리배출되어 지며 보조가열판(11)내측에 소형크기의 불판(30)이 재치되는 불판보조받침대(15)와 찌개용기등이 재치되는 용기보조받침부(16)가 서로 다른 크기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부받침대(20)는 주벽(21)상단의 받침턱(22)에 일정간격으로 연소되는 열이배출되는 열기배출홈(23)과 소폭으로 깊게 파여있는 화염투시홈(24)이 형성되고 주벽(21)하단의 일측에 연소용 공기가 공급될수 있는 연소공기유입홈(25)이 형성되며 주벽(21)하단의 외측은 물받이홈(26)이 형성되어 냉각수를 담을 수 있게 되며 주벽(21)내측은 보조받침턱(27)과 통기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기름안내홈, 17은 손잡이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고기구이용 받침대는 도 1과 같이 하부받침대(20)에 상부받침대(10)를 재치시킨 다음 상부받침대(10)에 크기가 다른 2종류이상의 불판(30)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올려놓고 고기구이를 할수 있게 되고 뚝배기등의 찌개용기(40)는 용기보조받침부(16)에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기구이용 불판(30)을 올려놓고 고기구이를 할때 불판(30)크기가 큰 대형불판(30a)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2와 같이 보조가열판(11)의 내측 상단부에 불판(30)을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며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보조가열판(11)외부면의 기름받이홈(12)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불판(30)에서 구워진 고기는 보조가열판(11)에 올려놓음으로서 고기가 타지않고 가열된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구워진 상태의 고기맛을 지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불판(30)크기가 작은 소형불판(30b)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조가열판(11)내측의 불판보조받침부(15)에 재치시켜 고기를 굽게되고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보조가열판(11)내주면의 기름받이홈(13)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불판(30)에서 구워진 고기는 보조가열판(11)에 올려놓고 먹을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크기가 서로다른 불판(30)을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되고 불판(30)에는 별도의 기름받이홈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자주 갈아주게 되는 불판(30)의 세척이 용이하고 불판(30)무게를 줄일수 있게 되어 교체하는데 힘이 적게 든다.
또, 불판(3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연소불꽃은 일측의 화염투시홈(24)을 통해 쉽게 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대 주벽(21)하단의 연소공기유입홈(25)을 통해 연소공기가 공급되어 연소효율을 높여주게 되며, 주벽(21)하단의 외측에 형성된 물받이홈(26)에 냉각수를 담아 받침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고기구이가 끝난후에 찌개등을 끓이게 될때는 불판(30)을 받침대에서 분리하고 용기보조받침부(16)에 뚝배기등을 재치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받침대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사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고기구이용 받침대는 불판보조받침부와 용기보조받침부가 구비되어 서로다른 2종류이상의 불판과 찌개용기등을 재치시켜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고 고기구이를 하는 과정에서 자주 교체사용하게 되는 불판에 기름받이홈이 없으므로 세척이 용이하고 무게를 줄이게 되어 불판을 교체하는 힘이 적게 든다.
또한, 받침대에 보조가열판이 구비되어 불판에서 구워진 고기를 타지않고 가열된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고기맛을 좋게한다.
그리고 화염투시홈이 형성되어 연소불꽃 확인이 용이하고, 연소공기유입홈이 형성되어 연소효율을 높여 주게 되며, 물받이홈에 냉각수를 담아 받침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ㆍ하부받침대(10)(20)로 분리구성되어지되 외향경사면을 이루는 보조가열판(11)의 내ㆍ외주면에 기름받이홈(12)(13)이 각각 형성되고 보조가열판(11)내측에 불판보조받침부(15)와 용기보조받침부(16)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대(10)와; 주벽(21)상단의 받침턱(22)에 일정간격으로 열기배출홈(23)과 소폭으로 파여있는 화염투시홈(24)이 형성되고 주벽(21)하단의 일측에 연소공기유입홈(25)이 형성되고 주벽(21)하단의 외측은 물받이홈(26)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받침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받침대
KR20-2004-0000193U 2004-01-06 2004-01-06 고기구이용 받침대 KR200347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93U KR200347666Y1 (ko) 2004-01-06 2004-01-06 고기구이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93U KR200347666Y1 (ko) 2004-01-06 2004-01-06 고기구이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666Y1 true KR200347666Y1 (ko) 2004-04-13

Family

ID=4934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193U KR200347666Y1 (ko) 2004-01-06 2004-01-06 고기구이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6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543B1 (ko) * 2015-07-24 2016-04-14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받침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543B1 (ko) * 2015-07-24 2016-04-14 주식회사 썬하우스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받침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663B2 (en) Kit,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cooking over an intense heat source
US20140311356A1 (en) Multi-Configurable Outdoor Cooking Grill
US20110073098A1 (en) Multi-functional cooking stove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KR200477614Y1 (ko) 구이용 불판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0347666Y1 (ko) 고기구이용 받침대
KR200497835Y1 (ko) 구이용 불판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CN201557996U (zh) 多功能烤炉
KR200425826Y1 (ko) 신선로 겸용 고기구이판
KR102142681B1 (ko) 구이팬
WO2009094879A1 (fr) Plateau de cuisson pour four à micro-ondes présentant une base à rayonnement de chaleur
KR20110006479U (ko) 직화열 유도식 오븐기
KR200377597Y1 (ko) 숯불 화로
KR200314595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150047847A (ko) 육류 구이기
KR20090003465U (ko) 이종요리가 가능한 쿠킹장치
US20050205078A1 (en) Bench top grill assembly
CN212777475U (zh) 一种多功能野营小气炉
KR102347762B1 (ko) 직화구이 및 간접구이 겸용 구이용 불판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200385144Y1 (ko) 고기구이판
KR200347711Y1 (ko) 고기 구이판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