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211B1 - 고기 구이기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211B1
KR100881211B1 KR1020070075296A KR20070075296A KR100881211B1 KR 100881211 B1 KR100881211 B1 KR 100881211B1 KR 1020070075296 A KR1020070075296 A KR 1020070075296A KR 20070075296 A KR20070075296 A KR 20070075296A KR 100881211 B1 KR100881211 B1 KR 10088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at
roasting
exhaus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584A (ko
Inventor
장순명
Original Assignee
장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명 filed Critical 장순명
Priority to KR102007007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2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 등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는, 하부에 개폐문을 가진 함체상의 하우징(11)과; 하우징(11)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우징(11) 내 상부에 설치는 하향 개방형 구이통(12)과; 구이통(12) 아래의 하우징(11) 내 하부에 설치되는 열원승강기(13)와; 구이통 상판 배기공(H3)과 하우징 상판의 제1배기공(H1)을 연결하는 제1배기 덕트(14)와; 하우징 상판의 제2배기공(H2)에 설치되며, 제1배기공(H1)이 연결되는 제2배기 덕트(15)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는, 하우징과 구이통 사이로 상향 통과한 후 배출되는 외부 흡입 공기에 의해 하우징의 과열이 방지되며, 구이통에 상향 장입되었던 열원을 열원승강기에 의해 구이통 아래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열원 교체가 손쉬울 뿐 아니라, 열원교체에 따른 열 손실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고기, 구이기, 고기 구이기

Description

고기 구이기{Meat roaster}
본 발명은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하부에 개폐문을 가진 상자형 하우징 내 상부에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향 개방형의 구이통을 설치하고, 하우징 내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열원 장입용 열원승강기를 설치함으로써, 열원승강기를 이용하여 숯불 등과 같은 열원 한 쌍 이상을 상향 이동시켜 구이통 내부로 장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하우징 하부로 흡입한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과 구이통 사이로 상향 통과시킨 후 하우징 상부에서 하우징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생선회나 육회 등과 같이 날 것으로 먹는 소수의 특정 음식물을 제외한 거의 모든 음식물은 불을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용하는 불의 종류 즉, 장작불, 숯불, 가스불, 전열 등 열원에 따라서도 음식물의 조리법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특히, 다른 음식물과 달리 육류의 경우에는 열원에 따라서 그 맛에 상당한 차이가 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불에 의한 육류의 조리법은 크게, 굽거나, 튀기거나, 삶거나, 훈제하는 4가지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굽는 방법은, 육류를 직접 불에 노출시켜 익히는 직화 구이와, 불 위에 놓여진 구이판에 육류를 놓은 후 불에 의해 뜨꺼워진 구이판에 의해 육류를 익히게 되는 간접 구이로 구분할 수 있다.
간접 구이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육류 조리법이라 할 수 있는데, 구이판을 이용하는 간접 구이는,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편리한 조리법이기는 하나, 다음에 설명될 직화 구이에 비하여 고기의 맛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삽겹살, 오리고기 등과 같이 기름이 많은 육류를 구울 경우 기름이 구이판 밖으로 많이 튐으로써 주변이 더럽혀지기도 하고, 주변에 있는 다른 음식의 맛을 변질시키거나, 사람의 피부에 화상을 입힐 수도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더욱 맛있는 음식을 찾게 되면서 특히, 쇠고기의 경우에는 간접 구이보다 직화 구이를 더욱 선호하게 되었는 바, 인류에게 가장 오래된 조리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바비큐라고도 불리우는 직화 구이, 특히 원적외선을 많이 발산하는 숯불에 의한 직화 구이는 다른 육류 조리법에 비하여 육류 특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굽는 과정에서 육류에 함유된 기름이 자연스럽게 제거되면서 담백하면서도 더욱 깊은 맛을 낼 수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직화 구이는, 숯불 등과 같은 열원을 담겨진 화덕의 상단부에 석쇠를 올려 놓은 후 석쇠 위에서 고기를 굽게 되는데, 이와 같은 직화 구이는, 육류를 직접 불에 익힌다는 특성상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의 실내에서는 조리가 거의 불가능하고 연기를 흡입 배출할 수 있는 덕트 시설이 되어 있는 음식점에서나 조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음식점에서의 직화 구이는 대부분 참나무 숯(인공 숯 포함)과 석쇠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음식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종래의 직화 구이는 간접 구이와 마찬가지로 석쇠 위의 고기를 반복하여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덕트 시설이 되어 있는 경우에도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모두 완전히 흡입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직화 구이를 하는 음식점 내에는 구이 연기가 잔류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간접 구이의 경우에 비하여 음식점 내의 고기 냄새가 더 강할 뿐만 아니라, 손님의 옷에도 고기 냄새가 더욱 많이 배는 것은 물론, 벽지 등도 더욱 빨리 오염된다.
즉, 구이판을 사용하는 간접 구이나 석쇠를 사용하는 직화 구이 모두 고기를 구울 때 고기를 반복하여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간접 구이는 고기의 맛이 떨어지는 반면에 고기의 맛이 좋은 직화 구이는 연기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기를 뒤집지 않으며 직화 구이로 조리할 수 있으며,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모두 한 곳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는 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414881호에 "양면 동시 고기 구이기"가, 국내 등록특허 제308324호에 "양측면 가열식 고기구이기"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377271호에 "고기 구이기"가, 국내 실용신안공고 실1997-2117호에 "무연자동고기구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구이기들은, 함체상의 하우징 내부에 숯불 등과 같은 열원이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설치된 구조로서, 열원과 열원 사이에서 고기가 구워지기 때문에 고기를 뒤집을 필요가 없으며, 고기를 굽는 동안 발생한 연기는 하우징 상부 일측의 덕트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로 확산되는 연기가 극히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함체상의 종래 구이기들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하우징이 과열되면서 구이기 앞에서 고기를 굽는 작업 또한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반복되는 과열에 의해 하우징이 변형됨으로써 외관도 바람직스럽지 못하게 될 수 있는데, 하우징의 내면에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다 하여도 다소의 차이가 있을 뿐 하우징의 과열을 방지할 수가 없다.
물론, 하우징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단열재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경우 구이기의 크기와 중량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동이나 운반도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함체상의 종래 구이기들은 상부에 커버 또는 전방에 개폐문이 구비된 구조로서, 숯불을 교체하는 경우 구이실 내의 열기가 전방이나 상부로 뿜어져 나올 뿐 아니라 하우징이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하우징 내·외부가 어느 정도 냉각되지 않을 경우에는 숯불 교체가 거의 불가능하거나, 숯불 교체 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고기 구이기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장시간 고기 구이기를 사용하여도 하우징의 과열이 방지됨으로써 고기를 구울 시 부주의로 인한 하우징과의 접촉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우징의 열기에 의한 고기 구이 작업의 어려움이 작아지고, 숯불 교체 시 하우징 내부 고기 구이실의 열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이실의 열기나 하우징의 냉각 여부와 관계 없이 필요 시마다 숯불을 그때 그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고기 구이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함체상 하우징 내 상부에 하우징 내면과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하향 개방된 함체상의 구이통과, 하우징 하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하우징 내면과 구이통 외면 사이로 상향 통과시켜 구이통에서 발산되는 열을 흡수하도록 한 후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과, 하우징 내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열원승강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는, 하우징 외부에서 하우징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하 우징 내면과 구이통 외면 사이를 통하여 상승하면서 구이통에서 발산되는 열을 흡수한 후 하우징 상부에서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과열이 방지되는 바, 하우징의 열변형이 초래되지 않거나 최소화되면서 하우징의 수명이 연장되고, 하우징에서 발산되는 열이 최소화됨으로써 그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고기 구이 작업이 손쉬울 뿐 아니라, 작업 시 화상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현저히 줄어든다.
그리고, 구이통이 없는 하우징의 하부에서 열원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열원 교체에 따른 구이통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뿐 아니라, 구이통의 냉각 여부와 관계 없이 필요 시마다 곧바로 열원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는 하우징의 과열을 방지하면서 숯불 등의 열원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함체상 하우징 내 상부에 하향 개방형의 구이통이 하우징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구이통 아래의 하우징 내 하부에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한 열원승강기가 구비된 구조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는 하우징 내면과 구이통 외면이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하우징 상면에 결합된 송풍팬에 의해 하우징의 중앙부에 구비된 통공을 통하여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과 구이통 사이를 상향 통과하면서 구이통에서 발산되는 열을 흡수한 후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공기순환 구조에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는, 하부에 개폐문을 가진 함체상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 상부에 하우징 내면과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하향 개방형의 함체상 구이통과; 구이통 아래 하우징 내 하부에 설치되는 열원승강기와; 구이통에서 하우징 상판으로 연결되는 제1배기 덕트와; 송풍팬이 구비되며 하우징 상판을 관통한 제1배기 덕트가 합류되는 제2배기 덕트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방향에 따른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에서 고기를 굽는 사람을 향한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상·하·좌·우 방향은 사람을 기준으로 정하기로 한다.
하우징은, 외부로 노출되는 본 발명 고기 구이기의 케이스로서, 높이 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부로 구분되는데, 하우징 내 상부에는 구이통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열원승강기가 설치되며, 하우징 하부 외면에는 개폐문이 결합된다.
그리고. 고기를 넣은 석쇠를 하우징 내부로 장입하기 위하여 하우징 상부 전면에는 수직한 방향의 일자형 외측 구이공이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며, 하우징 상판에는 하우징 내의 공기, 연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제1·2배기공이 관통 형성된다.
구이통은, 고기가 구워지는 장소인 구이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의 배기공과 전면의 내측 구이공을 제외하면 하향 개방형의 함체형상이고, 그 외면은 하우징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서 하우징 내면과의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하게 되 며, 숯불 등의 열원은 구이통 아래의 하우징 하부에서 구이통 내부로 상향 장입된다.
그리고, 구이통의 전면에 관통 형성된 내측 구이공은, 하우징의 각 외측 구이공과 전·후 방향으로 1:1 대응하여 대향하는 바, 고기가 넣어진 석쇠는 하우징 전방으로부터 하우징의 외측 구이공과 구이통의 내측 구이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구이통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열원승강기는 상기 구이통에 열원을 상향 장입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반복하여 상·하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대가 구비된 구조이며, 고기를 구울 시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받는 동시에 고기에 적절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물이 채워지는 상향 개방형의 함체상 수통이 이동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대 또는 수통의 상단부에 열원이 장착되는 바, 열원은,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세워진 상태로 수통 상단부에 장착되며, 열원승강기는 열원의 하단부가 구이통의 하단부와 대략 비슷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정면도 상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평행한 두 열원 사이에 내측 구이공 하나가 위치하는 구조로서, 내·외측 구이공을 통하여 구이통 내부에 위치하는 석쇠의 고기는, 그 양 측에 위치하는 열원에 의해 양 면이 함께 구워지게 된다.
제1배기 덕트는 구이통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구이통 상판에 관통 형성된 배기공에서 하우징 상판의 제1배기공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배기 덕트에는 필요에 따라 열원의 열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배기 덕트의 내경부를 개폐 및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댐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배기 덕트는 하우징 상판에 적층 설치되는 덕트부재와, 제2배기공으로부터 하우징과 구이통 사이의 공기를 흡입한 후 덕트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2배기공 위에 설치된 송풍팬의 흡입력에 의해 하우징의 중앙부위를 통하여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흡입될 수 있게 되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구이통 측으로 이동하고, 나머지는 하우징과 구이통 사이를 통과하면서 구이통에서 발산되는 열을 흡수한 후 제2배기공 및 제2배기 덕트를 통하여 하우징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송풍팬에 의해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서는 하우징 하부의 개폐문을 개방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위에 공기 흡입용 통공을 다수 관통 형성시킨다.
그리고, 구이통의 배기공과 하우징의 제1배기공을 연결하는 제1배기 덕트 또는 하우징의 제1배기공은 제2배기 덕트 내부 송풍팬 전방에 위치하면서 제2배기 덕트로 합류되는 바, 하우징과 구이통 사이를 상향 통과한 공기가 송풍팬으로 흡입된 후 덕트부재를 통하여 배출될 때,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하여, 구이통 내부에서 발생된 연기를 포함한 뜨거운 공기가 제1배기 덕트 및 제1배기공을 통하여 제2배기 덕트의 덕트부재 측으로 흡입된 후 송풍팬으로 흡입된 공기와 함께 하우징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고기 구이기의 사용법은, 열원승강기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수통에 물을 채운 후, 수통의 상단부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열원을 올려놓고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열원을 구이통 내부에 장입한다.
그리고, 송풍팬을 가동시키는 동시에 제1배기 덕트에 구비된 댐퍼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의 세기를 조절한 후 고기를 끼운 석쇠를 하우징의 외측 구이공과 구이통의 내측 구이공을 통하여 구이통 내부의 두 열원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고기를 구울 수 있게 된다.
이때, 구이통 내부의 열원에 의해 구이통 외측으로 발산되는 열은 하우징과 구이통 사이를 통하여 하우징의 제2배기공 및 제2배기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흡수되기 때문에 하우징이 과열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송풍팬에 의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 구이통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 및 구이통에서 제1배기 덕트를 통하여 제2배기 덕트로 배출되는 구이통 내부의 연기를 포함한 고온 공기의 양은 제1배기 덕트의 내경부에 구비된 댐퍼에 의해 조절되는 바, 댐퍼를 조절하여 구이통 내부에 위치하는 열원의 열 세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 일실시 예 고기 구이기의 사시도, 도 2에 고기 구이기의 내부 정면 구조도, 도 3에 고기 구이기의 상부 측면 구조도, 도 4에 고기 구이기를 구성하는 구이통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는 하부에 개폐문(D)이 구비되고, 상부 전면에 고기(M)가 끼워진 석쇠(G)를 통과시킬 수 있는 일자형 외측 구이공(H')이 수직방향으로 하나 이상 관통형성되며, 하우징 상판(11a)에 제1·2배기공(H1)(H2)이 관통 형성된 함체상의 하우징(11)과;
삭제
상기 하우징(11)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우징(11)의 내 상부에 설치되고, 구이통 상판(12a)에 배기공(H3)이 관통 형성되며, 석쇠(G)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의 외측 구이공(H')과 전·후 방향으로 1:1 대응하여 대향하는 일자형 내측 구이공(H")이 전면에 관통 형성된 하향 개방형의 함체상의 구이통(12)과;
상기 구이통(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통(12)의 내부로 장입되는 한 쌍 이상의 열원(13a)을 상·하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열원승강기(13)와;
상기 구이통 상판(12a)의 배기공(H3)과 상기 하우징 상판(11a)의 제1배기공(H1)간에 결합되는 제1배기 덕트(14)와;
상기 하우징 상판(11a)의 상면에는 덕트부재(15b)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부재(15b)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상판(11a)의 제2배기공(H2)을 통하여 하우징(11)과 구이통(12) 사이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15a)이 설치된 제2배기 덕트(15)가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11)에는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하부의 개폐문을 통하여 흡입될 수도 있으나, 고기를 구울 때 개폐문을 닫은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통공(H)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이통(12) 전면에 관통 형성된 내측 구이공(H")의 하단부는 도 4의 (가)와 같이 개방될 수도 있고, (나)와 같이 개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배기 덕트(14)에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댐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상기 댐퍼는 일측단부가 하우징(11)을 관통하여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가능하며, 타측단부가 제1배기 덕트(14)를 관통하는 레버(14a)와;
삭제
상기 레버(14a)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판상의 댐퍼부재(14b)로서 댐퍼를 구성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14a)의 일측단부를 이용하여 댐퍼부재(14b)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제1배기 덕트(14) 내경부의 개방정도 즉,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원승강기(13)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하나,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는 베벨기어와 스크류를 이용한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는 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양측에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직립하며, 하단부에 베벨기어(V)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13c)와;
상기 하우징(11)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단부에 핸들(h)이 구비되고, 각 스크류(13c)의 베벨기어(V)와 1:1 대응하여 맞물리는 베벨기어(V')의 한 쌍이 결합되며, 하우징(11)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축(13d)과;
상기 스크류(13c)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스크류(13c)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대(13e)와;
상기 이동대(13e)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통(13b)으로 열원승강기(13)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통(13b)을 하우징(11) 바닥에 놓고, 열원(13a)을 이동대(13e)에 직접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하우징(11) 외부에서 회전축(13d)의 핸들(h)을 이용하여 회전축(13d)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3d)과 베벨기어(V')가 결합된 한 쌍의 스크류(13c)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크류(13c)의 외주면에 양단부가 나사 결합된 이동대(13e)와 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수통(13b) 및 수통(13b)의 상단부에 안착된 열원(13a)을 함께 상·하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대(13e) 또는 물이 채워지는 상향 개방형 수통(13b)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열원(13a)으로는 숯불이 가장 바람직한 바, 장작, 숯 등과 같은 연소체(燃燒體)와, 연소체를 담기 위한 연소체통으로 구성된다.
또한, 고기를 구울 때 고기와 대향하는 연소체통의 부위는 연소체의 열이 고기로 직접 전달되도록 금속망, 천공판, 금속선재 등으로 만들어지고, 고기와 대향하지 않는 부분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고기와 대향하지 않는 부분의 경우 연소체의 효율적인 연소를 위하여 금속판에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고 고기와 대향하는 부분과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때, 연소체통의 경우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세라믹 등과 같이 열에 강한 금속 외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 상판(11a)의 제1배기공(H1)은 제2배기 덕트(15)에 합류되나, 제1배기공(H1)을 제2배기 덕트(15)에 합류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송풍팬(15a)이 결합된 제2배기 덕트(15)에 의해서는 하우징(11)의 과열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이통(12) 내부의 연기 배출이나 공기 공급은 댐퍼부재(14b)를 통해서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효율은 다소 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배기공(H1)이 제2배기 덕트(15)로 합류되는 경우, 제2배기 덕트(15)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배기공(H1)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5a)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구이통(12) 내부의 연기가 제2배기 덕트(15)측으로 흡입되지 못하고 오히려 송풍팬(15a)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구이통(12) 측으로 유입될 수가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제1배기공(H1)의 상단일부를 폐쇄하고, 페쇄하지 않은 상단 일부는 상기 송풍팬(15a)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제2배기 덕트(15)의 타측단부를 향하는 배기공(H4)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배기공(H1)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배기 덕트(14)를 하우징 상판(11a)에 돌출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배기공(H1)을 제2배기 덕트(15)에 합류시키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기공(H1)을 형성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1배기 덕트(14)를 제2배기공(H2)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제1배기 덕트(14)의 평단면적은 제2배기공(H2)의 평단면적보다 작은 상태로서, 이러한 경우 하우징(11)과 구이통(12) 사이를 통과한 공기 및 구이통(12)에서 발생한 연기 모두가 송풍팬(15a)에 의해 제2배기공(H2)으로 흡입된 후 제2배기 덕트(15)를 통하여 함께 배출된다.
그러나, 구이통(12) 내부에서 발생한 연기와 공기에는 각종 그을음, 기름, 냄새 등 각종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바, 상기와 같이 제1배기 덕트(14)를 제2배기공(H2)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송풍팬(15a)의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다.
또는, 제1배기 덕트(14)를 설치하지 않는 동시에 하우징 상판(11a)에도 제1배기공(H1)을 형성시키지 않음으로써, 하우징(11)과 구이통(12) 사이를 통과한 공기 및 구이통(12)에서 발생한 연기와 고온의 공기가 하우징(11) 내 상부에서 서로 섞이면서 하우징 상판(11a)의 제2배기공(H2)으로 함께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2배기 덕트(15) 중 덕트부재(15b)를 생략하고 송풍팬(15a) 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이통(12)과 하우징(11) 사이의 제1배기 덕트(14)에 구비되는 댐퍼는 구이통(12)에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통(12)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하나 이상의 배기공(H5)을 가진 구획판(12b)과;
일측단부가 하우징(11)을 관통한 후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가능하며, 타측단부가 구이통(12)을 관통하여 구획판(12b) 위에 위치하는 레버(12C)와;
상기 레버(12C)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며, 배기공(H5)과 1:1 대응하여 배기공(H5) 주변의 구획판(12b) 상면에 저면이 접촉하되, 레버(12C)의 회전과 함께 회동하는 판상의 댐퍼부재(12d)로서 댐퍼를 구성하고, 레버(12C)의 타측단부를 이용하여 댐퍼부재(12d)를 회전시켜 배기공(H5)의 개방정도 즉, 공기의 흐름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1)의 저면에 이동용 바퀴(W)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에는 한 쌍 이상의 열원(13a)이 사용되는 바, 필요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외측 구이공(H')과 열원(13a) 및 구이통의 내측 구이공(H")의 수를 가감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D)이 구비된 상향 개방형 하부몸체(11c)와;
상기 하부몸체(11c)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적층 결합되며, 구이통(12)이 설치되는 상부몸체(11b)와;
상기 상부몸체(11b)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적층 결합되어 뚜껑의 역할을 하는 하우징 상판(11a)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하부몸체(11b)(11c)의 측면에는 상·하부몸체(11b)(11c)의 적층 결합 시 상·하부몸체(11b)(11c)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고리(C') 및 클램프(C) 등과 같이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1)을 적층결합 가능토록 분리 구성함에 따라 사용 시에는 상·하부몸체(11b)(11c) 및 상판(11a)를 적층 결합하고, 정비나 내부 청소 시에는 하우징(11)을 각 부분별로 분리함으로써 정비나 내부청소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전면에 관통 형성된 외측 구이공(H')에는 이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D')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기를 위하여 하우징 상판(11a)의 제1·2배기공(H1)(H2)과 구이통 상판(12a)의 배기공(H3)은 필요에 따라, 측면 즉, 각각의 측벽 상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기 덕트(15)를 구성하는 덕트부재(15b)를 일측단부에 송풍팬(15a)이 결합되는 제1덕트부재(15b1)와;
삭제
상기 제1덕트부재(15b1)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며, 제1덕트부재(15b1)보다 횡단면적이 넓고, 제1덕트부재(15b1)와의 연결부에 하나 이상의 배기공(H6)이 관통 형성된 제2덕트부재(15b2)와;
상기 제1·2덕트부재(15b1)(15b2)의 연결부가 포함되도록 제1·2덕트부재(15b1)(15b2)를 감싸는 외부덕트부재(15b3)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덕트부재(15b)를 이중 구조로 구성하면, 구이통(12) 내부의 연기를 포함한 고온의 공기가 제1·2덕트부재(15b1)(15b2)를 감싸고 있는 외부덕트부재(15b3) 내부로 유입되면서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덕트부재(15b3)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자체의 압력에 의해 제1·2덕트부재(15b1)(15b2) 연결부의 배기공(H6)을 통하여 제2덕트부재(15b2) 측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배기공(H6)으로 빠져나가는 고온의 공기는, 송풍팬(15a)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더욱 빠르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고기 구이기는 열원의 교체가 쉬울 뿐 아니라, 하우징과 구이통 사이로 상향 이동한 후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하우징의 과열이 방지되어 고기 구이작업 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면서 고기 구이작업이 쉬워져 음식점 내·외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초벌구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초벌구이된 고기를 실내에서 추가적으로 익힐 때 고기의 맛이 유지되면서 연기와 냄새 등이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에서의 고기 굽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전문 고기 구이 음식점에서의 초벌구이용으로 사용할 때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 예 고기 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 예 고기 구이기의 내부 정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 예 고기 구이기의 상부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 예 고기 구이기를 구성하는 구이통을 보인 것으로,
(가)는 일실시 예 구이통의 사시도이고,
(나)는 다른 실시 예 구이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합류하는 두 배기덕트에서의 공기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제3실시 예 고기 구이기를 구성하는 배기덕트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제4실시 예 고기 구이기를 보인 것으로,
(기)는 구이통의 부분 정면도이고,
(나)는 공기의 흐름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이며,
(다)는 외측 구이공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5실시 예 고기 구이기를 구성하는 구이통을 보인 것으로
(가)는 구이통에 결합된 댐퍼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나)는 구이통에 결합된 댐퍼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6실시 예 고기 구이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7실시 예 고기 구이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제8실시 예 고기 구이기를 구성하는 제2덕트의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우징 11a. 하우징상판 11b. 상부몸체
11c. 하부몸체 12. 구이통 12a. 구이통상판
12b. 구획판 12c. 레버 12d. 댐퍼부재
13. 열원승강기 13a. 열원 13b. 수통
13c. 스크류 13d. 회전축 13e. 이동대
14. 제1배기 덕트 14a. 레버 14b. 댐퍼부재
15. 제2배기 덕트 15a. 송풍팬 15b. 덕트부재
15b1. 제1덕트부재 15b2. 제2덕트부재 15b3. 외부덕트부재
D,D'. 개폐문 G. 석쇠 h. 핸들
H. 통공 H1. 제1배기공 H2. 제2배기공
H3, H4, H5, H6. 배기공 H'. 외측 구이공 H". 내측 구이공
M. 고기 V,V'. 베벨기어 W. 바퀴

Claims (11)

  1. 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열원이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직립하며, 열원 사이에서 고기의 양면을 동시에 구울 수 있는 고기 구이기에 있어서,
    하부에 개폐문(D)이 구비되고, 상부 전면에 석쇠 관통용 상·하 일자형 외측 구이공(H')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하우징 상판(11a)에 제1·2배기공(H1)(H2)이 관통 형성된 함체상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우징(11) 내 상부에 설치되고, 구이통 상판(12a)에 배기공(H3)이 구비되며, 외측 구이공(H')과 1:1 대응 대향하는 일자형 내측 구이공(H")이 전면에 형성된 하향 개방형의 함체상 구이통(12)과;
    상기 구이통(12) 아래의 하우징(11) 내 하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1) 하부에서 구이통(12) 내부로 한 쌍 이상의 열원(13a)을 장입하기 위하여 상·하 왕복이동 가능한 열원승강기(13)와;
    상기 구이통 상판(12a)의 배기공(H3)과 상기 하우징 상판(11a)의 제1배기공(H1)간에 결합되는 제1배기 덕트(14)와;
    상기 하우징(11) 상판(11a)의 상면에는 덕트부재(15b)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부재(15b)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상판(11a)의 제2배기공(H2)을 통하여 하우징(11)과 구이통(12) 사이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송풍팬(15a)이 설치된 제2배기 덕트(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공(H1)은 제2배기 덕트(15)로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 덕트(14)는 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는 일측단부가 하우징(11)을 관통하고 타측단부가 제1배기 덕트(14)를 관통하는 레버(14a)와;
    상기 레버(14a)의 타측단부에 결합되어 레버(14a)의 회전에 의해 제1배기 덕트(14) 내경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댐퍼부재(14b)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 덕트(14)는 제1배기공(H1) 밖으로 돌출된 상단부가 폐쇄되고, 제2배기 덕트(15)의 타측단부를 향한 측면에 배기공(H4)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재(15b)는 일측단부에 송풍팬(15a)이 결합되는 제1덕트부재(15b1)와;
    상기 제1덕트부재(15b1)의 타측단부에 연결되며, 제1덕트부재(15b1)보다 횡단면적이 넓고, 제1덕트부재(15b1)와의 연결부에 다수의 배기공(H6)이 관통 형성된 제2덕트부재(15b2)와;
    상기 제1·2덕트부재(15b1)(15b2)의 연결부를 감싸며, 제1배기공(H1)이 합류되는 외부덕트부재(15b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6. 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열원이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직립하며, 열원 사이에서 고기의 양면을 동시에 구울 수 있는 고기 구이기에 있어서,
    하부에 개폐문(D)이 구비되고, 상부 전면에 석쇠 관통용 상·하 일자형 외측 구이공(H')이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판(11a)에 제2배기공(H2)이 관통 형성된 함체상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내 상부에 하우징(11)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판(12a)에 배기공(H3)이 구비되며, 외측 구이공(H')과 1:1 대응 대향하는 일자형 내측 구이공(H")이 전면에 형성된 하향 개방형의 함체상 구이통(12)과;
    상기 구이통(12) 아래의 하우징(11) 내 하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1) 하부에서 구이통(12) 내부로 한 쌍 이상의 열원(13a)을 장입하기 위하여 상·하 왕복이동 가능한 열원승강기(13)와;
    상기 하우징(11)과 구이통(12) 사이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상기 하우징 상판의 제2배기공(H2) 위에 설치되는 송풍팬(15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승강기(13)는 상기 하우징(11) 내 양측에 대향하여 직립하며 하단부에 베벨기어(V)가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15C)와;
    상기 하우징(11)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단부에 핸들(h)과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류(15C)의 베벨기어(V)와 맞물리는 한 쌍의 베벨기어(V')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1)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한 쌍의 스크류(15C)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13d)과;
    상기 한 쌍의 스크류(15C)의 외주면에는 양 단부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하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대(13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승강기(13)의 이동대(13e)는 물이 채워지는 상향 개방형의 수통(13a)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9.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통(12)은 댐퍼가 설치되며, 댐퍼는 구이통(12)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하나 이상의 배기공(H5)을 가진 구획판(12b)과;
    일측단부가 하우징(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 가능하며, 타측단부가 구이통(12)을 관통하여 구획판(12b) 위에 위치하는 레버(12c)와;
    상기 배기공(H5)과 1:1 대응하도록 레버(12c)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며, 레버(14a)의 회전에 의해 배기공(H5)의 개폐를 조절하는 판상의 댐퍼부재(14d)를 포함 하는 고기 구이기.
  10.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개폐문(D)이 구비된 상향 개방형의 하부몸체(11c)와;
    상기 하부몸체(11c)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결합되는 상·하향 개방형 상부몸체(11b)와;
    상기 상부몸체(11b)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 결합되는 상판(11a)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11.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통공(H)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KR1020070075296A 2007-07-26 2007-07-26 고기 구이기 KR10088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96A KR100881211B1 (ko) 2007-07-26 2007-07-26 고기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96A KR100881211B1 (ko) 2007-07-26 2007-07-26 고기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84A KR20090011584A (ko) 2009-02-02
KR100881211B1 true KR100881211B1 (ko) 2009-02-05

Family

ID=4068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296A KR100881211B1 (ko) 2007-07-26 2007-07-26 고기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2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310B1 (ko) 2021-12-20 2022-05-25 박경석 자동 고기구이 장치
KR102505906B1 (ko) 2021-08-24 2023-03-02 방두산 육류 초벌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958B1 (ko) * 2016-12-20 2018-07-1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훈제돈육 제조방법 및 훈연장치
KR102082143B1 (ko) * 2018-09-11 2020-02-27 류욱현 회전식 직화 구이장치
KR102442393B1 (ko) * 2022-05-17 2022-09-13 주식회사 아주이엔에스 고기구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047U (ko) * 1995-09-22 1997-04-25 이재천 고기 구이기
KR20070006216A (ko) * 2005-07-07 2007-01-11 전봉진 이중도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733270B1 (ko) * 2006-02-17 2007-06-29 임상훈 고기 구이장치.
KR100741167B1 (ko) 2006-03-24 2007-07-20 백록종합식품(주) 바비큐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047U (ko) * 1995-09-22 1997-04-25 이재천 고기 구이기
KR20070006216A (ko) * 2005-07-07 2007-01-11 전봉진 이중도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733270B1 (ko) * 2006-02-17 2007-06-29 임상훈 고기 구이장치.
KR100741167B1 (ko) 2006-03-24 2007-07-20 백록종합식품(주) 바비큐 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906B1 (ko) 2021-08-24 2023-03-02 방두산 육류 초벌구이기
KR102402310B1 (ko) 2021-12-20 2022-05-25 박경석 자동 고기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584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7728B2 (en) Radiant tube broiler
AU2015255207B2 (en) Smoker oven with improved air flow
KR20100015098A (ko) 참숯 훈연-원적외선 오븐
KR100881211B1 (ko) 고기 구이기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1812107B1 (ko) 점화유닛이 구비된 상, 하향 겸용 그릴장치
KR101987880B1 (ko)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KR101425896B1 (ko) 조립체로 된 훈연 오븐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20040107460A (ko) 숯불구이장치
KR101050480B1 (ko) 전기 로스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US20130139706A1 (en) Mobile smoker oven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20170011231A (ko) 로스터용 후드
KR20050041664A (ko) 고기 구이장치
KR200434659Y1 (ko) 구이장치
KR200353161Y1 (ko) 전기 바베큐 구이기
JP6010446B2 (ja) 複合加熱調理器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WO2004008927A1 (en) Smoke-free meat roaster with internal heat isol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