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659Y1 -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구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4659Y1 KR200434659Y1 KR2020060022388U KR20060022388U KR200434659Y1 KR 200434659 Y1 KR200434659 Y1 KR 200434659Y1 KR 2020060022388 U KR2020060022388 U KR 2020060022388U KR 20060022388 U KR20060022388 U KR 20060022388U KR 200434659 Y1 KR200434659 Y1 KR 2004346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heat source
- housing
- roasting
- flow pa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숯불, 연탄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육류, 어류, 해산물 등의 대상물을 구워서 조리하는 등의 요리시 열원이 대상물에 효과적으로 작용되도록 하고, 대상물의 요리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가 주위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쾌적한 환경에서 요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구이장치는 상방향으로 분출홀이 형성되어 열원 주위 둘레로 설치되는 공기분사 유니트 및, 이 공기분사 유니트와 접속되어 공기를 공기분사 유니트에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써, 공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된 공기가 공기분사 유니트의 분출홀을 통해 상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열원 주위로 공기 차단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서 보인 구이장치의 조립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7의 구이장치에서 둘레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열원 2 : 공기분사 유니트
3 : 분출홀 5 : 공기 액추에이터
10 : 구이장치 11 : 구이기
20 : 하우징 22 : (하우징) 측면
24 : (하우징) 바닥면 25, 35 : 개구
26 : (하우징) 플랜지 28 : (하우징) 내부 공간
30 : 내통 32 : (내통) 측면
34 : (내통) 바닥면 36 : (내통) 중간턱
40 : (내통) 플랜지
50 : 유도판 50' : 노즐판
52 : 유도부 52 ' : 노즐부
54 : 고정부 60 : 블로워
62 : 블로워 부착 플레이트 70 : 콘트롤박스
72 : (콘트롤박스) 뚜껑 74 : 화력 제어 스위치
75 : 화력 제어 링크 76 : 블로워 제어 스위치
90 : 배기 덕트 100 : 화력 조절통
110 : 물통 120 : 숯통
130 : 메인 뚜껑 150 : 탁자
152 : 공기관 200 : 구이판
P : 공기 유통로
본 고안은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스, 숯불, 연탄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육류, 어류, 해산물 등의 대상물을 구워서 조리하는 등의 요리시 열원이 대상물에 효과적으로 작용되도록 하고, 대상물의 요리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가 주위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쾌적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육류 등의 대상물을 요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의 각 탁자에 설치된 구이기를 이용하여 육류, 어류, 해산물 등(이하, '대상물'로 지칭한다)을 구워서 조리하는 등의 요리시, 열원에 의해 대상물이 직접 가열되면서 익거나 또는 복사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이 과정에서 조리되는 대상물 및 그 대상물에 배어 있는 양념이 가열되거나 타면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가 구이기의 상부 외측으로 배출됨에 따라 대상물을 조리하는 사람은 물론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까지 불쾌감을 주며, 실내 공기를 오염시켜 옷에 냄새가 스며들게 되는 문제점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구이기의 상측에 배기 덕트를 설치하거나, 구이기내에서 공기(air)가 순환되어 열원을 통과하도록 하므로써 냄새와 연기가 구이기 주위로 퍼지거나,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이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때 공기가 구이기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제안된 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77720호 "육류숯불구이기의 순환공기정화장치", 공고번호 제20-0169830호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0-0204103호 "육류구이장치", 공고번호 제10-0204104호 "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된 육류구이기",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74775호 "구이장치", 공개번호 제10-2005-0040527호 "정화장치가 구비된 구이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66758호 "공기분출, 흡인식 고기구이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공기가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는 구이기는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외부의 공기와 혼합되어 다시 열원을 통해 연소되도록 하므로써 연기와 냄새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대상물의 윗부분을 감싸고, 열원을 통과하면서 연소처리되지 않은 연기와 냄새가 대상물을 굽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대상물 특히 육류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가스, 숯불, 연탄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육류, 어류, 해산물 등의 대상물을 구워서 조리하는 등 의 요리시 순수한 열원이 대상물에 효과적으로 작용되도록 하고, 대상물의 요리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주위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쾌적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요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요리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가 사용자(시식자, 요리자 등) 방향으로 나오지 않도록 열원 주위로 공기가 분사되어 에어 차단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열원을 사용하여 대상물을 구워서 조리하는 등의 요리를 위한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분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열원 주위 둘레로 설치되는 공기분사 유니트 및;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와 접속되어 공기를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에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된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의 분출홀을 통해 상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열원 주위로 공기 차단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에서 상기 열원의 상부에 위치되어 설치 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를 통해 분출된 공기가 상기 열원의 상측에서 상기 배기 덕트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에서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는 상면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외면을 이루고, 측면에 상기 공기 액추에이터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므로써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밀폐되므로써 상기 공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 유통로와 연통되도록 상면 둘레로 상기 분출홀이 형성되는 내통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에서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는 상기 하우징과 내통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 유통로상에서 상기 공기 액추에이터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통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도판 및, 상기 유도판으로부터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흐름 통로가 좁아지도록 상기 공기 유통로상에 설치되는 노즐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에서 상기 열원의 주변에 설치되는 탁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는 상기 열원의 외측 둘레로 배치되도록 상 기 탁자에 결합된 공기관을 구비하여, 상기 분출홀이 상기 공기관과 연통되어 상기 탁자의 상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므로써 상기 열원의 주위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열원을 사용하여 대상물을 구워서 조리하는 등의 요리를 위한 구이방법은 열원(1)을 중심에 위치시키고, 이 열원(1) 둘레로 분출홀(3)이 상방향으로 형성된 공기분사 유니트(2)를 설치한 다음, 공기 액추에이터(5)를 구동시켜 공기가 공기 분사 유니트(2)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공기가 분출홀(3)을 통해 상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열원(1) 주위로 공기에 의해 차단막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대상물을 익히도록 한다. 이때 열원(1)의 상부에는 통상 사용되는 석쇠 등의 구이판(200)이 놓여 육류, 어류, 해산물 등의 대상물을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그릇에 대상물을 담아 요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분사 유니트(2)는 열원(1)을 중심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공기 유통로(P)가 형성되고, 분출홀(3)은 공기 유통로(P)와 연통되어 공기 유통로(P)를 흐르는 공기가 분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이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 방법과 더불어 열원(1)의 상부에 배기 덕트(90)을 위치시켜 공기분사 유니 트(2)를 통해 분출된 공기가 열원(1)의 상측에서 배기 덕트(90)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므로써, 어느 정도의 높이(본 고안에 따르면, 1.5m정도까지 공기에 의한 차단막 효과가 있었다)까지 공기에 의한 차단막에 의해 냄새 및 연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그 이상에서는 배기 덕트(9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종래 배기 덕트(90)를 사용하는 경우 구이기 주위의 사람들이 서로 배기 덕트(90)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써, 구이기 주위 사람들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연기 및 냄새의 차단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방법은 공기를 내부에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대상물이 요리되는 영역 주위를 공기로 차단막을 형성하여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므로써 요리 영역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가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한다. 특히 구이기 주위에 앉아서 육류 등을 먹는 사람들 방향으로 냄새와 연기가 나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구이기의 사용시 쾌적한 조건에서 요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연기와 냄새, 그리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찬 공기가 구이 대상물에 작용되는 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이방법은 열원 둘레에서 상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으로 인해 열원으로부터 작용되는 가열 공기와 복사열만이 구이 대상물에 작용하게 되므로, 특히 육류의 구이시 깨끗하게 효과적으로 구어진 대상물을 얻을 수 있어, 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구이장치(10)는 공기분사 유니트(2)와 공기 액추에이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공기분사 유니트(2)는 상방향으로 분출홀이 형성되어 열원(1) 주위 둘레로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 액추에이터(5)는 공기분사 유니트(2)와 접속되어 공기를 공기분사 유니트(2)에 공급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10)는 공기 액추에이터(5)에서 발생된 공기가 공기분사 유니트(2)의 분출홀(3)을 통해 상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열원(1) 주위로 공기 차단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열원(1)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와 같은 열원(1)에는 고급 육류의 구이시 숯불이 사용되고 있고, 해물이나 어류 그리고 일반 육류의 구이시에는 연탄불, 가스불 등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열원(1)은 그 형태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상물을 요리할 수 있는 가열 형태를 총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 액추에이터(5)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분사 유니트(2)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상 블로워, 공기 펌프, 에어 펌프 등으로 불린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이기 자체에 공기분사 유니트(2)를 구성하는 경우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구이기를 받치기 위한 탁자(150)에 공기분사 유니트(2)를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데, 도 2 및 도 3과 같은 경우 는 구이기를 새로 설치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고,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경우는 통상의 구이기에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기존 구이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구이기(11)와 구이장치(10)를 구별하여 사용하는데, 구이기(11)는 구이 조리를 위한 열원을 가지고는 있으나, 공기 순환방식을 취하지 않는 가스렌지, 일회용 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휴대형 가스렌지, 통상의 구이기(예컨대 연탄이나 가스 등의 열원을 직접 사용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고 있는 공기 순환방식의 구이기가 포함되는 개념이며, 구이장치(10)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 있는 공기분사 유니트(2)와 공기 액추에이터(5)를 구비한 구이기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탁자(150)는 음식점에서와 같이 구이기가 설치되고, 각종 음식이 놓이는 통상의 테이블뿐만아니라, 본 고안을 구성하기 위해 구이기와 별도로 구성되는 지지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탁자(150)는 본 고안의 공기분사 유니트(2)를 설치{휴대용 버너, 휴대용 가스렌지, 연탄을 사용한 구이기 등 공기 순환을 위한 공기 액추에이터(5)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 액추에이터(5)도 설치될 것이다}하기 위한 지지판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예에 따른 구이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예에 따른 구이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예의 변형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이장치(10)는 구이기 자체에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이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원(1)을 사용하여 대상물을 구워서 조리하기 위해 공기분사 유니트(2)와 공기 액추에이터(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이기를 이루는 하우징(20)과 내통(30)을 통해 공기분사 유니트(2)를 구성하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측에 공기관(152)을 설치하여 공기분사 유니트(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예시는 하지 않았으나, 공기관(152)의 구성은 하우징(20)의 외측에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2에서 보인 경우의 구이장치(10)에서 하우징(20)은 상면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외면을 이루고, 측면에 공기 액추에이터(5)가 결합된다. 그리고 내통(30)은 상면으로 개구되고, 하우징(20)의 개구를 통해 하우징(20)에 삽입되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므로써 하우징(20)에 결합되며, 하우징(20)과의 사이에 밀폐되므로써 공기 액추에이터(5)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 유통로(P)가 형성되도록 하고, 공기 유통로(P)와 연통되도록 상면 둘레로 분출홀(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이장치(10)는 주로 숯불이 열원(1)으로 사용되므로, 착화된 숯을 수용하기 위한 숯통(120)이 설치되면, 내통(30)의 상단에는 대상물을 놓기 위한 구이판(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이장치(10)는 상부에 배기 덕트(90, 도 1 참조)를 설치하여 공기분사 유니트(2)를 통해 분출된 공기가 열원(1)의 상측에서 배기 덕트(90)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보인 구이장치(10)는, 통상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스렌지의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이장치(10)는 통상의 가스렌지를 위한 하우징(20)의 내측 둘레에 관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P)를 이루는 공기관(152)을 설치하고, 이 공기관(152)의 공기 유통로(P)로와 접속되어 하우징(20)의 상면으로 분출홀(3)을 형성한 후, 공기 액추에이터(5)를 접속시켜 공기가 열원(1) 주위로 분출되도록 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이장치(10)는 가스불이 열원(1)으로 사용되고, 이때 열원(1)은 통상 2개 내지 4개가 설치되는데, 각 열원(1)의 둘레로 각각 공기관(152)을 설치하여 별개로 공기 차단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넓은 그릇을 사용할 경우, 그 그릇이 공기 차단막을 벗어날 수 있으므로, 전체 둘레에 공기관(15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이기 자체에 공기분사 유니트(2)를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이기가 설치되는 탁자(150)에 공기분사 유니트(2)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의 조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열원(1)을 중심에 두고, 그 둘레로 공기분사 유니트(2)를 설치하여 열원(1) 둘레로 공기 차단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들 예에서 보인 구이장치(10)들은 모두 구이기(11)가 설치되는 탁자(150)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예들은 통상 또는 공기를 내부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이기(11)를 그대로 적용한 상태에서 탁자(150)에 공기분사 유니트(2)를 설치하므로써 구이장치(1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예시에서는 하나의 열원(1)만을 갖는 형태를 제시하였으나, 열원(1)의 수는 다수개도 가능한 것이다. 예컨대, 음식점의 경우, 다수개의 가스불을 사용하여 요리작업을 하도록 시설되어 있는데, 이 경우 다수개의 열원(1, 가스불) 주위로 지지대를 형성하고, 이 지지대에 공기분사 유니트(2)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에서 도시한 구이장치(10)는 탁자(150)의 상면상에 홈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P)를 이루는 공기관(152)을 설치하고, 이 공기관(152)의 상면을 따라 분출홀(3)을 형성한 후, 공기 액추에이터(5)를 접속시켜 공기가 열원(1) 주위로 분출되도록 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구이장치(10)는 탁자(150)의 하면에 관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P)를 이루는 공기관(152)을 설치하고, 이 공기관(152)의 공기 유통로(P) 로와 접속되어 탁자(150)의 상면으로 분출홀(3)을 형성한 후, 공기 액추에이터(5)를 접속시켜 공기가 열원(1) 주위로 분출되도록 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구이장치(10)는 탁자(150)의 상면에 관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P)를 이루는 공기관(152)을 설치하고, 공기관(152)의 상면을 따라 분출홀(3)을 형성한 후, 공기 액추에이터(5)를 접속시켜 공기가 열원(1) 주위로 분출되도록 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7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구이방법 및 구이기와 관련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서 보인 구이장치의 조립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구이장치에서 둘레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 는 숯을 열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이장치(10)는 구이 대상물 중 특히 육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이장치(10)는 하우징(20), 내통(30), 블로워(60), 콘트롤박스(70), 화력 조절통(100), 물통(110), 숯통(120) 및 메인 뚜껑(1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본 고안의 구이장치(10)를 이루는 각 구성은 공기를 내부로 순환시키는 구이기와 유사하지만, 그들의 결합관계 및 작용에 있어서는 전혀 다르게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에서 하우징(20) 및 내통(30)은 종래와 달리 최종 결합상태에서 밀폐된 공기 유통로(P)를 형성하고, 내통(30)의 플랜지(40)에는 상방향으로 개구되는 분출홀(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20) 및 내통(30)의 밀폐는 통상 적용되는 패킹, 실링 왁스, 오링, 알루미늄 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는 밀폐(airtight)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0) 및 내통(30)을 주조법 등을 통해 일체로 하여 공기 유통로(P)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제조비용이 상승되며, 생산성의 문제가 따르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20) 및 내통(30)을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시 밀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에서 하우징(20)은 상면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내부 공간(28)이 형성되어 외면을 이루고, 측면(22)에 공기 액추에이터인 블로워(60)가 결합된다. 이때 블로워(60)는 블로워 부착 플레이트(62)에 의해 하우징(2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20)은 측 면(22)의 하단에 바닥면(24)이 설치되어 내통(30)을 지지하도록 하고, 바닥면(24)의 중심에는 개구(25)가 형성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숯통(120)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단에는 플랜지(26)가 형성되어 내통(30)이 밀폐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하우징(20)의 하측에는 공기 유입홀(82)이 형성된 받침통(80)이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받침통(80)은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제외되는 구성{즉 하우징(20)상에 다리와 같은 구성을 부가하므로써 제외시킬 수 있다}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20)에는 통상적으로 뚜껑(72)이 설치되는 콘트롤박스(70)가 결합된다. 이 콘트롤박스(70)는 종래 구이기와 동일하게 화력 조절통(100)의 공기 조절판과 접속되는 화력 제어 링크(75)를 작동시키므로써 숯통(120)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화력 제어 스위치(74)가 설치되고, 블로워(60)를 제어하기 위한 블로워 제어 스위치(76)가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에서 내통(30)은 상면으로 개구되고, 하우징(20)의 개구를 통해 하우징(20)에 삽입되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8)에 위치되므로써 하우징(2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내통(30)은 하우징(20)과의 사이에 밀폐되므로써 블로워(60)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 유통로(P)가 형성되도록 하고, 공기 유통로(P)와 연통되도록 상면 둘레로 분출홀(3)이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내통(30)은 하우징(20)의 측면(22)과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설치되도록 하우징(20)의 측면(22)보다 내경이 작은 측면(32)을 갖고, 하우징(20)의 바닥면(24)에 결합되는 바닥면(34)과, 하우징(20)의 플랜지(26)에 결합되 는 플랜지(40)를 갖는다. 이때 하우징(20)의 바닥면(24)과 내통(30)의 바닥면(34) 사이, 하우징(20)의 플랜지(26)와 내통(30)의 플랜지(40) 사이에는 패킹과 같은 밀폐구를 개재시켜 결합시키므로써 하우징(20)과 내통(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통로(P)가 외부와 밀폐되도록 한다. 이때 내통(30)에는 물통(110)이 걸리는 중간턱(36)이 형성되고, 바닥면(34)의 중심에는 개구(35)가 형성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숯통(120)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숯통이 놓이는 화력 조절통(100)은 내통(30)에 지지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의 조립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0)과 내통(30)의 조립을 걸쳐, 화력 조절통(100), 물통(110), 숯통(120) 및 메인 뚜껑(130)의 조립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는 하우징(20)과 내통(30)의 구성 및 그 조립구조에 특징이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는 종래 기술의 구이기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10)는, 도 8a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분사 유니트(2)에 유도판(50)과 노즐판(5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유도판(50)은 하우징(20)과 내통(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통로(P)상에서 공기 액추에이터인 블로워(6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유 도판(50)은 공기 유통로(P)로 유입되는 공기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므로써,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노즐판(50')은 유도판(50)으로부터 지정된 위치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흐름 통로가 좁아지도록 공기 유통로(P)상에 설치되어 공기 유통로(P)의 중간 정도에서 공기의 흐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유도판(50)과 노즐판(50')은 하우징(20) 또는 내통(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54)를 형성하여 리벳 등으로 고정한다. 유도판(50)의 유도부(52)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54)의 반대편에서 상대측면{도 9에서는 내통}에 밀착되도록 하여, 유입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노즐판(50')의 노즐부(52')는 공기 유통로(P)의 중간정도에 끝단이 위치되도록 하여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달리 통상 또는 종래 구이기(11)가 놓이는 탁자(150)에 공기분사 유니트(2)를 설치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형태는 통상 또는 종래 구이기(11)를 사용하는 음식점 등에 용이하게 본 고안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서 도시한 구이장치(10)는 원형이고, 공기의 내부 순환없이 통상 가 스를 열원으로 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구이기(11)에 구성되는 형태로, 탁자(150)의 상면상에 홈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P)를 이루는 공기관(152)을 설치하고, 이 공기관(152)의 상면을 따라 분출홀(3)을 형성한 후, 공기 액추에이터(5)를 접속시켜 공기가 열원(1) 주위로 분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블로워(60)는 구이기(11)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 별도로 설치된 블로워{음식점과 같이 구이기(11)가 여러 개 있는 경우 하나의 블로워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1에서 도시한 구이장치(10)는 사각이고, 공기의 내부 순환없이 통상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구이기(11)에 구성되는 형태로, 탁자(150)의 상면에 관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P)를 이루는 공기관(152)을 설치하고, 공기관(152)의 상면을 따라 분출홀(3)을 형성한 후, 공기 액추에이터(5)를 접속시켜 공기가 열원(1) 주위로 분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블로워(60)는, 전술한 예와 같이, 하나의 블로워{이때 블로워의 용량은 구이기의 개수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구이기(11)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블로워(60)가 설치된 구이기의 경우 그 구이기의 블로워(60)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구이장치에 의하면, 공기를 내부에서 순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대상물이 요리되는 영역 주위를 공기로 차단막을 형성하여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므로써 요리 영역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가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한다. 특히 구이기 주위에 앉아서 육류 등을 먹는 사람들 방향으로 냄새와 연기가 나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구이기의 사용시 쾌적한 조건에서 대상물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연기와 냄새, 그리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찬 공기가 구이 대상물에 작용되는 반면, 본 고안에 따른 구이방법 및 장치는 열원 둘레에서 상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으로 인해 열원으로부터 작용되는 가열 공기와 복사열만이 구이 대상물에 작용하게 되므로, 특히 육류를 구워서 먹는 경우 깨끗하게 효과적으로 구어진 대상물을 얻을 수 있어, 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적인 구이기와 종래 기술에 따른 구이기를 적용하여 쉽게 구이장치를 구현할 구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 설비의 교체없이도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 열원을 사용하여 대상물을 요리하기 위해 구성되는 구이장치에 있어서,상방향으로 분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열원 주위 둘레로 설치되는 공기분사 유니트 및;상기 공기분사 유니트와 접속되어 공기를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에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된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의 분출홀을 통해 상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열원 주위로 공기 차단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열원의 상부에 위치되어 설치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를 통해 분출된 공기가 상기 열원의 상측에서 상기 배기 덕트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는 상면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외면을 이루고, 측면에 상기 공기 액추에이터가 결합되는 하우징 및,상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므로써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밀폐되므로써 상기 공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 유통로와 연통되도록 상면 둘레로 상기 분출홀이 형성되는 내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는 상기 하우징과 내통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 유통로상에서 상기 공기 액추에이터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통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도판 및,상기 유도판으로부터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기울어져 공기의 흐름 통로가 좁아지도록 상기 공기 유통로상에 설치되는 노즐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는 상기 열원이 설치되는 하우징 및,상기 하우징의 내측 둘레에 관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통로와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 상기 분출홀이 형성되는 공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열원의 주변에 설치되는 탁자를 더 포함하고,상기 공기분사 유니트는 상기 열원의 외측 둘레로 배치되도록 상기 탁자에 결합된 공기관을 구비하여, 상기 분출홀이 상기 공기관과 연통되어 상기 탁자의 상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므로써 상기 열원의 주위로 공기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관은 상기 탁자의 상면상에 홈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출홀이 상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관은 상기 탁자의 하면에 관의 형태로 공기 유통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출홀은 상기 공기관의 공기 유통로와 접속되어 상기 탁자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2388U KR200434659Y1 (ko) | 2006-08-21 | 2006-08-21 | 구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2388U KR200434659Y1 (ko) | 2006-08-21 | 2006-08-21 | 구이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8928A Division KR20080017163A (ko) | 2006-08-21 | 2006-08-21 | 구이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4659Y1 true KR200434659Y1 (ko) | 2006-12-26 |
Family
ID=4178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2388U KR200434659Y1 (ko) | 2006-08-21 | 2006-08-21 | 구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465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8073A (ko) * | 2020-01-06 | 2021-07-14 | 구본주 | 직화구이 장치 |
-
2006
- 2006-08-21 KR KR2020060022388U patent/KR20043465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8073A (ko) * | 2020-01-06 | 2021-07-14 | 구본주 | 직화구이 장치 |
KR102295848B1 (ko) * | 2020-01-06 | 2021-08-30 | 구본주 | 직화구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90037B2 (en) | Radiant tube broiler | |
KR20190132597A (ko) | 다용도 화로 | |
KR100881211B1 (ko) | 고기 구이기 | |
KR101802472B1 (ko) | 테이블용 숯불 로스터 | |
KR200434659Y1 (ko) | 구이장치 | |
KR101489691B1 (ko) |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 |
KR101530589B1 (ko) | 안전 전기로스터 | |
KR101557810B1 (ko) | 육류 구이기 | |
KR102008011B1 (ko) | 숯불 로스터 | |
KR20080017163A (ko) | 구이방법 및 장치 | |
JP3351513B2 (ja) | ロースターにおける輻射加熱器具 | |
CN210276932U (zh) | 一种便携式燃气烤炉 | |
JPH10286182A (ja) | 焼物用ガスコンロおよび焼物用ガス調理設備 | |
JP2010063730A (ja) | グリル | |
KR20170011231A (ko) | 로스터용 후드 | |
KR200408068Y1 (ko) | 훈제 구이기 | |
JP2000083833A (ja) | ロースターにおける均一加熱器具 | |
KR20150098475A (ko) | 수냉식 구이용 불판 | |
KR102380484B1 (ko) |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 |
KR102148014B1 (ko) |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 |
KR20170142716A (ko) |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 |
JPH0543729Y2 (ko) | ||
CN209574439U (zh) | 一种燃气红外线烧烤多用炉 | |
KR100747633B1 (ko) | 가스 오븐레인지 | |
KR101823824B1 (ko) | 복합 조리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