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484B1 -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 Google Patents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484B1
KR102380484B1 KR1020210143235A KR20210143235A KR102380484B1 KR 102380484 B1 KR102380484 B1 KR 102380484B1 KR 1020210143235 A KR1020210143235 A KR 1020210143235A KR 20210143235 A KR20210143235 A KR 20210143235A KR 102380484 B1 KR102380484 B1 KR 10238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supply
cooking spac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신테크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신테크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신테크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4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공간에 대한 배기면적을 효율적으로 증대함은 물론, 배기가스의 배기포집경로를 배기에 더욱 적합하도록 형성하여 배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조리물품이 배치된 조리공간의 상부에 시설되며 상기 조리공간의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도록 된 배기구와, 상기 조리공간으로 연속시 사용되는 연소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급기구가 구비된 후드본체와; 상기 후드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공간의 바닥면측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기 조리공간의 외부에 에어벽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된 에어커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조리공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된 경사방향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배기흡입면적을 증대하도록 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Upward and lateral mixing type air supply and exhaust hood}
본 발명은, 음식점 혹은 단체급식실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공간의 상부에 시설되어 조리열과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기하여 위생적이면서 쾌적한 조리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급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조리공간에 대한 배기면적을 효율적으로 증대함은 물론, 배기가스의 배기포집경로를 배기에 더욱 적합하도록 형성하여 배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조리공간과 외부를 에어커튼(에어벽)을 통해 구획분할하여 조리공간에서 발생되는 조리열 및 미연소가스 및 오염가스가 외부로 전파되어 위생성 및 안전성을 해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조리작업의 안정서을 구현하도록 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調理)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이다.
이러한 조리방법에는, 고온의 열을 음식물에 가하여 끓이거나 볶고, 굽고, 삶아 식품화시키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히팅수단이 배치되는 조리공간(또는 조리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이 가열조리되는 조리공간의 상부에는, 조리시 사용되는 각종 가열수단의 고열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냄새와 미연소된 연소물(연소가스;LPG,LNG) 및 배기가스 등이 방출되어 공기 중에 잔존하게 된다.
상기에서 냄새(SMELL)는 음식물이 익혀지면서 분산된 미립자가 공기 속에 떠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후각에 접촉하여 감각세포를 자극함에 따라 생기는 감각적인 느낌이라 할 수 있고, 특히 우리가 전통적으로 끓여먹는 된장의 일종인 청국장을 조리하거나, 생선 또는 육류를 요리하거나 넓은 개념의 조리의 일종인 커피와 같은 기호식품을 끓일 때 그 냄새의 강도는 더 더욱 심해진다.
상기와 같은 냄새는 대부분 싫거나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키는 악기능을 수행하고, 특히 밀폐된 조리공간(주방, 조리대)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조리사들에게 집중적인 심리적·정신적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공간에는, 상부에 시설되어 조리열과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기하여 위생적이면서 쾌적한 조리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배기후드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배기후드를 통해 상기 조리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여 잔존하는 각종 냄새와 미연소된 연소물(연소가스;LPG,LNG) 및 배기가스 등을 방출하여, 조리공간에 대한 위생적이면서 쾌적한 조리환경을 확보하게 된다.
아울러 근자에는, 조리공간과 외부를 에어커튼(에어벽)을 통해 구획분할하여 조리공간에서 발생되는 조리열 및 미연소가스 및 오염가스가 외부로 전파되어 위생성 및 안전성을 해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조리작업의 안정성을 구현하도록 된 배기후드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조리공간의 외부에 에어커튼(에어벽)을 형성하여 조리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밀폐함과 동시에 조리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된 각종 에어커튼구조가 적용된 배기후드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27352호(명칭: 배기후드/2004.09.23.)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내장한 본체를 포함하는 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앞쪽에 뚫려진 흡기구멍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멍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유입하는 흡기팬과, 상기 흡기팬에 의하여 제공된 실내공기를 상기 후드필터를 향하여 얇고 넓은 면적의 유인바람으로 고속 제공하는 에어라인 디퓨저 슬릿(Air Line Diffuser Slit)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후드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05550호(명칭: 에어커텐을 구비한 급배기 렌지 후드/2002.02.2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악취흡배기팬과 외기급기팬을 렌지후드에 구성하여 급기공기를 가온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통상의 렌지후드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후드 내에 실외로 연결된 외기급기팬을 구성시켜 외기조절장치에 의해 그리스필터의 가열실과 에어커텐 에어방사공으로 개폐조절하여 공급하되, 상기 외기급기팬의 외기조절장치에 닥트로 그리스필터의 외기체결관과 열교환 가열실로 연결되는 체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기조절장치의 개폐판은 와이어로 연동되는 작동간에 의해 개폐하도록 하는 렌지후드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99010호(명칭: 에어 커튼이 구비된 조리용 가열수단/2017.08.0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기체에 설치한 열원의 상측으로 배기후드를 설치하여 열원에 올려진 조리물에서 발생하는 연기 또는 냄새를 강제흡식하여 배출토록 하는 조리용 가열수단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상부에는 열원을 에워싸는 안치형의 고리형의 에어커튼발생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커튼발생수단은 기체에 안치되는 고리형 구성으로 내부에 에어챔버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연에 상향 개구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한 노즐공과;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설치되어 에어챔버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 및 송풍기의 작동속도를 가감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공급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에어 커튼이 구비된 조리용 가열수단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54567호(명칭: 에어막-에어봉을 이용한 주방 레인지 배기 시스템/1998.12.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주방 레인지 주위에 수증기, 연기, 열, 유분, 분진, 취기 등을 포함한 오염공기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기방식중에서 환기효율이 가장 좋은 제 1종 환기방식인 기계급기와 기계배기 방식의 원리를응용하여 에어막, 에어막 노즐, 에어봉, 에어봉 노즐, 송풍기, 덕트, 기동스위치의 구성장치로 이루어진 배기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4-0027352호(2004.09.23.)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05550호(2002.02.25.)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99010호(2017.08.0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54567호(1998.12.1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기후드 및 조리시설들은, 조리공간에 대하여 배기입구가 바닥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조리공간에서 외부로 배치되는 점유면적 및 배기경로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배기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조리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차단하도록 된 에어커튼이 조리공간의 전체면적에 걸쳐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차단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에어커튼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조리공간으로의 효율적인 산소의 공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조리작업시 소모되는 가열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점 혹은 단체급식실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공간의 상부에 시설되어 조리열과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기하여 위생적이면서 쾌적한 조리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조리공간에 대한 배기면적을 효율적으로 증대함은 물론, 배기가스의 배기포집경로를 배기에 더욱 적합하도록 형성하여 배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공간과 외부를 에어커튼(에어벽)을 통해 구획분할하여 조리공간에서 발생되는 조리열 및 미연소가스 및 오염가스가 외부로 전파되어 위생성 및 안전성을 해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조리작업의 안정성을 구현하도록 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는, 조리물품이 배치된 조리공간의 상부에 시설되며 상기 조리공간의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도록 된 배기구와, 상기 조리공간으로 연속시 사용되는 연소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급기구가 구비된 후드본체와; 상기 후드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공간의 바닥면측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기 조리공간의 외부에 에어벽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된 에어커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조리공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된 경사방향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배기흡입면적을 증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드본체는, 전방하단에 대하여 후방하단부위가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면하단부가 전방하단과 후방후방을 연결하는 상향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커튼수단은, 상기 후드본체에서 상기 급기구의 전면에 배치되어 수직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전면에어벽을 형성하는 전면분사부재와; 상기 후드본체에서 상기 배기구의 양측면부와 후방부의 하부에서 수직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삼면에어벽을 형성하는 삼면분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삼면분사부재는, 상기 후드본체의 양측하단부에서 후방하단부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분사관들과, 양단이 상기 측면분사관들의 단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후드본체의 후방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후면분사관과, 상기 측면분사관들의 전단에 각각 접속되어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펌프하여 공급하도록 된 한 쌍의 삼면분사공기펌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는, 조리공간에 대한 배기구가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상향 및 측방향이 혼합되도록 됨에 따라 배기흡입면적이 효율적으로 증대됨은 물론, 배기가스의 배기포집경로를 배기에 더욱 적합하도록 형성하여 배기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에어커튼수단을 통해 조리공간과 외부를 에어커튼(에어벽)을 통해 구획분할하여 조리공간에서 발생되는 조리열 및 미연소가스 및 오염가스가 외부로 전파되어 위생성 및 안전성을 해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조리작업의 안정성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의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구성하는 드레인밸브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구성하는 에어분사그릴과 급기에어그릴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구성하는 급기에어그릴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는, 음식점 혹은 단체급식실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공간(A)의 상부에 시설되어 조리열과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기함은 물론, 연소시 필요한 공기(산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위생적이면서 쾌적한 조리환경을 확보하도록 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즉, 조리공간(A)에 대한 급기 및 배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조리환경을 위생적이면서 안정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대형의 조리용 국솥을 통해 음식물을 조리할 때,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는, 조리물품(100)(조리용 국솥)이 배치된 조리공간(A)의 상부에 시설되며 상기 조리공간(A)의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도록 된 배기구(21)와, 상기 조리공간(A)으로 연속시 사용되는 연소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급기구(22)가 구비된 후드본체(2)와; 상기 후드본체(2)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공간(A)의 바닥면측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기 조리공간(A)의 외부에 에어벽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된 에어커튼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후드본체(2)를 통해 상기 조리공간(A)의 상부에서 배기 및 급기를 수행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에어커튼수단(3)을 통해 상기 조리공간(A)을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여 조리시 발생되는 각종 배기가스 및 음식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도록 되어, 전체 조리환경을 쾌적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후드본체(2)는, 별도의 고정장치(미도시됨)를 통해 조리공간(A)의 천정 및 벽에 고정되면서 시설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고정구성 및 고정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에서, 상기 배기구(21)는, 상기 조리공간(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된 경사방향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배기흡입면적을 증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조리공간(A)에 대한 상기 배기구(21)가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상향 및 측방향이 혼합되도록 됨에 따라 배기흡입면적이 효율적으로 증대된다.
아울러, 배기가스의 배기포집경로를 배기에 더욱 적합하도록 형성하여 배기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에서 급기구(22)는, 상기 배기구(21)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공간(A)의 전면공간으로 공기를 급기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조리공간(A)에서 외부에 대하여 개방성이 큰 전면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조리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조리공간(A)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조리공간(A)의 양측방 및 후방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리공간(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된 경사방향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상기 배기구(21)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배기가스를 포집하여 배기효율을 더욱 극대화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에서, 상기 후드본체(2)는, 전방하단에 대하여 후방하단부위가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면하단부가 전방하단과 후방후방을 연결하는 상향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방에 상기 급기구(22)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본체(2)의 양측면과 후면부가 바닥방향으로 경사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조리공간(A)에 배치된 조리물품(100)의 양측방과 후방을 감싸면서 조리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물품(100)을 통해 조리할 때,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더욱 안정적으로 포집하여 상기 배기구(21)로 유도하여 배기효율을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후드본체(2)의 양측면과 후면부의 하단에는, 상기 후드본체(2)의 양측면과 후면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각종 액상물(수분 및 유분)을 수집하여 외부로 유도하도록 된 수거요홈(23)이 형성되며; 상기 후드본체(2)의 후면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수거요홈(23)의 일위치에는, 수거되는 액상물을 선택적으로 배수하도록 된 드레인밸브(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거요홈(23)을 통해 상기 후드본체(2)의 내측면에 점착되는 각종 액상물이 낙하하면서 수거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드레인밸브(4)를 통해 배수하여 별도로 처리하도록 될 수 있어, 조리공간(A)의 바닥에 각종 액상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후드본체(2)에는, 별도로 시설되는 배기공기펌프(26)와 상기 배기구(21)를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기구(21)에 대한 공기흡입압을 유도하여 형성하도록 된 배기관(2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급기구(22)에는, 별도로 시설되는 급기공기펌프(27)와 상기 급기구(22)를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급기구(22)에 공기를 유도하여 공급하도록 된 급기관(25)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급기관(25)의 단부에는, 공급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먼지 등)을 여과하여 제거하도록 된 '공기필터'(5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급기공기펌프(27)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대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조리공간(A)으로 공급하도록 됨에 따라, 조리공간(A)에 대한 친환경적인 공기환경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후드본체(2)에는,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발광하여 상기 조리공간(A)을 조명하도록 된 조명램프(6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램프(63)를 통해 상기 조리공간(A)을 조명하여 더욱 안전한 조리작업을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조명램프(63)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배기구(21)에는, 흡입되어 배기되는 배기가스에 대하여 각종 수분 및 유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된 필터매쉬망(52)이 시설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매쉬망(52)을 통해 배기가스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필터매쉬망(52)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후드본체(2)에는, 상기 배기구(21)를 통해 배기가스가 포집되는 배기공간(B)과 상기 급기구(22)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급기공간(C)을 공간적으로 구획하여 분할하도록 된 구획벽(28)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벽(28)을 통해 상기 배기공간(B)과 상기 급기공간(C)을 공간적으로 구획분할하여 공기의 유통을 제한함으로써, 조리공간(A)에 대한 급기 및 배기를 각각 안정되게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에서, 상기 에어커튼수단(3)은, 상기 후드본체(2)에서 상기 급기구(22)의 전면에 배치되어 수직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전면에어벽을 형성하는 전면분사부재(31)와; 상기 후드본체(2)에서 상기 배기구(21)의 양측면부와 후방부의 하부에서 수직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삼면에어벽을 형성하는 삼면분사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면분사부재(31)를 통해 상기 조리공간(A)의 전면을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고; 상기 삼면분사부재(32)를 통해 상기 조리공간(A)의 양측부와 후면부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면분사부재(31)는, 상기 후드본체(2)의 급기공간(C)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급기구(22)의 전면에서 하측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전면에어벽을 형성하도록 된 '에어분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는 상기 에어분사기를 통해 에어를 분사하여 전면에어벽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에어분사기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급기구(22)에는, 상기 에어분사기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상기 수직하방으로 유도하도록 된 에어분사그릴(7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분사그릴(71)을 통해 에어의 분사방향을 수직하방으로 형성하여 전면에어벽의 형성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에어분사그릴(71)은, 상기 급기구(22)에 고정지지되는 에어분사그릴프레임(711)과; 상기 에어분사그릴프레임(711)의 내측에 수직상 직립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에어그릴판(71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그릴판(712)들의 하단들은, 상기 급기구(22) 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에어를 상기 급기구(22)의 하측에서 연장된 하부에서 분사하여 전면에어벽을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그릴판(712)들을 통해 하부로 유도되는 공기들이 상기 에어그릴판(712)들의 하단에서 집중되면서 분사되어, 밀집된 공기압을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형성되는 전면에어벽의 공기밀도가 더욱 균질화되어 상기 조리공간(A)에 대한 폐쇄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에어분사그릴(71)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에서, 상기 삼면분사부재(32)는, 상기 후드본체(2)의 양측하단부에서 후방하단부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분사관(321)들과, 양단이 상기 측면분사관(321)들의 단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후드본체(2)의 후방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후면분사관(322)과, 상기 측면분사관(321)들의 전단에 각각 접속되어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펌프하여 공급하도록 된 한 쌍의 삼면분사공기펌프(32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삼면분사공기펌프(323)들을 통해 상기 측면분사관(321)들 및 상기 후면분사관(322)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조리공간(A)의 바닥측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조리공간(A)에 대한 삼면에어벽을 각각 구형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분사관(321)들 및 상기 후면분사관(322)은, 상기 후드본체(2)의 양측하단과 후면하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후면분사관(322)으로 갈수록 점차 바닥면과의 간격이 작아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삼면분사공기펌프(323)들에서 멀어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각각의 측면분사관(321)들 및 상기 후면분사관(322)에 각각 형성된 분사공들으로 유도되는 공기압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더라도, 바닥과의 간격이 작아짐에 따라, 형성되는 삼면에어벽의 공기밀도품질이 균질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되는 에어벽의 폐쇄품질이 고르게 형성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에서, 상기 후드본체(2)의 급기구(22)에는, 상기 급기공간(C)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조리공간(A)으로 선택된 방향성을 공급하도록 된 급기에어그릴(7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급기에어그릴(72)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리공간(A)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공간(A)에 대한 급기공기의 방향성을 조절하여 상기 조리공간(A)에서의 공기의 대류방향을 적합하게 조절하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공간(A)에서 공기에 대한 유입 및 배기흐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공기환경을 더욱 안정적으로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급기에어그릴(72)은, 상기 급기구(22)에 고정지지되는 급기에어그릴프레임(721)과; 상기 급기에어그릴프레임(721)의 내측에 축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급기그릴판(722)들과; 각각의 상기 급기그릴판(722)들의 일단부들을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면서 연결하는 연결링크(723)와; 상기 급기에어그릴프레임(721)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연결링크(723)가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회전시 다수의 상기 급기그릴판(722)들을 축회전시키어 그 직립된 방향성을 조절함으로써,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조절레버(7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급기공간(C)으로 공급되는 공기들이 상기 급기그릴판(722)들을 통해 상기 조리공간(A)으로 방향성을 가지면서 유도되어 공급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조리공간(A)에서 공기에 대한 유입 및 배기흐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절레버(724)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링크(723)가 당김 및 밀림되면서 상기 조절레버(724)의 회전각도에 맞춤되게 동일한 각도로 각각의 상기 급기그릴판(722)들이 회전운동하여 급기공기의 방향성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는, 상기 후드본체(2)에 구비되는 상기 에어커튼수단(3)을 통해 상기 조리공간(A)과 외부를 에어커튼(에어벽)을 통해 구획분할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조리공간(A)에 대한 상기 배기구(21)가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상향 및 측방향이 혼합되도록 되도록 되어, 배기흡입면적 및 배기포집경로를 배기에 더욱 적합하도록 형성하여 배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100 : 조리물품
2 : 후드본체 21 : 배기구
22 : 급기구 23 : 수거요홈
24 : 배기관 25 : 급기관
26 : 배기공기펌프 27 : 급기공기펌프
28 : 구획벽 3 : 에어커튼수단
31 : 전면분사부재 32 : 삼면분사부재
321 : 측면분사관 322 : 후면분사관
323 : 삼면분사공기펌프 4 : 드레인밸브
51 : 공기필터 52 : 필터매쉬망
61 : 제어수단 62 : 전원공급부
63 : 조명램프 71 : 에어분사그릴
711 : 에어분사그릴프레임
712 : 에어그릴판 72 : 급기에어그릴
721 : 급기에어그릴프레임
722 : 급기그릴판 723 : 연결링크
724 : 조절레버
A : 조리공간 B : 배기공간
C : 급기공간

Claims (3)

  1. 조리물품(100)이 배치된 조리공간(A)의 상부에 시설되며 상기 조리공간(A)의 배기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며 상기 조리공간(A)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된 경사방향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배기흡입면적을 증대하도록 된 배기구(21)와, 상기 조리공간(A)으로 연속시 사용되는 연소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급기구(22)가 구비된 후드본체(2)와; 상기 후드본체(2)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공간(A)의 바닥면측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상기 조리공간(A)의 외부에 에어벽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된 에어커튼수단(3);을 포함하는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1)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22)에는,
    에어분사기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수직하방으로 유도하도록 된 에어분사그릴(71)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분사그릴(71)은,
    상기 급기구(22)에 고정지지되는 에어분사그릴프레임(711)과, 상기 에어분사그릴프레임(711)의 내측에 수직상 직립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에어그릴판(712)들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그릴판(712)들의 하단들은,
    상기 급기구(22) 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에어를 상기 급기구(22)의 하측에서 연장된 하부에서 분사하여 전면에어벽을 형성하고;
    상기 후드본체(2)의 급기구(22)에는,
    급기공간(C)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조리공간(A)으로 선택된 방향성을 공급하도록 된 급기에어그릴(72)이 구비되며;
    상기 급기에어그릴(72)은,
    상기 급기구(22)에 고정지지되는 급기에어그릴프레임(721)과, 상기 급기에어그릴프레임(721)의 내측에 축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급기그릴판(722)들과, 각각의 상기 급기그릴판(722)들의 일단부들을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하면서 연결하는 연결링크(723)와, 상기 급기에어그릴프레임(721)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연결링크(723)가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회전시 다수의 상기 급기그릴판(722)들을 축회전시키어 그 직립된 방향성을 조절하여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조절레버(7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수단(3)은,
    상기 후드본체(2)에서 상기 급기구(22)의 전면에 배치되어 수직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전면에어벽을 형성하는 전면분사부재(31)와; 상기 후드본체(2)에서 상기 배기구(21)의 양측면부와 후방부의 하부에서 수직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삼면에어벽을 형성하는 삼면분사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삼면분사부재(32)는,
    상기 후드본체(2)의 양측하단부에서 후방하단부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분사관(321)들과, 양단이 상기 측면분사관(321)들의 단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후드본체(2)의 후방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후면분사관(322)과, 상기 측면분사관(321)들의 전단에 각각 접속되어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펌프하여 공급하도록 된 한 쌍의 삼면분사공기펌프(323)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KR1020210143235A 2021-10-26 2021-10-26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KR102380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235A KR102380484B1 (ko) 2021-10-26 2021-10-26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235A KR102380484B1 (ko) 2021-10-26 2021-10-26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484B1 true KR102380484B1 (ko) 2022-04-01

Family

ID=8118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235A KR102380484B1 (ko) 2021-10-26 2021-10-26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4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567A (ko)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화물자동차용 캡의 에어 스포일러
KR100730405B1 (ko) * 2006-02-10 2007-06-19 (주)대성기연 레인지 후드
JP2009139067A (ja) * 2007-12-10 2009-06-25 Toto Ltd 排気装置
KR200467178Y1 (ko) * 2013-01-03 2013-05-30 이소현 배기후드 세정기 및 이를 이용한 배기후드 장치
KR20170099010A (ko) 2016-02-22 2017-08-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고정유닛
CN211600834U (zh) * 2020-01-14 2020-09-29 广州双枪机电设备有限公司 具有风帘的开放式的烟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567A (ko)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화물자동차용 캡의 에어 스포일러
KR100730405B1 (ko) * 2006-02-10 2007-06-19 (주)대성기연 레인지 후드
JP2009139067A (ja) * 2007-12-10 2009-06-25 Toto Ltd 排気装置
KR200467178Y1 (ko) * 2013-01-03 2013-05-30 이소현 배기후드 세정기 및 이를 이용한 배기후드 장치
KR20170099010A (ko) 2016-02-22 2017-08-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고정유닛
CN211600834U (zh) * 2020-01-14 2020-09-29 广州双枪机电设备有限公司 具有风帘的开放式的烟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6938C (en) Food cooking apparatus and heat storage member
KR100823674B1 (ko) 고기 구이기의 후드 및 탈취장치
KR20090010615A (ko) 기능성 조리가열장치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JP2002045240A (ja) 可搬式テーブル
KR102380484B1 (ko) 상향 및 측방향 혼합형 급배기후드
KR100881211B1 (ko) 고기 구이기
KR19990006546U (ko) 숯불구이 로스터
KR101745542B1 (ko) 연기 필터링 장치
CN108095362B (zh) 一种台板及橱柜
CN206324638U (zh) 组合式多口烹饪餐台
KR101541178B1 (ko) 스팀기능이 구비된 구이기
KR20110052122A (ko) 개인별 서비스가 용이한 다인용 조리식탁
KR102199327B1 (ko) 에어커튼식 조리용 가열기구 테이블
KR0140450Y1 (ko) 숯불구이용 구이기
KR200369729Y1 (ko) 배기후드
KR200253251Y1 (ko) 배연(排煙)장치를 가지는 고기구이 시스템
KR200280996Y1 (ko) 수분 및 소스 분사장치를 갖는 로스터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102441030B1 (ko) 실내용 무연 숯불구이 화로
EP0395730A1 (en) COOKER WITH VENTILATION DEVICE.
KR100747633B1 (ko) 가스 오븐레인지
JPH0543729Y2 (ko)
JP2016061480A (ja) 加熱調理装置
KR200263210Y1 (ko) 주방용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