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716A -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716A
KR20170142716A KR1020160076663A KR20160076663A KR20170142716A KR 20170142716 A KR20170142716 A KR 20170142716A KR 1020160076663 A KR1020160076663 A KR 1020160076663A KR 20160076663 A KR20160076663 A KR 20160076663A KR 20170142716 A KR20170142716 A KR 20170142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plate
grill
hea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김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102016007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2716A/ko
Publication of KR2017014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부에서 가열된 열기가 구이판에 전도되고, 전도된 열기의 복사열로 구이판 표면에서 육류 등이 익을 때 발생하는 연기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 및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이판이 안착되는 테이블과, 테이블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와, 발열부 상측에 구비되는 구이판과, 배기부로 구성되어 연기발생이 최소화되고, 발생된 연기 및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발열부에서 발열된 열기가 구이판에 전도되어 구이판의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직화열에 비교하여 음식물이 과도하게 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연기발생이 최소화되고, 음식물이 눌어붙지 않아 세척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항상 위생적으로 구이판을 관리할 수 있음, 발생된 기름과 연기의 배출이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바로 흡입배출되어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Roasting table}
본 발명은 복사열로 가열하는 구이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부에서 가열된 열기가 구이판에 전도되고, 전도된 열기의 복사열로 구이판 표면에서 육류 등이 익을 때 발생하는 연기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 및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는 육류 등의 음식을 구울 때 구이판의 형상에 따라 직화 또는 간접화기의 전달로 음식을 익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이는 모두 구이판에서 익을 때 열기에 의해 표면이 타며 인체에 해로운 미세먼지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이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구이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송풍관을 설치하여 음식이 탈때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흡입 배출도록 하고 있으나, 한정된 출력을 갖는 환풍기와 환기통에 의해 흡입력이 강하게 발생하지 않아 주변으로 많은 미세먼지가 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더욱더 미세먼지의 발생을 줄이고자 원적외선을 발산하며 복사열기로 음식을 익혀 미세먼지의 발생이 최소화된 구이판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금속성 구이판에 비해 미세먼지 발생이 줄어드나 여전히 발생되는 미세먼지는 주변으로 확산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실용신안등록 : 20-025452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구이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원적외선을 이용한 복사열로 음식을 익히는 구이판을 사용하여 연기가 최소화 되게 익혀지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판의 테두리에 와류발생부를 구성하여 발생된 연기가 한 지점으로 모여 원활한 미세먼지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한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구이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이판이 안착되는 테이블과, 테이블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와, 발열부 상측에 구비되는 구이판과, 배기부로 구성되어 연기발생이 최소화 되고, 발생된 연기 및 기름의 배출이 용이도록된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열부에서 발열된 열기가 구이판에 전도되어 구이판의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직화열에 비교하여 음식물이 과도하게 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연기발생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음식물이 눌어붙지 않아 세척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항상 위생적으로 구이판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생된 기름과 연기의 배출이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바로 흡입배출되어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발생한 연기가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연기와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구이판(30)이 안착되는 테이블(10)과, 테이블(10)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20)와, 발열부(20) 상측에 구비되는 구이판(30)과, 배기부(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10)은 중앙에 발열부(20)가 구비되는 발열공간부(11)가 형성되고, 발열공간부(11) 상면에는 구이판(30)이 안착되도록 개구되며 테두리에 안착턱(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10)의 상부 일측으로는 발열부(20)의 착화 및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조작부(13)가 구성되고, 안착턱(12)의 어느 일측으로는 배기부(4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부(40)는 구이판(30)의 일측 상면에 밀착되는 흡기관(41)과, 흡기관(41)의 후방에 구성되는 흡기팬(42)과, 흡기팬(42)으로 흡기된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관(43)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관(43)은 상부 또는 하부로 굴곡하여 메인배기관에 연결할 수 있도록 자바라관으로 형성되어 메인배출관과 연결되어 그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발열공간브(11)에 구비되는 발열부(20)는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탄소발열체 등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구이판(30)으로 열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턱(12)에 안치되는 구이판(30)은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복사열로 음식을 익히도록 천연 규산무수물로 형성되며, 하부판(31)과, 상부판(32)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판(31)은 상부판(32)이 덮어지도록 외측이 단턱부(31a)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판(32)을 통해 흘러든 기름이 일측으로 흘러나가도록 일정 기울기를 갖는 다수의 배유홈(31b)이 형성되고, 일측면으로 배유공(31c)가 형성되어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는 는 것이다.
상기 상부판(32)은 고기 등을 구울 시 발생하는 기름 및 연기가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출공(32a)이 형성되고, 흡인된 연기가 배기부(40)로 유입되도록 상측으로 일정 깊이의 다수의 홈으로 형성된 배기홈(32b)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홈(32b)의 단부측은 단부측에 형성된 포집관로(32c)와 연결되고 포집관로(32c)의 상측으로 개방되어 흡기관(41)이 체결되는 흡기관체결홈(32d)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32a)은 발생된 기름이나 찌거기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중앙은 연기가 흡입되게 직경이 큰 기체흡입공(32a-1)으로 형성되고, 그 주면은 2개 이상의 기름유입공(32a-2)으로 형성되어 기름의 표면장력의 발생을 억제하여 기름 및 연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실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테이블(10) 중앙에 구비되는 구이판(30)을 설치시 일측에 있는 배기결착관을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구이판(30)을 안착한 후 배기결착관으로 구이판(30)의 포집관로(32c)와 배기관로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후 테이블(10) 중앙에 구비된 구이판(30)에 음식물을 놓은 후 테이블(10) 일측에 놓인 조작부(13)를 조작하여 발열부(20)를 가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13)를 조작하여 발열부(20)를 가동하면 이와 동시에 배기부(40)에 구성된 흡기팬(42)이 가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열부(20)를 통해 가열된 구이판(30)은 천연 규산무수물로 형성되어 복사열로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연기발생이 최소화 되는 것이다.
상기 구이판(30)에서 음식물이 가열되며 발생되는 기름은 상부판(32)에 형성된 배출공(32a)을 통해 하부판(31)에 형성된 경사져 형성된 배유홈(31b)을 타고 일측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공(32a)을 통해 하부로 흘러가는 기름과 함께 상부판(32)은 하부면에 배기홈(32b)이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이 가열되며 발생하는 연기가 배기부(40)에 형성된 흡기팬(42)에 의해 배기부(40)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공은 발생된 기름의 표면장력이나 찌거기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중앙은 연기를 흡입하는 기체흡입공(32a-1)으로 형성되고, 그 주면은 2개 이상의 기름유입공(32a-2)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으로써 배출공(32a)이 막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테이블(10) 발열공간부(11)
안착턱(12) 조작부(13)
발열부(20) 구이판(30)
하부판(31) 단턱부(31a)
배유홈(31b) 상부판(32)
배출공(32a) 배기홈(32b)
포집관로(32c) 흡기관체결홈(32d)
기체흡입공(32a-1) 기름유입공(32a-2)
배기부(40) 흡기관(41)
흡기팬(42) 배출관(43)

Claims (2)

  1. 구이판(30)이 안착되는 테이블(10)과, 테이블(10)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부(20)와, 발열부 상측에 구비되는 구이판(30)으로 구성된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구이판(30)을 갖는 구이용 테이블(10)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은 중앙에 발열부(20)가 구성되는 발열공간부(11)가 형성되고, 발열공간부(11) 상부는 구이판(30)이 안착되도록 개구되어 테두리에 안착턱(12)이 형성되며, 테이블(10)의 상부 일측으로는 발열부(20)의 착화 및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조작부(13)가 구성되고, 안착턱(12)의 어느 일측에는 구이판(30)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기하여 배출하는 배기부(40)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부(40)는 구이판(30)의 일측 상면에 밀착되는 흡기관(41)과, 흡기관(41)의 후방에 구성되는 흡기팬(42)과, 흡기팬(42)으로 흡기된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관(4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43)는 상부 또는 하부로 굴곡 할 수 있도록 자바라관으로 형성되어 메인배출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열부(20)는 탄소발열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발열체가 발열공간에 구성되며,
    상기 구이판(30)은 안착부에 안착되고,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복사열로 음식을 익히도록 천연 규산무수물로 형성되며, 하부판(31)과, 상부판(32)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판(31)은 상부판(32)이 덮어지도록 외측이 단턱부(31a)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판(32)을 통해 흘러든 기름이 일측으로 흘러나가도록 일정 기울기를 갖는 다수의 배유홈(31b)이 형성되고, 일측면으로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유공(31c)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32)은 고기 등을 구울 시 발생하는 기름 및 연기가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출공(32a)이 형성되고, 흡인된 연기가 배기부(40)로 유입되도록 상측으로 일정 깊이의 다수의 홈으로 형성된 배기홈(32b)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홈(32b)의 단부측은 단부측에 형성된 포집관로(32c)와 연결되고 포집관로(32c)의 상측으로 개방되어 흡기관(41)이 체결되는 흡기관체결홈(32d)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구이판(30)을 갖는 구이용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발생된 기름이나 찌거기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중앙은 연기를 흡입하는 기체흡입공(32a-1)으로 형성되고, 그 주면은 2개 이상의 기름유입공(32a-2)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구이판(30)을 갖는 구이용 테이블.
KR1020160076663A 2016-06-20 2016-06-20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KR20170142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663A KR20170142716A (ko) 2016-06-20 2016-06-20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663A KR20170142716A (ko) 2016-06-20 2016-06-20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16A true KR20170142716A (ko) 2017-12-28

Family

ID=6094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663A KR20170142716A (ko) 2016-06-20 2016-06-20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27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026A (ko) * 2021-12-29 2023-07-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 조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026A (ko) * 2021-12-29 2023-07-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5610A1 (en) Grilling appliance having air jacket for smoke removal and ventilation
US8281709B2 (en) Indoor range-top grill
US8752479B2 (en) Indoor range-top grill
US20090301463A1 (en) Portable cooking system
KR20050026610A (ko) 그릴 조리기 및 이 그릴 조리기를 구비한 복합 조리장치
KR101460243B1 (ko) 연기흡입 고기구이 장치
JP2008183395A (ja) 無煙ロースター、及びそれが装着されたロースト用テーブル
KR20170142716A (ko)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KR100794233B1 (ko) 직화구이기
JP4366236B2 (ja) 電磁誘導調理器具における換気補助装置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1629604B1 (ko) 화기 조절 및 제연 기능을 구비한 구이용 테이블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1967852B1 (ko)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구이테이블
KR100956115B1 (ko) 간편 조리기
KR101146933B1 (ko) 간편 조리기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KR200434659Y1 (ko) 구이장치
JP6010446B2 (ja) 複合加熱調理器
JP7166632B2 (ja) ロースター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200291035Y1 (ko) 구이냄새 제거식 복합 히터 내장형 가열기
KR100848305B1 (ko) 흡기후드의 교체구조를 갖는 테이블용 배기덕트
KR101938531B1 (ko) 구이판
KR20110087008A (ko) 철판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