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026A - 식품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026A
KR20230102026A KR1020210191534A KR20210191534A KR20230102026A KR 20230102026 A KR20230102026 A KR 20230102026A KR 1020210191534 A KR1020210191534 A KR 1020210191534A KR 20210191534 A KR20210191534 A KR 20210191534A KR 20230102026 A KR20230102026 A KR 2023010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er
cooking
unit
dough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613B1 (ko
Inventor
이상원
젤라렘 알래우
김범준
박창일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1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61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1Vessels uniquely adapted for baking
    • A47J37/015Vessels uniquely adapted for baking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재료가 투입되는 투입용기와, 투입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투입용기로 투입된 식재료를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교반유닛과, 투입용기에 발열 가능하게 설치되고, 투입용기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반죽을 발효시키는 발효유닛과, 투입용기와 연결되고, 투입용기에 저장된 반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및 투입용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반죽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조리 장치{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식품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제라(Injera)를 조리할 수 있는 식품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제라(Injera)는 에티오피아의 주 생산물인 테프(teff) 밀가루로 만들어진 얇고 평평한 빵의 일종으로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Somalia), 에리트리아(Eritrea) 에서 먹는 아프리카 전통 빵이다. 이러한 인제라(Injera)는 에티오피아, 케냐 등 아프리카 동북부(the Horn of Africa)지역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전세계로 확산 중에 있다.
종래 인제라는 재료의 투입 후에 발효 시까지 일정하게 저어주어야 하며, 이러한 조리 과정이 모두 수작업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위생적이지 못하고 조리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티오피아 정부에서 농촌지역대상으로 가구용 태양광 발전장치를 공급 중으로 각 가정에서 220V(50Hz) 전기기구 사용이 가능해짐으로써 인제라 조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893호(2014.02.18등록, 발명의 명칭: 회전수단을 구비한 가스 및 전기 가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제라의 조리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식품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는: 식재료가 투입되는 투입용기; 상기 투입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용기로 투입된 상기 식재료를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교반유닛; 상기 투입용기에 발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용기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반죽을 발효시키는 발효유닛; 상기 투입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투입용기에 저장된 상기 반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투입용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반죽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투입용기와 연통되는 공급바디; 상기 공급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바디로 유입된 상기 반죽을 상기 조리유닛으로 공급하는 스프레더; 상기 공급바디와 상기 스프레더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바디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반죽의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개폐모듈; 및 상기 스프레더와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프레더를 회전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더는 양단부가 상기 공급바디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스프레더에는 상기 스프레더 내부로 유입된 상기 반죽이 상기 조리유닛으로 투하되도록 상기 스프레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노즐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스프레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분사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이웃하는 상기 제1분사홀의 간격은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상기 스프레더의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분사홀의 직경은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상기 스프레더의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분사홀은 상기 스프레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길이 방향이 상기 스프레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분사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분사홀은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상기 스프레더의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분사홀의 폭은 상기 스프레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리유닛은, 상기 공급유닛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반죽을 전달받는 조리팬; 상기 조리팬에 장착되고,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조리팬을 가열하는 가열유닛; 및 상기 조리팬을 개폐하고, 상기 반죽의 조리 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홀을 구비하는 조리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조리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팬에 면접촉되어 상기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조리팬으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리팬은 세라믹 재질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리팬은 상기 열전달부재와 접촉된 면의 표면 조도가 나머지 면의 표면 조도보다 작다.
또한, 상기 조리유닛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관용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반유닛, 상기 발효유닛, 상기 공급유닛 및 상기 조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는 교반유닛과 발효유닛에 의해 투입용기에 투입된 식재료를 혼합하여 일정 시간동안 발효시킨 후, 제조된 반죽을 공급유닛에 의해 낙하 방식으로 조리유닛으로 공급함으로써, 반죽의 제조 과정과 식품의 조리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는 스프레더가 공급바디를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반죽이 조리팬의 면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는 조리팬이 세라믹 재질로 구비되어 가열유닛에 의해 국부적인 영역이 급격하게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고, 내부로 유입된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인제라(Injera) 제조에 적합한 조리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는 조리커버에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홀이 구비됨에 따라 반죽의 조리 과정에서 식품에 인제라(Injera) 특유의 식감을 부여하는 스폰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대한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대한 제2변형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한 제1변형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한 제2변형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팬과 열전달부재의 접촉 지점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대한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대한 제2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한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한 제2변형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서술되는 식품은 인제라(Injera)로, 식재료(A)는 인제라(Injera)의 재료가 되는 Teff 가루, 설탕, 이스트, 물 등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식품 및 식재료(A)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죽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 및 이의 식재료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1)는 지지프레임(100), 투입용기(200), 교반유닛(300), 발효유닛(400), 공급유닛(500), 조리유닛(600), 제어유닛(700), 보관용기(80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1)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투입용기(200), 조리유닛(600), 제어유닛(700)을 구조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00)은 제1지지프레임(110), 제2지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1지지프레임(1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ㄷ된다. 제1지지프레임(11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동일 원주 상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제1지지프레임(110)이 3개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제1지지프레임(110)의 개수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개수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2지지프레임(120)은 상하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프레임(1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2지지프레임(120)은 제1지지프레임(110)에 연결된 별도의 브라켓 등을 매개로 제1지지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프레임(120)은 어느 하나의 지름을 기준으로 분할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투입용기(200)는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로 식재료(A)가 투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용기(200)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측이 개구된 통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입용기(200)는 외측면이 제1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투입용기(200)는 외측면이 제1지지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투입용기(200)는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지지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투입용기(200)는 내부로 투입된 식재료(A)가 이물질과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투입용기(200)의 개구된 상측은 별도의 덮개(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투입용기(200)의 하측에는 하방으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210)는 상측이 투입용기(200)의 내부와 연통되고, 하단부에 후술하는 공급유닛(500)으로 반죽(B)을 전달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교반유닛(300)은 투입용기(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투입용기(200)로 투입된 식재료(A)를 교반하여 반죽(B)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유닛(300)은 제1액추에이터(310), 교반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액추에이터(3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액추에이터(3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310)는 후술하는 제어유닛(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용기(200)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수단에 의해 투입용기(200)의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고, 이와 달리 투입용기(200)의 내측면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교반부재(320)는 제1액추에이터(310)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교반부재(320)는 제1액추에이터(31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교반부재(320)는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투입용기(200)로 투입된 식재료(A)를 혼합하여 반죽(B)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재(320)는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와이어가 교반부재(3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유닛(400)은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용기(200)에 설치된다. 발효유닛(400)은 투입용기(2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교반부재(320)에 의해 제조된 반죽을 투입용기(200)의 내부에서 발효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유닛(40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열선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발효유닛(400)은 후술하는 제어유닛(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효유닛(400)은 발생된 열을 전도, 대류 작용에 의해 투입용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한다. 발효유닛(400)은 투입용기(200)의 내측에 직접 설치될 수 있고, 투입용기(200)의 외부에 설치되어 투입용기(200)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효유닛(400)은 교반유닛(300)에 의해 반죽(B)이 제조된 후, 투입용기(200)의 내부 온도를 약 40℃로 유지시킴으로써 반죽(B)을 발효시킬 수 있다.
공급유닛(500)은 투입용기(200)와 연결되고, 발효유닛(400)에 의해 발효되어 투입용기(200)에 저장된 반죽(B)을 후술하는 조리유닛(60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즉, 공급유닛(500)은 식품의 1회 조리 시 투입용기(200)로부터 설정 용량만큼의 반죽(B)을 조리유닛(600)에 공급함과 동시에 설정 용량을 초과하는 반죽(B)이 조리유닛(600)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공급유닛(500)은 교체 및 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투입용기(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500)은 공급바디(510), 스프레더(520), 개폐모듈(530), 구동모듈(540)을 포함한다.
공급바디(510)는 투입용기(200)와 연통되어 내부로 투입용기(200)에 저장된 반죽(B)이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바디(5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급바디(510)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단부가 테이퍼부(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된다. 공급바디(510)의 중심축은 후술하는 조리팬(62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스프레더(520)는 공급바디(510)로 유입된 반죽(B)을 조리유닛(600)으로 공급한다. 스프레더(520)는 공급바디(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스프레더(520)는 후술하는 구동모듈(540)에 의해 공급바디(510)를 축으로 회전되며 반죽(B)을 조리유닛(600)의 면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520)는 내부가 비어있는 막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레더(520)는 공급바디(510)로부터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스프레더(520)는 공급바디(510)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공급바디(510)로 유입된 반죽(B)을 내부로 전달받는다. 이 경우, 스프레더(5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반죽(B)이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공급바디(5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유닛(522)을 매개로 공급바디(510)와 연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대한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520)에 대한 제1변형례에서, 스프레더(520)는 일단부가 가이드유닛(5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공급바디(510)의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스프레더(520)의 타단부가 가이드유닛(522)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후술하는 조리팬(620)의 반지름에 대응되거나 조리팬(620)의 반지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레더(520)는 조리팬(620)의 최외곽 지점까지 반죽(B)을 빈틈없이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대한 제2변형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520)에 대한 제2변형례에서, 스프레더(520)는 중앙부가 가이드유닛(522)에 연결되고, 양단부가 공급바디(51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연장될 수 있다. 스프레더(520)의 양단부는 공급바디(510)의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스프레더(520)는 보다 적은 회전량으로도 반죽(B)을 조리팬(620)의 면적 전체에 걸쳐 공급할 수 있다. 스프레더(520)의 양단부가 가이드유닛(522)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후술하는 조리팬(620)의 반지름에 대응되거나 조리팬(620)의 반지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레더(520)는 조리팬(620)의 최외곽 지점까지 반죽(B)을 빈틈없이 공급할 수 있다.
스프레더(520)에는 스프레더(520) 내부로 유입된 반죽(B)을 조리유닛(600)으로 투하하는 노즐부(5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521)는 스프레더(5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521)는 스프레더(520) 내부로 유입된 반죽(B)이 조리유닛(600)을 향해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스프레더(5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한 제1변형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521)에 대한 제1변형례에서 노즐부(521)는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은 스프레더(520)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스프레더(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분사홀(521a)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은 이웃하는 제1분사홀(521a)의 간격이 공급바디(510)로부터 스프레더(520)의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은 스프레더(520)의 전체 구간 중,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반죽(B)이 유입되어 큰 압력이 가해지는 공급바디(510) 부근에서는 반죽(B)의 배출 개소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반죽(B)이 유입되어 작은 압력이 가해지는 스프레더(520)의 단부 부근에서는 반죽(B)의 배출 개소를 늘리도록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의 직경은 공급바디(510)로부터 스프레더(520)의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은 스프레더(520)의 전체 구간 중,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반죽(B)이 유입되어 큰 압력이 가해지는 공급바디(510) 부근에서는 반죽(B)의 배출 속도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반죽(B)이 유입되어 작은 압력이 가해지는 스프레더(520)의 단부 부근에서는 반죽(B)의 배출 속도를 늘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은 반죽(B)을 스프레더(5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양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반죽(B)이 조리팬(620)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한 제2변형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521)에 대한 제2변형례에서 노즐부(521)는 제2분사홀(5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홀(521b)은 스프레더(520)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길이 방향이 스프레더(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장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분사홀(521b)은 공급바디(510)로부터 스프레더(520)의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분사홀(521b)은 스프레더(520)의 전체 구간 중,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반죽(B)이 유입되어 큰 압력이 가해지는 공급바디(510) 부근에서는 반죽(B)의 배출 속도를 줄이고,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반죽(B)이 유입되어 작은 압력이 가해지는 스프레더(520)의 단부 부근에서는 반죽(B)의 배출 속도를 늘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분사홀(521b)은 반죽(B)을 스프레더(5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양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반죽(B)이 조리팬(620)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개폐모듈(530)은 공급바디(510)와 스프레더(520) 사이에 구비되고, 공급바디(5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반죽(B)의 공급 상태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530)은 공급바디(510)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급바디(510)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예시될 수 있다. 개폐모듈(530)은 후술하는 제어유닛(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개폐모듈(530)은 공급바디(510)의 내부를 개방함에 따라 공급바디(510)로 유입된 반죽(B)이 스프레더(520)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고, 공급바디(510)의 내부를 폐쇄함에 따라 공급바디(510)로 유입된 반죽(B)이 스프레더(5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구동모듈(540)은 스프레더(520)와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스프레더(52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듈(540)은 제2액추에이터(541), 구동브라켓(542), 동력전달모듈(543)을 포함한다.
제2액추에이터(54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액추에이터(541)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541)는 후술하는 제어유닛(7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브라켓(542)은 공급바디(510)에 결합되어 제2액추에이터(541)를 지지한다. 구동브라켓(542)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4,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급바디(510)에 결합되어 제2액추에이터(541)를 지지할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동력전달모듈(543)은 제2액추에이터(541)와 스프레더(520) 사이에 구비되고, 제2액추에이터(541)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연동되어 공급바디(510)를 축으로 스프레더(52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모듈(543)은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복수개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모듈(543)은 상호 맞물린 복수개의 기어 중 일단부에 배치된 기어가 제2액추에이터(541)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배치된 기어가 가이드유닛(522)에 연결될 수 있다.
조리유닛(600)은 투입용기(20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공급유닛(500)으로부터 반죽(B)을 공급받는다. 조리유닛(600)은 공급유닛(500)으로부터 공급된 반죽(B)을 가열 조리하여 최종적으로 식품을 제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유닛(600)은 조리바디(610), 조리팬(620), 가열유닛(630), 조리커버(640)를 포함한다.
조리바디(6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유닛(60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조리팬(620)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바디(610)는 외측면이 제1지지프레임(110)의 하단부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조리바디(610)는 투입용기(200) 및 공급유닛(500)과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조리바디(610)는 제1지지프레임(110)과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조리바디(610)는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지지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리팬(620)은 조리바디(61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공급유닛(500)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조리팬(620)은 공급유닛(500)으로부터 반죽(B)을 전달받고, 반죽(B)이 후술하는 가열유닛(630)에 의해 식품으로 조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팬(620)은 내부가 비어있고, 공급유닛(500)과 마주보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팬(620)은 조리바디(6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볼팅, 끼움 결합 등에 의해 조리바디(610) 상에서 고정될 수 있다.
조리팬(620)은 점토 등을 포함하는 세라믹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팬(620)은 후술하는 가열유닛(630)에 의해 국부적인 영역이 급격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로 유입된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제라(Injera) 제조에 적합한 조리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가열유닛(630)은 조리팬(620)에 장착되고,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팬(620)을 가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유닛(630)은 코일(631), 열전달부재(632)를 포함한다.
코일(631)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631)은 일정한 저항값을 갖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와이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일(631)은 조리팬(620)의 바닥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코일(631)은 조리팬(620)의 바닥면 중심으로부터 조리팬(620)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복수개의 동심원의 형태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631)은 조리팬(620)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코일(631)의 구체적인 배열 형태는 도 10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리팬(620)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열전달부재(632)는 코일(631)과 조리팬(620) 사이에 구비되어 코일(631)을 지지한다. 열전달부재(632)는 조리팬(620)에 면접촉되어 코일(63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조리팬(620)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부재(632)는 얇은 원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코일(631)과 조리팬(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전달부재(632)의 하측면에는 코일(631)이 부착되어 지지된다. 열전달부재(632)의 상측면은 조리팬(620)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마주보게 배치되고, 조리팬(620)의 바닥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지지된다. 열전달부재(632)의 면적은 조리팬(620)의 바닥면의 면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열전달부재(632)는 코일(631)의 발열 시 열전도 작용에 의해 코일(63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조리팬(620)의 바닥면 면적 전체에 걸쳐 간접적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조리팬(620)은 코일(63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직접 전달받는 경우에 비해 바닥면이 보다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열전달부재(632)는 코일(631)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큰 손실없이 조리팬(62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높은 구리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팬과 열전달부재의 접촉 지점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조리팬(620)은 열전달부재(632)와 접촉된 면즉, 바닥면의 표면 조도가 나머지 면의 표면 조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팬(620)의 표면 조도는 중심선 평균 조도(Ra)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팬(620)은 바닥면이 열전달부재(632)와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어 열전달부재(632)의 열전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코일(631)의 연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조리커버(640)는 반죽(B)의 공급 여부에 따라 조리팬(620)을 개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커버(640)는 공급유닛(500)으로부터 반죽(B)이 공급되는 경우, 조리팬(620)의 내부로 반죽(B)이 전달될 수 있도록 조리팬(620)의 상측을 개방한다. 조리커버(640)는 공급유닛(500)으로부터 반죽(B)이 공급 완료된 경우, 조리팬(620)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리팬(620)의 상측을 폐쇄한다. 조리커버(640)는 조리팬(62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조리팬(6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리커버(640)의 개폐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리커버(640)에는 가열유닛(630)의 동작에 따른 반죽(B)의 조리 시 조리팬(6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홀(64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홀(641)은 조리커버(640)를 상하로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출홀(641)은 조리커버(640) 상에서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출홀(641)은 반죽(B)의 조리 시 조리팬(6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조리커버(640)의 하측면에 응결되어 반죽(B)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배출홀(641)은 반죽(B)의 조리 과정에서 식품에 인제라(Injera) 특유의 식감을 부여하는 스폰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유닛(700)는 교반유닛(300), 발효유닛(400), 공급유닛(500) 및 조리유닛(6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7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고, 터치 스크린, 가상 키(key), 물리적인 키(또는 하드웨어적인 버튼), 입력 센서, 마이크 등)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컨트롤패널과, 컨트롤패널로부터 생성된 수신된 입력에 의해 제1액추에이터(310), 발효유닛(400), 개폐모듈(530), 제2액추에이터(541) 및 코일(531)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관용기(800)는 조리유닛(600)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리유닛(600)으로부터 조리 완료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용기(800)는 상측이 개구된 서랍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관용기(800)는 내부에 조리가 완료된 식품이 일정 수량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보관용기(800)는 조리바디(610)의 하부에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관용기(800)는 전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우선 Teff 가루, 설탕, 이스트, 물 등을 포함하는 식재료(A)가 투입용기(20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후, 제어유닛(70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제1액추에이터(310)를 동작시킨다.
교반부재(320)는 제1액추에이터(31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투입용기(200)의 내부에서 회전되고, 식재료(A)를 혼합하여 반죽(B)을 제조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유닛(700)는 발효유닛(400)을 동작시키고, 발효유닛(400)은 투입용기(200)의 내부 온도를 약 40℃로 2~3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반죽(B)을 발효시킨다.
도 15를 참조하면, 반죽(B)의 발효가 충분히 진행된 후, 제어유닛(700)는 개폐모듈(530)을 동작시켜 공급바디(510)를 개방한다.
공급바디(510)가 개방됨에 따라, 투입용기(200)에 저장된 반죽(B)은 공급바디(510)를 거쳐 스프레더(520)로 전달된다.
스프레더(520)로 전달된 반죽(B)은 노즐부(521)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며 조리팬(620)의 상측면에 도포된다.
이 경우, 조리커버(640)는 노즐부(521)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B)과 간섭되지 않도록 조리팬(6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제어유닛(700)는 제2액추에이터(541)를 동작시켜 공급바디(510)를 축으로 스프레더(52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프레더(520)의 회전에 의해, 노즐부(521)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B)은 조리팬(620)의 면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펼쳐지며 도포될 수 있다.
반죽(B)이 조리팬(620)에 충분히 도포된 이후, 제어유닛(700)는 개폐모듈(530)을 동작시켜 공급바디(510)를 폐쇄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반죽(B)의 공급이 완료된 이후, 조리커버(640)는 조리팬(620)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이후, 제어유닛(700)는 가열유닛(630)을 동작시키고, 가열유닛(630)은 조리팬(620)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반죽(B)을 조리한다.
반죽(B)이 조리팬(620)의 내부에서 익혀짐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의 일부는 조리커버(640)에 형성된 배출홀(6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반죽(B)에는 인제라(Injera) 특유의 식감을 부여하는 스폰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조리가 완료된 식품은 보관용기(800)에 일정 수량으로 보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1')는 지지프레임(100), 투입용기(200), 교반유닛(300), 발효유닛(400), 공급유닛(500), 조리유닛(600), 제어유닛(700), 보관용기(8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 장치(1)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대한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520)에 대한 제1변형례에서, 스프레더(520)는 일단부가 가이드유닛(5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공급바디(510)로부터 조리팬(62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스프레더(520)는 공급바디(510)로부터 전달되는 반죽(B)이 별다른 조작 없이 자중에 의해 스프레더(520)의 단부까지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에 대한 제2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520)에 대한 제2변형례에서, 스프레더(520)는 중앙부가 가이드유닛(522)에 연결되고, 양단부가 공급바디(51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레더(520)는 보다 적은 회전량으로도 반죽(B)을 조리팬(620)의 면적 전체에 걸쳐 공급할 수 있다. 스프레더(520)의 양단부는 공급바디(510)로부터 조리팬(62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스프레더(520)는 공급바디(510)로부터 전달되는 반죽(B)이 별다른 조작 없이 자중에 의해 스프레더(520)의 단부까지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한 제1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521)에 대한 제1변형례에서 노즐부(521)는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은 스프레더(520)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스프레더(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분사홀(521a)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은 스프레더(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프레더(520)의 내부로 유입된 반죽(B)이 스프레더(520)의 경사각에 의해 스프레더(520)의 단부까지 원활하게 공급됨에 따라, 복수개의 제1분사홀(521a)은 등간격을 통해 반죽(B)을 스프레더(5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양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반죽(B)이 조리팬(620)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에 대한 제2변형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521)에 대한 제2변형례에서 노즐부(521)는 제2분사홀(5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홀(521b)은 스프레더(520)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길이 방향이 스프레더(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장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분사홀(521b)의 폭은 스프레더(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ㄷ된다. 즉, 스프레더(520)의 내부로 유입된 반죽(B)이 스프레더(520)의 경사각에 의해 스프레더(520)의 단부까지 원활하게 공급됨에 따라, 제2분사홀(521b)은 일정한 폭을 통해 반죽(B)을 스프레더(5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양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반죽(B)이 조리팬(620)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1' : 식품 조리 장치 100 : 지지프레임
110 : 제1지지프레임 120 : 제2지지프레임
200 : 투입용기 210 : 테이퍼부
300 : 교반유닛 310 : 제1액추에이터
320 : 교반부재 400 : 발효유닛
500 : 공급유닛 510 : 공급바디
520 : 스프레더 521 : 노즐부
521a : 제1분사홀 521b : 제2분사홀
522 : 가이드유닛 530 : 개폐모듈
540 : 구동모듈 541 : 제2액추에이터
542 : 구동브라켓 543 : 동력전달모듈
600 : 조리유닛 610 : 조리바디
620 : 조리팬 630 : 가열유닛
631 : 코일 632 : 열전달부재
640 : 조리커버 641 : 배출홀
700 : 제어유닛 800 : 보관용기
A : 식재료 B : 반죽

Claims (17)

  1. 식재료가 투입되는 투입용기;
    상기 투입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용기로 투입된 상기 식재료를 교반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교반유닛;
    상기 투입용기에 발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용기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반죽을 발효시키는 발효유닛;
    상기 투입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투입용기에 저장된 상기 반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및
    상기 투입용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반죽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투입용기와 연통되는 공급바디;
    상기 공급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급바디로 유입된 상기 반죽을 상기 조리유닛으로 공급하는 스프레더;
    상기 공급바디와 상기 스프레더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바디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반죽의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개폐모듈; 및
    상기 스프레더와 연결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프레더를 회전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양단부가 상기 공급바디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에는 상기 스프레더 내부로 유입된 상기 반죽이 상기 조리유닛으로 투하되도록 상기 스프레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노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스프레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분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이웃하는 상기 제1분사홀의 간격은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상기 스프레더의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분사홀의 직경은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상기 스프레더의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분사홀은 상기 스프레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길이 방향이 상기 스프레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분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분사홀은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상기 스프레더의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공급바디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분사홀의 폭은 상기 스프레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유닛은,
    상기 공급유닛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반죽을 전달받는 조리팬;
    상기 조리팬에 장착되고, 발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조리팬을 가열하는 가열유닛; 및
    상기 조리팬을 개폐하고, 상기 반죽의 조리 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홀을 구비하는 조리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조리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팬에 면접촉되어 상기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조리팬으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팬은 세라믹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팬은 상기 열전달부재와 접촉된 면의 표면 조도가 나머지 면의 표면 조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유닛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관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 상기 발효유닛, 상기 공급유닛 및 상기 조리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 장치.
KR1020210191534A 2021-12-29 2021-12-29 식품 조리 장치 KR102644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34A KR102644613B1 (ko) 2021-12-29 2021-12-29 식품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34A KR102644613B1 (ko) 2021-12-29 2021-12-29 식품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026A true KR20230102026A (ko) 2023-07-07
KR102644613B1 KR102644613B1 (ko) 2024-03-11

Family

ID=8715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534A KR102644613B1 (ko) 2021-12-29 2021-12-29 식품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6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647A (ja) * 1996-08-28 1998-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炊飯器
KR100618460B1 (ko) * 2004-10-04 2006-08-31 강성수 식기세척기
KR20140103181A (ko) * 2011-12-21 2014-08-25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평탄형 강 제품의 열처리로용 노즐 장치 및 그러한 노즐 장치가 구비된 열처리로
KR101720088B1 (ko) * 2015-12-04 2017-03-28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냉각장치
KR20170142716A (ko) * 2016-06-20 2017-12-28 김성구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US20180184670A1 (en) * 2016-06-03 2018-07-05 Yilma Asfaw Machine For Manufacturing Flatbread
KR20190070895A (ko) * 2019-01-17 2019-06-21 최종갑 반죽물 공급 장치
KR20210090328A (ko) * 2020-01-09 2021-07-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제라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647A (ja) * 1996-08-28 1998-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炊飯器
KR100618460B1 (ko) * 2004-10-04 2006-08-31 강성수 식기세척기
KR20140103181A (ko) * 2011-12-21 2014-08-25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평탄형 강 제품의 열처리로용 노즐 장치 및 그러한 노즐 장치가 구비된 열처리로
KR101720088B1 (ko) * 2015-12-04 2017-03-28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냉각장치
US20180184670A1 (en) * 2016-06-03 2018-07-05 Yilma Asfaw Machine For Manufacturing Flatbread
KR20170142716A (ko) * 2016-06-20 2017-12-28 김성구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용 테이블
KR20190070895A (ko) * 2019-01-17 2019-06-21 최종갑 반죽물 공급 장치
KR20210090328A (ko) * 2020-01-09 2021-07-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제라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613B1 (ko)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16E1 (en) Automatic cooker
JP5260421B2 (ja) 蒸し機能付き製パン機
CN105266649B (zh) 自动制面包机
WO2019085204A1 (zh) 一种炒锅移动控制装置与适用于全自动炒菜机的炒锅装置
KR102644613B1 (ko) 식품 조리 장치
CN206822504U (zh) 一种具有斜口蒸汽喷嘴的喷气式速热多用锅
KR101995676B1 (ko) 하부면에 증기 수용 격실이 형성된 조리용기를 포함하는 고압 증기솥
CN203634033U (zh) 面包机
JP3080939B2 (ja) 固形料理材の連続調理システム
KR101433521B1 (ko) 음식조리용 가열수단을 갖는 구이용 로스터
CN213696520U (zh) 蒸汽翻筐出料夹层锅
JP2019092995A (ja) 加熱調理器
CN108185802A (zh) 蒸汽烹饪器具
CN208658825U (zh) 适于微波加热的烹饪器具和微波烹饪设备
CN207561814U (zh) 可旋转式自动煎锅
CN206213916U (zh) 蒸汽面包机
CN208658672U (zh) 厨用料理炒菜一体机
CN218105561U (zh) 一种双锅炒机器人
JP3579400B2 (ja) 冷凍食品の調理方法及び冷凍調理済み食品用解凍機
CN112401647B (zh) 一种菜芯烹饪装置
CN112401634B (zh) 一种米汤分离装置及使用方法
KR102180749B1 (ko) 식재료 가열장치
JP3575080B2 (ja) 複合調理レンジ
CN210130693U (zh) 一种可加快烹饪沸点快速翻炒的烹饪装置
CN105615634A (zh) 一种方形蒸汽锅的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