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520Y1 - 숯불구이용 풍로 - Google Patents

숯불구이용 풍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520Y1
KR910006520Y1 KR2019890017134U KR890017134U KR910006520Y1 KR 910006520 Y1 KR910006520 Y1 KR 910006520Y1 KR 2019890017134 U KR2019890017134 U KR 2019890017134U KR 890017134 U KR890017134 U KR 890017134U KR 910006520 Y1 KR910006520 Y1 KR 910006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mesh
net
ho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7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421U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상무산업 주식회사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무산업 주식회사, 김영환 filed Critical 상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7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520Y1/ko
Publication of KR910009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숯불구이용 풍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외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절곡부
3 : 공기유통공 4 : 보조통공
5,5' : 덮개판 11 : 받침대
12 : 받침다리 13 : 상부틀
15 : 망체 15b : 비가열부
16 : 격리망체
본 고안은 야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이용 풍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함체내에 담겨지는 연료가 고르게 연소되도록 함과 동시에 망체위에 얹혀지는 고기가 전반적으로 고르게 잘익도록하여 편리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용 풍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야외나들이시에 간편히 휴대하면서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한 여러가지 형태의 간이화로가 안출되어 있었는데, 이와같은 것들은 대부분이 크거나 무거워 휴대하는데 부적합했음은 물론 그 사용과정이 번거로워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박판상의 비철금속재로서 적정형태의 함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함체내부에 착화탄 및 목탄을 담아넣은 상태에서 망체를 덮어씌워 이루어진 일회용불고기 화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88-19176호)가 안출된 바 있는데, 이것은 고기를 얹어 굽게되는 망체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비교적 높은 연소열이 집중적으로 발산되게 되는 중앙부위에 얹혀지는 고기가 망체의 가장자리에 얹혀지게 되는 고기에 비해 비교적 빨리 익게되는 불균형 현상을 초래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잠시만 소홀해도 중앙부위에 얹혀진 고기가 쉽게 타버려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고리를 구워 먹어야만 했던 불편점이 노출되고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함체의 양측면 하단을 관통하는 상태로 공기유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양측의 유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이 바람의 영향에 의해 어느 일측부로 편중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됨으로서, 착화탄의 상부에 적층된 상태인 목탄등의 연료가 전반적으로 고르게 연소되지 못하고 어느 한쪽부위의 연료가 불완전연소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끄을음 및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 폐단이 대두되고 있었던바,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에게 많은불편을 끼치고 있었음은 물론 고기가 전반적으로 고르게 익지 못하게 되는 주요인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 고안은 함체상단에 설치되는 망체에 익은 고기를 옮겨놓을만한 비가열부가 마련되지 않은 관계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여 익은 고기를 옮겨놓고 집어먹어야만 하는 불편점이 있었고, 함체가 받침대가 얹혀지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함체의 안착상태가 안정되지 못했던바 고기를 굽던중 사용자의 부주의로 함체를 건드려 쏟아버리는 등의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고안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양측부가 중심부로 절곡형성된 선박형태로서 함체를 형성하여 이루고 함체상단에 씌워지는 망체를 중심부가 불룩한 만곡형태로 형성하여 이룸으로서 망체가 비가열부가 마련되도록 함과 동시에 망체 중앙부위가 가장자리 부위에 비해 돌출되는 상태로서 설치되도록 하여 망체에 얹혀지는 고기가 전반적으로 고르게 익혀지도록하고, 공기유통공을 함체저면에 관통형성해줌으로서, 함체내에 담겨지는 연료가 중앙부로부터 고르게 연소되도록함과 동시에 연소효율이 극대화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다른 불편없이 효과적으로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한 숯불구이용 풍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박판상의 비철금속재로서 적정형태로 형성되는 함체(1)와, 상기 함체(1)를 끼워재치시키도록 적정형태로 절곡형성되는 받침대(11) 및 함체(1) 상단에 씌워지는 망체(15)가 상호 조합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점화봉(17) 및 목탄등의 고체연료(18)가 담겨지는 함체(1)는 양측면 부위를 적절히 절곡하여 선박의 형태를 이루도록함과 동시에 전, 후면 상단에는 절곡부(2)를 연장형성하여 이루고 저면 중앙부위 및 양측단 부위에는 공기유통공(3)과 보조통공(4)를 각각 형성하되, 각각의 공기유통공(3) 및 보조통공(4)은 사용시 각각의 덮개판(5,5')을 뜯어내 줌으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함체(1)를 이루며, 다수의 받침다리(12)를 갖는 받침대(11)는 적정긱경의 철사를 절곡형성하여 이루되, 상부틀(13)은 상기 함체(1)의 외형과 일치되는 상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틀(13)에 함체(1)의 저면부가 완전히 끼워지면서 지면과 함체(1) 저면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안정되게 끼워져 재치되도록 절곡형성하여 이루고 함체(1) 상단면에 씌워지는 장방향의 망체(15)는 가운데가 불룩하게 돌출되는 상태로 만곡형성하고 망체(15)의 테두리에는 함체(1)의 재질과 동일한 비철금속재를 압착하여 외틀(15a)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망체(15)를 함체(1) 상단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함체(1)에 연장형성된 절곡부(2)를 망체(15)의 외톨(15a)에 압착시켜 함체(1) 상단에 망체(15)를 조립설치함으로서 장방형의 망체(15) 모서리 부위에 비가열부(15b)가 마련되는 상태로서 설치하는 한편, 함체(1)의 내면에는 격리망체(16)를 내설함으로서 그 격리망체(16) 외측으로 착화봉(17) 및 목탄등의 고체연료(18)가 적층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 19는 착화봉(17)을 격리망체(16)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결속철사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함체(1) 내부에 점화봉(17) 및 목탄등의 고체연료(18)가 적층된 상태인 본 고안은 받침대(11)를 분리 또는 결합시킨 상태로서 산이나 바다등지의 야외나들이시에 간편하게 휴대하거나 현지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인바, 본 고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먹고자 하게 되면, 먼저 받침대(11)에 함체(1)를 끼워넣은 후 함체(1) 저면 중앙의 덮개판(5)을 뜯어내 공기 유통공(3)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공기유통공(3)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점화봉(17)에 불을 붙여주게 되면, 점화봉(17)과 함께 적층된 목탄등의 고체연료(18)가 연소되기 시작하게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을 적절한 장소에 안착시킨 후 망체(15)위에 고기를 얹어 구워먹게 된다.
이때 고체연료(18)의 연소상태가 원활하지 못할경우에는 저면양측에 형성된 덮개판(5')을 뜯어내 보조통공(4)을 형성해줌으로서 공기가 함체(1) 내로 충분히 흡입되도록하여 고체연료(18)를 원활하게 연소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함체(1) 저면으로부터의 공기흡입 상태는 바람의 방향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함체(1) 내부로 흡입되게되고, 그에 따라 고체연료(18)의 부분적인 불완전연소 현상이 방지되게 되면서 고르게 연소되게 되며, 함체(1)의 하부가 받침대(11)의 상부틀(13) 하부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는 상태로 고정설치 됨으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한편, 함체(1)의 상단에 설치되는 망체(15)는 중앙부위가 돌출되는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바, 비교적 높은 연소열을 받게되는 중앙부위가 가장자리 부위에 비해 약간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망체(15)에 얹혀지는 고기가 전반적으로 고르게 익혀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되고, 익은 고기는 망체(15)의 모서리부위에 마련되는 비가열부(15b)에 옮겨 놓으면서 계속 고기를 구울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 고안이 내포하던 제반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한 것으로서, 함체(1)의 외형을 선박형태로 형성해 줌으로서 외적인 미감을 살려줌과 동시에 비가열부(15b)가 마련되도록 하는 이중의 효과를 얻게 되고, 망체(15)위에 얹혀지는 고기가 전체적으로 고른 연소열을 전달받으면서 잘구워지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특정부위에 위치되는 고기가 쉽게 익게되면서 타는등의 폐단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공기유통공(3) 및 보조통공(4)을 함체저면에 형성해줌으로서, 고체연료의 부분적인 불완전 연소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끄을음이나 연기의 발생을 배제하여 즐거운 마음으로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게되는 등 여러가지의 장점을 갖는 매우 실용적이면서도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비철금속재의 함체(1)와 받침대(11) 및 망체(15)가 상호조합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숯불구이용 풍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점화봉(17) 및 고체연료(18)가 담겨지는 함체(1)는, 선박의 형태로 형성하여 이룸과 동시에 전, 후면 상단에는 절곡부(2)를 연장형성하여 이루고, 저면 중앙부위 및 양측단부에는 공기유통공(3)과 보조통공(4)를 각각 형성하되, 각각의 공기유통공(3) 및 보조통공(4)은 사용시 각각의 덮개판(5,5')을 뜯어냄으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함체(1)를 이루며, 다수의 받침다리(12)를 갖는 받침대(11)는 상부틀(13)을 상기 함체(1)의 외형에 일치되는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틀(13)에 함체(1) 저면부가 완전히 끼워지는 상태로서 조합결합되도록 형성하고, 함체(1) 상면에 씌워지는 장방형의망체(15)는 가운데가 불룩하게 돌출되는 형태로서 만곡형성하되, 망체(15)의 테두리에는 함체(1)의 재질인 비철금속재를 압착하여 외틀(15a)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망체(15)를 함체(1) 상단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절곡부(2)를 망체(15) 외톨(15a)에 압착시켜 조합설치함으로서 망체(15) 모서리 부위에 비가열부(15b)가 마련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용 풍로.
KR2019890017134U 1989-11-20 1989-11-20 숯불구이용 풍로 KR910006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134U KR910006520Y1 (ko) 1989-11-20 1989-11-20 숯불구이용 풍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134U KR910006520Y1 (ko) 1989-11-20 1989-11-20 숯불구이용 풍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421U KR910009421U (ko) 1991-06-28
KR910006520Y1 true KR910006520Y1 (ko) 1991-08-24

Family

ID=1929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7134U KR910006520Y1 (ko) 1989-11-20 1989-11-20 숯불구이용 풍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5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06B1 (ko) 2019-06-11 2021-02-03 김만규 풍로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421U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864A (en) Outdoor cooking system
US4899721A (en) Charcoal stove casing set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CN112469316A (zh) 烧烤装置
US2877759A (en) Portable stove
KR910006520Y1 (ko) 숯불구이용 풍로
KR200389623Y1 (ko)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
US5579680A (en) Smokeless grill for indoor use
KR200486112Y1 (ko) 바비큐 그릴
CN112790624A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KR200196631Y1 (ko) 야외용 고기 구이기
KR200365251Y1 (ko) 고기구이판
CN214856135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KR920007093Y1 (ko) 휴대용 풍로
JP2001128857A (ja) 調理器具
CN213882912U (zh) 一种新型便携式烤炉
KR20190053603A (ko) 건축물의 겨울 난방용 화로
KR200213233Y1 (ko) 고기 구이기
CN210902677U (zh) 一种折叠式无烟多功能烧烤炉
KR910006975Y1 (ko) 야외용 구이판
JPH075785Y2 (ja) 肉等焼物用の焜炉
KR970005247Y1 (ko) 일회용 숯불화로
JP3039824U (ja) 使捨て式簡易バーベキューこんろ
KR0124093Y1 (ko) 가스레인지 그릴구조
JP3027205U (ja) 簡易型バーベキュー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