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964B1 - 직화구이기 - Google Patents

직화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964B1
KR101428964B1 KR1020140024926A KR20140024926A KR101428964B1 KR 101428964 B1 KR101428964 B1 KR 101428964B1 KR 1020140024926 A KR1020140024926 A KR 1020140024926A KR 20140024926 A KR20140024926 A KR 20140024926A KR 101428964 B1 KR101428964 B1 KR 101428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heat source
source unit
opening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환
Original Assignee
유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환 filed Critical 유영환
Priority to KR102014002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쇠를 이용한 구이물의 구이시 육즙 등의 낙하물이 열원부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그 사이에 소정의 단열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열원부의 위치를 내부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연기나 화염 등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한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는, 내부에 수납공간(S)이 마련되며, 적어도 상측이 개구(101)되는 본체부(100); 상기 개구(101)에 얹혀지는 석쇠(200); 상기 수납공간(S)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석쇠(200) 위에 올려진 구이물에 열을 가하여 구워주는 열원부(300); 및 상기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이 상기 열원부(3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벽측에 치우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공간(410)이나, 또는 상기 석쇠(200)와 열원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조물(4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낙하물 차단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석쇠를 이용한 구이물의 직화구이시 육즙 등의 낙하물이 열원부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그 사이에 낙하물 차단용 단열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또는 열원부의 위치를 본체부의 내벽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함으로써, 연기나 화염 등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직화구이기{Roaster}
본 발명은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육류, 가금류, 생선류와 같은 구이물의 직화구이시 발생하게 되는 연기나 화염 등의 원인을 제거해줌으로써 위생적이면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석쇠 직화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구이기는 열원부의 상측에 얹혀지는 석쇠의 통기율이 높을수록 구이물에 불향이 많이 배이게 됨에 따라, 깊고 독특한 불 맛이 가미된 구이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직화구이기는 열원부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에 의해 구이물의 안팎이 골고루 구워지게 되고, 육즙이 풍부하게 남아 식감이 탁월하여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다. 이러한 직화구이를 할 수 있는 구이기에 대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09-0086892호로 선 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화구이기는 구이물의 육즙이나 구이 조각 등의 낙하물이 석쇠의 관통된 틈새를 통해 열원부 내에 직접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연기나 화염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발생하는 연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빨아들여 옥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향식 또는 하향식의 배기덕트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연기 및 분진은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된다. 특히, 기본적인 배기덕트 설비 이외에도 별도의 제연설비를 함께 설치하여 사용해야 함에 따라, 설치비 및 유지보수 등의 비용이 부담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향식 배기덕트를 이용하는 경우 하측의 열원부로부터 발생하는 연기가 상측의 배기덕트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석쇠의 구이물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벤조피렌 등의 발암물질)이 구이물에 흡착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관통된 구멍의 틈새가 좁은 판 석쇠나, 수냉관 석쇠, 솥뚜껑, 돌판, 석영 유리판 등의 다양한 불판을 사용하거나, 열원부가 금속 커버로 은폐되는 간접열식 구이기 등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열원부에 금속 커버에 적용된 구조는 구이물에 가해지는 열원의 열류와 적외선이 차단됨에 따라 석쇠 직화구이 본연의 깊고 독특한 식감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육류나 어류의 누리고 비린 잔맛이 남아 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석쇠를 이용한 구이물의 구이시 육즙 등의 낙하물이 열원부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그 사이에 낙하물 차단용 단열하우징을 설치하거나, 열원부를 본체부의 내벽 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연기나 화염 등의 원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도록 한 직화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는, 내부에 수납공간(S)이 마련되며, 적어도 상측이 개구(101)되는 본체부(100); 상기 개구(101)에 얹혀지는 석쇠(200); 상기 수납공간(S)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석쇠(200) 위에 올려진 구이물에 열을 가하여 구워주는 열원부(300); 및 상기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이 상기 열원부(3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벽측에 치우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공간(410)이나, 또는 상기 석쇠(200)와 열원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조물(4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낙하물 차단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는, 본체부의 내벽측에 치우치게 마련되는 대피공간으로 이루어진 낙하물 차단부를 구비해줌으로써, 석쇠의 구이물로부터 떨어지는 육즙이나 구이 조각 등이 열원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해줄 수 있다.
또한 석쇠와 열원부 사이에 별도의 단열하우징을 설치하되, 상부의 면적이 적어도 숯통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석쇠의 낙하물이 숯통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하우징의 내부에 물을 충전해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줌으로써 충전된 물에 의해 단열하우징 표면의 온도를 낮춰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낙하물에 의한 연기의 발생을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열원부에 연소공기를 공급해주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에 슬라이딩 또는 선회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 정도를 조절해주는 공기조절판을 포함하는 연소공기공급부를 구비해줌으로써, 열원부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조작부를 통해 본체부의 개구에 얹혀지는 석쇠를 두 장으로 포갠 후 이를 360°회전조작 가능하게 설치해줌으로써 구이물을 반복적으로 뒤집어주지 않고도 구이물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구워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의 상부에 석쇠의 상측을 덮어주는 덮개를 구비하여 구이물의 구이면과 반대면이 온도차를 줄여줄 수 있음으로써 구이물을 균일하게 구워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원부의 하측에 화력을 높이기 위한 보조 가열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열원부의 손쉬운 점화는 물론, 화력을 선택적으로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받침대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 (a)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차단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차단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차단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하물 차단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하우징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하우징의 다른 실시예,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하우징의 다양한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케이스 구조로 형성된 본체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공기공급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공기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17는 내지 도 19a,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에 구비된 회전조작부 및 이의 작동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에 덮개가 구비된 상태도,
도 21은 도 20의 'A'부분 확대도 및 작동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에 보조 가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내부에 설치된 집유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화구이기(1)는, 본체부(100), 석쇠(200), 열원부(300), 낙하물 차단부(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00)는 직화구이기(1)의 주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는 수납공간(S)이 마련되며 적어도 상측이 개구(101) 된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도 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쇠(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이나 사각통, 또는 다각통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0)의 내부 하측에는 석쇠(200)에 올려진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을 수납해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집유받침대(120)가 구비된다.
또한 석쇠(200)가 얹혀지게 되는 본체부(100)의 개구(101) 테두리에는 단열받침대(110)가 구비된다. 단열받침대(110)는 도 3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에 형성된 개구(101)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링 또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받침대(110)는 중공재, 물 또는 기타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종류의 액체(이하, 물이라 통칭함)가 충전되는 중공재, 진공재, 금속재, 목재, 세라믹, 탄소재, 내열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열받침대(110)가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중공재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받침대(110) 내부에 물을 충전해줌과 아울러 충전된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주입/배출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석쇠(200)는 본체부(100)의 개구(101)에 얹혀지는 것으로, 그 위에 다양한 종류의 구이물(M)이 올려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쇠(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석쇠살(201)은 그 직경이 가늘게 형성된다.(도 1 참조) 즉 석쇠(200)는 석쇠살이 굵게 형성된 경우 구이물과 맞닿는 부위가 많아져 쉽게 눌어붙게 되고, 이로 인해 구이물의 표면이 쉽게 타거나 연기가 발생의 원인이 된다. 다시 말해, 구이물을 구워주는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주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석쇠살(201)은 직경이 0.1 ~ 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석쇠살(201)이 구비된 석쇠(200)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특허 제10-1114774호로 선 출원된바 있으므로, 이하 석쇠(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열원부(300)는 본체부(100)의 내부 수납공간(S)에 위치되어 석쇠(200) 위에 올려진 구이물(M)에 열을 가하여 구워주는 역할을 한다. 열원부(300)는 숯통(301)에 담긴 숯(303)이나 화목(火木), 석탄, 연탄, 도시가스, LPG가스, 부탄가스, 또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열매체 중 어느 하나를 열원(熱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숯(303)을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열원부(300)는 연소공기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수납공간(S)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 설치된 거치대(304) 상에 놓일 수 있다. 거치대(304)에는 숯통(301)의 저면을 통해 연소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낙하물 차단부(400)는 석쇠(200)의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육즙이나 구이 조각 등(이하, 낙하물이라 통칭함)이 열원부(3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낙하물 차단부(400)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낙하물 차단부(400)는 열원부(300)가 개구(101)의 직하방을 피해 설치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내벽측에 치우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공간(410)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대피공간(410)은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본체부(100) 내부의 형상에 맞게 개구(101)의 수직 중심축선상을 회전중심으로 소정각도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대피공간(410)에는 하나의 열원부(3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대피공간(410)의 내부 상측은 내벽에서 개구(101)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둔각(θ)의 경사면(4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411)은 열원부(300)에서 방열, 방사되는 열류와 적외선이 최소한의 저항으로 구이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대피공간(410)의 내벽과 개구(101) 테두리 사이의 수평거리(L)는, 적어도 열원부(300)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수평거리(L)가 직경(d)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에는 열원부(300) 내에 구이물(M)의 낙하물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낙하물 차단부(400)는 상기한 대피공간(410)의 구조 이외에 상기 석쇠(200)와 열원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조물(42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물(420)은 본체부(100)의 내측벽에서 개구(101)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는 경사판(4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사판(421)은 수평투영면적(D)이 열원부(300)의 직경(d)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판(421)은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101)의 수직 중심축선상을 회전중심으로 소정각도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낙하물 차단부(400)를 구성하는 구조물(420)은 본체부(100) 내의 수직 중심축선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물(420)은 열원부(300)의 직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소정 두께의 수평판넬(422)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평판넬(422)의 상면이나 저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에, 바람직하게는 수평판넬(422)의 상면에는 단열재(422a)가 더 적층될 수 있다. 즉 열원부(300)에 의해 뜨겁게 가열된 수평판넬(422)의 상면에 구이물(M)로부터 낙하물이 떨이지는 경우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판넬(422)의 상면에는 소정 두께의 단열재(422a)가 더 적층되어 수평판넬(422)의 상면이 뜨겁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원부(300)에 놓이는 숯통(301)의 상단과, 그 직상부에 지지대(424)를 매개로 이격설치되는 수평판넬(422)의 저면은 적어도 일정높이(H)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열원부(300)의 수직 중심축 선상에서 숯통(301)의 상단 지점을 'A'라 하고, 수평판넬(422)의 저면 양측 모서리부를 'B'라 하였을 때, 'A'와 'B'를 연결한 직선(C)의 상측 연장부가 적어도 석쇠(200)의 구이존(Z2)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직선(C)의 상측 연장부가 본체부(100) 내측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는 석쇠통(301)과 수평판넬(422)의 이격 높이(H)가 낮게 설정된 것으로, 이 경우 열원부(300)의 열이 석쇠(2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숯통(301)과 수평판넬(422)의 이격 높이(H)를 상기와 같이 직선(C)의 위치가 구이존(Z2) 내에 위치하도록 적절하게 설정해줌으로써 열원부(300)의 열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42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단열하우징(4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하우징(423)는 지지대(424)를 매개로 열원부(300)의 직상부에 일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단열하우징(423)은 낙하물이 숯통(301)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의 면적이 적어도 숯통(301)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하우징(423)은 도 9에서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며, 꼭짓점 또는 꼭지선 이나 모서리, 곡면(유선형) 등이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형상, 예컨대 원뿔 또는 다각뿔 등과 같은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하우징(423)은 열원부(300)의 직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열하우징(423)의 저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열원부(300)로부터 발생하는 열 및 적외선을 차단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단열하우징(423)의 하부는 석쇠(200) 측으로 열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원뿔이나 다각뿔과 같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상기 단열하우징(42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저면과 하측의 열원부(300)는 소정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열하우징(423)과 열원부(300)의 사이가 너무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열원부(300)로부터 발생한 적외선과 열류가 상측의 구이물에 용이하게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열원부(300)와 석쇠(200)의 구이물간 조사각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단열하우징(423)과 열원부(300) 사이의 높이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열하우징(423)이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내부에는 물이 충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상부에는 내부 수납공간에 물을 충전해줄 수 있도록 주입구(423a)가 구비되고, 주입구(423a)에는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캡(425)이 결합된다. 그리고 캡(425)에는 단열하우징(423) 내부의 충전된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425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하우징(423)은 하측의 열원부(300)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구조임에 따라 단열하우징(423)의 표면이 고온으로 달궈지게 된다. 이때, 달궈진 단열하우징(423)의 상부 표면에 낙하물이 떨어지는 경우 이 낙하물이 연소되면서 연기가 발생하는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단열하우징(423)의 내부에 물을 충전해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줌으로써 충전된 물에 의해 단열하우징(423) 표면의 온도를 낮춰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낙하물에 의한 연기의 발생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구(425a)가 캡(425)에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배출구(425a)가 단열하우징(423)의 상부에 복수 개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하우징(423)은 내부의 공간이 적어도 하나의 격판(423b)을 매개로 상하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된 단열하우징(423)의 상측 공간에는 주입구(423a)를 통해 물이 충전되고, 하측 공간에는 중공이나 진공, 단열재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단열하우징(423) 내부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열원부(300)의 열에 의해 단열하우징(423) 내부에 충전된 물이 쉽게 가열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단열하우징(423)의 수납공간을 상하 복수로 구획한 다음, 열원부(300)와 인접하는 하측의 내부공간에 단열재 선택적으로 충전하거나, 또는 하측의 내부공간을 중공이나 진공의 상태로 적용하여 열의 전도를 늦춰줄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단열하우징(423)의 상부 공간에 가해지는 열의 온도를 낮춰줄 수 있다.
또한 단열하우징(423)의 상면에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물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집유홈부(423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열하우징(423) 내부의 공간을 격판(423b)을 이용하여 상하 구획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의 수납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d에서와 같이, 단열하우징(423)의 몸체를 상, 하부로 분리가능하게 형성하여 각각 독립적인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단열하우징(423)이 적용된 구조물(420)은 단열하우징(423) 표면의 과열방지는 물론, 배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석쇠(200)의 상면 중심부에 구이물 보온존(Z1)을 형성할 수 있다.(도 8 참조)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구조물(420) 직상부에 위치한 석쇠(200)의 소정의 부위는 열원부(300)로부터 열이 직접 가해지지 않고, 상기 배출구(425a)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수증기가 그 구조상 석쇠(200)의 중심부에 집중된다. 따라서, 석쇠(200)의 중심부는 어느 정도 구워진 구이물을 모아놓고 소정의 온도로 보온을 유지해주는 보온존(Z1)으로 사용하고, 그 이외의 부위는 구이물을 고온으로 구워주는 구이존(Z2)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e에서와 같이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외주면에는 반사체(423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체(423d)는 후술할 본체부(100) 내주면의 반사체(103)와 더불어 열원부(300)로부터 발생하는 열 및 적외선을 석쇠(200) 측으로 난반사 시켜줌으로써, 구이물(M)을 효율적으로 가열해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광하협의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의 단열하우징(423) 내부의 상하를 구획하여 물 또는 단열재를 충전해주는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11f에서와 같이 상기 단열하우징(423)을 저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소정 두께의 다각면체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도 11g에서와 같이 상기 단열하우징(423)을 도 11a 내지 도 11e에서와 마찬가지로 내부공간을 격판(423b)을 이용하여 상하 구획하되, 상부에 물을 충전하고 하부는 중공이나 진공, 또는 단열재(423e)를 충전하는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의 단열하우징(423)을 도 7에서 언급한 수평판넬(422) 위에 선택적으로 얹혀놓는 구조로 변경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착탈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4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리부(427)가 단열하우징(423)의 상면에 구비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뜨겁게 달궈진 단열하우징(423)의 용이한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를 이중케이스 구조로 구성하여 단열성능 및 열원부(300)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외통(100a)과, 외통(100a)의 내측면에 이격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내통(1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공간에는 물, 유/무기 보온재, 탄소 단열재 중 어느 하나가 충전되거나, 또는 중공(中空), 진공(眞空)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내통(100b)의 내주면에는 열원부(300)로부터 발생하는 열 및 적외선을 석쇠(20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라믹 또는 금속재질의 반사체(103)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반사체(103)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 복사에너지는 구이물(M)의 표피층에 파고들어가 열에너지로 바뀌게 되면서 구이물을 구워주게 되고, 이에 따라 육즙이 마르지 않고 겉과 속이 균일한 구이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열원부(300)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해주는 연소공기공급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공기공급부(500)는 본체부(100)의 하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관통 형성되어 열원부에 연소공기를 공급해주는 공기유입구(510)와, 상기 공기유입구(510) 일측의 가이드레일(511)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 정도를 조절해주는 공기조절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조절판(520)은 도 14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513)에 나사결합된 승강볼트(515)를 매개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유입구(510)를 개폐시켜주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공기공급부(500)는 상측의 힌지축(531)을 회전중심으로 상향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유입구(510)를 개폐시켜주는 공기조절판(530)과, 상기 공기유입구(510)의 개구와 대향되는 공기조절판(530)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되 선회반경을 따라 소정각도 이격되게 복수의 체결공(533a)이 형성되는 지지부재(533)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체결됨과 동시에 복수의 체결공(533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결합핀(535)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조절판(520)을 소정의 각도에서 고정시키는 조작을 통해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해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소공기공급부(500)를 두 가지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소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해줄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연소공기공급부(500)가 구비된 직화구이기(1)는 본체부(100)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상온의 공기가 집유받침대(120)를 거쳐 유입됨에 따라, 연소공기를 공급해줌과 아울러, 집유받침대(120)를 공랭(空冷)시켜줄 수 있는 작용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개구(101)에 얹혀지는 석쇠(200)는 회전조작부(600)에 의해 개구(101)의 수평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360°회전조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석쇠(200)에 올려지는 구이물은 열원부(300)와 접하는 면은 빨리 구워지고, 반대면은 느리게 구워짐에 따라 일정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뒤집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석쇠(200)에 올려진 구이물(M)이 많을 경우에는 일일이 뒤집기에 다소 번거로운 감이 있다. 특히, 생선류의 경우에는 구워지면서 표피가 석쇠살(201)에 눌어붙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사이에 구이물(M)이 개재되도록 석쇠(200) 두 장을 포개어 회전조작해주는 방식으로 구이물을 효율적으로 구워줄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회전조작부(600)는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되 결합공(105)에 회전축(6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석쇠(200)의 양측을 고정해주는 한 쌍의 석쇠틀(610)과, 상기 회전축(611)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석쇠(200)를 회전조작해주는 핸들(6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611)은 도 19a 및 도 19b에서와 같이 탄성스프링(613)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 결합공(105)에 결합되어, 석쇠틀(610)이 사이의 석쇠(200) 측으로 탄성 지지해줌으로써 석쇠(200)의 견고한 위치고정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 경우 회전축(611)에는 탄성스프링(613)이 결합공(105)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와셔(6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개구(101) 및 석쇠(200)를 덮어주는 덮개(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석쇠(200)에 올려진 구이물은 열원부(300)와 접하는 면과 반대면의 온도차로 인해 구워지는 속도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상기 덮개(700)를 이용하는 경우 구이물의 구이면과 반대면이 온도차를 줄여줄 수 있음으로써 구이물(M)을 균일하게 구워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700)에는, 석쇠(200)에 올려진 내부의 구이물(M)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확인창(710)과, 내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계(720)와, 구이물의 굽는 시간을 설정해주는 타이머(730), 손잡이(74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덮개(700)에는 내부의 연기를 배출시켜주는 배기구(750)와, 상기 배기구(75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편심축(751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75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열원부(300)에는 숯통(301)에 담긴 숯(303)을 점화하거나, 화력을 높이기 위한 보조 가열수단(8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가열수단(800)은 숯통(301)이 내부에 얹혀지는 밀폐하우징(801)과, 상기 밀폐하우징(801)의 내부에 숯통(301)의 저면을 향해 설치되는 분사구(810)와, 상기 분사구(810)에 도시가스, LPG, 부탄가스 중 어느 하나의 연료를 공급해주는 공급관(820)과, 상기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켜주는 점화수단(830) 및 상기 밀폐하우징(801) 내부에 연소공기를 공급해주는 송풍팬(8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팬(840)은 숯통(301)이 상면에 놓이게 되는 밀폐하우징(801)과 유도관(841)을 통해 연결되어, 밀폐하우징(801)의 내부에 연소공기를 강제로 공급해주게 된다. 공급된 연소공기는 숯통(301)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직상부로 공급됨으로써 열원부(300)의 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료를 분사해주는 분사구(810)와 송풍팬(840)은 동시에 작동되거나 또는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내부에 설치된 집유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체부(100) 내에 열원부(300)를 중심에 두고 설치되는 집유받침대(120)는 열원부(300)가 놓이는 거치대(304)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S)을 하부공간(S1)과 상부공간(S2)으로 상하 구획해주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공간(S1)에는 열원부(300)에 연소공기를 공급해주는 공기유입구(51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구(510)를 통해 하부공간(S1)으로 유입된 연소공기는 거치대(304)의 통공(305) 및 열원부(300)를 통과함과 동시에 열원부(300)의 열에 의해 뜨겁게 가열된다. 가열된 연소공기는 상부공간(S2) 내에 공급되면서 구이물(M)을 중온으로 구워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열원부(300)가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대칭으로 치우치게 결합된 구조의 경우에는 상기 집유받침대(120)를 열원부(300)의 사이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집유받침대(120)는 열원부(300)가 놓이게 되는 거치대(304)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공간(S)을 공기유입구(510)가 형성되는 하부공간(S1)과, 상부공간(S2)으로 상하 구획해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직화구이기는, 석쇠(200)를 이용한 구이물(M)의 구이시 발생하게 되는 육즙 등의 낙하물이 열원부(300)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그 사이에 소정의 구조물(420)을 설치하거나, 열원부(300)의 위치를 본체부(100)의 내부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연기나 화염 등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해줄 수 있다.
또한 직화구이기(1)를 구성하는 본체부(100)를 외통(100a)과 내통(100b)의 이중구조로 구성하되, 그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를 충전해주고, 내통(100b)의 내주면에 반사체(103)를 더 설치해줌으로써 단열성능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 직화구이기 100 : 본체부
101 : 개구 103 : 반사체
105 : 결합공 110 : 단열받침대
111 : 주입/배출부 120 : 집유받침대
200 : 석쇠 201 : 석쇠살
300 : 열원부 301 : 숯통
303 : 숯 304 : 거치대
400 : 낙하물 차단부 410 : 대피공간
411 : 경사면 420 : 구조물
421 : 경사판 422 : 수평판넬
422a : 단열재 423 : 단열하우징
423a : 주입구 423b : 격판
423c : 집유홈부 423d : 반사체
425 : 캡 425a : 배출구
500 : 연소공기공급부 510 : 공기유입구
511 : 가이드레일 513 : 고정브라켓
515 : 승강볼트 520, 530 : 공기조절판
531 : 힌지축 533 : 지지부재
535 : 결합핀 600 : 회전조작부
610 : 석쇠틀 611 : 회전축
613 : 탄성스프링 615 : 와셔
700 : 덮개 710 : 확인창
720 : 온도계 730 : 타이머
740 : 손잡이 750 : 배기구
751 : 개폐판 751a : 편심축
800 : 보조 가열수단 810 : 분사구
820 : 공급관 830 : 점화수단
840 : 송풍팬 841 : 유도관
S : 수납공간 S1 : 하부공간
S2 : 상부공간

Claims (38)

  1. 내부에 수납공간(S)이 마련되며, 적어도 상측이 개구(101)되는 본체부(100);
    상기 개구(101)에 얹혀지는 석쇠(200);
    상기 수납공간(S)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석쇠(200) 위에 올려진 구이물에 열을 가하여 구워주는 열원부(300); 및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이 상기 열원부(3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도록 상기 석쇠(200)와 열원부(300) 사이에 설치된 구조물(420)을 구비하는 낙하물 차단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420)은,
    상기 열원부(300)의 직상부에 지지대(424)를 매개로 소정 높이(H) 이격 설치되는 수평판넬(422)이며,
    상기 수평판넬(422)의 상면이나 저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에는 단열재(422a)가 적층된 것을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2. 내부에 수납공간(S)이 마련되며, 적어도 상측이 개구(101)되는 본체부(100);
    상기 개구(101)에 얹혀지는 석쇠(200);
    상기 수납공간(S)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석쇠(200) 위에 올려진 구이물에 열을 가하여 구워주는 열원부(300); 및
    상기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이 상기 열원부(3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벽측에 치우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공간(410)이나, 또는 상기 석쇠(200)와 열원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조물(4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낙하물 차단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석쇠(200)가 얹혀지는 개구(101) 테두리에는 중공재, 진공재, 금속재, 세라믹, 탄소재, 내열프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열받침대(110);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받침대(110)는 중공의 원형링 또는 다각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물이 충전되거나 충전된 물이 가열되어 발생한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주입/배출부(111);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외통(100a);
    상기 외통(100a)의 내측에 이격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내통(10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는,
    물, 유무기 보온재, 탄소 단열재 중 어느 하나가 충전되거나, 중공(中空) 또는 진공(眞空)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열원부(300)로부터 발생하는 열 및 적외선을 상기 석쇠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라믹 또는 금속 재질의 반사체(103);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을 수납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집유받침대(120);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200)가 얹혀지는 개구(101) 테두리에는,
    중공재, 진공재, 금속재, 세라믹, 탄소재, 내열프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열받침대(110);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받침대(110)는,
    중공의 원형링 또는 다각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물이 충전되거나 충전된 물이 가열되어 발생한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주입/배출부(111);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300)는,
    숯통(301)에 담긴 숯(303)이나 화목(火木), 석탄, 연탄, 또는 도시가스, LPG가스, 부탄가스, 또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되는 열매체 중 어느 하나를 열원(熱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공간(41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101)의 수직 중심축선상을 회전중심으로 소정각도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공간(410)의 내부 상측은,
    내벽에서 개구(101)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둔각의 경사면(411)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원부(300)에서 방열, 방사되는 열류와 적외선이 구이물(M)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공간(410)의 내벽과 상기 개구(101) 테두리 사이의 수평거리(L)는,
    적어도 상기 열원부(300)의 직경(d)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42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벽에서 상기 개구(101)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되, 수평투영면적(D)이 상기 열원부(300)의 면적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경사판(4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421)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101)의 수직 중심축선상을 회전중심으로 소정각도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넬(422)의 상면에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단열하우징(423)이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420)은,
    상기 본체부(100)의 수직 중심축선상에 지지대(424)를 매개로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단열하우징(4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423)은,
    꼭짓점 또는 꼭지선이나 모서리, 곡면 부위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423)은,
    저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상부에는,
    내부의 수납공간에 물을 충전해줄 수 있도록 주입구(423a);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423a)를 개폐시켜주는 캡(425);을 더 포함하되,
    상기 캡(425)에는 단열하우징(423) 내부에 충전된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한 수증기를 배출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425a);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상부에는,
    내부에 충전된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한 수증기를 배출해주는 복수의 배출구(425a)가 이격되게 관통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423)은,
    내부가 격판(423b)을 매개로 상, 하부로 구획되거나, 또는 몸체가 상, 하부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몸체 내에는 물이 충전되고, 하부 몸체 내부는 중공, 진공, 단열재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상면은,
    상기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집유홈부(423c);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열원부(300)로부터 발생하는 열 및 적외선을 반사시켜주는 반사체(423d);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열원부(300)에 연소공기를 공급해주는 공기유입구(510)와, 상기 공기유입구(510)에 슬라이딩 또는 선회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 정도를 조절해주는 공기조절판(520)을 포함하는 연소공기공급부(500);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28. 내부에 수납공간(S)이 마련되며, 적어도 상측이 개구(101)되는 본체부(100);
    상기 개구(101)에 얹혀지는 석쇠(200);
    상기 수납공간(S)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석쇠(200) 위에 올려진 구이물에 열을 가하여 구워주는 열원부(300); 및
    상기 구이물(M)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이 상기 열원부(3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내벽측에 치우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공간(410)을 구비하는 낙하물 차단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석쇠(200)는,
    사이에 구이물(M)이 개재되도록 두 장을 포갠 상태로 상기 개구(101)의 중심 수평선상에서 360°회전조작해주는 회전조작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조작부(600)는,
    상기 개구(101)의 내부 양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되 결합공(105)에 회전축(61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석쇠(200)의 양측을 고정해주는 한 쌍의 석쇠틀(610); 및
    상기 회전축(611)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석쇠(200)를 회전조작해주는 핸들(620);을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틀(610)은,
    상기 회전축(611)에 탄성스프링(613)이 끼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공(105)에 결합되어 상기 석쇠(200) 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30. 제1항, 제2항, 제2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상기 개구(101)에 얹혀진 석쇠(200)를 덮어주는 덮개(700);를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700)에는,
    석쇠(200)에 올려진 내부의 구이물(M)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확인창(7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해주는 온도계(720); 및
    상기 구이물(M)의 굽는 시간을 설정해주는 타이머(730);를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700)에는,
    내부의 연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기구(750); 및
    상기 배기구(75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줄 수 있도록 편심축(751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751);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3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300)는,
    숯통(301)에 담긴 숯(303)을 가열해주는 보조 가열수단(8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가열수단(800)은,
    상기 숯통(301)이 내부에 얹혀지는 밀폐하우징(801);
    상기 밀폐하우징(801)의 내부에 숯통(301)의 저면을 향해 설치되는 분사구(810); 및
    상기 분사구(810)에 도시가스, LPG, 부탄가스 중 어느 하나의 연료를 공급해주는 공급관(820);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3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유받침대(120)는,
    상기 열원부(300)가 놓이는 거치대(304)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S)을 하부공간(S1)과 상부공간(S2)으로 상하 구획하되, 상기 하부공간(S1)에는 열원부(300)에 연소공기를 공급해주는 공기유입구(510)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510)를 통해 하부공간(S1)으로 유입된 연소공기가 상기 열원부(300)를 통과함과 동시에 데워지면서 상기 상부공간(S2)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넬(422)의 이격 높이(H)는,
    상기 열원부(300)의 수직 중심축 선상에서 숯통(301)의 상단 지점을 'A'라 하고, 수평판넬(422)의 저면 양측 모서리부를 'B'라 하였을 때, 상기 'A'와 'B'를 연결한 직선(C) 상측 연장부가 적어도 상기 석쇠(200)의 구이존(Z2)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기.
  3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하우징(423)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착탈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427);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열수단(800)은,
    상기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시켜주는 점화수단(830);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열수단(800)은,
    상기 밀폐하우징(801) 내부에 연소공기를 공급해주는 송풍팬(840);을 더 포함하는 직화구이기.
KR1020140024926A 2014-03-03 2014-03-03 직화구이기 KR10142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926A KR101428964B1 (ko) 2014-03-03 2014-03-03 직화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926A KR101428964B1 (ko) 2014-03-03 2014-03-03 직화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964B1 true KR101428964B1 (ko) 2014-09-22

Family

ID=5175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926A KR101428964B1 (ko) 2014-03-03 2014-03-03 직화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3454A (zh) * 2018-12-20 2021-11-26 宣城市博思特日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环保型烧烤炉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628A (ko) * 2009-10-19 2011-04-27 최명수 숯불 구이기
KR20130005673A (ko) * 2011-07-07 2013-01-16 지능형 홈 기술 주식회사 음성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628A (ko) * 2009-10-19 2011-04-27 최명수 숯불 구이기
KR20130005673A (ko) * 2011-07-07 2013-01-16 지능형 홈 기술 주식회사 음성유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3454A (zh) * 2018-12-20 2021-11-26 宣城市博思特日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环保型烧烤炉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1424A1 (en) High efficiency wind resistant kettle grill
CN105708346B (zh) 用于直接和间接烹饪的燃料高效的烤架
EP2084460B1 (en) Radiant tube broiler
CN101563009B (zh) 具有凹形放射器的烹饪装置
KR101582538B1 (ko) 양방향조리기구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KR20160012486A (ko) 가스 구이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KR100645031B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738814B1 (ko)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KR101428964B1 (ko) 직화구이기
KR101670628B1 (ko) 급속 가열 및 화력 조절이 가능한 구이 화덕
US6564793B2 (en) Rotating firebox barbeque grill
KR101894202B1 (ko) 대용량 솥
US20120060699A1 (en) Cooking grill with revolving closure
KR101780387B1 (ko) 숯가스 발생 장치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JP3228962U (ja) ペレットストーブ
KR102073863B1 (ko) 상부 세라믹 가열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가스그릴의 구조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102591827B1 (ko)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KR101721369B1 (ko) 보조요리를 겸하는 구이 화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