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628A - 숯불 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628A
KR20110042628A KR1020090099382A KR20090099382A KR20110042628A KR 20110042628 A KR20110042628 A KR 20110042628A KR 1020090099382 A KR1020090099382 A KR 1020090099382A KR 20090099382 A KR20090099382 A KR 20090099382A KR 20110042628 A KR20110042628 A KR 2011004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ain body
unit
storage unit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수
Original Assignee
최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수 filed Critical 최명수
Priority to KR102009009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2628A/ko
Publication of KR2011004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기름 연소에 의한 연기 발생을 방지하는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숯 저장부는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숯을 담을 수 있다. 점화 가열부는 숯 저장부의 하부면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숯 저장부의 숯을 점화한다. 상단부는 열포집부와 거치부를 구비하며 숯 저장부의 상부를 가린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부가 숯 저장부의 상부를 가리므로 석쇠에 올려진 고기의 기름이 숯 위로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기를 구울 때 고기 기름의 연소에 의한 연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숯 저장부의 하부에 점화 가열부가 위치하므로 숯을 외부에서 점화하여 가져올 필요가 없다.
숯불 구이기, 숯 저장부, 점화 가열부, 중공체, 고기 기름, 연기 발생

Description

숯불 구이기 {Charcoal fire roaster}
본 발명은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숯 저장부와 점화 가열부가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단부가 숯 저장부의 상부를 가려 석쇠에 올려진 고기의 기름이 숯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숯불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펜션 등에서 고기를 구워 먹기 위해서는 구이기를 사용한다. 구이기는 가스불과 같은 불꽃에 직접 고기를 가열하는 직화식과, 숯불과 같이 불꽃이 아닌 열기로 고기를 가열하는 간접식이 있다. 직화식의 경우 고기가 빨리 익어 편리하지만, 익는 과정에서 직화열로 인해 고기가 겉부터 익으며 고기가 마르고 딱딱해져 맛이 떨어진다. 그에 비해 간접식은 복사열로 인해 화력이 일정하고 고기가 속부터 익으며 육즙이 마르지 않아 고기가 연하고 맛있다.
그러나 간접식은 외부에서 숯불을 피워서 가져와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한 인건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화력이 약해져 고기를 더 구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기 굽는 과정에서도 숯불에 의한 연기가 발생하며, 특히 고기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는 경우 많은 연기가 발생한다. 실제로 고기 구울때 발생되는 연기는 고기가 타는 것에 의한 연기가 20%, 석쇠에 묻은 기름이 타는 연기가 20%, 숯불에 떨어진 기름이 타는 연기가 60%이다. 이러한 연기의 발생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나빠지며, 사용자는 눈이 매워 식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식당이나 펜션을 운영하는 업자에게 이러한 연기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기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기 기름이 숯불에 떨어져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숯불을 외부에서 피워서 가져올 필요가 없이 내부에서 숯불을 발화시키고 숯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숯불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는 본체부, 숯 저장부, 점화 가열부, 상단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상부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다. 숯 저장부는 중앙이 비어있고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숯을 담을 수 있다. 점화 가열부는 본체부의 내부에서 숯 저장부의 하부면을 따라 이웃하여 위치하며, 숯 저장부의 숯을 점화 또는 가열한다. 점화 가열부는 가스를 이용한 가열장치일 수 있다. 상단부는 중공체 형상으로, 열포집부와 거치부를 구비한다. 열포집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거치부에는 석쇠가 거치된다. 상단부는 숯 저장부의 상부를 가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에서 거치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날개부의 높이는 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숯 저장부는 하부면의 일부가 위쪽 으로 돌출되어 하부면의 외측에 외측공간이 형성된다. 숯 저장부는 위쪽으로 돌출된 하부면에 환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점화 가열부는 외측공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는 기름받이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름받이통은 본체부의 내부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한다. 기름받이통은 기름 흡착지와 물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는 단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는 본체부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본체부를 차단한다.
본 발명은 상단부가 숯 저장부의 상부를 가려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기름이 숯불 위로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기를 구울 때 고기 기름의 연소에 의한 연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화 가열부가 숯 저장부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이를 이용해 숯불을 발화시키고 숯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숯불을 외부에서 가열하여 가져올 필요가 없다. 또한 고기를 올리는 석쇠가 숯불의 간접 열기에 의해 달궈지므로, 고기가 석쇠에 달라붙지 않고 석쇠의 세척도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 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100)는 본체부(110), 숯 저장부(120), 점화 가열부(130), 상단부(140), 기름받이통(150), 단열부(160)를 포함한다. 숯 저장부(120), 점화 가열부(130), 기름받이통(150)은 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단부(140)는 본체부(110)의 상단에 거치되어 본체부(110) 내부에 위치한다.
본체부(110)는 상부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기둥, 다각형기둥과 같인 내부가 비어 있는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하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환풍구멍(111)이 형성될 수 있다. 환풍구멍(111)에 의해 외부 공기가 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숯이 잘 연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풍구멍(111)이 본체부(110)의 밑면으로부터 약 3㎝ 정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환풍구멍(111)의 높이가 약 2㎝ 정도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풍구멍(111)은 복수의 층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숯불의 화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환풍구멍(111)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 본체부(110)의 중상부에는 환풍구멍(111)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숯 저장부(120)에는 숯이 담긴다. 숯 저장부(120)는 중앙이 비어있으며 본체 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숯을 담을 수 있는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숯 저장부(120)가 중앙이 직경 a만큼 비어있는 도너츠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10)의 형상에 따라 숯 저장부(120)도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숯 저장부(120)의 하부면에 환기구멍(121)이 형성된다. 환기구멍(121)을 통해 숯이 공기와 접해 잘 연소된다.
점화 가열부(130)는 숯 저장부(120)의 하부면을 따라 인접하여 위치한다. 점화 가열부(130)는 숯 저장부(120)에 담겨있는 숯을 점화 또는 가열한다. 사용자는 점화 가열부(130)를 이용해 숯불을 발화시킬 수 있으며, 숯불이 약해진 경우 가스를 조절하여 숯불을 세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점화 가열부(130)는 가스를 이용한 가열장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가열 장치가 될 수 있다.
점화 가열부(130)는 가스노즐(131)과 가스 조절장치(133)를 구비한다. 가스노즐(131)에는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구멍(1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노즐(131)의 직경은 1.5㎝이고, 가스구멍의 지름은 0.5㎜이며, 가스구멍(132)의 간격은 1㎝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구멍(132)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연소하면서 숯 저장부(120)에 있는 숯을 가열한다. 이 때 가스 불은 숯 저장부(120)의 환기구멍(121)을 통해 숯을 가열한다. 열 효율을 높이고 가스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숯 저장부(120)와 점화 가열부(130)가 본체부(110)에 장착되었을 때, 가스구멍(132)과 환기구멍(121)이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조절장치(133)는 가스구멍(132)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배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킬 수 있다. 숯불 구이기(100)가 식탁 등에 설치되는 경우 가스 조절장 치(133)는 식탁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불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점화 가열부(130)에 사용되는 가스는 휴대용 부탄가스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LPG가스 또는 LNG가스도 가능하다.
상단부(140)는 열포집부(141)와 거치부(142)를 구비한다. 열포집부(141)의 상부와 거치부(142)의 하부는 서로 접해있다. 열포집부(141)와 거치부(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열포집부(141)는 원추중공체 형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진다. 이는 숯 저장부(120)에서 발산되는 열을 석쇠 쪽으로 모아주어, 열효율을 높이고 고기가 빨리 익도록 하기 위함이다.
거치부(142)에는 고기를 올려놓는 석쇠가 거치된다. 이를 위해 석쇠가 거치되는 석쇠 거치단(143)이 형성된다. 석쇠는 석쇠 거치단(143)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부(142)는 날개부(144)를 구비한다. 날개부(144)는 석쇠 거치단(143)에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이다. 날개부(144)는 석쇠에 올려진 고기가 외부 바람에 의해 영향 받는 것을 차단한다. 거치부(142)가 날개부(144)를 구비함으로 인해, 열기가 바람에 날리지 않아 고기가 더 잘 익고, 냄새 및 연기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날개부(144)의 높이가 높으면 바람에 의한 영향을 덜 받으나 사용자가 고기를 굽거나 집기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바람에 의한 영향을 차단하면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 날개부(144)의 바람직한 높이는 약 5㎝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부(144)의 높이가 약 5㎝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단부(140)의 상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치부(142)의 상단에는 손잡이 부(145)가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45)를 이용해 상단부(140)의 착탈을 쉽게 할 수 있다.
상단부(140)가 본체부(110)에 장착되면, 상단부(140)는 숯 저장부(120)의 상부를 가린다. 즉, 숯 저장부(120)의 중앙 직경(a)은 열포집부(141)의 하부 직경(b) 보다는 작고 상부 직경(c) 보다는 크다. 이로 인해 고기를 구울 때 거치부(142)에 거치된 석쇠에서 떨어지는 고기의 기름이 숯 저장부(120)로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기 기름의 연소로 인한 연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부 하부면에는 기름받이통(150)이 위치할 수 있다. 기름받이통(150)은 본체부(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석쇠에 올려진 고기에서 떨어지는 기름은 상단부(140)에 의해 숯 저장부(120)로 떨어지지 않고 본체부(110)의 하부면 중앙으로 떨어진다. 기름받이통(150)은 본체부(110)의 하부면 중앙에 위치하여 석쇠에 올려진 고기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낸다. 기름받이통(150)은 기름 흡착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기름받이통(15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다. 기름받이통(150)이 기름 흡착지와 물을 구비함으로써 숯불 구이기(100)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름 흡착지가 고기 기름을 흡수하므로 고기 기름에 의한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숯불 구이기(100)는 단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160)는 본체부(110)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본체부(110)를 차단한다. 단열부(160)를 포함함으로써,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가 외부 온도에 의해 영향받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숯불 구이기(100)가 식탁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해 다리 등이 본체부(110)에 접촉해 화상을 입을 수 있는데, 단열부(160)는 이러한 부상을 막을 수 있다.
단열부(160)는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바람구멍(161)이 복수개 형성된다. 바람구멍(161)을 통해 외부 공기가 단열부(160) 내부로 유입되고, 단열부(16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부(110)의 환풍구멍(111)을 통해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내부가 비어 있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숯 저장부와 점화 가열부가 위치한다.
본체부(110)의 내측면에는 숯 저장부가 거치되는 숯 저장부 거치단(112)이 형성된다. 숯 저장부 거치단(112)은 본체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턱으로, 숯 저장부의 외주 가장자리가 숯 저장부 거치단(112)에 걸려 숯 저장부가 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본체부(110)와 숯 저장부의 결합 위치는 숯 저장부 거치단(112)에 의해 결정된다. 숯 저장부 거치단(112)의 위치는 본체부(110)의 중상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숯불을 석쇠에 가깝게 하고 본체부(11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환풍구멍과 멀어지도록 하여 숯불의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다만, 숯 저장부 거치단(112)이 너무 높은 곳에 형성되면, 식탁면으로부터 약 5㎝정도 낮게 거치되는 석쇠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지고 열포집부가 과열되므로 적당한 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체부(110)의 상단에는 상단부가 거치되는 상단부 거치단(113)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단부 거치단(113)에는 상단부이 열포집부가 거치된다. 상단부 거치단(113)도 본체부(11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돌출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 저장부와 점화 가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 저장부(120)에는 숯(200)이 담겨진다. 숯 저장부(120)의 하부면에는 환기구멍(121)이 형성된다. 환기구멍(121)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환기구멍(121)은 숯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환기구멍의 지름은 0.5㎝이고 환기구멍들 사이의 간격은 0.5㎝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화 가열부(130)는 숯 저장부(120)의 하부면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점화 가열부(130)와 숯 저장부(120) 사이의 거리는 점화 가열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숯에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너무 멀어서는 안되며, 점화 가열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숯 저장부(120)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너무 가까워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 가열부(130)와 숯 저장부(120) 사이의 거리가 1㎝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화 가열부(130)의 열이 숯 저장부(120)에 잘 전달되면서 숯 저장부(120)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 저장부(120)의 하부면의 일부를 위쪽으로 돌출시켜 하부면의 외측에 외측공간(1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점화 가열부(130)는 외측공간(122)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형성 하는 경우 점화 가열부(130)의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숯 저장부(120)에 집중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숯의 점화가 잘되고, 숯불 구이기의 열 효율이 높아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 가열부의 가스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 가열부의 가스노즐(131)은 숯 저장부와 동일하게 중앙이 비어있는 도너츠 형상이다. 가스노즐(131)에는 가스구멍(132)이 형성된다. 가스구멍(132)은 한 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구멍(132)이 2줄로 형성된다. 이는 점화 가열부의 화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2줄로 가스구멍(132)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가스구멍(132)을 서로 대응되게 나란히 배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안전을 위해서 동일한 열에 위치한 가스구멍(132)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여야 하고, 따라서 전체 가스구멍(132)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협소한 공간에서 더 많은 가스구멍(132)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열에 형성된 가스구멍(132)을 서로 엇갈린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더 많은 가스구멍(132)을 형성할 수 있어 점화 가열부의 발열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숯불 구이기(100)는 단열부(160) 내부에 본체부(110)와 상단부(140)가 수용된다. 본체부(110) 내부에는 숯 저장부(120), 점화 가열부(130), 기름받이통(150)이 위치한다. 상단부(140)는 본체부(110)의 상단에 거치되어 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단부(140)에는 석쇠(300)가 거치된다.
사용자가 고기를 굽기 위해서는, 우선 숯 저장부(120)에 숯(200)이 있는지 확인을 하고, 점화 가열부(130)를 이용해 숯불을 발화시킨다. 숯불이 어느 정도 안정화가 되면, 점화 가열부(130)를 조절하여 숯불 구이기(100) 전체의 화력을 조절한다. 이후 석쇠(300)에 고기(400)를 올리고 고기를 굽는다. 시간이 지나 숯불의 화력이 약해지면 점화 가열부(130)를 조절하여 화력을 세게 할 수 있다.
고기(400)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고기 기름은 직접 기름받이통(150)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상단부(140)로 떨어진다. 상단부(140)에 떨어진 기름은 상단부(140)의 내측면을 따라 흐르고, 자연스럽게 기름받이통(150)으로 떨어진다. 이와 같이, 고기(400)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숯 저장부(120) 및 점화 가열부(130)로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기 기름에 의한 연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석쇠(300)의 종류도 망석쇠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석쇠(3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기를 굽다 보면 열기에 의해 더워져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경우가 많 다. 이 경우 에어컨 바람에 의해 연기가 흩어져 후드로 연기를 빨아들이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에어컨의 바람을 약하게 작동시킬 수 밖에 없으며, 바람이 부는 날에는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거치부가 날개부를 구비하여, 석쇠(300)가 식탁면(500)보다 일정 길이(h) 깊게 거치되면 외부 바람에 의해 연기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에 의한 영향과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석쇠가(300)나 식탁면으로부터 약 5㎝ 정도 깊게 거치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 저장부와 점화 가열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 가열부의 가스노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숯불 구이기 110 : 본체부
120 : 숯 저장부 130 : 점화 가열부
140 : 상단부 150 : 기름받이통
160 : 단열부

Claims (8)

  1. 상부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본체부;
    중앙이 비어있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숯을 담을 수 있는 숯 저장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숯 저장부의 하부면을 따라 이웃하여 위치하며 상기 숯 저장부의 숯을 점화 또는 가열하는 점화 가열부; 및
    중공체 형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열포집부와 석쇠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숯 저장부의 상부를 가리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높이는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숯 저장부는 하부면의 일부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하부면의 외측에 외측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점화 가열부는 상기 외측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숯 저장부는 위쪽으로 돌출된 하부면에 환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하부면에 접하여 위치하는 기름받이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차단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가열부는 가스를 이용한 가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구이기.
KR1020090099382A 2009-10-19 2009-10-19 숯불 구이기 KR20110042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82A KR20110042628A (ko) 2009-10-19 2009-10-19 숯불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82A KR20110042628A (ko) 2009-10-19 2009-10-19 숯불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628A true KR20110042628A (ko) 2011-04-27

Family

ID=4404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382A KR20110042628A (ko) 2009-10-19 2009-10-19 숯불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26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964B1 (ko) * 2014-03-03 2014-09-22 유영환 직화구이기
KR101677596B1 (ko) * 2016-02-17 2016-11-18 백지연 고기구이 장치
KR101909827B1 (ko) * 2017-06-27 2018-10-18 박병준 불판의 기름 배출구조
KR20190092045A (ko) * 2018-01-30 2019-08-07 김현상 전기구이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964B1 (ko) * 2014-03-03 2014-09-22 유영환 직화구이기
KR101677596B1 (ko) * 2016-02-17 2016-11-18 백지연 고기구이 장치
KR101909827B1 (ko) * 2017-06-27 2018-10-18 박병준 불판의 기름 배출구조
KR20190092045A (ko) * 2018-01-30 2019-08-07 김현상 전기구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26B1 (ko) 구이 용기
US5649477A (en) Outdoor cooking device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KR20010077008A (ko) 휴대용 구이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20110042628A (ko) 숯불 구이기
KR100462938B1 (ko) 할로겐 램프에 의해 참숯을 가열하는 로스터 및 가열방법
KR101299119B1 (ko) 기름유도용 구이판을 갖는 훈제겸용 직화 구이기
KR20130053302A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US20130092147A1 (en) Multipurpose charcoal fire igniter
JP2007301327A (ja) 焼き物調理器
KR20120028172A (ko)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KR20100001028U (ko) 직화구이기
US9839322B2 (en) Grill
KR100940370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20140038864A (ko) 참숯 절약형 로스터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100721651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200441569Y1 (ko) 전기식 로스터
KR101613633B1 (ko) 기름가이드를 구비한 숯불구이용 화로장치
KR20140039856A (ko) 무연 숯불구이기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