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22B1 -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구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9422B1 KR101479422B1 KR20130108695A KR20130108695A KR101479422B1 KR 101479422 B1 KR101479422 B1 KR 101479422B1 KR 20130108695 A KR20130108695 A KR 20130108695A KR 20130108695 A KR20130108695 A KR 20130108695A KR 101479422 B1 KR101479422 B1 KR 1014794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charcoal
- lever
- height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익혀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숯을 이용하여 구울 수 있게 한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내공간이 형성되는 구이기 본체에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숯이 올려지는 트레이를 내장하고 트레이의 하단에 밀착되어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케 승강작동을 유도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형성하며, 높이조절수단의 구조를 트레이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축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작동대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작동대에는 구이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레버를 장착하여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트레이를 승,하강시켜 숯불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숯불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화력을 상황에 따라서 즉각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익혀 먹을 수 있는 음식(일명 '피구이물'이라함)을 숯을 이용하여 구울 수 있게 한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숯불과 피구이물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화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고기류나 생선 등 다양한 형태의 음식을 익혀 먹기 위한 수단으로는 전기, 숯불, 가스불 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구이기가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숯불구이기는 육류나 생선 등 여러 가지의 음식물, 즉 피구이물을 숯불로 구워 숯불 맛을 재현할 수 있으므로 맛이 좋아서 숯불구이의 선호도가 높으며, 따라서 숯불구이기는 대중음식점이나 피크닉 장소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숯불구이기의 가장 큰 단점은 화력을 조절하기가 어려우므로 피구이물을 적당히 굽기가 매우 어렵고, 음식물이 쉽게 타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숯불구이기는 대부분 일단에 공기유입구를 형성하고, 그 공기유입구의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방식에 의한 것으로, 숯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화력의 조절이 매우 느리게 이루어지므로 즉각 대처할 수가 없으며, 또한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였다 하더라도 외부 환경의 바람 세기에 따라서 숯불의 화력이 세지거나 약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화력을 조절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사용이 안정적이지 못하며 많은 불편이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레버 조작에 의하여 숯불의 높이를 조절하여 화력을 상황에 따라서 즉각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화력 조절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간편한 조작에 의하여 화력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력 조절에 따른 사용자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또한, 숯불구이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연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연소시 발생되는 찌꺼기인 재(ash)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숯불구이기 내부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이고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게 내공간이 형성되는 구이기 본체와, 구이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장착되어 숯이 올려지는 트레이와, 트레이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트레이의 승,하강 작동을 유도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트레이하단에 밀착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받침대에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작동대를 연결하면서 작동대는 구이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레버에 의하여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트레이를 승,하강시켜 숯불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받침대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작동대를 조립하고, 작동대는 샤프트에 의하여 축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레버와 연결되도록 하며, 연결바의 단부가 받침대와 축 결합되어 레버의 절첩 작동에 의하여 작동대의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레버의 절첩 작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어요소 및 레버의 절첩 작동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요소를 형성하여 레버의 조작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간편하게 고정하여 숯불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의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레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숯불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피구이물과 숯불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즉각적으로 화력을 조절할 수 있어 조리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숯불의 높이조절구조 및 잠금 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으며, 숯불의 승,하강 구조가 안정적으로 승강 작동되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숯불구이를 할 때 구이기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연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구이기 본체로 공기가 유입됨에도 불구하고 숯불 연소시 발생되는 재(ash)가 공기 유입구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구이기 본체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모여지게 되며, 이에 따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이기 본체에 모아진 재를 간편하게 폐기할 수 있다.
또한, 구이기 본체의 하부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므로 뜨거운 열기가 사용자에게 방출되지 않게 되므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높이조절수단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트레이가 승,하강 되는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요소와 잠금요소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도 2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높이조절수단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트레이가 승,하강 되는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요소와 잠금요소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공간(11)이 형성되는 구이기 본체(10)에 숯불의 점화를 위하여 숯을 올리기 위한 트레이(20)가 삽입되고, 트레이(20)는 높이조절수단(30)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구이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도 4와 같이 육류나 생선 등의 피구이물을 올려 조리를 할 수 있도록 그릴(G)이 장착된다.
또한, 구이기 본체(10)에 내장된 트레이(20)는 숯이 올려진 상태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되면서 숯이 연소된 이후에는 재(ash)가 낙하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타공부(21)가 반복적으로 배열된다.
트레이(20)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는 평판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타공부(21)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트레이의 구조는 외곽 둘레가 상측으로 절곡되어진 형태의 바스켓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타공부(21)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트레이(20) 자체를 금속와이어를 엮어서 망체로 형성함으로써 타공부(21)를 형성하여 재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트레이(20)가 구이기 본체(10)의 바닥면(12)으로부터 뜬 상태로 장착되면서 트레이(20) 하단을 받치도록 받침대(31)가 형성되고, 그 받침대(31)는 축에 의하여 절첩작동하는 작동대(32)의 말단 연결되며, 작동대(32)에는 구이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레버(33)가 연결되어 레버(33)의 조작에 의하여 받침대(31) 및 그 받침대(31)의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2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대(32)는 받침대(31)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두 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작동대(32)는 샤프트(32a)와 연결바(32b)로 이루어져 샤프트(32a)는 구이기 본체(10)에 연결바(32b)는 받침대(31)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작동대(32)가 샤프트(32a)에 의하여 축 회전이 이루어지게 구이기 본체(10)에 장착되며, 레버(33)는 작동대(32)의 샤프트(32a)와 연결되어 레버(32)와 작동대(32)가 연동된다.
그리고 작동대(32)의 연결바(32b)는 단부가 받침대(31)와 축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숯불을 이용하여 구울 때 화력을 세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레버(33)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레버(33)와 연동되는 작동대(32)의 샤프트(32a)가 회전작동하면서 연결바(32b)의 단부가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바(32b)에 조립된 받침대(31)와 트레이(20)가 함께 들어올려지게 되어 구이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릴(G)과의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피구이물에 전달되는 화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사용자가 화력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버(33)를 위쪽으로 올리면 레버(33)와 연동되는 작동대(32)의 샤프트(32a)가 역방향으로 회전작동하면서 연결바(32b)의 단부가 하부측으로 내려가고, 이에 따라 연결바(32b)에 조립된 받침대(31)와 트레이(20)가 함께 하강되어 구이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릴(G)과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피구이물에 전달되는 화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이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33)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숯불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피구이물과 열원(숯불)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즉각적으로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레버(33)가 장착된 부분에는 슬롯홀(34a)과 스토퍼(34b)가 형성되어 레버(33)의 절첩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는 제어요소(34)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요소(34)는 슬롯홀(34a)과 스토퍼(34b)를 각각 레버(33)와 구이기 본체(10)의 측벽에 형성하여 스토퍼(34b)가 슬롯홀(34a)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33)가 절첩 작동이 이루어질 때 스토퍼(34b)가 슬롯홀(34a)에 의하여 작동 범위가 제한되면서 레버(33)의 동작을 제한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슬롯홀(34a)이 레버(33)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구이기 본체(10)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스토퍼(34b)는 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슬롯홀(34a)을 구이기 본체(10)의 측벽을 절개하여 형성하면서 스토퍼(34b)를 레버(33)와 일체로 형성하여 스토퍼(34b)가 슬롯홀(34a)에 삽입되게 장착하거나, 또는 슬롯홀(34a)을 레버(33)와 일체로 형성하면서 스토퍼(34b)를 구이기 본체(10)의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레버(33)에 연장되게 연장판(34c)을 형성하면서 그 연장판(34c)에 슬롯홀(34a)을 형성하여 스토퍼(34b)가 슬롯홀(34a)에 삽입되어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요소(34)에는 레버(33)의 절첩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요소(3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조임요소(35)는 제어요소(34)와 분리되게 독립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구이기 본체(10)의 벽면에 탈착요소(35a)를 형성하여 제어요소(34)의 스토퍼(34b)가 구이기 본체(10)로부터 조립되거나 분리되도록 형성하면서 그 스토퍼(34b)에 노브(35b)를 장착하여 노브(35b)가 연장판(34c)에 밀착되면서 조임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장판(34c)의 표면과 밀착되는 노브(35b)의 내면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논슬립패드를 장착하여 연장판(34c)과 노즈(35b)가 더 긴밀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하단에 공기 유입구(40)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40)는 상부로 돌출되게 슬리브(41)가 형성되며, 공기 유입구(40)의 상부에는 슬리브(4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면서 양측으로 개구부(51)가 형성된 격판(50)이 장착된다.
따라서 개구부(51)에 의하여 공기 유로가 형성되며 트레이(20)의 상부에서 연소가 이루어져 발생되는 재가 떨어질 때에는 격판(50)에 의하여 공기 유입구(40)를 차단되며, 이에 따라 구이기 본체(10)에 공기 유로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재가 공기 유입구(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된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구(40)는 도 8과 같이 구이기 본체(10)의 하부측으로도 돌출되게 연결부(42)를 형성하면 별도의 관체(43)를 연결할 수 있게 되며, 외부의 팬으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구이기 본체(10)에 강제로 주입하여 숯불의 화력을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기 본체(10)의 내공간(11)을 외부와 연통하게 하는 개폐수단(60)이 형성되어 구이기 본체(10) 내공간 바닥면(12)에 모아져 있는 재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개폐수단(60)은 구이기 본체(10)의 일단에 개구된 구멍(62)을 형성하고, 그 개구된 구멍(62)에 도어(61)가 힌지 방식으로 장착되어 절첩 작동되면서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개폐수단(60)이 장착되는 위치는, 개구된 구멍(62)이 구이기 본체(10)의 바닥면(12)에 근접하게 개구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개폐수단(60)의 도어(61)가 개방될 때 개구된 구멍(62) 하단이 바닥면(12)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 바닥면(12)에 재의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개폐수단(60)은 구이기 본체(10)의 일단에 개구된 구멍(62)을 형성하고, 그 개구된 구멍(62)에 도어(61)가 힌지 방식으로 장착되어 절첩 작동되면서 개폐가능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개폐수단(60)이 장착되는 위치는, 개구된 구멍(62)이 구이기 본체(10)의 바닥면(12)에 근접하게 개구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개폐수단(60)의 도어(61)가 개방될 때 개구된 구멍(62) 하단이 바닥면(12)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면 바닥면(12)에 재의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내공간(11)의 측벽(13)과 트레이(20)의 외주면에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수단(14)을 형성하면 트레이(20)가 승,하강 작동할 때 구이기 본체(10)의 내벽에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도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10: 구이기 본체 11: 내공간
12: 바닥면 13: 측벽
14: 가이드수단
20: 트레이 21: 타공부
30: 높이조절수단 31: 받침대
32: 작동대 33: 레버
34: 제어요소 35: 조임요소
40: 공기 유입구 41: 슬리브
42: 연결관 43: 관체
50: 격판 51: 개구부
60: 개폐수단 61: 도어
62: 구멍
12: 바닥면 13: 측벽
14: 가이드수단
20: 트레이 21: 타공부
30: 높이조절수단 31: 받침대
32: 작동대 33: 레버
34: 제어요소 35: 조임요소
40: 공기 유입구 41: 슬리브
42: 연결관 43: 관체
50: 격판 51: 개구부
60: 개폐수단 61: 도어
62: 구멍
Claims (7)
- 상부가 개방되게 내공간(11)이 형성되는 구이기 본체(10);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바닥면(12)으로부터 뜬 상태로 장착되어 숯이 올려지는 트레이(20);
상기 트레이(20)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트레이(20)의 승,하강 작동을 유도하는 높이조절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트레이(20)를 수평 상태로 떠받치기 위한 받침대(31);
상기 구이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축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샤프트(32a) 및 샤프트(32a)의 축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하는 연결바(32b)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31)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받침대(31)의 하단에 장착되는 복수의 작동대(32);
상기 복수의 작동대(32) 중 어느 하나의 샤프트(32a)와 연결되되 구이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작동대(32)의 절첩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33);
슬롯홀(34a)과 스토퍼(34b)가 형성되어 레버(33)의 절첩 작동범위를 제한하도록 되는 제어요소(34);
상기 레버(33)가 절첩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요소(35);
포함하여 구성되어 숯 트레이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 레버에 의하여 숯의 높낮이가 간편하게 조절되고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쉽게 고정할 수 있는 숯불구이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하단에 공기 유입구(40)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40)는 상부로 돌출되게 슬리브(41)가 형성되며, 공기 유입구(40)의 상부에는 슬리브(4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면서 양측으로 개구부(51)가 형성된 격판(50)이 장착되어 개구부(51)를 통하여 공기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재가 공기 유입구(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일단에 개구된 구멍(62)이 형성되고, 그 개구된 구멍(62)에 도어(61)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개폐수단(60)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60)은 개구된 구멍(62)의 하단이 구이기 본체(10)의 바닥면(12)과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트레이(20)를 분리하지 않고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재를 전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내공간(11)의 측벽(13)과 트레이(20)의 외주면에 서로 대응되게 가이드수단(14)이 형성되어 트레이(20)의 승강작동을 유도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8695A KR101479422B1 (ko) | 2013-09-10 | 2013-09-10 | 숯불구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8695A KR101479422B1 (ko) | 2013-09-10 | 2013-09-10 | 숯불구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9422B1 true KR101479422B1 (ko) | 2015-01-05 |
Family
ID=5258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8695A KR101479422B1 (ko) | 2013-09-10 | 2013-09-10 | 숯불구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942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3865B1 (ko) * | 2019-01-31 | 2019-09-20 | 조진환 |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
KR20200000333U (ko) * | 2020-01-21 | 2020-02-10 | 서정순 | 구이 장치에 설치되는 숯통 상하 이동 장치 |
KR20240088086A (ko) | 2022-12-13 | 2024-06-20 | 정헌조 | 양념육 전용 숯불구이기 |
KR20240088084A (ko) | 2022-12-13 | 2024-06-20 | 정헌조 | 양념육 전용 숯불구이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1304Y1 (ko) * | 2003-07-23 | 2003-10-23 | 양정우 | 숯불통이 승강하는 숯불구이기 |
KR200439262Y1 (ko) * | 2006-12-14 | 2008-03-28 | 정희성 | 야외용 구이기 |
-
2013
- 2013-09-10 KR KR20130108695A patent/KR1014794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1304Y1 (ko) * | 2003-07-23 | 2003-10-23 | 양정우 | 숯불통이 승강하는 숯불구이기 |
KR200439262Y1 (ko) * | 2006-12-14 | 2008-03-28 | 정희성 | 야외용 구이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3865B1 (ko) * | 2019-01-31 | 2019-09-20 | 조진환 |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
KR20200000333U (ko) * | 2020-01-21 | 2020-02-10 | 서정순 | 구이 장치에 설치되는 숯통 상하 이동 장치 |
KR200493927Y1 (ko) * | 2020-01-21 | 2021-07-01 | 서정순 | 구이 장치에 설치되는 숯통 상하 이동 장치 |
KR20240088086A (ko) | 2022-12-13 | 2024-06-20 | 정헌조 | 양념육 전용 숯불구이기 |
KR20240088084A (ko) | 2022-12-13 | 2024-06-20 | 정헌조 | 양념육 전용 숯불구이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21889B2 (en) | Grill smoker apparatus | |
US9314134B2 (en) | Electrical portable broiler | |
US7647923B2 (en) | Automated barbeque safety mechanism | |
JP5975179B2 (ja) | 焼き器 | |
US9420914B2 (en) | Grill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 |
US20130112186A1 (en) | Solid fuel cook system | |
EP3890574B1 (en) | Modular hanging barrel system | |
KR101479422B1 (ko) | 숯불구이기 | |
CN110312454A (zh) | 利用烟道的烤具 | |
US20100252021A1 (en) | Grilling apparatus | |
KR101710701B1 (ko) | 바비큐 그릴 장치 | |
KR101700181B1 (ko) | 구이용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숯불 고기구이기 | |
KR101738814B1 (ko) |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 |
KR101721805B1 (ko) |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 |
KR101806772B1 (ko) | 화로구이 장치 | |
KR101646205B1 (ko) | 오븐의 기능이 구비된 장작구이기 | |
KR20180016806A (ko) | 육류 불판 구이기 | |
KR20080003396U (ko) | 숯불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야외용 숯불구이기 | |
JP2023524966A (ja) | 携帯用直火焼き器 | |
KR20230000376U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용 그릴 | |
KR20140013856A (ko) | 가스 겸용 숯불구이기 | |
US20160143478A1 (en) | Grilling device, in particular bowl grill | |
KR100927370B1 (ko) | 다용도 자동 승하강 구이장치 | |
KR101545437B1 (ko) | 구이용 화덕 | |
KR102353435B1 (ko) |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