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360B1 -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 Google Patents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360B1
KR101634360B1 KR1020140146406A KR20140146406A KR101634360B1 KR 101634360 B1 KR101634360 B1 KR 101634360B1 KR 1020140146406 A KR1020140146406 A KR 1020140146406A KR 20140146406 A KR20140146406 A KR 20140146406A KR 101634360 B1 KR101634360 B1 KR 101634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pellet fuel
fuel supply
fue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104A (ko
Inventor
최용훈
박영진
채운기
Original Assignee
(주)한빛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빛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한빛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4014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36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연료를 이용한 상향식 연소부와 펠렛연료를 이용한 하향식 연소부를 구비하되, 상기 상하향 연소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를 동시에 연소시켜 완전연소를 유도함은 물론, 난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펠렛 및 화목연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연소되는 연소실(110)이 마련된 난로몸체(100); 상기 난로몸체(100)의 상부에 일정양의 펠렛연료를 저장하고 연소실로 공급하는펠렛연료공급수단(200);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 난로몸체에 입출가능하게 서랍형태로 마련된 재받이(300); 상기 연소실에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흡입수단(420)을 설치하여 된 연기배출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Upswing and downward combust style heater}
본 발명은 화목연료를 이용한 상향식 연소부와 펠렛연료를 이용한 하향식 연소부를 구비하되, 상기 상하향 연소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를 동시에 연소시켜 완전연소를 유도함은 물론, 난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가정이나 사무실 및 농가의 비닐 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와 공장, 공사장 등과 같은 옥외에서 난방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난방 기구의 하나로서, 최근 들어서는 유체 연료(액화석유가스ㆍ천연가스 등의 기체연료, 경유ㆍ휘발유 등의 액체연료)의 가격이 큰 폭으로 인상됨에 따라 이 유체 연료에 비하여 저가이고 비교적 강력한 화력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석탄ㆍ숯ㆍ장작ㆍ코크스, 펠렛 등)의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농촌이나 산간마을 등지에서는 현재에도 그 대부분이 고체 연료를 연료로 하는 난로를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 등의 난방을 해결하고 있고, 이밖에 골프(연습)장ㆍ공장ㆍ건설현장 등에서도 가스 난로나, 석유난로 대신에 점차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난로로서 난방을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난로는 그 구조상 연소시 난로 내부의 연통 하단에 있는 연료만 한꺼번에 빨리 집중 연소되고 나머지 연료는 불완전 연소가 되기 때문에 연료 사용량이 많아 난방을 위한 유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연소시 연기 및 그을음이 많이 발생되어 연소 효율이 매우 떨어짐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시 주변의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하게 되어 환경친화적인 상태로 사용할 수가 없으며, 연통이 그을음으로 인해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인해 사용자가 관리시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 량의 고체 연료를 난로에 투입하여 연소하고 난 이후에는, 다시 고체 연료를 투입하는 작업을 반복 하거나 하여야만 하기에 연속 사용에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연속 사용시 연료 공급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체연료공급수단을 장착하는 발명이 제안되어 사용되어왔으나, 이러한 기존의 고체연료공급수단은 연료공급을 위한 구동을 위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하게 되는 등 그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50360(2014.04.29) 한국특허등록번호 10-1294697(2013.08.02)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3-0053802(2013.05.2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펠렛연료를 이용한 하향식 연소부와 화목을 이용한 상향식 연소부를 구비함으로써 완전연소를 유도함은 물론, 난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둘째, 연기의 배출양을 조절하여 난방의 효율을 높임은 물론, 연료 소모량을 효율적인 조절할 수 있으며,
셋째, 난로몸체 외부에 별도의 방열부를 형성시켜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실내로 빠른 시간에 방출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연소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고 실외로 모두 배출되도록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 구성은,
펠렛 및 화목연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연소되는 연소실(110)의 전면에 개폐문(120)이 설치되고, 그 개폐문 쪽을 제외한 나머지 연소실의 외부 측면에 연소실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며 발생되는 연기 및 열기를 연소실 하부로부터 공급받아 배출 유도하는 열기유도로(130)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연소실 측면에는 방열촉진공간(143)을 마련하는 방열구멍(142)이 형성된 보호패널(141)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촉진공간의 하부 일측에는 방열촉진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144)을 설치하여 된 방열부(140)를 형성시켜 된 난로몸체(100);
상기 난로몸체(100)의 상부에 일정양의 펠렛연료를 저장하는 호퍼(210)가 마련되고,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개폐구(220)가 설치되며, 그 개폐구가 설치된 호퍼의 하단에는 상기 개폐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호퍼의 펠렛연료를 연소실 쪽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펠렛연료공급관(230)을 설치하여 된 펠렛연료공급수단(200);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 난로몸체에 입출 가능하게 서랍형태로 마련되고, 그 서랍형태의 상부에는 화목연료를 올려놓고 연소를 유도하는 재받이구멍(320)이 형성된 선반(310)이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재받이(300);
상기 열기유도로(130)의 출측단부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연기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댐퍼(410)가 설치되고 그 댐퍼의 상부에는 상기 연소실에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흡입수단(420)을 설치하여 된 연기배출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첫째, 펠렛연료를 이용한 하향식 연소부와 화목을 이용한 상향식 연소부를 구비함으로써 완전연소를 유도함은 물론, 난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둘째, 연기의 배출양을 조절하여 난방의 효율을 높임은 물론, 연료 소모량을 효율적인 조절할 수 있으며, 셋째, 난로몸체 외부에 별도의 방열부를 형성시켜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실내로 빠른 시간에 방출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연소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고 실외로 모두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일부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에서 난로몸체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펠렛연료공급수단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에서 재받이 발췌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에서 연기배출수단 발췌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렛 및 화목연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연소되는 연소실(110)의 전면에 개폐문(120)이 설치되고, 그 개폐문 쪽을 제외한 나머지 연소실의 외부 측면에 연소실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며 발생되는 연기 및 열기를 연소실 하부로부터 공급받아 배출 유도하는 열기유도로(130)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연소실 측면에는 방열촉진공간(143)을 마련하는 방열구멍(142)이 형성된 보호패널(141)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촉진공간의 하부 일측에는 방열촉진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144)을 설치하여 된 방열부(140)를 형성시켜 된 난로몸체(100);
상기 난로몸체(100)의 상부에 일정양의 펠렛연료를 저장하는 호퍼(210)가 마련되고,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개폐구(220)가 설치되며, 그 개폐구가 설치된 호퍼의 하단에는 상기 개폐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호퍼의 펠렛연료를 연소실 쪽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펠렛연료공급관(230)을 설치하여 된 펠렛연료공급수단(200);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 난로몸체에 입출 가능하게 서랍형태로 마련되고, 그 서랍형태의 상부에는 화목연료를 올려놓고 연소를 유도하는 재받이구멍(320)이 형성된 선반(310)을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재받이(300);
상기 열기유도로(130)의 출측단부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연기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댐퍼(410)가 설치되고 그 댐퍼의 상부에는 상기 연소실에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흡입수단(420)을 설치하여 된 연기배출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에서 상기 개폐문(120)은, 연소실(110)을 목측할 수 있도록 투명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난로몸체(100) 일측에는, 연소실(11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굽거나 익혀 먹을 수 있는 해당식품을 수용하는 구이실(150)이 서랍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문(120)의 일측과 난로몸체(100)의 일측에는 개폐문(120)을 닫았을 때 상기 연소실(110)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연기 및 열기가 실내로 누기되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개폐문(120)이 닫힌 상태에서 임의로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수단(160)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수단(160)은 개폐문(120)을 닫은 후 그 닫어진 개폐문(120)을 난로몸체(100)에 긴밀하고 견고하게 밀착시키고 또 열 때에는 상기 닫어진 개폐문(120)을 난로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열수 있는 구조의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개폐문(120)에 투명부(121)를 형성시킨 이유는,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110)의 내부를 본 발명의 난로 외부에서 용이하게 목측하며 관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구이실(150)에서 굽거나 익하는 해당식품이라 함은, 고구마, 감자. 등의 구근식물, 또는 계란, 생선, 생닭 등과 같은 육류를 의미한다.
상기 개폐문(120)이 설치된 난로몸체(100)의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로몸체(10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 방열촉진공간(143)을 마련하는 방열구멍(142)이 형성된 보호패널(141)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촉진공간(143)의 하부 일측에는 방열촉진공간(143)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144)을 설치하여 된 방열부(140)를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열부(140)를 형성하는 이유는, 팬(144)을 통하여 그 팬(144)이 위치하는 공간(S)의 공기를 방열촉진공간(143)으로 공급하게 되면 그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난로몸체(100)와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그 열교환된 공기는 보호패널(141)에 형성된 방열구멍(142)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면서 온풍의 역할을 하여 실내를 빠른 시간에 효과적으로 난방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팬(144)의 회전속도는 제어부(C)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팬(144)을 공간(S)에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공간(S)의 공기는 열소실(110) 및 재받이(300)의 열기가 전이되어 따뜻한 공기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따뜻한 공기를 팬(144)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촉진공간(143)으로 공급하면 난방의 효율이 더욱 좋아짐은 물론, 난로몸체(100)에서 방열되는 열기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으로 연료의 소모량을 줄이면서 열효율은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S)으로의 공기 유입은, 난로몸체(10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그릴(G)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이며, 그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F)를 통하여 필터링 된 공기가 유입됨으로 상기 보호패널(141)의 방열구멍(142)을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깨끗한 공기이다.
본 발명의 연소실(110)에서는 호퍼(210)에 저장된 펠렛연료가 개폐구(220)의 작동 방향에 따라 펠렛연료공급관(230)으로 공급 또는 차단되며 상기 펠렛연료가 공급되는 펠렛연료공급관(230)의 하부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가 일어나 하부방향 즉 연소실(110)하부 방향으로 화염이 향하게 된다.
단 상기 펠렛연료공급관(230)의 하부에 위치한 펠렛연료에 초기 점화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점화장치(휴대용 토치)를 이용하여 점화한다.
그리고 상기 점화된 펠렛연료공급관(230)의 하부 화염이 하향하는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공기흡입수단(420)의 작동과 함께 공기 흡입력이 연통(440)→ 연기가이드부(430)→열기유도로(130)→ 연소실(110)의 하단과 재받이(30)의 사이 틈(a)→연소실(110)→펠렛연료공급관(230)의 출구 → 펠렛연료공급판(231)의 펠렛연료공급구멍(232)→상부공기흡입수단(233)으로 전달되어 외부공기가 흠입됨으로 상기 화염은 상기와 같은 공기흡입 방향에 의해 하향하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상부공기흡입수단(233)은 공기흡입양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고, 펠렛연료공급판(231)은 펠렛연료가 연소실로 한번에 왕창 공급되지 않고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만 배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소실(110)은 화염이 분포하고 그 화염이 분포하며 생성되는 열기와 연기는 상기 연소실(110)의 하단과 재받이(30)의 사이 틈(a)을 통하여 열기유도로(130)를 따라 연기가이드부(430)를 통하여 연통(440)으로 배기된다.
또 상기 화목연료는 개폐문(120)을 통하여 재받이(300)의 상부에 설치된 선반(310)에 올려지고 이와 같이 선반(310)에 올려진 화목연료는 통상의 점화장치(휴대용 토치)에 의해 점화되거나 또는 상기 펠레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 자동으로 연소된다.
상기 화목연료가 연소되면 그 화염은 상향하게 되고 그 상향하는 화염과 상기 펠렛연료가 연소되면서 하향하는 화염과 만다 불안전 연소된 연료를 다시한번 연소시키게 됨으로 상기 화목연료 및 펠렛연료는 완전연소를 유도함으로 연통(440)으로 배출되는 연기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연료의 낭비를 방지하고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화목연료가 연소될 때에는 도 6의 재받이(300)의 전면에 형성된 하부공기흡입수단(330)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선반(310)의 재받이구멍(320)으로 공급됨으로 화목연료의 연소가 원할하게 이루어지고, 그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기와 연기는 상기 공기흡입수단(420)의 작동과 함께 공기 흡입력이 연통(440) → 연기가이드부(430) → 열기유도로(130) → 연소실(110)의 하단과 재받이(30)의 사이 틈(a) → 연소실(110)로 전달됨으로 상기 흡입력이 전달되는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하부공기흡입수단(330)은 공기흡입양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음으로 상기 하부공기흡입수단(330)의 공기흡입구멍 개폐정도에 따라 화목연료의 연소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펠렛연료의 하향 연소 및 화목연료의 상향 연소는 동시에 연소되게 할 수도 있고, 상기 펠렛 및 화목연료 중 어느 하나만 연소되게 할 수도 있는데, 상기 펠렛 및 화목연료가 동시에 연소될 때에는 실내 온도가 아주 낮을 때이고, 상기 펠렛 및 화목연료 중 어느 하나만 연소될 때에는 실내온도가 비교적 높을 때이다.
상기 연기배출수단(4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열기유도로(130)의 출측단부와 연이어지게 설치되는 연기가이드부(430)와, 그 연기가이드부의 상단 출측에 연통(440)을 설치하되, 상기 연통(440)에는 연기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댐퍼(410)와 공기흡입수단(420)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연기배출수단(400)에서 댐퍼(410)는 핸들(411)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어 연기의 배출양을 조절함으로써 펠렛 및 화목연료의 연소 속도 및 연기의 배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의 난로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수단(420)은, 댐퍼(410)가 설치된 연통(440)의 출측에는 배기팬(450)이 설치되고 그 배기팬은 연기배출구멍(470)이 형성된 보호케이스(46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110)의 흡입력을 유도한다.
상기 배기팬(450)을 보호케이스(460) 내부에 설치하는 이유는, 배기팬(450)은 대부분 실외에 위치하게 됨으로 우천시 또는 눈이 내릴때에 상기 배기팬(450)을 보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보호케이스(460)에 연기배출구멍(470)을 형성시키 이유는, 연기가 원할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호퍼(210)의 하단 출구에 설치되어 펠렛연료를 펠렛연료공급관(230)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구(22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채꼴 형태의 회전체(221)와, 상기 펠렛연료공급관(230) 및 상기 회전체(221)의 끝부분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축(222)과, 상기 축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어 축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회전체(221)를 회전시키는 핸들(22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개폐구(220)에서 회전체(221)를 부채꼴 형태로 형성시킨 이유는, 종래 대부분의 호퍼 하단에 설치되는 개폐구는 수평으로 이동되게 되어 있어 호퍼 하단을 막아 펠렛연료의 공급을 차단할 때에는 상기 종래 계폐구의 선단과 호퍼 하단 사이에 상기 펠렛연료가 끼이게 되어 긴밀한 차단이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펠렛연료가 파쇄되는 문제점과 개폐구의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방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개폐구(220) 즉 회전체(221)를 부채꼴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호퍼의 하단을 개폐할 때에 핸들(223)의 작동과 함께 회전체(221)가 회전되며 용이하게 개폐됨으로 상기 종래 개폐구의 문제점인 개폐구의 선단과 호퍼 하단 사이에 펠렛연료가 끼이게 되어 긴밀한 차단이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펠렛연료가 파쇄되는 문제점과 개폐구의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개폐구(220)가 호퍼 하단을 긴밀히 차단한 상태에서는 연소실(110)에서 연료가 연소되며 발생하는 열기 및 연기가 호퍼로 역류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펠렛연료공급관(230)에서는 상기 연소실(110)에서 연료가 연소되며 발생하는 열기를 방열하게 됨으로 실내 난방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기가이드부(430)의 일측에 온도게이지(480)를 설치하여 연소실(100)의 온도를 예측하고 그 예측에 따른 연소실(110)의 연료 연소속도를 조절한다. 이와같이 상기 연소실(110)의 연료 연소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상부공기흡입수단(233)과, 하부공기흡입수단(330)을 이용한 공기흡입양 조절과 댐퍼(410)의 개폐정도, 공기흡입수단(420)에서의 흡입압력 조절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상부공기흡입수단(233)과, 하부공기흡입수단(330)의 공기유입양 조절은 수동으로하고, 상기 댐퍼(410)의 개폐량 조절도 수동이며 상기 공기흡입수단(420)에서의 흡입압력 조절은 제어부(C)에서 제어한다.
상과 같은 본 발명의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는, 연소실(110)의 열기가 연소실(11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연소실(110)의 하단과 재받이(30)의 사이 틈(a)을 통하여 열기유도로(130)의 하부에서 상부로 또 연기가이드부(430) 및 연통(440)을 따라 배출되게 함으로써 연소실(110)에서 발생되는 연기의 진행 길이가 최대로 확보되고 그에 따른 열기의 방출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열기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또 난방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첫째, 펠렛연료를 이용한 하향식 연소부와 화목을 이용한 상향식 연소부를 구비함으로써 완전연소를 유도함은 물론, 난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둘째, 연기의 배출양을 조절하여 난방의 효율을 높임은 물론, 연료 소모량을 효율적인 조절할 수 있으며, 셋째, 난로몸체 외부에 별도의 방열부를 형성시켜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실내로 빠른 시간에 방출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연소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로 방출되지 않고 실외로 모두 배출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100 : 난로몸체 110 : 연소실
120 : 개폐문 121 : 투명부
130 : 열기유도로 140 : 방열부
141 : 보호패널 142 : 방열구멍
143 : 방열촉진공간 144 : 팬
150 : 구이실 200 : 펠렛연료공급수단
210 : 호퍼 220 : 개폐구
221 : 회전체 222 : 축
223 : 핸들 230 : 펠렛연료공급관
231 : 펠렛연료공급판 232 : 펠렛연료공급구멍
233 : 상부공기흡입수단 300 : 재받이
310 : 선반 320 : 재받이구멍
330 : 하부공기흡입수단 400 : 연기배출수단
410 : 댐퍼 420 : 공기흡입수단
430 : 연기가이드부 440 : 연통
450 : 배기팬 460 : 보호케이스
470 : 연기배출구멍 480 : 온도게이지
A : 틈 C : 제어부
G : 그릴 F : 필터
S : 공간

Claims (10)

  1. 펠렛 및 화목연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연소되는 연소실(110)의 전면에 개폐문(120)이 설치되고, 그 개폐문 쪽을 제외한 나머지 연소실의 외부 측면에 연소실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며 발생되는 연기 및 열기를 연소실 하부로부터 공급받아 배출 유도하는 열기유도로(130)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문이 설치된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연소실 측면에는 방열촉진공간(143)을 마련하는 방열구멍(142)이 형성된 보호패널(141)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촉진공간의 하부 일측에는 방열촉진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144)을 설치하여 된 방열부(140)를 형성시켜 된 난로몸체(100);
    상기 난로몸체(100)의 상부에 일정양의 펠렛연료를 저장하는 호퍼(210)가 마련되고,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개폐구(220)가 설치되며, 그 개폐구가 설치된 호퍼의 하단에는 상기 개폐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호퍼의 펠렛연료를 연소실 쪽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펠렛연료공급관(230)을 설치하여 된 펠렛연료공급수단(200);
    상기 연소실(110)의 하부 난로몸체에 입출 가능하게 서랍형태로 마련되고, 그 서랍형태의 상부에는 화목연료를 올려놓고 연소를 유도하는 재받이구멍(320)이 형성된 선반(310)이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재받이(300);
    상기 열기유도로(130)의 출측단부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연기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댐퍼(410)가 설치되고 그 댐퍼의 상부에는 상기 연소실에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흡입수단(420)을 설치하여 된 연기배출수단(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120)은, 연소실을 목측할 수 있도록 투명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난로몸체(100) 일측에는,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굽거나 익혀 먹을 수 있는 해당식품을 굽거나 익하는 구이실(150)이 서랍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220)는, 상기 호퍼의 하단 출구에 부채꼴 형태의 회전체(221)와, 상기 펠렛연료공급관 및 상기 회전체의 끝부분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축(222)과, 상기 축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어 축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핸들(2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연료공급관(230)은, 내측 하부에 펠렛연료공급구멍(232)이 형성된 펠렛연료공급판(231)이 설치되고, 그 펠렛연료공급판의 하부 펠렛연료공급관에는 외부공기의 흡입양을 조절하며 흡입되는 상부공기흡입수단(23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300)의 전면에는 외부공기의 흡입양을 조절하며 흡입되는 하부공기흡입수단(3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촉진공간의 하부 난로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팬(144)이 수용되는 공간(S)이 확보되고, 그 공간이 확보된 상기 난로몸체의 일측에는 필터(F)가 설치된 그릴(G)이 상기 난로몸체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배출수단(400)은, 상기 열기유도로의 출측단부와 연이어지게 연기가이드부(430)가 설치되고, 그 연기가이드부의 상단 출측에는 연통(440)을 설치하되, 상기 연통에는 연기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댐퍼(4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수단(420)은, 댐퍼가 설치된 연통의 출측에는 배기팬(450)이 설치되고 그 배기팬은 연기배출구멍(470)이 형성된 보호케이스(460)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가이드부(430)의 일측에는, 온도게이지(4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20140146406A 2014-10-27 2014-10-27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1634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406A KR101634360B1 (ko) 2014-10-27 2014-10-27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406A KR101634360B1 (ko) 2014-10-27 2014-10-27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104A KR20160050104A (ko) 2016-05-11
KR101634360B1 true KR101634360B1 (ko) 2016-06-29

Family

ID=5602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406A KR101634360B1 (ko) 2014-10-27 2014-10-27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097B1 (ko) * 2021-12-15 2022-03-10 주식회사 엠엠씨 펠릿 연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749Y1 (ko) * 2004-07-09 2004-10-16 김용기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KR200428665Y1 (ko) * 2006-05-11 2006-10-13 배경주 갈탄 보일러
JP2010078223A (ja) * 2008-09-25 2010-04-08 Takeshi Aso ペレットストーブ用ペレットバーナ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1974B2 (en) 2010-05-06 2013-11-12 Aptina Imag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ce detection
KR20130053802A (ko) 2011-11-16 2013-05-24 장성신 하향 연소식 방열형 난로
KR101294697B1 (ko) 2012-06-21 2013-08-09 오윤석 하향 연소식 화목난로
KR101377217B1 (ko) * 2013-11-01 2014-04-01 송영석 대류형 화목 난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749Y1 (ko) * 2004-07-09 2004-10-16 김용기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KR200428665Y1 (ko) * 2006-05-11 2006-10-13 배경주 갈탄 보일러
JP2010078223A (ja) * 2008-09-25 2010-04-08 Takeshi Aso ペレットストーブ用ペレットバー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104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3376A1 (zh) 一种无烟烧烤炉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CN104188556B (zh) 一种燃生物质智能烧烤炉
KR101675992B1 (ko) 공기 순환식 난로
CN206315001U (zh) 全方位进风无烟烧烤炉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WO2014059680A1 (zh) 一种烧烤炉具
CN104236076A (zh) 一种电气化采暖炉
KR101634362B1 (ko) 하향 연소식 펠렛난로
KR20160022688A (ko) 화목난로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CN104033928B (zh) 多功能炉灶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1241386B1 (ko) 목재 연소용 화덕
KR101757026B1 (ko) 화목 및 펠렛 겸용 난로
KR101484910B1 (ko) 펠릿을 이용한 구이기
CN207907286U (zh) 一种户外取暖炉
CN202613501U (zh) 多功能秸秆颗粒自动直燃炉
JP2009275936A (ja) 炊飯可能のストーブ
KR101224417B1 (ko) 펠릿 난로
KR20150002292U (ko)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KR20160118705A (ko) 벽난로
US20140251299A1 (en) Oven having an enclosed heat exchange zone
KR20150027016A (ko) 역화방지와 난방 안전성을 갖는 펠릿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