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749Y1 -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 Google Patents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749Y1
KR200364749Y1 KR20-2004-0019680U KR20040019680U KR200364749Y1 KR 200364749 Y1 KR200364749 Y1 KR 200364749Y1 KR 20040019680 U KR20040019680 U KR 20040019680U KR 200364749 Y1 KR200364749 Y1 KR 200364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fireplace
firebox
circul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20-2004-0019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air only
    • F24B1/18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air only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9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sol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난로로 부터 발생하는 열을 실내의 공기중으로 강제 송풍시킴으로써, 전체 공간으로 열을 신속히 전달함과 동시에,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내 전체 공기의 난방에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도모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난방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 중앙에 화실이 배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화실을 개폐시키는 유리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화실의 연기를 배출시키는 뎀퍼연도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 하단에 화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화실의 상하측에는 각각 반사판과 로스트가 설치된 벽난로와; 지그재그로 배치된 격벽과 상기 격벽을 덮는 측판으로 공기 순환로를 구성하고, 상기 벽난로의 측면에 설치되어 벽난로 좌우측면의 열을 수평이동하는 온풍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로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송풍구와, 망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구 전면에 씌워지는 그릴판과, 상기 송풍구 후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로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팬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APPARATUS OF FIREPLACE HAVING HEATING AIR}
본 고안은 벽난로와 보일러를 함께 설치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난로로 부터 발생하는 열을 수평이동시켜 실내의 공기중으로 강제 송풍시킴으로써, 실내 전체 공기의 난방에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도모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난방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거실등에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데우는 난방방식으로서 나무등과 같은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서 난방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따뜻하고 분위기 있는 실내환경을 연출할 수 있어 교외의 주택이나 별장등에 보조 난방 장치로서 널리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벽난로는 실내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난방이 이루어지고,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만 난방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으나 한국인의 생활습관상 바닥난방에 익숙하여 상시 난방장치로서 사용하는데 여러가지 불편이 있으며, 이와 같은 불편 때문에 별도의 난방용 보일러를 설치하여 실내난방에 함께 이용하는 벽난로를 이용하는 난방과 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이 각각 별개의 난방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벽난로는 설치된 부근에만 열이 발생되고 이 열이 대류현상을 통하여 전체 공간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열의 전달 속도가 늦고, 또한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난로로 부터 발생하는 열을 실내의 공기중으로 강제 송풍시킴으로써, 전체 공간으로 열을 신속히 전달함과 동시에,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내 전체 공기의 난방에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도모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난방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절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난로 11 : 본체
12 : 발열판 13 : 구이통
14 : 유리도어 15 : 공기조절밸브
16 : 뎀퍼연도 17 : 반사판
18 : 화실 19 : 로스트
30 : 온풍기 본체 31 : 격벽
32 : 측판 33 : 그릴판
34 : 송풍구 35 : 팬모터
36 : 온도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는, 본체 중앙에 화실이 배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화실을 개폐시키는 유리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화실의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도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 하단에 화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화실의 상하측에는 각각 반사판과 로스트가 설치된 벽난로와; 지그재그로 배치된 격벽과 상기 격벽을 덮는 측판으로 공기 순환로를 구성하고, 상기 벽난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온풍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로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송풍구와, 망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구 전면에 씌워지는 그릴판과, 상기 송풍구 후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로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팬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난로는 상기 본체 전면에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발열효율을 상승시키는 판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발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중앙 상측에 원통형의 출입 가능한 구이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풍기 본체에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설치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온도에 따라 상기 팬모터를 온/오프시켜 본체 내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절개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벽난로(10)는 본체(11) 중앙에 화실(18)이 배치되고, 전면 중앙에는 상기 화실(18)을 개폐시키는 유리도어(14)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1)의 상단에는 상기 화실(18)의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도(16)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1)의 전면 하단에 화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15)가 설치되고, 상기 화실(18)의 상하측에는 각각 반사판(17)과 로스트(19)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17)은 화실(18) 내부의 열이 상부의 연도(16) 등으로 손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본체(11) 전면에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발열효율을 상승시키는 판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발열판(1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1)의 중앙 상측에 원통형의 출입 가능한 구이통(13)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발열판(12)은 본체(11) 전면에 원형의 엠보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구이통(13)에는 감자, 고구마, 옥수수등 다양한 음식을 투입시켜 벽난로(10)의 열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그재그로 배치된 격벽(31)과 상기 격벽(31)을 덮는 측판(32)으로 공기 순환로를 구성하고, 상기 벽난로(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온풍기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로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송풍구(34)와, 망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구(34) 전면에 씌워지는 그릴판(33)과, 상기 송풍구(34) 후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로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팬모터(35)로 구성된다.
상기 온풍기 본체(30)에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6)를 더 설치하고, 상기 온도센서(36)의 감지온도에 따라 상기 팬모터(35)를 온/오프시켜 본체(30) 내부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벽난로(10)는 내부 중앙의 화실(18)에서 나무등을 태워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상기 벽난로(10)에 설치된 상기 반사판(17)은 화실(18) 내부의 열이 상부의 연도(16) 등으로 손쉽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11) 전면에 구비된 발열판(12)에서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발열효율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난방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 스위치(미도시)를 온시켜 상기 팬모터(35)를 동작시키면, 외부공기가 온풍기 본체(71)의 순환로를 따라 유입되어 가열된 후 실내로 유출된다.
즉, 전면 하단의 송풍구(34)를 통하여 온풍기 본체(30)로 유입된 공기는 지그재그로 배치된 격벽(31)을 따라 순환로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온풍기 본체(30)는 벽난로(10)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있으므로, 그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가 가열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는 전면 상단의 송풍구(34)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어 그 열이 실내공간의 전체로 멀리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벽난로로 부터 발생하는 열을 실내의 공기중으로 강제 송풍시킴으로써, 전체 공간으로 열을 신속히 전달함과 동시에,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내 전체 공기의 난방에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도모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난방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장치에 의하면, 벽난로로 부터 발생하는 열을 실내의 공기중으로 강제 송풍시킴으로써, 전체 공간으로 열을 신속히 전달함과 동시에,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내 전체 공기의 난방에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도모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난방장치를 구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전면의 발열판에 의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발열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와, 원통형의 구이통에 감자, 고구마, 옥수수등 다양한 음식을 투입시켜 벽난로의 열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본체(11) 중앙에 화실(18)이 배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화실(18)을 개폐시키는 유리도어(14)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1)의 상단에는 상기 화실(18)의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도(16)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1)의 전면 하단에 화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15)가 설치되고, 상기 화실(18)의 상하측에는 각각 반사판(17)과 로스트(19)가 설치된 벽난로(10)와;
    지그재그로 배치된 격벽(31)과 상기 격벽(31)을 덮는 측판(32)으로 공기 순환로를 구성하고, 상기 벽난로(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온풍기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로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송풍구(34)와,
    망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구(34) 전면에 씌워지는 그릴판(33)과,
    상기 송풍구(34) 후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순환로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는 팬모터(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난로(10)는
    상기 본체(11) 전면에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발열효율을 상승시키는 판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발열판(12)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1)의 중앙 상측에 원통형의 출입 가능한 구이통(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기 본체(30)에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6)를 더 설치하고, 상기 온도센서(36)의 감지온도에 따라 상기 팬모터(35)를 온/오프시켜 본체(30) 내부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KR20-2004-0019680U 2004-07-09 2004-07-09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KR200364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680U KR200364749Y1 (ko) 2004-07-09 2004-07-09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680U KR200364749Y1 (ko) 2004-07-09 2004-07-09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749Y1 true KR200364749Y1 (ko) 2004-10-16

Family

ID=4935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680U KR200364749Y1 (ko) 2004-07-09 2004-07-09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74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44B1 (ko) 2009-06-09 2012-04-13 이승규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101371916B1 (ko) 2012-11-14 2014-03-07 박세현 콤팩트 구조의 근적외선 히터
KR200474068Y1 (ko) * 2013-03-18 2014-08-19 김태섭 열교환 환기 기능을 하는 벽난로
KR20150069777A (ko) * 2013-12-16 2015-06-24 김영욱 농산물 건조실의 구조
KR20160050104A (ko) * 2014-10-27 2016-05-11 (주)한빛하이테크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44B1 (ko) 2009-06-09 2012-04-13 이승규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101371916B1 (ko) 2012-11-14 2014-03-07 박세현 콤팩트 구조의 근적외선 히터
KR200474068Y1 (ko) * 2013-03-18 2014-08-19 김태섭 열교환 환기 기능을 하는 벽난로
KR20150069777A (ko) * 2013-12-16 2015-06-24 김영욱 농산물 건조실의 구조
KR101601885B1 (ko) 2013-12-16 2016-03-09 김영욱 농산물 건조실의 구조
KR20160050104A (ko) * 2014-10-27 2016-05-11 (주)한빛하이테크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1634360B1 (ko) * 2014-10-27 2016-06-29 (주)한빛하이테크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90952A (ja) 対流式オーブンおよび関連するエア・フロー装置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200364749Y1 (ko) 온풍 기능을 갖는 벽난로 부대 장치
JP2856699B2 (ja) 加熱調理器
US20040065311A1 (en) Baking oven construction
EP3096084B1 (en) Fireplace boiler
KR20080100914A (ko) 보일러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벽난로 장치
KR101530589B1 (ko) 안전 전기로스터
US4300526A (en) Woodburning stove
US4441482A (en) Fireplace insert
KR200364748Y1 (ko) 보일러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벽난로 장치
US4928667A (en) Gas fire heating unit
US2410285A (en) Gas range oven
KR20210084407A (ko) 공기조화기
US4455995A (en) Heating stove with heat regulating system
KR200372636Y1 (ko) 바비큐 구이 장치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US799084A (en) Combined heating and cooking stove.
KR20080100896A (ko) 보일러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벽난로 장치
KR200179549Y1 (ko) 2중 불판이 구비된 로스타
US4455994A (en) Woodburning heating stove and heat extractor
US10823424B2 (en) Wood burning stove assembly
KR200309891Y1 (ko) 가스 오븐레인지의 컨벡션구조
KR20230137583A (ko) 내부압력유지가 가능한 오븐기
ES2334019T3 (es) Horno de leña de llama indirecta y reflexion term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