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480B1 - 이중난로 - Google Patents
이중난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3480B1 KR101273480B1 KR1020130002129A KR20130002129A KR101273480B1 KR 101273480 B1 KR101273480 B1 KR 101273480B1 KR 1020130002129 A KR1020130002129 A KR 1020130002129A KR 20130002129 A KR20130002129 A KR 20130002129A KR 101273480 B1 KR101273480 B1 KR 101273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rnace
- hole
- heat
- unit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24B1/1952—Multiple fire-box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내부에 제1화로부를 형성하고, 상면에 제1화로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제2화로부를 형성하며, 연통공에 통공이 형성된 화로판을 설치하고, 제1화로부에 연기를 배출하는 연통관을 설치함으로써, 제1화로부에서 연소되는 열기가 제2화로부에서 연소되는 열기에 의해 상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로 제1화로부내에서 순환되어 열 손실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는, 제1화로부의 열기가 제2화로부의 열기에 의해 상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몸체의 제1화로부 내의 지연칸막이에 열이 연속충돌되면서 몸체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제1화로부 내에서 순환되어 몸체의 가열시간이 지속되고, 몸체 가열 시간의 지속으로 연료사용량 저하와 동시에 연료비용이 절감되며, 몸체에 부착설치된 단열재에 의해 주위공간 온도를 균등하게 상승시키되, 실내의 냉기에 의해 몸체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는, 제1화로부의 열기가 제2화로부의 열기에 의해 상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몸체의 제1화로부 내의 지연칸막이에 열이 연속충돌되면서 몸체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제1화로부 내에서 순환되어 몸체의 가열시간이 지속되고, 몸체 가열 시간의 지속으로 연료사용량 저하와 동시에 연료비용이 절감되며, 몸체에 부착설치된 단열재에 의해 주위공간 온도를 균등하게 상승시키되, 실내의 냉기에 의해 몸체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제1화로부와 제2화로부에 각각 불을 점화시켜 실내온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난방장치의 하나로, 나무, 석탄, 가스, 석유 따위의 연료를 사용하거나 혹은 전기로 열을 발생시켜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난로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가정, 공장, 리조트 등 다양한 공간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난로는 나타낸 도면으로,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화로부(11)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화로부(11)를 밀폐하는 도어(12)와, 상기 화로부(11)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화로부(11)에서 생성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관(2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도어(12)를 개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화로부(11)에 연료(예컨대, 나무,석유,석탄 등)을 공급하며, 상기 화로부(11)에 삽입된 연료를 점화시킨 상태로 상기 도어(12)를 닫아 상기 화로부(11)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10)가 점차적으로 달구어져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에서 방출되는 열이 실내온도와 열교환작용하여 실내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면, 상기 화로부(11)에서는 연료가 연소되면서 다량의 연기가 발생되고, 그 연기가 상기 연통관(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화로부(11)에 연기가 잔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화로부(11)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불을 점화하는 구조는, 몸체(10) 상부와 측방을 통해 열이 신속하게 방출되어 열 손실률이 증가되고, 불의 연소방향인 상방으로 다량의 열이 방출되어 몸체(10) 측방 주위 온도 상승이 어려우며, 몸체(10) 내부의 열기가 지속되는 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외부의 냉기에 의해 몸체(10)가 신속하게 냉각되어 연료 사용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연료사용 비용이 증가하며, 비용부담으로 인해 난방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 내부에 제1화로부를 형성하고, 상면에 제1화로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된 제2화로부를 형성하며, 연통공에 통공이 형성된 화로판을 설치하고, 제1화로부에 연기를 배출하는 연통관을 설치함으로써, 제1화로부에서 연소되는 열기가 제2화로부에서 연소되는 열기에 의해 상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로 제1화로부내에서 순환되어 열 손실이 최소화되는 이중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제1화로부 내 벽면에 복수개의 지연칸막이를 설치하여 제1화로부에서 순환되는 열기가 지연칸막이에 연속적으로 충돌되게 함으로써, 열기가 연통관으로 이동되는 시간이 지연됨과 동시에 제1화로부 내에서 열기가 순환되어 몸체의 가열 시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중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 상면 테두리에 지지대를 형성하고, 그 지지대 말단에 굴뚝부를 형성함으로써, 연통관 및 제2화로부의 연기가 굴뚝부를 통해 상부로 안내되는 이중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의 외면과 제2화로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단열재를 부착 설치함으로써, 제1화로부 내의 열기가 측방 또는 상방의 단열재로 전달되어 몸체의 주위공간 온도를 상승시키는 이중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는,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제1화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제2화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화로부와 제2화로부 사이에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상기 제1화로부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연통공에 결합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을 개방 또는 차단하여 상기 제1화로부와 상기 제2화로부의 경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화로판; 및 상기 몸체의 제1화로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화로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화로부 내의 연기 및 열기가 연통관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프레임 내 측면 및 상기 제1화로부 내 벽면에 상기 제1화로부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연통관으로 안내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복수개의 지연칸막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 테두리에 복수개의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말단에 상기 연통관 및 제2화로부에서 배기되는 연기를 상부로 안내하는 굴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에 있어서, 상기 화로판은 상기 연통공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있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판부에 형성된 통공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하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면과 상기 제2화로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단열재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화로부 및 제2화로부에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점화재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점화보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는, 제1화로부의 열기가 제2화로부의 열기에 의해 상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제1화로부 내에서 열기가 순환되어 몸체의 가열시간이 지속되며, 몸체 가열 시간의 지속으로 연료사용량 저하와 동시에 연료비용이 절감되고, 몸체의 측방으로 열을 방출하여 주위 온도를 상승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제1화로부 내의 지연칸막이에 열이 연속충돌되면서 몸체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제1화로부 내에서 순환되어 몸체의 가열시간이 지속되고, 몸체에 부착설치된 단열재에 의해 주위공간 온도를 균등하게 상승시키되, 실내의 냉기에 의해 몸체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난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화로판에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화로판에 통공이 개방 또는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화로판이 회전되어 소실된 연료를 제1화로부로 낙하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제1화로부에서 열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화로판에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화로판에 통공이 개방 또는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화로판이 회전되어 소실된 연료를 제1화로부로 낙하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의 제1화로부에서 열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00)는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제1화로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제2화로부(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화로부(101)와 제2화로부(102) 사이에 연통공(103)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상기 제1화로부(101)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도어(104)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점화된 불꽃을 상기 연통공(103)을 통해 상기 제2화로부(102)로 분출하여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예컨대, 석유, 가스, 석탄 및 나무)를 연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화로부(101)와 제2화로부(102)에 각각 점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의 제1화로부(101)와 제2화로부(10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불이 지펴지거나 혹은 제1화로부(101)와 제2화로부(102)에 동시에 불이 지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화로부(101) 내의 연기 및 열기가 연통관(300)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프레임(10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프레임(105) 내 측면 및 상기 제1화로부(101) 내 벽면에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연통관(300)으로 안내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복수개의 지연칸막이(105a)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프레임(105)은 상기 제1화로부(101) 내에서 이동되는 열기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여, 열기가 상기 제1화로부(101) 상부로 이동되고, 상부로 이동된 열기가 상기 지연칸막이(105a)에 충돌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 내에서 열기가 고르게 분포됨과 동시에 상기 연통관(300)으로 이동되는 시간이 지연된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화로부(101)와 상기 안내프레임(105)에 지연칸막이(105a)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화로부(102)는 상기 몸체(100) 상면 하부로 함몰형성되어 연료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되는 연료는 상기 연통공(103)에 결합된 화로판(200)에 떠받쳐진다.
상기 몸체(100)는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 내에서 점화된 연료를 떠받치는 받침부(109)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09)는 상기 제1화로부(101) 내에서 소실된 연료를 떠받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소실된 연료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09)는 전면에 외부에서 상기 제1화로부(112)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109a)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량조절부(109a)는 회전구조로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조절된다.
상기 몸체(100)는 전면에 농작물(예컨대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1화로부(101)로 진입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점화된 불의 열로 농작물을 익히는 조리받침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조리받침부(11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받침부(110)는 상기 몸체(100) 전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전면에 상기 제2화로부(102)와 연통되어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에 불을 공급하는 점화관(111)이 형성된다.
상기 점화관(111)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불(예컨대 토치등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을 상기 제2화로부(102)로 안내하여,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가 점화된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서 점화된 불의 열을 신속하게 전달받을 수 있는 철재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는 상면 테두리에 복수개의 지지대(10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6) 말단에 상기 연통관(300) 및 제2화로부(102)에서 배기되는 연기를 상부로 안내하는 굴뚝부(107)가 형성된다.
상기 굴뚝부(107)는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진 깔대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06)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뚝부(107)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는 외면과 상기 제2화로부(102)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단열재(108)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 단열재(108)는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열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제1화로부(101) 내의 열기가 외부의 찬 공기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몸체(100)의 가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상기 단열재(108)는 황토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의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점화재료(예컨대 종이,휴지 등)가 수용되는 수용공간(401)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면에 복수개의 관통공(402)이 형성되어 있는 점화보조구(400)가 설치된다.
상기 점화보조구(400)는 상기 수용공간(401)에 점화재료를 수용하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401)에 수용된 점화재료를 연소시키게 되면, 점화재료가 연소 되면서 생성된 불이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로 옮겨 붙어 연료가 점화된다.
상기 점화보조구(400)는 상기 수용공간(401) 및 관통공(402) 통해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점화보조구(400)는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 수용되는 연료를 떠받쳐 지지하고, 그 상태에서 연료가 소실되면, 상기 관통공(401)을 통해 상기 제1화로부(101)의 받침부(109)와 상기 제2화로부(102)의 화로판(200)에 각각 낙하된다.
상기 제1화로부(101)에 설치되는 상기 점화보조구(400)는 상면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화로부(102)에 설치되는 상기 점화보조구(400)는 상면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화보조구(400)는 상기 제1화로부(101)의 받침부(109) 및 상기 제2화로부(102)에 구비된 상기 화로판(200)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로판(200)은 상기 몸체(100)의 연통공(103)에 결합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통공(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211)을 개방 또는 차단하여 상기 제1화로부(101)와 상기 제2화로부(102)의 경로를 차단 또는 개방한다.
상기 화로판(200)은 상기 통공(211)을 통해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점화된 불을 상기 제2화로부(102)로 안내한다.
상기 화로판(200)은 상면에 상기 제2화로부(102)로 수용되는 연료를 떠받치게 된다.
상기 화로판(200)은 점화된 불의 열기에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로판(200)은 상기 연통공(103)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통공(211)을 형성하고 있는 하판부(210)와, 상기 하판부(210)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판부(210)의 통공(211)과 연통되는 통과공(221)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211)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상판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화로판(200)은 상기 상판부(220)와 상기 하판부(210)가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로판(200)의 하판부(210)가 회전되면, 상기 상판부(220)에서 소실된 연료가 상기 제1화로부(101)에 구비된 상기 받침부(109)에 낙하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서 소실된 연료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화로판(200)은 상기 상판부(220) 상면에 손잡이(222)가 형성되고, 그 손잡이(222)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상판부(220)를 회전시켜, 상기 상판부(220)가 정해진 각도로 회전된다.
상기 화로판(200)의 상판부(220)가 회전되어 상기 통과공(221)이 상기 통공(211)과 연통되면,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점화된 불이 상기 통공(211) 및 통과공(221)을 통해 상기 제2화로부(102)로 분출된다.
상기 화로판(200)은 상기 상판부(220)가 회전되어 상기 통공(211)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제1화로부(101)와 상기 제2화로부(102)가 구획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1화로부(101) 또는 제2화로부(102)에 선택하여 연료를 공급하고, 연료를 연소시키게 되면, 상기 제1화로부(101) 혹은 제2화로부(102)에 선택적으로 점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화로판(200)은 상기 몸체(100)의 연통공(103)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관(300)은 상기 몸체(100)의 제1화로부(101)와 연통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연통관(300)은 연기를 상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300) 내측에는 배출되는 연기의 량을 조절하는 조절판(301)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판(301)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300)의 말단은 상기 굴뚝부(107) 내부에 위치되도록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30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난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100)의 도어(104)를 개방하여 제1화로부(101) 내에 연료를 공급하고, 화로판(200)의 통공(211)이 개방되도록 하며, 제2화로부(102) 내에 연료를 공급하고, 제1화로부(101)에 연료를 점화시킨 후, 도어(104)를 닫아 제1화로부(101)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면, 제1화로부(101)에서 점화된 불이 상기 화로판(200)의 통공(211)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고, 통공(211)을 통과한 불이 상기 제2화로부(102)로 분출되어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가 연소 되면서 불이 점화된다.
이때,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는 연료를 떠받쳐 지지한 상태로, 내부에 점화재료를 수용하고 있는 상기 점화보조구(400)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점화재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점화재료가 연소 되면서 생성된 불이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로 옮겨 붙어 연료가 점화된다.
여기서, 상기 점화보조구(400)의 수용공간(401) 및 관통공(402) 통해 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의 연료가 용이하게 연소된다.
또한, 상기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의 연료는 상기 점화보조구(400)에 떠받쳐진 상태로 소실됨으로써, 소실된 연료가 상기 관통공(401)을 통해 상기 제1화로부(101)의 받침부(109)와 상기 제2화로부(102)의 화로판(200)에 각각 낙하된다.
특히, 상기 제1화로부(101)에 설치되는 상기 점화보조구(400)는 상면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화로부(102)에 설치되는 상기 점화보조구(400)는 상면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연료를 용이하게 떠받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화로판(200)의 상기 손잡이(222)를 파지한 상태로 사용자가 상판부(220)를 회전시켜 상기 통과공(221)이 상기 통공(211)과 연통 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점화된 불이 상기 통공(211) 및 통과공(221)을 통해 상기 제2화로부(102)로 분출되어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가 점화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109)는 전면에 외부에서 상기 제1화로부(112)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109a)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량조절부(109a)는 회전구조로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연소되는 연료의 점화력이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생성된 연기를 상기 연통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1화로부(101)에 연기가 잔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연기의 량은 상기 연통관(300) 외면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조절판(301)에 의해 조절된다.
특히, 상기 연통관(300)을 통해 이동되는 연기는 상기 몸체(100) 상부에 구비된 깔대기 형상의 굴뚝부(107) 내부로 배출된 상태로 상기 굴뚝부(107)에 안내되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화로부(102)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굴뚝부(107)에 안내되어 상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굴뚝부(107)는 상기 몸체(100) 상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대(106)에 의해 상기 몸체(100) 상부의 정해진 높이에 고정된 상태로 연기의 흐름을 상부로 안내한다.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는 불의 점화로 열기가 생성되는데, 이 열기는 상기 안내프레임(105)에 의해 상기 제1화로부(101) 내에서 이동되는 열기의 흐름 방향이 변경되어 상부로 이동되고, 상부로 이동된 열기가 상기 지연칸막이(105a)에 충돌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 내에서 열기가 고르게 분포되면서 상기 몸체(100)를 가열하고, 상기 연통관(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지연칸막이에 의해 상기 제1화로부에서 생성된 열기가 상기 연통관으로 이동되는 시간이 지연된다.
이때, 상기 지연칸막이(105a)는 상기 안내프레임(105)의 내 측면 및 상기 제1화로부(101) 내 벽면에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 내의 열기가 상기 안내프레임(105)의 지연칸막이(105a)와 상기 제1화로부 (101)내의 지연칸막이(105a)에 순차적으로 충돌되면서 상기 연통관(300)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생성된 열기는 상기 제2화로부(102)에서 하부로 방출되는 열기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측방으로 이동되고, 측방으로 이동된 열기가 상기 안내프레임(105)에 안내되어 열기 흐름 방향이 변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화로부(101)를 순환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몸체(100)는 외면과 상기 제2화로부(102)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단열재(108)에 의해 보온성을 유지하여 열 손실이 방지된다.
여기서, 황토 재질로 제작된 상기 단열재(108)가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열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제1화로부(101) 내의 열기가 외부의 찬 공기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몸체(100)의 가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되는 연료는 상기 화로판(200)에 떠받쳐진 상태로 점화되어 불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화로부(102)에서 연료가 소실되면, 상기 화로판(200)의 하판부(210)를 회전시켜 상기 제2화로부(102)에서 소실된 연료를 상기 제1화로부(101)로 낙하시킴으로써, 소실된 연료가 상기 제1화로부(101)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화로부(101)에는 소실된 연료를 떠받치는 받침부(10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109)에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서 소실된 연료가 떠받쳐져 있음으로, 상기 받침부(109)를 외부로 배출하여 소실된 연료를 손쉽게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몸체(100)의 조리받침부(11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조리받침부(110)에 농작물을 수용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조리받침부(110)가 상기 제1화로부(101)로 진입되도록 하면,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점화된 불에 의해 상기 조리받침부(110)에 수용된 농작물이 익혀지게 된다.
만약, 상기 화로판(200)의 통공(211)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화로부(101)에 수용된 연료를 점화시키게 되면,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점화된 불이 상기 화로판(2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가 점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화로판(200)의 상판부(2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판부(210)의 통공(211)과 상기 상판부(220)의 통과공(221)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하판부(210)에 형성된 통공(211)이 상기 상판부(22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와 제2화로부(102)가 구획되는 것이다.
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화로판(200)의 통공(211)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를 점화시킴으로써, 상기 제2화로부에만 불이 점화된다.
즉, 상기 몸체(100)의 점화관(111)을 통해 불을 공급함으로써, 그 불이 상기 제2화로부(102)로 안내되어 상기 제2화로부(102)에 수용된 연료를 점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화로부(102)는 하부로 함몰형성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상기 제2화로부(102)에서 점화된 불이 상기 몸체(100) 측방으로 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연료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화로판(200)의 통공(211)을 자유롭게 개방하거나 혹은 차단하여 상기 제1화로부(101) 혹은 상기 제2화로부(102)에 선택적으로 불을 점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의 제1화로부와 제2화로부에 각각 불을 점화시키는 이중난로 구조는, 제1화로부의 열기가 제2화로부의 열기에 의해 상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몸체의 제1화로부 내의 지연칸막이에 열이 연속충돌되면서 몸체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제1화로부 내에서 순환되어 몸체의 가열시간이 지속되고, 몸체 가열 시간의 지속으로 연료사용량 저하와 동시에 연료비용이 절감되며, 몸체에 부착설치된 단열재에 의해 주위공간 온도를 균등하게 상승시키되, 실내의 냉기에 의해 몸체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100 : 몸체 101 : 제1화로부
102 : 제2화로부 103 : 연통공
104 : 도어 105 : 안내프레임
105a : 지연칸막이 106 : 지지대
107 : 굴뚝부 108 : 단열재
109 : 받침부 110 : 조리받침부
111 : 점화관 112 : 공기량조절부
200 : 화로판 210 : 하판부
211 : 통공 220 : 상판부
221 : 통과공 222 : 손잡이
300 : 연통관 301 : 조절판
400 : 점화보조구 401 : 수용공간
402 : 관통공
102 : 제2화로부 103 : 연통공
104 : 도어 105 : 안내프레임
105a : 지연칸막이 106 : 지지대
107 : 굴뚝부 108 : 단열재
109 : 받침부 110 : 조리받침부
111 : 점화관 112 : 공기량조절부
200 : 화로판 210 : 하판부
211 : 통공 220 : 상판부
221 : 통과공 222 : 손잡이
300 : 연통관 301 : 조절판
400 : 점화보조구 401 : 수용공간
402 : 관통공
Claims (6)
-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제1화로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제2화로부(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화로부(101)와 제2화로부(102) 사이에 연통공(103)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 상기 제1화로부(101)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도어(104)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연통공(103)에 결합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통공(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211)을 개방 또는 차단하여 상기 제1화로부(101)와 상기 제2화로부(102)의 경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화로판(200); 및
상기 몸체(100)의 제1화로부(101)와 연통되어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관(3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난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제1화로부(101) 내의 연기 및 열기가 연통관(300)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프레임(10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프레임(105) 내 측면 및 상기 제1화로부(101) 내 벽면에 상기 제1화로부(101)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기 연통관(300)으로 안내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복수개의 지연칸막이(10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난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면 테두리에 복수개의 지지대(10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6) 말단에 상기 연통관(300) 및 제2화로부(102)에서 배기되는 연기를 상부로 안내하는 굴뚝부(10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난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판(200)은 상기 연통공(103)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에 통공(211)을 형성하고 있는 하판부(210)와, 상기 하판부(210)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판부(210)의 통공(211)과 연통되는 통과공(221)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211)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상판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난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외면과 상기 제2화로부(102)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단열재(108)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난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제1화로부(101) 및 제2화로부(102)에는,
일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부에 점화재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401)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면에 복수개의 관통공(402)이 형성되어 있는 점화보조구(4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난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2129A KR101273480B1 (ko) | 2013-01-08 | 2013-01-08 | 이중난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2129A KR101273480B1 (ko) | 2013-01-08 | 2013-01-08 | 이중난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3480B1 true KR101273480B1 (ko) | 2013-06-10 |
Family
ID=4886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2129A KR101273480B1 (ko) | 2013-01-08 | 2013-01-08 | 이중난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348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2777B1 (ko) | 2014-11-03 | 2015-10-22 | 이원종 | 벽난로용 로스톨 |
KR102042354B1 (ko) | 2018-08-28 | 2019-11-08 | 장상길 |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62332A (ja) | 2002-03-05 | 2003-09-19 | Ayako Hirahara | 燃焼炉の燃焼空気自然通風供給構造 |
KR200450693Y1 (ko) | 2009-12-24 | 2010-10-22 | 강연모 | 톱밥 난로 |
KR101204250B1 (ko) | 2012-03-07 | 2012-11-22 | 김원응 | 무연 화목 난로 |
-
2013
- 2013-01-08 KR KR1020130002129A patent/KR101273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62332A (ja) | 2002-03-05 | 2003-09-19 | Ayako Hirahara | 燃焼炉の燃焼空気自然通風供給構造 |
KR200450693Y1 (ko) | 2009-12-24 | 2010-10-22 | 강연모 | 톱밥 난로 |
KR101204250B1 (ko) | 2012-03-07 | 2012-11-22 | 김원응 | 무연 화목 난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2777B1 (ko) | 2014-11-03 | 2015-10-22 | 이원종 | 벽난로용 로스톨 |
KR102042354B1 (ko) | 2018-08-28 | 2019-11-08 | 장상길 |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85245B2 (en) | Outdoor cooker and smoker, and fuel combustor therefor | |
KR101524436B1 (ko) | 화목겸용 펠렛난로 | |
KR100917787B1 (ko) | 고체연료용 열풍기 | |
KR101486050B1 (ko) | 펠렛난로 | |
CA2867564A1 (en) | A bonfire oven | |
KR101849395B1 (ko) | 펠렛 난로 | |
KR101481295B1 (ko) | 수평식 화목 난로 | |
KR101564844B1 (ko) | 고효율 펠릿 난로 | |
KR101273480B1 (ko) | 이중난로 | |
US9945563B2 (en) | Very shallow heating apparatus with very high yield and a wide view | |
KR100977012B1 (ko) | 기압차를 이용한 연소장치 겸용 보일러 | |
KR20130126571A (ko) | 대류형 화목 난로 | |
RU2417341C2 (ru) |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горения топлива | |
ES2582705T3 (es) |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para un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 |
KR102011676B1 (ko) | 벽난로 | |
KR20150133452A (ko) | 온도 유지가 용이한 가스 화덕 | |
KR200487595Y1 (ko) |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 |
KR20160067328A (ko) | 펠릿 난로 | |
KR102591827B1 (ko) |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 |
KR20160093308A (ko) | 화목 난로 | |
KR101710202B1 (ko) | 가스 오븐레인지 | |
KR20160016056A (ko) |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 |
RU2503889C1 (ru) |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горения топлива в печи и печь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указанного способа | |
EP2886953B1 (en) | Wood stove with a supply duct for logs | |
KR102227907B1 (ko) | 다용도 벽난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