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354B1 -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 Google Patents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354B1
KR102042354B1 KR1020180101334A KR20180101334A KR102042354B1 KR 102042354 B1 KR102042354 B1 KR 102042354B1 KR 1020180101334 A KR1020180101334 A KR 1020180101334A KR 20180101334 A KR20180101334 A KR 20180101334A KR 102042354 B1 KR102042354 B1 KR 10204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fuel
funnel
combus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길
Original Assignee
장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길 filed Critical 장상길
Priority to KR102018010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F23B1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including separat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Abstract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가 연소하는 공간인 연소실(119); 상기 연소실(119) 내에 배치되되 상기 연료를 지지하는 연료지지대; 상기 연소실(119)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가스 배출구(211); 및 상기 연료지지대와 연소가스 배출구(211)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연소가스내에 포함된 검뎅이을 한 번 더 연소시키는 재연소부(110)를 포함하되,상기 재연소부(110)는 연소가스를 흡입하여 재연소부(110) 내부에서 회전시키면서 연소가스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재연소부는, 상단이 하단에 비하여 넓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깔대기부(112);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깔대기부(112)와 이격되어 연소가스 흡입구(118)를 형성하는 탑플레이트(111); 및 상기 깔대기부(112)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깔데기부(112)와 이격된 버텀플레이트(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Stove with Re-combustion device}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목재나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난로의 연료로서 등유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목재나 석탄(갈탄, 무연탄 등)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열량을 얻을 수 있어 농어촌 지역에서 꾸준한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
그렇지만 목재나 석탄은 불완전 연소시 검뎅이(그을음, 타르)가 많이 발생하고, 연소실의 내벽에 들러붙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검뎅이는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완전히 연소되지 못한 탄소 입자로서,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검뎅이가 많다는 것은 연소 효율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목재나 석탄을 이용하는 난로에 있어서 검뎅이의 감소 문제는 항상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으며, 검뎅이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난로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 충분한 정도로 검뎅이를 제거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58871호 (공고일: 2014.11.07.) 등록특허공보 제10-1273480호 (공고일: 2013.06.10.)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842호 (공개일: 2012.05.2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재연소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높은 연소효율을 달성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검뎅이의 양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가 연소하는 공간인 연소실(119); 상기 연소실(119) 내에 배치되되 상기 연료를 지지하는 연료지지대; 상기 연소실(119)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가스 배출구(211); 및 상기 연료지지대와 연소가스 배출구(211)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연소가스내에 포함된 검뎅이을 한 번 더 연소시키는 재연소부(110)를 포함하되,상기 재연소부(110)는 연소가스를 흡입하여 재연소부(110) 내부에서 회전시키면서 연소가스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연소부는, 상단이 하단에 비하여 넓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깔대기부(112);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깔대기부(112)와 이격되어 연소가스 흡입구(118)를 형성하는 탑플레이트(111); 및 상기 깔대기부(112)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깔대기부(112)와 이격된 버텀플레이트(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단과, 상기 탑플레이트(111)의 단면은 사이즈는 다르나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단의 크기는 상기 탑플레이트(1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단을 이루는 다각형의 중심과 꼭지점을 잇는 선은, 상기 탑플레이트(111)의 단면을 이루는 다각형의 중심과 꼭지점을 잇는 선과 어긋나 있어 상기 연소가스 흡입구(118)의 수평 단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탑플레이트(111)에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소가스 배출구(114)가 형성되되,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114)의 주위에는 연소가스 흡입구(118)를 통하여 유입된 연소가스가 바로 연소가스 배출구(1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소가스 배리어(11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지지대는 제1 연료지지대(120)와, 상기 제1 연료지지대(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연료지지대(13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료지지대(120)에 형성된 제1 관통홀(121)은 상기 제2 연료지지대(130)에 형성된 제2 관통홀(13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실(119) 내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료공급부(230)는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 및 상기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보다 상기 연소실(119)에 더 까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2 연료공급부 도어(2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와 제2 연료공급부(232)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에는 내화패킹(233)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는 불완전 연소된 검뎅이를 이중연소시킴으로써, 배출되는 검뎅이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중 연료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새로운 연료가 계속 공급되더라도 기존에 연소되고 있던 연료들의 연소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난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연소를 구비한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연소를 구비한 난로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연소를 구비한 난로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재연소부의 측면, 상면,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재연소부 내에서 연소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연료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재회수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외형을 도시하고 있다. 난로의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부(200)는 상면을 덮는 탑커버(210)와 측면을 덮는 측면커버(220)로 구성되고, 탑커버(210)에는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소가스 배출구(211)가 연결되어 있다. 위 연소가스 배출구(211)에는 연통이 연결될 수 있다. 위 연소가스 배출구(211)는 역풍에 의한 역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탑커버(210)의 정중앙이 아니라, 한 쪽으로 치우친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커버(220)의 일측에는 목재와 석탄(갈탄, 무연탕 등)과 같은 고체형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부(230)와, 연료가 연소된 후 남게되는 부산물인 재를 회수하기 위한 재회수부(140)가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연소되고 있는 연료부분에 공급되는 산소량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공급량 조절수단(260)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공급량 조절수단(260)은 조리개 형태의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로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커버부(200) 내부에는 재연소부(110) 및, 목재와 석탄을 하단에서 지지하는 연료지지대가 설치되는데, 이들 재연소부(110)와 연료지지대는 써포트프레임(140)에 의하여 강체 결합되고, 다시 써포트프레임(140)의 하단은 난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받침대(180)와 강체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난로의 내부 구조물은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부(200)만 벗겨내면 바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한 경우 커버부(200)만 벗겨내면 내부 구성요소의 청소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된다.
더 나아가, 연료지지대는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의 실시예에는 2개의 층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처음 공급되는 연료를 지지하는 제1 연료지지대(120)와, 연소가 진행되어 크기가 작아진 상태의 연료를 지지하는 제2 연료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연료지지대(120)와 제2 연료지지대(130)에는 각각 관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연료지지대(120)에 형성된 제1 관통홀(121)은 제2 연료지지대(130)에 형성된 제2 관통홀(131)에 비하여 사이즈가 크다.
도 4를 참조하여 연료지지대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이유를 설명하도록 한다. 처음 연료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연료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제1 관통홀(120)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1 연료지지대(120) 상에 지지된 상태로 연소가 진행된다. 연소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연료의 사이즈가 작아지는데, 제1 관통홀(120)을 통과할 정도로 연료의 사이즈가 작아지면 연료는 제1 관통홀(120)을 통과하여 제2 연료지지대(120) 상으로 떨어지게 된다(도 4 상의 실선화살표 참조). 그러므로 연소 도중 새로운 연료를 공급하더라도, 기존에 연소되고 있던 연료들은 제2 연료지지대(130)에서 연소되고 있고, 새로 공급된 연료는 제1 연료지지대(120)에 놓여지기 때문에, 제2 연료지지대(130) 상에 위치하고 있는 연료들은 새로 공급된 연료에 의하여 연소가 방해되지 아니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연료지지대(130) 상에서 연소가 충분히 진행되어 사이즈가 제2 관통홀(131)보다 작아지게 되면 재회수부(240)로 모이게 된다(도 4 상의 점선화살표 참조). 도 3 및 4의 실시예에서는 연료지지대가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연료가 연소된 후 연소가스는 높은 온도로 인하여 상승하게 되는데, 연소가스가 바로 연소가스배출구(114)로 빠져나가기 전에 재연소부(110)를 거치게 된다. 연소가스에는 불완전 연소로 인한 탄소 덩어리인 검뎅이(타르)가 섞여 있는데, 재연소부는 위 검뎅이(110)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다시 연소시키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재연소부(110)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5(a)는 재연소부(110)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깔대기부(112)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탑플레이트(111)가, 그 하부에는 버텀플레이트(113)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탑플레이트(111)와 깔대기부(112) 사이에는 탑플레이트 지지부(115)가 개재되고, 버텀플레이트(113)와 깔대기부(112) 사이에는 버텀플레이트 지지부(116)가 개재될 수 있다. 깔대기부(112)는 상부 단면이 넓고 하부 단면이 좁은 깔대기형 구조물로서, 그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깔대기부(112)의 경사각(a)은 45~65º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경사각(a)이 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연소가 원활하지 않거나 혹은 열확산에 문제가 생겨서 타르의 재연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5(b)는 재연소부(110)를 상면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연소가스가 재연소부(110)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소가스 배출구(114)가 탑플레이트(1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탑플레이트(111)의 하부에는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114)가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는 연소가스 배리어(117)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재연소부(110) 내로 유입된 연소가스가 바로 연소가스 배출구(114)를 통하여 빠져나가버리는 것을 막게 된다. 실제로 재연소부(110)를 설치함으로써, 난로의 연소실 표면의 온도는 높아지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경로인 연통의 온도는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c)는 재연소부(110)를 하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여기서 깔대기부(112)의 상단과 탑플레이트(111)의 단면은 모두 육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깔대기부(112)의 가장 큰 부분(가장 상단)의 단면이 탑플레이트(111)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깔대기부(112)의 중앙과 육각형 단면의 꼭지점을 이은 선분과, 탑플레이트(111)의 육각형 단면의 중앙과 꼭지점을 이은 선분이 어긋나도록 배치하게 되면(육각형 단면을 회전하여 어긋나게 함), 삼각형 형상의 연소가스 흡입구(118)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하는 정도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나, 대략 5~30°정도가 적절하다.
여기서 탑플레이트(111)의 외주면은 육각기둥 형태의 측면커버(220)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으므로, 실제로 연소가스 흡입구(118)의 평면 형태는 삼각형을 이루게 되고, 연소가스는 위 삼각형 형태의 구멍을 통하여 재연소부(110) 내로 유입되게 된다.
도 6(a)는 연소가스가 재연소부(110) 내로 유입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인데,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연소가스는 연소실(119) 내에서 상승하다가 연소가스 흡입구(118)를 통하여 깔대기부(112) 내로 들어오게 된다(검은색 화살표). 여기서 연소가스 흡입구(118)가 삼각형 형태를 띄게 되고,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깔대기부(112) 내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소정의 회전성분을 띄게 된다. 깔대기부(112) 내에서 연소가스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 검뎅이 중 사이즈가 커서 무거운 것은 깔대기부(112)의 상면을 따라서 회전하게 되고(빨간색 화살표), 검뎅이 중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아 가벼운 것은 연소가스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파란색 화살표). 즉 깔대기부(112)가 원심분리기(싸이클론)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재연소부(110)의 깔대기부(112)와 버텀플레이트(113)은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는 위치에 있으므로, 난로의 운용 과정에서 난로의 요러 부위에서 가장 높은 온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통상 연소실 측벽은 500~650 C까지 올라가게되며, 재연소부(110)의 깔대기부(112)와 버텀플레이트(113)는 그 이상의 온도(700 C 이상) 까지 올라가게 된다. 그러므로 깔대기부(112)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며 움직이는 검뎅이(빨간색 화살표)는 깔대기부(112) 표면의 높은 온도 상태에서 다시 연소를 하게 되고, 검뎅이의 재연소에 의하여 검뎅이는 소멸되거나 사이즈가 작아지게 된다. 충분히 작아진 검뎅이는 연소가스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검뎅이 중에서도 사이즈가 큰 것들은 깔대기부(112) 내부에서 회전하는 대신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여 깔대기부(112)와 버텀플레이트(11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연소실 내부로 재유입될 수도 있다(빨간색 화살표).
정리하자면 검댕이를 포함하고 있는 연소가스는 재연소부(110) 내로 유입되는데, 연소가스 흡입구(118)의 형상에 의하여 재연소부(110) 내의 연소가스에는 회전 성분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검뎅은 회전하면서 깔대기부(112)의 고열에 의하여 재연소를 하여 가벼운 상태로 변환된 다음 연소가스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되게 됨으로써, 난로 외부로 배출되는 검뎅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연소를 통하여 열 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얻게 됨으로써, 재연소부(11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대략 30% 정도 열효율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실시예에서는 깔대기부(112)와 탑플레이트(111)가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삼각형 형태의 연소가스 흡입구(118)를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다각형(예를 들면, 오각형, 팔각형 등)을 이용하더라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깔대기부(112)와 탑플레이트(111)의 단면의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7은 연료 공급부(23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연료 공급부(230)는 측면커버(220)에 형성된 개구를 도어가 밀폐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중 도어를 채택하고 있다.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과 제2 연료공급부 도어(232)가 힌지 구조물에 의하여 측면커버(2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와 제2 연료공급부 도어(232)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20~50 mm)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의 내주면에는 내화패킹(233)이 형성되어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와 제2 연료공급부 도어(232) 사이의 이격 공간을 밀폐하게 되므로, 연소실 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어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내화패킹을 설치함에 따라 난로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도어는 80 C 정도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단열 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난로가 작동하는 도중에도 사용자는 도어를 열고 연료를 추가적으로 넣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재회수부(240)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2 연료지지대(130)에서 최종적으로 연소를 마치고 제2 관통홀(131)을 통과하여 최하단으로 낙하한 재들을 모아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면커버(22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재회수부 도어(241)는 힌지구조물에 의하여 측면커버(2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재들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애쉬트레이(242)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200: 커버부 210; 탑커버
211: 연소가스 배출구
220: 측면커버 230: 연료 공급부
231: 제1 연료공급부 도어 232: 제2 연료공급부 도어
233: 내화패킹 240: 재회수부
241: 재회수부 도어 242: 애쉬 트레이
250: 받침대 260: 공기공급량 조절수단
110: 재연소부 111: 탑플레이트
112: 깔대기부 113: 버텀플레이트
114: 연소가스배출구 115: 탑플레이트 지지부
116: 버텀플레이트 지지부 117: 연소가스 배리어
118: 연소가스 흡입구 119: 연소실
120: 제1 연료지지대 130: 제2 연료지지대
121: 제1 관통홀 131: 제2 관통홀
140: 써포트 프레임 180: 받침대

Claims (6)

  1.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가 연소하는 공간인 연소실(119);
    상기 연소실(119) 내에 배치되되 상기 연료를 지지하는 연료지지대;
    상기 연소실(119)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가스 배출구(211); 및
    상기 연료지지대와 연소가스 배출구(211)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연소가스내에 포함된 검뎅이를 한 번 더 연소시키는 재연소부(110)를 포함하되,
    상기 재연소부(110)는 연소가스를 흡입하여 재연소부(110) 내부에서 회전시키면서 연소가스에 열을 공급하며,
    상기 재연소부는, 상단이 하단에 비하여 넓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깔대기부(112);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깔대기부(112)와 이격되어 연소가스 흡입구(118)를 형성하는 탑플레이트(111); 및 상기 깔대기부(112)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깔대기부(112)와 이격된 버텀플레이트(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단과, 상기 탑플레이트(111)의 단면은 사이즈는 다르나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단의 크기는 상기 탑플레이트(1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깔대기부(112)의 상단을 이루는 다각형의 중심과 꼭지점을 잇는 선은, 상기 탑플레이트(111)의 단면을 이루는 다각형의 중심과 꼭지점을 잇는 선과 어긋나 있어 상기 연소가스 흡입구(118)의 수평 단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탑플레이트(111)에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소가스 배출구(114)가 형성되되, 상기 연소가스 배출구(114)의 주위에는 연소가스 흡입구(118)를 통하여 유입된 연소가스가 바로 연소가스 배출구(1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소가스 배리어(1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료지지대는 제1 연료지지대(120)와, 상기 제1 연료지지대(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연료지지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료지지대(120)에 형성된 제1 관통홀(121)은 상기 제2 연료지지대(130)에 형성된 제2 관통홀(13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19) 내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부(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료공급부(230)는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 및 상기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보다 상기 연소실(119)에 더 까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2 연료공급부 도어(2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와 제2 연료공급부(232)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료공급부 도어(231)에는 내화패킹(233)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KR1020180101334A 2018-08-28 2018-08-28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KR10204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34A KR102042354B1 (ko) 2018-08-28 2018-08-28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34A KR102042354B1 (ko) 2018-08-28 2018-08-28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354B1 true KR102042354B1 (ko) 2019-11-08

Family

ID=6854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334A KR102042354B1 (ko) 2018-08-28 2018-08-28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35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265Y1 (ko) * 2003-03-13 2003-06-02 박인순 소각난로
KR20120053842A (ko) 2010-11-18 2012-05-29 최상기 난방용 난로
KR101273480B1 (ko) 2013-01-08 2013-06-10 박원길 이중난로
JP2013148263A (ja) * 2012-01-19 2013-08-01 Nozaki Shoko:Kk ストーブ
KR20140129646A (ko) * 2013-04-30 2014-11-07 한인기 펠릿 연소 장치
KR101458871B1 (ko) 2014-09-17 2014-11-07 (주)유한 열교환 기능이 개선된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화목 연소식 발전장치
US20160215986A1 (en) * 2014-10-27 2016-07-28 II Frank D. Vogel Log slide for stov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265Y1 (ko) * 2003-03-13 2003-06-02 박인순 소각난로
KR20120053842A (ko) 2010-11-18 2012-05-29 최상기 난방용 난로
JP2013148263A (ja) * 2012-01-19 2013-08-01 Nozaki Shoko:Kk ストーブ
KR101273480B1 (ko) 2013-01-08 2013-06-10 박원길 이중난로
KR20140129646A (ko) * 2013-04-30 2014-11-07 한인기 펠릿 연소 장치
KR101458871B1 (ko) 2014-09-17 2014-11-07 (주)유한 열교환 기능이 개선된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화목 연소식 발전장치
US20160215986A1 (en) * 2014-10-27 2016-07-28 II Frank D. Vogel Log slide for sto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377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JP3996469B2 (ja) 薪ストーブ
CN104394743A (zh) 抗风烧烤设备
KR102042354B1 (ko) 재연소부를 구비한 난로
AU2013334488A1 (en) Wood fuelled heating stove
US5722390A (en) Fireplace wood holder
CN214307201U (zh) 一种炉具
KR102023110B1 (ko) 화목 펠릿 난로
CN206130995U (zh) 一种垃圾焚烧炉
CN218495022U (zh) 一种火炉
CN205746800U (zh) 燃煤锅炉
CN205842685U (zh) 一种垃圾焚烧炉
CN205842679U (zh) 一种垃圾焚烧炉
CN205842682U (zh) 一种垃圾焚烧炉
CN109974034B (zh) 一种节能环保型柴火炉
CN109579056A (zh) 一种组合式全封闭祛烟尘节能柴火灶
KR200294585Y1 (ko)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
CN218328362U (zh) 一种采用多种燃料的取暖设备
CN220601548U (zh) 一种夹层控制双进氧气化炉
US20220279799A1 (en) Rotary Combustion Furnace
CN217209539U (zh) 一种可移动的气、煤二用取暖炉
KR200249584Y1 (ko) 다중 연소식 벽난로
CN209196921U (zh) 安全型双燃烧室反烧锅炉
CN106016286A (zh) 一种垃圾焚烧炉
JP6052524B1 (ja) 持ち運び設置が容易な手提げハンドルの付いた薪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