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377B1 -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 Google Patents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377B1
KR101587377B1 KR1020150020012A KR20150020012A KR101587377B1 KR 101587377 B1 KR101587377 B1 KR 101587377B1 KR 1020150020012 A KR1020150020012 A KR 1020150020012A KR 20150020012 A KR20150020012 A KR 20150020012A KR 101587377 B1 KR101587377 B1 KR 10158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lid fuel
passage
exhaus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
Original Assignee
공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병 filed Critical 공병
Priority to KR102015002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위에서 아래로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해 고체연료를 거꾸로 태우는 화목난로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목난로는, 상단의 입구로부터 내부 바닥과 이격된 높이까지 아래로 연장된 내통을 내부에 포함하는 발열화통; 상기 발열화통에서 유입된 열과 연기를 받아 발열한 후 연기를 상부에 설치된 연통으로 내보내는 발열배기통; 연통 쪽으로 상승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와 불씨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배기통의 하부에 형성된 후방 개출구; 및 상기 발열화통의 내부 바닥에 쌓인 고체연료를 점화하도록 그리고 상기 고체연료 연소 후에 생긴 재를 제거하도록, 상기 발열화통 하부에 형성된 전방 개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화통의 내부는 상기 내통 내측의 내부통로와 상기 내통 외측의 외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와 상기 외부통로를 연결하는 상기 발열화통 바닥 부근의 연결통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통로를 통해 투입되는 고체연료가 상기 발열화통의 바닥에 쌓이도록, 상기 내통의 하단은 완전히 개방되며, 상기 전방 개출구는 상기 연결통로와 직접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Description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REVERSE COMBUSTION FIREWOOD STOVE}
본 발명은 장작 등의 고체연료를 태워 발열하는 화목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발열화통의 상부에서 아래로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해 고체연료를 거꾸로 태우는 화목난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장작, 펠릿, 또는 숯 등과 같이, 석유연료나 가스연료와 비교해 저렴한 고체연료를 이용하는 화목난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인 화목난로는 화통의 하단 부근에서 화통 내부로 공기가 도입되어 화통 내에 채워진 고체연료를 태우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식의 화목난로는 화통 내부의 바닥 측에 있는 고체연료의 경우 잘 타지만 그 위쪽에 있는 고체연료의 경우 잘 타지 않아 고체연료의 낭비가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화목난로는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연기와 그을음의 발생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기존 화목난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94697호는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의 한 종래기술을 개시한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화목난로는 연소실과 그 주위의 발열실이 연소실 하단에 설치된 지지체인 그레이트(grate)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화통을 포함한다. 또한 종래 화목난로는 중간 통로에 의해 화통과 연결된 배기통을 포함하며, 배기통의 상단에는 연통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목난로는 그레이트 아래로 멀리 이격된 바닥의 점화 토치를 이용하여 그레이트 위로 쌓인 고체연료를 먼거리에서 점화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배기통 바닥에 설치한 다른 토치를 이용해 배기통을 예열하고 이를 통해 배기통 내에 상승기류를 형성한다. 이 상승기류는 연소실 내에서는 하강기류를 유도하므로 고체연료가 거꾸로 타면서 발열될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종래의 화목난로는 화통 내부 공간과 배기통 내부 공간에서 2단으로 발열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열이 발열통 내부와 배기통 내부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화목난로는, 화통 바닥에 배치한 점화 토치를 이용해 화통의 내부 바닥에서 멀리 이격된 그레이트 상의 고체연료를 점화시켜야 하므로, 토치를 이용하지 않고는 고체연료 점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목난로는 토치를 이용하여 배기통을 예열하여야 배기통 내 상승 기류가 형성하는데, 이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목난로는 연소 후 그레이트 위에 남은 재의 청소와 배기통에 생긴 그을음의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꾸로 타는 난로를 구현함에 있어서,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고체연료까지 원활하고 빠르게 공급되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 기술로는 고체연료 부근으로 산소의 공급 속도를 높이는데 제한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94697호(2013년 8월 22일)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난방 효율이 높고, 상승 기류 형성을 위한 빠른 점화가 가능하며, 연소 후 남은 재와 그을음의 청소가 용이한,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해 고체연료를 거꾸로 태우는 화목난로가 제공되며, 상기 화목난로는, 상단의 입구로부터 내부 바닥과 이격된 높이까지 아래로 연장된 내통을 내부에 포함하는 발열화통; 상기 발열화통에서 유입된 열과 연기를 받아 발열한 후 연기를 상부에 설치된 연통으로 내보내는 발열배기통; 연통 측으로 상승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와 불씨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배기통의 하부에 형성된 후방 개출구; 및 상기 발열화통의 내부 바닥에 쌓인 고체연료를 점화하도록 그리고 상기 고체연료 연소 후에 생긴 재를 제거하도록, 상기 발열화통 하부에 형성된 전방 개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화통의 내부는 상기 내통 내측의 내부통로와 상기 내통 외측의 외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와 상기 외부통로를 연결하는 상기 발열화통 바닥 부근의 연결통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통로를 통해 투입되는 고체연료가 상기 발열화통의 바닥에 쌓이도록, 상기 내통의 하단은 완전히 개방되며, 상기 전방 개출구는 상기 연결통로와 직접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열배기통은 상기 발열배기통의 내부 바닥과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 중간 격벽에 의해 제1 발열 배기실과 제2 발열 배기실로 나뉘어지며, 상기 제1 발열 배기실은 상기 발열화통에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상기 외부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발열 배기실은 상기 연통 및 상기 후방 개출구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상승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와 상기 불씨의 투입에 의해 상기 제2 발열 배기실에는 상기 연통을 향해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간 격벽은 상기 발열배기통의 상단에서 아래로 연장된 격벽판과 상기 격벽판 하단에 배치되어 외면 형상을 따라 열과 연기가 멀리 돌아 흐르게 하는 격벽파이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체연료가 쌓이는 상기 발열화통 내부 바닥부에서 공기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내통은 하단 단면 크기가 입구측 단면 크기보다 작은 병목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열배기통은 외부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오븐용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열화통의 입구를 덮도록 배치된 뚜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복수개의 하부 공기 유입홀을 구비한 하부 뚜껑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뚜껑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부 공기 유입홀을 구비한 상부 뚜껑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뚜껑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상부 뚜껑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부 공기 유입홀과 상기 상부 공기 유입홀이 중첩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공기 공급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체연료가 발열화통의 내부 바닥부터 쌓이도록 내통 하단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전방 개출구는 고체 연료가 쌓이는 발열화통의 내부 바닥 부근 공간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방 개출구를 통해 토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문지, 기름톱밥을 이용하여 고체연료의 점화가 용이하며, 또한 상기 전방 개출구를 통해, 고체연료 연소 후 남은 재의 청소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체연료 연소 중 발열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발열화통 내부 공간, 상기 발열배기통 내 제1 발열 배기실 및 제2 발열 배기실을 포함하는 3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래에 비해 열이 화목난로 내에 오래 머물 수 있으며 이는 난방효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과 연기가 격벽파이프의 곡면을 따라 멀리 돌아 연통으로 나가면서 열을 격벽파이프 내부를 통해 실내로 방출하므로 난방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화통의 상단 입구에서 아래로 수직 연장된 내통이 고체연료와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내부통로와 발열배기통으로 열과 연기를 내보내는 외부통로와 이들의 연결통로를 형성하되, 그 내통이 하단에서 그 단면이 작아지는 병목 구조를 가져, 고체연료가 쌓이는 바닥 부근에서의 공기 유속을 증가시키므로, 연통 쪽에 굳이 팬을 설치하지 않고도 고체연료의 발화 및 연소효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1)는 화목, 갈탄, 펠릿과 같은 고체연료의 연소 및 발열이 이루어지는 발열화통(10)과, 상기 발열화통(10)과 연결되고 연통(50)까지 연기의 배기와 발열이 이루어지는 발열배기통(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화통(10)의 상단에는 고체연료가 투입되는 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연소 공기(또는, 산소)의 공급 조절 기능을 갖는 뚜껑(30)이 상기 입구를 덮도록 상기 발열화통(10)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발열화통(1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발열화통(10) 내 바닥에 넣어진 고체연료를 점화하고 연소 후 남은 재를 청소하기 위한 전방 개출구(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개출구(41)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전방 개출구(41)에는 전방 개출구 커버(42)가 설치된다. 또한, 연통(50) 측으로 상승기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발열배기통(20) 내로 예열용 연료(예컨대, 기름톱밥 또는 종이 등)와 이를 점화하기 위한 불씨 또는 토치 화염이 투입되는데, 이와 같은 예열용 연료와 불씨를 투입하기 위해, 상기 발열배기통(20)의 후방 하부에는 후방 개출구(43)와 상기 후방 개출구(43)를 개폐하기 위한 후방 개출구 커버(44)가 마련된다.
상기 발열화통(10)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발열화통(1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까지 아래로 길게 수직 연장된 내통(11)을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내통(11)의 하단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상기 발열화통(10)의 내부 바닥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내통(11) 하단의 완전 개방에 의해, 상기 발열화통(10) 내로 투입된 고체연료는 상기 발열화통(10)의 내부 바닥 위로 쌓인다.
또한, 상기 발열화통(10)의 내부는 연료 및 연소 공기의 공급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상기 내통(11) 안쪽의 내부 통로(100a)와, 상기 내통(11) 바깥쪽에서 열 및 연기의 상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외부 통로(100c)와, 실질적으로 고체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통로(100a)와 상기 외부 통로(100c) 사이가 연결되는 연결 통로(100b)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통로(100b)는 내통(11)이 없는 발열화통(11)의 바닥 부근에 위치한다.
상기 내통(11)의 상단 입구는, 상기 발열화통(11)의 입구와 같은 것으로서, 상기 내통(11)의 하단 출구보다 큰 직경 또는 큰 단면적을 갖는다. 상기 내통(11) 또는 상기 내부 통로(100a)의 하단 출구 직경 또는 단면적이 상기 내통(11) 또는 상기 내부 통로(100a)의 상단 출구 직경 또는 단면적보다 작은 병목 구조에 의해, 고체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상기 발열화통(10) 내부 바닥 부근의 연결통로(100b)에서의 연소용 공기의 유입 속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유속 증가는 연통에 팬을 설치하지 아니하고도 내통 상단 입구로부터 하단 출구로의 급속한 하강 기류 및 나아가 연통쪽으로의 열기 흐름을 형성시키므로 발열화통(11)의 내부 바닥에 쌓인 고체연료가 훨씬 더 잘 타게 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다. 상기 내통(11) 하단의 병목 구조는 상기 내통(11)의 하부 일부 높이 구간을 아래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화통(10) 내 바닥에 넣어진 고체연료를 점화하기 위해 그리고 연소 후 남은 재를 청소하기 위해, 상기 발열화통(10)의 전방측 하부에는 전방 개출구(41)가 마련되는데, 상기 전방 개출구(41)는 상기 내통(11)이 없는 높이 구간에서 상기 연결 통로(100b)와 직접 연결되어 통해 있도록 상기 발열화통(1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다. 전방 개출구(41)과 연결 통로(100b)가 직접 연결되므로 종래 화목난로와 같이 원거리에서 화염을 방사하기 위해 굳이 토치와 같은 장비가 없더라도 고체연료를 용이하게 발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통(50) 측으로 상승 기류를 형성한 후에, 상기 전방 개출구(41)를 통해 상기 발열화통(10) 내 바닥에 쌓인 고체연료에 불을 붙여 고체연료를 점화한다. 연소가 다 된 후에는, 상기 전방 개출구(41)를 통해 연소 후 남은 재를 쉽고 빠르게 청소할 수 있다. 고체연료의 연소 중에는 전방 개출구 커버(42)를 개방하여 상기 전방 개출구(41)를 통해 고체연료 하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도울 수 있고 연소 상태를 관찰하거나 고체연료의 적층 상태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불씨가 약해지는 경우 뚜껑(30)을 닫고 전방 개출구(41)을 개방하면 꺼져가는 불씨가 확 되살아나게 할 수 있다.
상기 발열화통(10)은 상기 발열배기통(20)과 접하여 결합되며, 발열화통(10)의 높이 중간에 자신의 외부통로(100c)를 발열배기통(20)과 연결하는 연통홀(100d)을 구비한다. 연통(50)을 향하는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발열화통(10) 내 외부통로(100c)에는 상승기류가 생기고, 상기 발열화통(10) 내 내부통로(100a)는 하강기류가 생긴다. 따라서, 공기는 내부통로(100a)를 통해 상기 발열화통(10) 내 바닥 연결통로(100b)까지 역류 없이 아래로 공급되고, 연소에 의해 열기와 연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외부통로(100c)를 통해 상승한 후 상기 연통홀(100d)을 통해 발열배기통(20) 내부로 들어간 후 다시 상승하여 연통(50)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뚜껑(30)을 상기 발열화통(10)의 상단 입구로부터 개방한 후, 상기 입구를 통해 고체연료가 투입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입된 고체연료는 상기 내통(11) 안쪽의 내부통로(100a)를 거쳐 상기 발열화통(10)의 하부로부터 쌓인다. 상기 발열화통(10)의 하부로부터 쌓인 고체연료 일부가 상기 내부통로(100a)까지도 쌓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소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뚜껑(30)은, 상기 발열화통(10) 상단의 입구를 덮되, 공급 공기 조절 구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뚜껑(30)은 복수개의 하부 공기 유입홀들(312)을 구비한 하부 뚜껑 플레이트(31)와, 상기 하부 뚜껑 플레이트(3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복수개의 상부 공기 유입홀(322)들을 구비한 상부 뚜껑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뚜껑 플레이트(31)에 대하여 상기 상부 뚜껑 플레이트(32)를 회전 이동시켜, 상기 하부 공기 유입홀(312)과 상기 상부 공기 유입홀(322)이 중첩하는 정도를 0 ~ 100%까지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중첩하는 정도가 0%인 경우, 상기 하부 공기 유입홀(312)을 통한 공기 유입은 거의 완전하게 차단되고, 중첩하는 정도가 100%인 경우 상기 하부 공기 유입홀(312)이 전체적으로 열려 100%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식으로 연소 정도 및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배기통(20)은 전술한 바 있는 연통홀(100d)을 통해 상기 발열화통(10)으로부터 유입된 열 및 연기를 내부에서 오래 머무르게 한 후 연통(50)으로 내보내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중간 격벽(21)에 의해 나뉘어진 상류측 제1 발열 배기실(200a)과 하류측 제2 발열 배기실(200b)을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중간 격벽(21)은 상기 발열배기통(20)의 상단에서 아래로 연장된 격벽판(212)과 상기 격벽판(212) 하단에 설치된 격벽파이프(214)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파이프(214)가 점유하는 상기 중간 격벽(21)의 하단과 상기 발열배기통(20)의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제1 발열 배기실(200a)과 상기 제2 발열 배기실(200b)을 연결하는 갭이 존재한다.
종래기술 따른 화목난로는 열이 머물러 유지되는 공간이 연소가 이루어지는 화통 내 공간과 배기가 이루어지는 배기통 내 공간을 포함하는 2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열 및 연기의 배출이 급속히 진행되므로 난방 효율이 떨어지고 에너지 낭비가 심한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화목난로는 열이 머물러 유지되는 공간이 상기 발열화통(10) 내 공간, 상기 발열배기통(20) 내 제1 발열 배기실(200a), 제2 발열 배기실(200b)의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난방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격벽파이프(214)는 상기 제1 발열 배기실(200a)과 상기 제2 발열 배기실(200b)을 연결하는 갭과 인접하게 배치된 채 자신의 외면 형상을 따라 열과 연기가 멀리 돌아 흐르게 하여, 상기 발열배기통(20) 내에서 열이 머무르는 시간을 더욱 더 늘려주면서 파이프 내부 공간을 통해 열기를 실내로 방출하게 하므로 난방 효율이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 발열배기통(20)은 외부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오븐용 리세스(22)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오븐용 리세스(22)에 오븐용 드로워(23)를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오븐용 드로워(23)를 이용하여 오븐용 리세스(22)에 고구마, 감자, 계란, 고기 등의 요리 재료를 넣어 이를 굽거나 익힐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븐용 리세스(22)에 상기 1 발열 배기실(200a)과 면하는 좌측면과 하측면에 다수개의 구멍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또는 망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발열 배기실(200a)로부터 상기 구멍들을 통해 유입되는 열과 연기를 이용하여 훈제 요리도 할 수 있다. 또한, 오븐용 드로워(23) 대신에 오븐용 리세스(22)를 개폐하는 도어를 두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배기통(30)의 후방 하부에는 후방 개출구(43)와 상기 후방 개출구(43)를 개폐하기 위한 후방 개출구 커버(44)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개출구(43)는 상기 발열배기통(20)의 상기 제2 발열 배기실(200b)과 직접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발열 배기실(200b)의 하부 측에 상기 후방 개출구(43)가 형성되고 연통(50)은 상기 제2 발열 배기실(200b)의 상부에 결합된다. 연소를 위해 발열화통(10) 내 고체연료를 점화하기 직전에, 상기 후방 개출구(43)를 통해 예열용 연료와 불씨를 투입해 제2 발열 배기실(200b)에 연통(50)으로 흐르는 상승 기류를 형성한다. 이후에 상기 발열화통(10) 내 고체연료가 점화되면, 상기 상승 기류는 상기 발열화통(10) 내 열 및 연기를 제1 발열 배기실(200a) 및 제2 발열 배기실(200b)을 통해 흡입해 연통(50)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연통(50)에는 연기 배기량 조절을 위한 댐퍼(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개출구(43)를 통해 연통(50)이나 댐퍼(70)에 부착되어 낙하하는 그을음 또는 검댕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10: 발열화통 20: 발열배기통
11: 내통 21: 중간 격벽
41: 전방 개출구 43: 후방 개출구
100a: 내부통로 100b: 연결통로 100c: 외부통로 200a: 제1 발열 배기실
200b: 제2 발열 배기실 212: 격벽판
214: 격벽파이프

Claims (6)

  1. 위에서 아래로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해 고체연료를 거꾸로 태우는 화목난로에 있어서,
    상단의 입구로부터 내부 바닥과 이격된 높이까지 아래로 연장된 내통을 내부에 포함하는 발열화통;
    상기 발열화통에서 유입된 열과 연기를 받아 발열한 후 연기를 상부에 설치된 연통으로 내보내는 발열배기통;
    연통 쪽으로 상승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연료와 불씨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배기통의 하부에 형성된 후방 개출구; 및
    상기 발열화통의 내부 바닥에 쌓인 고체연료를 점화하도록 그리고 상기 고체연료 연소 후에 생긴 재를 제거하도록, 상기 발열화통 하부에 형성된 전방 개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화통의 내부에는 상기 내통 내측의 내부통로와 상기 내통 외측의 외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와 상기 외부통로를 연결하는 상기 발열화통 바닥 부근의 연결통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통로를 통해 투입되는 고체연료가 상기 발열화통의 바닥에 쌓이도록, 상기 내통의 하단은 완전히 개방되며, 상기 전방 개출구는 상기 연결통로와 직접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화통의 입구를 덮도록 배치된 뚜껑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복수개의 하부 공기 유입홀을 구비한 하부 뚜껑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뚜껑 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부 공기 유입홀을 구비한 상부 뚜껑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뚜껑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상부 뚜껑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부 공기 유입홀과 상기 상부 공기 유입홀이 중첩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며,
    상기 발열배기통은 상기 발열배기통의 내부 바닥과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 중간 격벽에 의해 제1 발열 배기실과 제2 발열 배기실로 나뉘어지며, 상기 제1 발열 배기실은 상기 발열화통에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상기 외부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발열 배기실은 상기 연통 및 상기 후방 개출구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연료와 상기 불씨의 투입에 의해 상기 제2 발열 배기실에는 상기 연통을 향해 상승기류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 격벽은 상기 발열배기통의 상단에서 아래로 연장된 격벽판과 상기 격벽판 하단에 배치되어 외면 형상을 따라 열과 연기가 멀리 돌아 흐르게 하는 격벽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체연료가 쌓이는 상기 발열화통 내부 바닥 부에서 공기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내통은 하단 단면 크기가 입구측 단면 크기보다 작은 병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배기통은 외부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오븐용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6. 삭제
KR1020150020012A 2015-02-10 2015-02-10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158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12A KR101587377B1 (ko) 2015-02-10 2015-02-10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12A KR101587377B1 (ko) 2015-02-10 2015-02-10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377B1 true KR101587377B1 (ko) 2016-01-20

Family

ID=5530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012A KR101587377B1 (ko) 2015-02-10 2015-02-10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3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53A (ko) * 2014-11-14 2016-05-24 김태경 화목난로
KR101694694B1 (ko) 2016-06-24 2017-01-10 황종걸 연기 없이 오래 타는 고효율 화목난로
KR20180115519A (ko)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자단 난로
KR200492718Y1 (ko) 2019-06-24 2020-11-30 주식회사 유림하이텍 화목 난로
KR102324144B1 (ko) 2020-05-12 2021-11-10 이찬섭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2412513B1 (ko) * 2021-05-27 2022-06-24 홍성표 자동 반복 연소 난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020A (ja) * 1982-03-04 1983-09-10 Tokyo Tatsuno Co Ltd 練炭火鉢
KR101294697B1 (ko) 2012-06-21 2013-08-09 오윤석 하향 연소식 화목난로
KR200472326Y1 (ko) * 2012-12-27 2014-04-16 이재만 화목 난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020A (ja) * 1982-03-04 1983-09-10 Tokyo Tatsuno Co Ltd 練炭火鉢
KR101294697B1 (ko) 2012-06-21 2013-08-09 오윤석 하향 연소식 화목난로
KR200472326Y1 (ko) * 2012-12-27 2014-04-16 이재만 화목 난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53A (ko) * 2014-11-14 2016-05-24 김태경 화목난로
KR101703393B1 (ko) 2014-11-14 2017-02-06 김태경 화목난로
KR101694694B1 (ko) 2016-06-24 2017-01-10 황종걸 연기 없이 오래 타는 고효율 화목난로
KR20180115519A (ko)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자단 난로
KR200492718Y1 (ko) 2019-06-24 2020-11-30 주식회사 유림하이텍 화목 난로
KR102324144B1 (ko) 2020-05-12 2021-11-10 이찬섭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2412513B1 (ko) * 2021-05-27 2022-06-24 홍성표 자동 반복 연소 난로
WO2022250398A1 (ko) * 2021-05-27 2022-12-01 홍성표 자동 반복 연소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377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KR101524436B1 (ko) 화목겸용 펠렛난로
KR200486674Y1 (ko) 난로
FI118823B (fi) Polttomenetelmä ja polttolaite
CN104566338A (zh) 生物质链条锅炉炉膛结构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LT2010037A (lt) Buitinis kietojo kuro katilas su dujų deginimo degikliu ir dujų deginimo būdas
RU2661516C2 (ru)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газогенераторный котёл
KR101645933B1 (ko) 완전연소 촉진을 통해 연소효율을 향상한 연탄난로 화덕
KR102023110B1 (ko) 화목 펠릿 난로
KR102052508B1 (ko) 화덕 겸용 난로
RU2268443C2 (ru)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ая печь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20160114755A (ko) 펠릿을 이용한 난로
RU157185U1 (ru) Печь пиролизная
KR20160067328A (ko) 펠릿 난로
KR101344606B1 (ko) 펠릿 연료의 연소기
KR102361252B1 (ko)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RU2740962C1 (ru) Конвекторная печь
KR102324144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CN203517887U (zh) 自动落料炉具
JP3242406U (ja) ストーブ
KR102414733B1 (ko) 화목난로
JP6471395B2 (ja) ガス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