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718Y1 - 화목 난로 - Google Patents

화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718Y1
KR200492718Y1 KR2020190002627U KR20190002627U KR200492718Y1 KR 200492718 Y1 KR200492718 Y1 KR 200492718Y1 KR 2020190002627 U KR2020190002627 U KR 2020190002627U KR 20190002627 U KR20190002627 U KR 20190002627U KR 200492718 Y1 KR200492718 Y1 KR 200492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wood
heat dissipation
combustion
heat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하이텍
Priority to KR2020190002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8Closed stoves with fuel storage in a single undivided hopper within stove or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2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with external air ducts
    • F24B7/025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with external air ducts with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땔감으로 장작, 합판 쪼가리 등을 사용하여 추운 겨울에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 기구인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작 등을 땔감으로 사용하는 화목 난로에서, 장작 등의 땔감을 땔 때 발생하는 연소열의 상향 흐름과 하향 흐름을 반복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조의 유로를 갖춘 새로운 연소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상승 기류 형성을 위한 빠른 점화가 가능함은 물론 장작 등의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을 할 때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 등을 줄일 수 있고, 연소열의 체류 구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목 난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목 난로{Firewood stove}
본 고안은 땔감으로 장작, 합판 쪼가리 등을 사용하여 추운 겨울에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 기구인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가정이나 사무실 및 농가의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와 공장, 공사장 등과 같은 옥외에서 난방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난방 기구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유체 연료(액화석유가스ㆍ천연가스 따위의 기체연료, 경유ㆍ휘발유 따위의 액체연료)의 가격이 큰 폭으로 인상됨에 따라 유체 연료 보다 저가이고 비교적 강력한 화력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장작ㆍ석탄ㆍ숯ㆍ코크스 등)의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면적이 넓은 공장이나 농촌, 산간마을 등지에서는 현재에도 그 대부분이 고체 연료를 땔감으로 하는 난로를 사용하여 난방을 해결하고 있고, 그 밖에도 골프연습장ㆍ설현장 등에서도 가스 난로나, 석유 난로 대신에 점차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화목 난로로서 난방을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통 화목 난로는 장작 등의 땔감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구조상 연소의 속도가 빨라 연료의 사용량이 많고, 그에 비례하여 불안전 연소에 의해 소비되는 열량도 많아 이중의 낭비적 요소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나무 장작이나, 숯 등과 같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화목 난로는 그 구조상 연소 시 난로 내부의 연통 하단에 있는 연료만 한꺼번에 빨리 집중 연소되고, 나머지 연료는 불완전 연소가 되기 때문에 연료 사용량이 많아 난방을 위한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소 시 연기 및 그을음이 많이 발생되어 연소 효율이 매우 떨어짐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 시 주변의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하게 되어 환경친화적인 상태로 사용할 수가 없으며, 연통이 그을음으로 인해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 사용자가 관리 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한국 등록특허 10-1294697호, 한국 등록특허 10-1587377호 등에서는 열과 연기의 유로를 개선한『거꾸로 타는 화목난로』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목 난로들은 열이 발열통 내부와 배기통 내부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화통 바닥에 배치한 점화 토치를 이용해 화통의 내부 바닥에서 멀리 이격된 그레이트 상의 고체연료를 점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토치를 이용하지 않고는 고체연료 점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볼 때 열의 체류 구간이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여전히 불완전 연소로 인해 열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294697호 한국 등록특허 10-1587377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85066호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장작 등을 땔감으로 사용하는 화목 난로에서, 장작 등의 땔감을 땔 때 발생하는 연소열의 상향 흐름과 하향 흐름을 반복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조의 유로를 갖춘 새로운 연소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상승 기류 형성을 위한 빠른 점화가 가능함은 물론 장작 등의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을 할 때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 등을 줄일 수 있고, 연소열의 체류 구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목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목 난로를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화목 난로는 상부의 뚜껑을 열고 위에서 아래로 땔감을 투입할 수 있는 땔감 투입관과, 상기 땔감 투입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구조로서 땔감을 연소시키는 공간을 조성하는 연소실 및 상기 연소실의 일측에서 수평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연소열 도입관과, 상기 연소열 도입관에서 공급되는 연소열을 상향 흐름으로 유도함과 더불어 계속해서 하향 흐름으로 유도하면서 열을 방출하여 주변을 난방하는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의 하단부 한쪽 측면부와 연통되면서 방열부를 빠져나온 배기를 배출하는 연통부와, 상기 땔깜 투입관을 포함하는 연소실과 방열부, 그리고 연통부를 지지하는 난로 본체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화목 난로의 방열부는 연소열의 체류를 위한 상부의 1차 방열 공간부 및 연소열 도입관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하부의 2차 방열 공간부와, 상기 2차 방열 공간부의 내측에 속해 있는 연소열 도입관의 단부 상면에서 수직 연장되는 동시에 1차 방열 공간부의 내부와 연통되면서 외부에 노출되는 중심부의 메인 방열관과, 상기 메인 방열관의 주변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1차 방열 공간부의 저면과 2차 방열 공간부의 상면 사이에 수직으로 연통 설치되면서 외부에 노출되는 외곽부의 복수 개의 서브 방열관을 포함하는 구조가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화목 난로는 난로 본체의 앞쪽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단부에는 다수 개의 바 홈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암과, 상기 양쪽의 암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바 홈에 양단이 걸쳐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땔감을 잡아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로 구성되는 땔감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목 난로는 연소실의 저면부에 배치되면서 철망을 사이에 두고 연소실의 내부와 통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연소실에서 떨어지는 연소재를 담아주는 서랍식의 연소재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목 난로의 땔감 투입관은 아래로 갈수록 큰 직경을 이루는 단차진 구조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화목 난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장작 등의 땔감을 위에서 아래로 투입한 후에 아래쪽에서 연소시킴과 더불어 하부 측방에서 방열부측으로 연기와 연소열을 빨아들이는 구조이므로, 점화가 쉽고 땔감의 투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연기나 연소열이 땔감 투입구가 있는 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소열의 상향 흐름과 하향 흐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됨과 더불어 연소열의 체류할 수 있는 상부의 1차 방열 공간부 및 연소열 도입관의 주변을 수용할 수 있는 하부의 2차 방열 공간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방열부를 적용함으로써, 연소열의 체류 구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완전 연소를 유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부로 노출되는 중심부의 메인 방열관 및 외곽부의 서브 방열관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방열부를 적용함으로써, 실내의 대기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는 방열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등 난방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목 난로는 연소실(12), 방열부(14), 연통부(15) 등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난로 본체(16)를 포함한다.
상기 난로 본체(16)는 상부의 플레이트(16a)와 하부의 베이스(16b), 그리고 망 형태로 되어 있는 양쪽의 벽체(16c)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난로 본체(16)의 베이스(16b)에는 바퀴(16d)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장소에 난로 본체(16)를 옮겨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난로 본체(16)의 플레이트(16a)는 후술하는 방열부(14)의 1차 방열 공간부(17)와 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레이트(16a) 상에 조리 기구나 주전자 등을 올려놓고 음식을 조리하거나 물을 끊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난로 본체(16)에는 땔감 투입관(11)에 들어있는 땔감의 길이가 긴 경우에 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암(22)과 바(21)로 구성되는 땔감 거치부(24)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땔감이 옆으로 지나치게 기울어지지 않고 적당히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면서 연소실(12) 내에서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난로 본체(16)의 앞쪽 상단부에는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암(22)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암(22)은 후단부를 통해 난로 본체(16)의 플레이트(16a)에 용접 등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선단부가 땔감 투입관(11)이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암(22)의 상단부에는 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바 홈(21)이 형성되며, 이때의 바 홈(21)에는 바(23)가 걸쳐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땔감 투입관(11)에 넣어져 있는 땔감을 거치할 수 있는 수단으로 바(23)가 구비되며, 이때의 바(23)는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암(22)의 바 홈(21) 내에 양단부가 걸쳐지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긴 막대, 긴 합판 쪼가리 등과 같은 땔감을 땔감 투입관(11) 내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집어넣게 되면, 땔감의 길이 일부는 땔감 투입관(11)을 거쳐 연소실(12) 내에 위치되고, 땔감의 길이 나머지 부분을 땔감 투입관(11)의 외부로 연장되면서 길게 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땔감 투입관(11)의 밖으로 나와 있는 땔감의 윗부분을 바(23)에 걸쳐놓게 되면, 땔감은 적당히 세워진 자세로 땔감 투입관(11)은 물론 연소실(12) 내에서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목 난로는 장작 등의 땔감을 집어넣는 곳인 땔감 투입관(11)을 포함한다.
상기 땔감 투입관(11)은 아래로 갈수록 큰 직경을 이루는 단차진 구조, 예를 들면 3단으로 단차진 구조의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땔감 투입구(11)의 상단부에는 핀(27)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뚜껑(10)이 설치되며, 이때의 뚜껑(10)을 지지하는 핀(27)은 뚜껑(10)의 가장자리 부분을 관통한 수직 자세에서 땔감 투입구(11)의 단차면서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땔감 투입구(11)는 연소실(12)의 상면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땔감 투입구(11)의 내부와 연소실(12)의 내부는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목 난로는 실질적으로 땔감을 태우는 장소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연소실(12)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실(12)은 사각의 통 형태로서, 난로 본체(16)의 앞쪽에 수평 자세로 위치되어 난로 본체(16)의 베이스(16b) 상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연소실(12)의 상부로는 땔감 투입관(11)이 연통되는 구조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땔감 투입관(11)을 통해 넣어진 땔감은 연소실(12)의 내부 공간까지 진입된 후에 이곳에서 연소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소실(12)의 뒷쪽으로는 연소열 도입관(13)이 연장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연소열 도입관(13)은 방열부(14)에 있는 2차 방열 공간부(18)의 내부까지 연장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12)과 연소열 도입관(13)은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서, 이에 따라 연소실(12)에서 땔감이 타면서 발생하는 연소열은 연소열 도입관(13)을 통해 그대로 방열부(14)측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실(12)의 바닥에는 철망(25)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연소실(12)에서 땔감이 타서 만들어진 연소재는 철망(25)을 통해 그 아래쪽의 연소재 수집부(26)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연소실 청소나 초기 점화 등을 위해 연소실(12)의 앞부분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때의 개방 부위는 개폐가능한 마감판(29a)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12)은 연소재의 수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랍(26a)과 서랍틀(26b)로 구성되는 서랍식 구조의 연소재 수집부(26)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연소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소실(12)의 저부, 예를 들면 연소실(12)의 바닥을 이루는 철망(25)의 저부에는 사각의 서랍틀(26b)이 용접 등으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서랍틀(26b)의 내부에는 앞뒤로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구조의 서랍(26a)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사용자가 서랍(26a)에 연소재가 어느 정도 가득차있다고 확인되면, 서랍틀(26b)에서 서랍(26a)을 빼낸 후에 서랍(26a)에 들어 있는 연소재를 수거 처리할 수 있게 되므로서, 화목 난로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연소실(12)의 전면에는 공지의 공기조절기(28)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화력의 세기를 감안하여 공기조절기(28)를 조절하게 되면, 연소실(12)의 내부로 들어가는 공기량을 적당히 제어하여 화력을 세게 또는 약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목 난로는 난로 주변으로 연소열을 직접 방출하여 난로 주변을 따뜻하게 해주는 수단으로 방열부(14)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14)는 하부에서 공급되는 연소열을 윗쪽으로 유도한 후에 1차 체류시키고, 재차 방향을 전환시켜서 아래쪽으로 유도한 후에 2차 체류시킨 다음, 연통부(15)를 통해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난로 주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난로 본체(16)의 내측 영역 상부에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조성되는 1차 방열 공간부(17)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측 영역 하부에도 역시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조성되는 2차 방열 공간부(1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1차 방열 공간부(17)를 조성하는 윗쪽의 원통형 하우징은 난로 본체(16)의 플레이트(16a)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2차 방열 공간부(18)를 조성하는 아래쪽의 원통형 하우징은 난로 본체(16)의 베이스(16b)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2차 방열 공간부(18)에는 연소실(12)측에서 연장되는 연소열 도입관(13)이 수평 자세로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되는 연소열 도입관(13)의 단부 상면에는 원형의 관 형태로 이루어진 메인 방열관(19)의 하단부가 연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메인 방열관(19)의 상단부는 1차 방열 공간부(17)에 연통되는 구조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메인 방열관(19)은 난로 본체(16)의 중심부를 따라, 예를 들면 위아래 원통형 하우징의 중심축선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외부에 노출되어 주변으로 연소열을 그대로 방출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메인 방열관(19)은 주변에 배치되는 서브 방열관(20) 대비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인 방열관(19)의 둘레에는 다수 개의 서브 방열관(20)이 나란하게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각 서브 방열관(20)은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이용하여 1차 방열 공간부(17)측과 2차 방열 공간부(18)측에 각각 연통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 개의 서브 방열관(20)은 메인 방열관(19)과 나란한 수직 자세를 취하면서 메인 방열관(19)의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때의 각 서브 방열관(20)의 상단부는 1차 방열 공간부(17)를 조성하고 있는 윗쪽 원통형 하우징의 저면에 관통 연결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2차 방열 공간부(18)를 조성하고 있는 아래쪽 원통형 하우징의 상면에 관통 연결된다.
이때의 각 서브 방열관(20)도 마찬가지로 외부에 노출되어 주변으로 연소열을 그대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소실(12)의 연소열 도입관(13)으로부터 제공되는 연소열은 메인 방열관(19)을 따라 윗쪽으로 진행되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고, 계속해서 메인 방열관(19)을 빠져나온 연소열은 소정의 용적을 가지는 1차 방열 공간부(17)로 들어간 후에 체류하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고, 계속해서 1차 방열 공간부(17) 내의 연소열은 방향을 아래쪽으로 꺽어 각각의 서브 방열관(20)을 따라 아래쪽으로 진행되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고, 계속해서 서브 방열관(20)을 빠져나온 연소열은 소정의 용적을 가지는 2차 방열 공간부(18)로 들어간 후에 체류하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한 다음, 연통부(15)측으로 보내져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연소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메인 방열관(19)을 흐르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한차례 주변을 따뜻하게 해주고, 방향을 꺽어서 역시 외부로 노출되어 서브 방열관(20)을 흐르면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한차례 더 주변을 따뜻하게 해주는 한편, 소정의 용적을 가지는 위아래 1차 방열 공간부(17)와 2차 방열 공간부(18) 내의 체류하는 연소열을 통해 주변을 따뜻하게 해줌으로써, 열방출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연소열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 난방 성능을 최대로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 방열 공간부(17) 내의 연소열, 예를 들면 메인 방열관(19), 1차 방열 공간부(17) 및 서브 방열관(19)을 차례로 거치면서 온도가 떨어진 연소열은 2차 방열 공간부(18) 내에 위치되어 있는 연소열 도입관(13)과의 열전도 작용에 의해 재차 고온을 회복하게 되고, 결국 2차 방열 공간부(18)에서의 열 방출 성능이 1차 방열 공간부(17)에서의 열 방출 성능 못지 않게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목 난로는 방열작용을 마친 폐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으로 연통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연통부(15)는 방열부(14)의 2차 방열 공간부(18)와 연통되면서 이곳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관(15a)과, 상기 수평관(15a)의 상면에서 윗쪽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관(15b)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부(14)의 2차 방열 공간부(18)에서 배출되는 폐열은 수평관(15a)과 수직관(15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부(15)의 수직관(15b)은 난로 본체(16)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화목 난로는 연소열의 흐름 방향을 적절히 유도하고, 또 방열관의 적절한 배치 구조 등을 통해 땔감을 거의 완전히 연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연기나 그을음 등의 발생이 거의 없게 되고, 그 결과 종전의 화목 난로들과 달리 연통을 실외로 완전히 빼내지 않고 연통부(15)의 배출구를 실내에 그대로 노출시켜도 전혀 문제가 없는 등 연통 배관 설계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연통부 청소 등을 위해 수평관(15a)의 뒷부분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때의 개방 부위는 개폐가능한 마감판(29b)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땔감 투입관(11)의 뚜껑(10)을 연 상태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연소실(12) 내에 밑불을 만든 다음, 땔감 투입관(11)의 내부에 적당량의 땔감(100)을 투입하여 태운다.
그리고, 연소실(12)에서 땔감(100)이 충분히 타면서 발생하는 연소열은 연소열 도입관(13)→메인 방열관(19)→1차 방열 공간부(17)→서브 방열관(20)→2차 방열 공간부(18)를 경유하게 되고, 2차 방열 공간부(18)를 빠져나온 폐열은 연통부(15)를 통해 대기 중의 배출된다.
여기서, 연소열이 메인 방열관(19), 1차 방열 공간부(17), 서브 방열관(20), 2차 방열 공간부(18)를 차례로 거치는 동안에 그 주변으로는 열이 방출되면서 난로 주변을 따뜻하게 해주게 되며, 이때의 연소열이 상향 흐름으로 유도된 후에 재차 방향이 꺽여 하향 흐름으로 유도되도록 확보되어 있는 긴 경로를 따라 진행하게 되므로서, 난로의 난방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장작 등의 땔감을 때서 만든 연소열을 방열부의 방열관 구조 및 방열 공간부 구조를 이용하여 상향 흐름과 하향 흐름으로 반복 유도함과 더불어 방열관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도록 하는 등의 새로운 구조로 이루어진 화목 난로를 제공함으로써, 땔감을 땔 때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 등을 줄일 수 있고, 연소열과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으로 최대한 확보함과 더불어 완전 연소를 유도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난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10 : 뚜껑
11 : 땔감 투입관
12 : 연소실
13 : 연소열 도입관
14 : 방열부
15 : 연통부
16 : 난로 본체
17 : 1차 방열 공간부
18 : 2차 방열 공간부
19 : 메인 방열관
20 : 서브 방열관
21 : 바 홈
22 : 암(Arm)
23 : 바
24 : 땔감 거치부
25 : 철망
26 : 연소재 수집부
27 : 핀
28 : 공기조절기
29a,29b : 마감판

Claims (4)

  1. 상부의 뚜껑(10)을 열고 위에서 아래로 땔감을 투입할 수 있는 땔감 투입관(11)과, 상기 땔감 투입관(11)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구조로서 땔감을 연소시키는 공간을 조성하는 연소실(12) 및 상기 연소실(12)의 일측에서 수평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연소열 도입관(13)과, 상기 연소열 도입관(13)에서 공급되는 연소열을 상향 흐름으로 유도함과 더불어 계속해서 하향 흐름으로 유도하면서 열을 방출하여 주변을 난방하는 방열부(14)와, 상기 방열부(14)의 하단부 한쪽 측면부와 연통되면서 방열부(14)를 빠져나온 배기를 배출하는 연통부(15)와, 상기 땔감 투입관(11)을 포함하는 연소실(12)과 방열부(14), 그리고 연통부(15)를 지지하는 난로 본체(16)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14)는 연소열의 체류를 위한 상부의 1차 방열 공간부(17) 및 연소열 도입관(13)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하부의 2차 방열 공간부(18)와, 상기 2차 방열 공간부(18)의 내측에 속해 있는 연소열 도입관(13)의 단부 상면에서 수직 연장되는 동시에 1차 방열 공간부(17)의 내부와 연통되면서 외부에 노출되는 중심부의 메인 방열관(19)과, 상기 메인 방열관(19)의 주변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1차 방열 공간부(17)의 저면과 2차 방열 공간부(18)의 상면 사이에 수직으로 연통 설치되면서 외부에 노출되는 외곽부의 복수 개의 서브 방열관(20)을 포함하고,
    상기 난로 본체(16)의 앞쪽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단부에는 다수 개의 바 홈(21)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암(22)과, 상기 양쪽의 암(2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바 홈(21)에 양단이 걸쳐지는 구조로 설치되어 땔감을 잡아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바(23)로 구성되는 땔감 거치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2)의 저면부에 배치되면서 철망(25)을 사이에 두고 연소실(12)의 내부와 통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연소실(12)에서 떨어지는 연소재를 담아주는 서랍식의 연소재 수집부(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땔감 투입관(11)은 아래로 갈수록 큰 직경을 이루는 단차진 구조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KR2020190002627U 2019-06-24 2019-06-24 화목 난로 KR200492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627U KR200492718Y1 (ko) 2019-06-24 2019-06-24 화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627U KR200492718Y1 (ko) 2019-06-24 2019-06-24 화목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18Y1 true KR200492718Y1 (ko) 2020-11-30

Family

ID=7357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627U KR200492718Y1 (ko) 2019-06-24 2019-06-24 화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71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97B1 (ko) 2012-06-21 2013-08-09 오윤석 하향 연소식 화목난로
KR101370458B1 (ko) * 2013-01-30 2014-03-06 김정용 나무난로
KR20140001819U (ko) * 2012-09-20 2014-03-28 윤기원 화목 난로
KR101587377B1 (ko) 2015-02-10 2016-01-20 공병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200485066Y1 (ko) 2017-01-31 2017-11-24 김용환 화목난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97B1 (ko) 2012-06-21 2013-08-09 오윤석 하향 연소식 화목난로
KR20140001819U (ko) * 2012-09-20 2014-03-28 윤기원 화목 난로
KR101370458B1 (ko) * 2013-01-30 2014-03-06 김정용 나무난로
KR101587377B1 (ko) 2015-02-10 2016-01-20 공병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200485066Y1 (ko) 2017-01-31 2017-11-24 김용환 화목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992B1 (ko) 공기 순환식 난로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0728397B1 (ko) 화목보일러
KR100569155B1 (ko)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및 그 제조방법
CN201351937Y (zh) 高效超导封闭式壁炉
KR200492718Y1 (ko) 화목 난로
KR101579258B1 (ko) 난방 펠릿난로
CN216047840U (zh) 一种野外用的多功能柴火炉
KR101434902B1 (ko) 벽난로가 결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후면이 개방된 보일러
US20140251299A1 (en) Oven having an enclosed heat exchange zone
CN109028154B (zh) 一种生物质颗粒燃料集成炉灶
KR20140050977A (ko) 다목적 화목난로
CN103017207B (zh) 保温节能暖气炉
KR200487595Y1 (ko)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KR200202452Y1 (ko) 다목적 온수보일러
KR20160060300A (ko) 난로 장치
KR20110000023A (ko) 각종연료가 사용되는 겸용보일러
JP3130641U (ja) 暖房装置
KR100891187B1 (ko) 고체연료 겸용 화목보일러
CN205402800U (zh) 一种组合式炊暖两用节能炉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CN2208878Y (zh) 便携对流式多用炭烧烤炉
CN201003777Y (zh) 不锈钢铜热导管家用采暖炉
KR102290444B1 (ko) 음식조리가 가능한 다용도 화목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