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397B1 -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397B1
KR100728397B1 KR1020060003230A KR20060003230A KR100728397B1 KR 100728397 B1 KR100728397 B1 KR 100728397B1 KR 1020060003230 A KR1020060003230 A KR 1020060003230A KR 20060003230 A KR20060003230 A KR 20060003230A KR 100728397 B1 KR100728397 B1 KR 10072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jacket
water jacket
passage
j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재환
Original Assignee
길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재환 filed Critical 길재환
Priority to KR102006000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09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시 발생하는 흔적들을 완전 연소시켜 청소작업이 불필요하고, 물재킷 내부에 온수 공급을 위한 관을 설치하여 깨끗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내부 하측에 연소실이 조성되도록 상, 하, 좌, 우, 배면의 위치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한 다수의 물재킷과; 상면물재킷에 관통 설치하되, 그 단부를 송수관에 연결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과; 상면물재킷 하단부에 위치한 좌,우측물재킷 사이에 연통되게 설치하되, 연소실과 연통되는 통로를 조성하면서 소정 기울기로 각각 경사지게 설치한 복수의 경사형물재킷과; 상기 통로와 연소실을 각각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게 우측물재킷 전방 상, 하부에 힌지 결합한 통로개폐도어와 연소실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열손실이 적어 열효율이 좋고, 특히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흔적을 완전 연소시켜 별도의 청소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도 있으며, 상면물재킷에 설치되는 온수관을 통해 깨끗한 식수 및 세면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화목보일러, 물재킷, 경사형물재킷, 화기, 목재.

Description

화목보일러{A firewood fired boil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목보일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 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화목보일러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화목보일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화목보일러 110 : 상면물재킷
112 : 출수관 114 : 온수관
115 : 연통 120 : 하면물재킷
130 : 좌측물재킷 132 : 입수관
135 : 손잡이 140 : 우측물재킷
150 : 배면물재킷 160 : 연소실
162 : 통로개폐도어 164 : 연소실개폐도어
200 : 경사형물재킷 210 : 제1경사형물재킷
220 : 제2경사형물재킷 300 : 기름보일러
FW : 화목(火木)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시 발생하는 흔적들을 완전 연소시켜 청소작업이 불필요하고, 물재킷 내부에 온수 공급을 위한 관을 설치하여 깨끗한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 시설이나 욕탕 등에 더운물을 보내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일러는 본체의 구조, 노의 위치, 물의 순환방식,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는데 이 중에서도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중유나 경유를 연료로 하는 기름보일러,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보일러, 목재를 연료로 하는 화목보일러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이 외에도 제철소의 고로가스·코크스로가스의 폐가스와 폐열, 원자로 핵분열의 열, 태양열 등을 열원으로 하는 보일러도 있다.
이처럼 구분되는 보일러 중에서 기름보일러와 가스보일러는 연료의 공급이 원활한 장점으로 인해 도심지에 거주하는 일반 가정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데, 기름보일러의 경우에는 열효율이 좋고 안전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고, 가스보일러의 경우에는 도시가스(LNG)를 연료로 하는 특성상 유지비가 저렴한 장점이 부각되어 사용하는 가정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가스보일러는 대단위 거주지역이나 이미 상권 등이 형성되어 발달된 도심지의 경우에 국한되어 설치 및 사용됨으로써, 도심지에서 떨어진 외곽 지역 거주민들은 가스보일러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대부분의 농어촌과 같이 인구밀도가 낮거나 사람들의 발길이 많지 않은 곳은 도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시가스의 보급율이 저조하므로, 저렴한 가격의 LNG연료가 사용되는 가스보일러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가축을 키우는 축산농가와 같은 경우에 날씨가 추워지면 축사 내부의 난방이 필수적인데, 상대적으로 연료비가 비싼 기름보일러의 경우에는 그 유지비를 감당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농촌 등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땔나무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도록 한 화목보일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첨부도면 도 1과 도 2는 상기한 종래의 화목보일러의 일예인 "개량 화목보일러"(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1998-014397호)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 설명하면 연소실(2)의 상부에 유도수조부(3)를 돌출 형성하고, 그 상부의 양측 내벽에 레일(4)(4')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레일(4)(4')의 상부에는 차단판(5)을 구비한 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5)의 양쪽에는 연결링(6)을 부착 고정시킨 후, 그 상부에는 손잡이(7')가 외부로 돌출되는 조절봉(7)을 설치하여 상기 조절봉(7)의 끝을 상기 연결링(6)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차단판(5) 상부에 위치한 연소실(2) 일측 벽면에는 외부로 연통되게 배출관(10)을 돌출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10)으로부터 상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ㄴ'자 형상의 받침판(9)을 설치한다.
즉, 차단판(5)의 전·후 이동을 통하여 상기 연소열과 화기를 조절 가능하므로, 원하는 정도의 화력과 열기보존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배출관(10)으로 통하는 받침판(9)을 구비하므로 생나무 연소시 발생하는 목초산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개량 화목보일러(1)는 유도수조부(3)와 연통된 송수관(14) 및 배기관(13)을 통해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깨끗한 식수와 세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송수관(14)에서 공급된 물은 유도수조부(3)와 연결된 물재킷을 순환하면서 데워지게 되고, 덥혀진 온수는 배기관(13)을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유도수조부(3)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그 내측면이 부식되어 녹물이나 이물질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깨끗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개량 화목보일러(1)는 연소실(2) 상부의 내부가 외부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한 유도수조부(3)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돌출된 유도수조부(3) 상면과 받침판(9) 상면에 쌓이는 목초산이나 연소찌꺼기 등 을 청소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첨부도면 도 3과 도 4는 화목보일러의 다른 일예인 종래의 "화목보일러"(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50689호)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 설명하면 본체(1) 하부에는 원통형 화구(2)가 설치되고, 상기 화구(2) 외주부로 난방수가 채워지는 수실(3)이 형성되며, 상기 수실(3) 외주부에는 단열층(4)이 형성되고, 화구(2)의 입구는 원통형 덮개(5)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덮개(5) 상부에는 개폐구(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구(2)의 후방으로 제1수직연도(6)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연도(6)는 'ㄱ'형태로 연결된 제1수평연도(7)와 제2수평연도(8)로 연결되고, 제2수평연도(8)는 그 끝에 형성된 제2수직연도(9)와 연결되며, 상기제2수직연도(9)는 연통(1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수직연도(9) 하부 외측에는 본체(1)와 일체로 구성되는 원통형 케이스(12)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2) 내부에는 코일형 열교환기(13)가 제2수직연도(9)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어 냉수구(13a)와 온수구(13b)에 연결된다. 또, 상기 화구(2) 외측의 수실(3)에는 난방순환관입구(14)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2) 상단에는 난방순환관출구(15)가 설치된다.
즉, 화목이 연소되면 연소열과 연기가 화구(2)의 후방으로 수평이동한 후 제1수직연도(6)를 타고 수직 상승하며, 상승된 연소열은 제1수평연도(7)를 타고 전방으로 향하는 수평 이동과, 제2수평연도(8)를 타고 후방으로 향하는 수평이동을 한 후 제2수직연도(9)와 연통(10)을 통하여 외기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화목보일러는 연도를 통해 이동하는 연소열을 통해 물을 가열할 수 있고, 가열 이후에 발생하는 연소찌꺼기를 개폐구(11)를 통해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다른 종래의 화목보일러는 제1,2수평연도 하면에 연소찌꺼기가 지속적으로 적층됨으로써, 지속적인 청소작업이 불가피하여 보일러 사용에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찌꺼기, 그을음, 목초산 등을 완전 연소시키므로, 별도의 청소작업이 불필요하고, 완전 연소에 따른 열효율을 높여 연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을 물재킷 내부에 별도 설치하여 깨끗한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화목의 연소에 따른 화염과 화기 등을 이용하여 난방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내부 하측에 연소실이 조성되도록 상, 하, 좌, 우, 배면의 위치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한 다수의 물재킷과; 상면물재킷에 관통 설치하되, 그 단부를 송수관에 연결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과; 상면물재킷 하단부에 위치한 좌,우측물재킷 사이에 연 통되게 설치하되, 연소실과 연통되는 통로를 조성하면서 소정 기울기로 각각 경사지게 설치한 복수의 경사형물재킷과; 상기 통로와 연소실을 각각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게 우측물재킷 전방 상, 하부에 힌지 결합한 통로개폐도어와 연소실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100)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의 물재킷(110)(120)(130)(140)(150)과 온수관(114)과 복수의 경사형물재킷(200)을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이하 설명하면, 먼저 다수의 물재킷(110)(120)(130)(140)(150)은 난방수를 수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각각의 물재킷(110)(120)(130)(140)(150)은 중공된 사각체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다수의 물재킷(110)(120)(130)(140)(150)은 상, 하, 좌, 우, 배면 각각에 상면물재킷(110)과 하면물재킷(120)과 좌측물재킷(130)과 우측물재킷(140)과 배면물재킷(150)을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여 내부 하측에 연소실(160)을 조성함과 동시에 대략 사각함체 형상의 화목보일러(100) 외관을 구성한다.
이처럼 형성된 상기 다수의 물재킷(110)(120)(130)(140)(150) 중에서 상면물재킷(110)은 배면물재킷(15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고, 그 사이 일부에는 내부에 조성되는 연도와 관통되게 원형의 연통(115)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통(115)은 외기에 의해 연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소 길게 형성 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상면물재킷(110) 내부에 좌, 우로 연속 반복된 온수관(114)을 관통 설치하되, 상기 온수관(114) 일단은 송수관에 연결하고 타단은 수전에 연결 설치하여 온수가 필요한 곳(욕실, 부엌 등)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온수관(114)은 그 두께가 얇고 전도율이 좋은 재질(일례:동파이프)을 사용함으로써, 온수관(114)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우측물재킷(140) 전방 상단에는 경사형물재킷(200)에 의해 조성되는 통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통로개폐도어(162)를 힌지 결합하고, 상기 우측물재킷(140) 전방 하단에는 연소실(160)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연소실개폐도어(164)를 힌지 결합한다. 또한, 좌, 우측물재킷(130)(140)의 외측 중앙부분에는 화목보일러(10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35)를 구비한다.
그리고, 좌측물재킷(130) 외측면 하부에는 물재킷(110)(120)(130)(140)(150)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입수관(132)을 설치하고, 상기 배면물재킷(150) 상면 일측에는 물재킷(110)(120)(130)(140)(150) 내부의 물을 배출하여 난방수에 활용하는 출수관(112)을 설치하며, 상기 출수관(112) 일부에는 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배출펌프(P)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면물재킷(150) 상단 일부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물재킷(110)(120)(130)(140)(150) 내부의 수량을 가늠할 수 있는 플로트밸브 등을 설치하여, 물재킷(110)(120)(130)(140)(150)에 수용된 물의 양이 줄어드는 경우 물 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한 물재킷(110)(120)(130)(140)(150)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순환펌프(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물재킷에 수용된 물을 원활하게 순환시키므로, 전체적으로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상기와 같이 가열의 집중을 방지하여 물재킷 내측면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차단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100)는 상기한 화목보일러(100)만을 설치하여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목보일러(100)에 다른 연료를 이용하는 보일러(예를 들어 기름보일러)를 함께 겸용하여 사용 가능하고, 이와 같이 겸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입수관(132)과 출수관(112)은 각각 달리 설치하게 된다.
즉, 화목보일러(100)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보일러의 배관연결방식과 동일하게 설치되나, 다른 보일러와 겸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기름보일러(300)의 입수관(332)과 출수관(312) 일부에 화목보일러(100)의 입수관(132)과 출수관(112)을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화목보일러(100)에 설치된 출수관(112) 일부에 온도센서(S)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난방수가 일정이상 온도이하로 떨어지면 온도센서(S)와 연결된 기름보일러(300)가 자동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한편, 첨부도면 도 5 ~ 도 7에 도시한 복수의 경사형물재킷(200)은 다수의 물재킷(110)(120)(130)(140)(150)과 함께 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사각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형물재킷(200)은 상면물재킷(110) 하부에 위치한 좌, 우측 물재킷(130)(140) 사이에 연통 설치하되, 연소실(160)과 연통되는 연도를 조성하면서 소정 기울기로 각각 경사지게 설치한다. 즉, 상기 다수의 물재킷(110)(120)(130)(140)(150)과 경사형물재킷(200) 내부는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게 된다.
이처럼 설치되는 상기 경사형물재킷(200)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시 제1경사형물재킷(210)과 제2경사형물재킷(220)으로 나뉘어진다.
이하 설명하면, 제1경사형물재킷(210)은 상면물재킷(110) 하부에 이격 설치하되, 전방측을 소정 기울기만큼 하향 경사지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형물재킷(210) 전방 단부는 폐쇄 상태의 통로개폐도어(162) 내측과 이격 설치하여 화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연도)를 조성한다.
제2경사형물재킷(220)은 제1경사형물재킷(210) 하부에 이격 설치하되, 후방측을 소정 기울기만큼 하향 경사지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형물재킷(220) 후방 단부는 배면물재킷(150)과 이격 설치하여 화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연도)를 조성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경사형물재킷(200)을 좌, 우측물재킷(130)(140) 사이에 각각 설치하므로, 상기 경사형물재킷(200) 사이와 그 주변에는 화기 및 연기가 통과하는 통로가 조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경사형물재킷(220) 하부에는 화목(FW)을 연소하는 연소실(160)이 상기한 통로와 연통 조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목보일러(100)의 연소실(160)에서 화목(FW)을 연소시키게 되면,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화기 및 연기는 각각의 경사형물재킷(200)에 의해 조성된 통로(연도)를 따라 순환되면서 물재킷(110)(120)(130)(140)(150) 및 연결형물재킷(200) 내부의 물에 열을 가하게 되고, 데워진 물은 실내의 난방 및 욕실의 온수 등의 공급을 위해 사용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7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목(FW)을 연소하는 경우 뜨거운 화기 및 연기는 제2경사형물재킷(220)과 배면물재킷(150) 사이의 통로와 제1,2경사형물재킷(210)(220) 사이에 조성된 통로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그리고, 제1경사형물재킷(210)과 통로개폐도어(162) 사이의 통로를 지나, 상면물재킷(110)과 제1경사형물재킷(210) 사이의 통로(연도)를 거치게 된다.
이처럼, 연통(115) 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이송하는 화기 및 연기는 제1,2경사형물재킷(210)(220)을 통해 조성된 각각의 통로를 거치면서 물재킷(110)(120)(130)(140)(150)과 경사형물재킷(200) 내부의 물에 열을 가하게 되고, 이와 같은 순환경로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연소열을 빼앗긴 화기 및 연기만이 최종적으로 연통(115)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100)는 화목(FW)을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연소열과 화기가 연도를 통해 이송되면서 물재킷(110)(120)(130)(140)(150)과 경사형물재킷(200) 내부의 물을 데우게 되고, 데워진 물은 출수관(112)과 온수관(114)을 통하여 각각의 실내의 난방수로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100)는 대부분의 연소열이 물재킷 (110)(120)(130)(140)(150)과 경사형물재킷(200) 내부의 물에 흡수됨으로써, 열손실되어 배출되는 연소열이 극히 적어 열효율이 매우 좋고, 적은 양의 목재를 사용하여 필요한 만큼의 화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연료비와 관련된 유지비용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100)는 화목(FW)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그을음과 연소찌꺼기, 그리고 목초산 등이 제1경사형물재킷(210) 위로 바로 떨어지게 된다. 이처럼 떨어지는 상기한 연소 흔적들은 상기 제1,2경사형물재킷(210)(220)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2경사형물재킷(220) 상면과 연소실(160) 내부로 점차적으로 흘러 내려가게 됨으로써, 화염에 의해 완전 연소가 된다.
따라서, 연소시에 발생하는 그을음과 연소찌꺼기 그리고 목초산 등의 별도 청소 작업이 불필요하고, 또한 상기한 완전 연소작용을 통해 연소열을 가일층 증가시키므로 적은 양의 화목으로도 여유있는 난방 및 온수의 공급이 가능해 보일러 가동에 필요한 연료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목보일러(100)는 상면물재킷(110) 내부에 별도의 온수관(114)을 관통 설치하고, 온수관(114) 양단에 송수관과 수전을 각각 연결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송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도물을 물재킷 내부로 순환시키지 않고 즉각적으로 수전으로 공급함으로써, 깨끗한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화목(FW) 뿐만 아니라 집안에서 나오는 생활쓰레기 및 전소 가능한 폐자재 등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료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더욱 절감 하는 동시에 쓰레기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화목보일러(100)의 다른 실시예로 경사형물재킷(200)의 길이를 길게 조성하여 화기의 순환경로를 길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경사형물재킷(200)을 길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 하, 좌, 우측물재킷(110)(120)(130)(140)의 길이 역시 길게 형성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대부분의 연소열이 물재킷과 경사형물재킷 내부의 물에 흡수되므로, 열효율이 매우 좋은 효과가 있고, 이와 같은 뛰어난 열효율에 의해 적은 양의 목재를 사용하여 필요한 만큼의 화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연료비 및 유지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연소시에 발생하는 그을음과 연소찌꺼기 그리고 목초산 등이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형물재킷 상부로 떨어져 연소실로 흘러내려 완전 연소됨으로써, 별도의 청소작업이 불필요한 효과도 있고, 또한 상기한 연소 작용을 통해 연소열을 가일층 증가시키므로 적은 양의 화목으로도 여유있는 난방 및 온수의 공급이 가능해 보일러 가동에 필요한 연료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상면물재킷 내부에 별도의 온수관을 관통 설치하고, 온수관 양단에 송수관과 수전을 각각 연결 설치함으로써, 깨끗한 온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고, 또한, 화목 뿐만 아니라 집안에서 나오는 생활쓰레기 및 전소 가능한 폐자재 등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료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더욱 절감하는 동시에 쓰레기로 인한 환경의 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입수관 및 출수관의 간단한 조립구성만으로 공지의 기름보일러 및 가스보일러 등의 입수관 및 출수관에 연결하여 겸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의 사용에 따른 연료비 및 연료공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내부 하측에 연소실이 조성되도록 상, 하, 좌, 우, 배면의 위치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한 다수의 물재킷과, 상면물재킷에 관통 설치하되, 그 단부를 송수관에 연결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과, 상면물재킷 하단부에 위치한 좌, 우측물재킷 사이에 연통되게 설치하되, 연소실과 연통되는 통로를 조성하면서 소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한 복수의 경사형물재킷과, 상기 통로와 연소실을 각각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게 우측물재킷 전방 상, 하부에 힌지 결합한 통로개폐도어와 연소실개폐도어로 구성됨으로써, 화목의 연소에 따른 화염과 화기 등을 이용하여 난방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물재킷(200)은,
    상기 상면물재킷(110) 하부에 경사 및 이격 배치하되, 전방 단부를 통로개폐도어(162)와 이격 설치하여 통로를 조성한 제1경사형물재킷(210)과;
    상기 제1경사형물재킷(210) 하부에 경사 및 이격 배치하되, 후방 단부를 배면물재킷(150)과 이격 설치하여 통로를 조성한 제2경사형물재킷(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KR1020060003230A 2006-01-11 2006-01-11 화목보일러 KR10072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230A KR100728397B1 (ko) 2006-01-11 2006-01-11 화목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230A KR100728397B1 (ko) 2006-01-11 2006-01-11 화목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397B1 true KR100728397B1 (ko) 2007-06-13

Family

ID=3835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230A KR100728397B1 (ko) 2006-01-11 2006-01-11 화목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3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043B1 (ko) * 2010-04-15 2011-09-28 김혜경 연도가 거꾸로 배치된 일체형 연소실과 자연대류용 플랫튜브를 구비한 나무보일러
KR101148696B1 (ko) 2010-01-06 2012-05-25 위선정 펠렛 보일러
KR20130044273A (ko) 2013-04-11 2013-05-02 김혜경 회돌이 형상의 탈착식 연도가 형성된 나무보일러
KR101629628B1 (ko) * 2016-01-06 2016-06-21 홍성태 캠핑용 하우스
CN107388288A (zh) * 2017-08-28 2017-11-24 山东众泰石油工程有限责任公司 双燃料反烧式水套炉
RU2670131C1 (ru) * 2017-07-03 2018-10-18 Вадим Сергеевич Рыжов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тёл
CN108866662A (zh) * 2018-08-29 2018-11-23 江苏鑫博高分子材料有限公司 纺丝系统及其全封闭降噪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305A (ko) * 1998-01-22 1998-03-30 김인기 화목 보일러
KR200351371Y1 (ko) 2004-03-08 2004-05-20 조희대 유류 겸용 화목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305A (ko) * 1998-01-22 1998-03-30 김인기 화목 보일러
KR200351371Y1 (ko) 2004-03-08 2004-05-20 조희대 유류 겸용 화목보일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696B1 (ko) 2010-01-06 2012-05-25 위선정 펠렛 보일러
KR101068043B1 (ko) * 2010-04-15 2011-09-28 김혜경 연도가 거꾸로 배치된 일체형 연소실과 자연대류용 플랫튜브를 구비한 나무보일러
KR20130044273A (ko) 2013-04-11 2013-05-02 김혜경 회돌이 형상의 탈착식 연도가 형성된 나무보일러
KR101629628B1 (ko) * 2016-01-06 2016-06-21 홍성태 캠핑용 하우스
RU2670131C1 (ru) * 2017-07-03 2018-10-18 Вадим Сергеевич Рыжов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тёл
CN107388288A (zh) * 2017-08-28 2017-11-24 山东众泰石油工程有限责任公司 双燃料反烧式水套炉
CN108866662A (zh) * 2018-08-29 2018-11-23 江苏鑫博高分子材料有限公司 纺丝系统及其全封闭降噪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397B1 (ko) 화목보일러
RU2739811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бытовая печь
RU121039U1 (ru)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плита
KR100858042B1 (ko) 화목보일러
KR100913230B1 (ko) 화목보일러
CN201003777Y (zh) 不锈钢铜热导管家用采暖炉
CN205505080U (zh) 一种多功能生活炉
KR101243373B1 (ko) 다목적 보일러
KR200492718Y1 (ko) 화목 난로
KR100260720B1 (ko) 다목적 보일러
CN2273382Y (zh) 三用小型锅炉
CN209213927U (zh) 一种可炊事烧炕的家用清洁煤锅炉
RU224806U1 (ru) Нагреватель воды для бассейна
KR200412325Y1 (ko) 보일러
KR102108840B1 (ko) 연소 효율을 향상시킨 난로
KR200412326Y1 (ko) 보일러
CN201302183Y (zh) 具有返烟和直拉互换功能的家用采暖炉
CN2402930Y (zh) 家用一灶多用节能炉
KR200224414Y1 (ko) 소각기능을 갖춘 전기 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JP6913919B2 (ja) 木質燃焼給湯器
CN205332276U (zh) 家用采暖锅炉
CN2352834Y (zh) 家用聚火反烧炊暖炉
CN208058910U (zh) 一种家用清洁煤炊暖锅炉
CN2541746Y (zh) 寒带水暖炉
CN2343538Y (zh) 双炉排反烧卧式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