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230B1 -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230B1
KR100913230B1 KR1020090021416A KR20090021416A KR100913230B1 KR 100913230 B1 KR100913230 B1 KR 100913230B1 KR 1020090021416 A KR1020090021416 A KR 1020090021416A KR 20090021416 A KR20090021416 A KR 20090021416A KR 100913230 B1 KR100913230 B1 KR 10091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rewood
combustion chamber
heating wat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배천
Original Assignee
김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규 filed Critical 김범규
Priority to KR102009002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면적에도 설치가능하고, 폐목재 등을 연료로 사용가능하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열효율이 높고, 난방 및 온수의 공급이 가능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에 의하면,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된 제1벽과, 제1벽의 외측으로 제1벽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벽으로 이루어진 몸체로 이루어지되, 제2벽으로는 난방수유입구와 난방수유출구가 설치되어 제1벽과 제2벽 사이로 난방수가 순환하는 화목보일러로서, 상기 몸체는 수직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벽의 외측면으로는 몸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벽으로는 장작을 연소실로 투입하는 장작투입구와, 상기 장작투입구의 하측으로는 연소실로 투입된 장작에 불을 붙이도록 장작점화구투입문이 형성되되, 제1벽의 상면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측방향으로 수직단턱을 이루며 마감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실의 하단으로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장작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실의 상면으로는 제2벽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연통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의 하단에는 장작에서 발생되는 열이 바로 연통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소열회류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주름관이 설치되고, 주름관의 하면으로는 목초액배출구가 구비된 목초액받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장작지지판의 관통공으로 배출되는 연소재를 외부로 수거하도록 일단에 개폐문이 형성되고, 공기가 투입되는 공기조절판이 설치된 재받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목보일러, 난방수, 연소실, 연소열회류구, 급탕관

Description

화목보일러{.}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면적에도 설치가능하고, 폐목재 등을 연료로 사용가능하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열효율이 높고, 난방 및 온수의 공급이 가능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7-0025386호 "화목보일러"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8-0032481호 "화목보일러"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 시설이나 욕탕 등에 더운물을 보내기 위하여 물을 끊이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공급받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화목보일러 등이 있다.
위와 같은 보일러 중, 기름보일러와 가습보일러는 연료의 공급이 원활한 장 점으로 인해 도심지에 거주하는 일반가정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데, 기름보일러의 경우에는 열효율이 좋고 안전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고, 가스보일러의 경우에는 도시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특성상 유지비가 저렴한 장점이 부각되어 사용하는 가정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한 가스보일러는 대단위 거주지역이나 이미 상권 등이 형성되어 발달된 도시지의 경우에 국한되어 설치 및 사용됨으로써, 도심지에서 떨어진 외곽 지역 거주민들은 가스보일러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대부분의 농어촌과 같이 인구밀도가 낮거나 사람들의 발길이 많지 않은 곳은 도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시가스의 보급율이 저조하므로, 저렴한 가격의 LNG연료가 사용되는 가스보일러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가축을 키우는 축산농가와 같은 경우에 날씨가 추워지면 축사내부의 난방이 필수적인데, 상대적으로 연료비가 비싼 기름보일러의 경우에는 그 유지비를 감당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농촌 등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땔나무와 도심지에서 발생된 폐목재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도록 한 화목보일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면적에도 설치가능하고, 열효율이 높으며, 폐목재 등을 연료로 사용하 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난방 및 온수의 공급이 가능한 화목보일러를 제공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도록,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된 제1벽과, 제1벽의 외측으로 제1벽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벽으로 이루어진 몸체로 이루어지되, 제2벽으로는 난방수유입구와 난방수유출구가 설치되어 제1벽과 제2벽 사이로 난방수가 순환하는 화목보일러로서,
상기 몸체는 수직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벽의 외측면으로는 몸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벽으로는 장작을 연소실로 투입하는 장작투입구와, 상기 장작투입구의 하측으로는 연소실로 투입된 장작에 불을 붙이도록 장작점화구투입문이 형성되되, 제1벽의 상면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측방향으로 수직단턱을 이루며 마감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실의 하단으로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장작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실의 상면으로는 제2벽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연통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의 하단에는 장작에서 발생되는 열이 바로 연통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소열회류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통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주름관이 설치되고, 주름관의 하면으로는 목초액배출구가 구비된 목초액받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장작지지판의 관통공으로 배출되는 연소재를 외부로 수거하도록 일단에 개폐문이 형성되고, 공기가 투입되는 공기조절판이 설치된 재받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열회류구는 몸체의 제1벽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제1벽과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벽의 상단과 제2벽의 상단 사이에는 몸체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의 중심으로 코일 또는 태엽의 형태로 형성되고, 양끝단이 제2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급탕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에 의하면, 좁은 면적에도 설치가능하고, 열효율이 높아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난방 및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고, 장작뿐만 아니라 생활쓰레기 및 폐목재 등을 연료로 사용가능하여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절단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화목보일러는 내부에 연소실(12)이 형성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상측에 형성되어 연소실(12)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60)과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장작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물을 가열하도록 몸체(100)의 내부로 난방수를 유입 및 유출하는 난방수유입구(22)와 난방수유출구(2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수직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스테인레스로 내부에 연소실(12)이 형성된 제1벽(10)과 상기 제1벽(10)의 외측으로 제1벽(10)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벽(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벽(10)과 제2벽(20)의 사이에는 난방수가 채워져 순환하되, 제2벽(20)에 난방수유입구(22)와 난방수유출구(24)가 형성되어 난방수유입구(22)로 제1벽(10)과 제2벽(20) 사이로 난방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난방수가 연소실(12)에서 장작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로 가열된 후 난방수유출구(24)로 유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벽(10)은 제2벽(2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이루어져 난방수가 제1벽(10)과 제2벽(20)의 상면 사이로도 순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벽(20)의 외측면으로는 가열된 난방수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열벽(26)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0)에는 연소실(12)로 관통하여 장작을 연소실(12)로 투입하는 장작투입구(30)가 형성되고, 상기 장작투입구(30)의 하측으로 연소실(12)로 투입된 장작에 불을 붙이도록 장작점화구투입문(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작투입구(30)와 장작점화구투입문(40)은 일측에 힌지결합된 여닫이문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실(12)의 하단으로는 장작투입구(30)로 투입된 장작이 놓여지는 장작지지판(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작지지판(14)은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장작의 연소재를 하측으로 배출과 동시에 연소실(12)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몸체(100)의 하단으로는 장작지지판(14)의 관통공으로 배출되는 연소재를 수거하기 위한 개폐문(52)이 구비된 재받이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재받이부(50)의 내부 저면에는 연소실(12)에서 장작지지판(14)의 관통공을 통해 재받이부(50)로 전도된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 ~ 4cm 두께로 황토(58)를 깔아놓는다.
또한, 상기 재받이부(50)에 형성된 개폐문(52)에는 연소실(12)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방사형의 공기투입공(56)이 형성되어 회전시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판(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실(12)의 상면에는 제2벽(2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통(60)이 설치된다.
상기 연통(60)은 연소실(12)에서 장작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기가스가 연통(6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낮아져 연통(60)의 내주면에 수분이 발생되고, 그 수분이 그을음과 함께 다시 연소실(12)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연통(60)의 외주면에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연통(6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주름관(62)이 설치된 목초액받이(64)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목초액받이(64)는 상기 주름관(6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주름관(62)의 내주면과 연통(6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인하여 하여 수분이 연소실(12)로 유입되지 않고 목초액받이(64)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목초액받이(64)의 하면으로는 목초액받이(64)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목초액배출구(6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는 연통(60)의 하단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소열회류구(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열회류구(70)는 원통형으로 제1벽(10)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 연소실(12)에서 장작이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열이 연통(60)을 통해 수직으로 직배 출되지 않고 열이 연소실(12)의 내부에서 회류하다가 제1벽(10)의 측면과 연소열회류구(70)의 사이를 통해 제1벽(10)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연통(60)으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벽(10)의 상면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단턱(16)을 이루며 연장된 후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며 마감되어 연소실(12)의 내부에서 회류하는 열이 연소실(12) 내부에서 더욱 오래 머물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소열회류구(70)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제1벽(10)과 연결관(72)으로 연결·고정되어 제1벽(10)과 제2벽(20) 사이에서 순환하는 난방수가 연소열회류구(70)의 내부로도 유입되며, 연소실(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연소열회류구(70)의 저면을 직접가열하게 되어 열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외부에서 제2벽(20)의 상측을 관통하여 제1벽(10)의 상면과 제2벽(2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급탕관(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탕관(80)은 동관으로 몸체(100)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코일 또는 태엽의 형태로 이루어져 제1벽(10)의 상면과 연통(60)에서 전도되는 열과 난방수에 의해서 가열된다.
이때, 상기 급탕관(80)은 넓은 표면적을 갖기 위하여 둘레방향으로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는 몸체(100)의 상측 외주면에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나타내는 온도게이지(90)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열회류구(7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제2벽(20)에서 연소실(12)의 내부로 관통되어 연소열회류 구(70)와 제1벽(10)의 내부, 연통(60)의 하단을 청소할 수 있도록 청소용개폐문(9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발명은 화목보일러를 제공하여 좁은 면적에도 설치가능하고, 열효율이 높아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난방 및 온수의 공급이 가능하고, 장작뿐만 아니라 생활쓰레기 및 폐목재 등을 연료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절단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제1벽 12 : 연소실
14 : 장작지지판 20 : 제2벽
22 : 난방수유입구 24 : 난방수유출구
26 : 단열벽 30 : 장작투입구
40 : 장작점화구투입문 50 : 재받이부
54 : 공기조절판 60 : 연통
62 : 주름관 64 : 목초액받이
70 : 연소열회류구 80 : 급탕관
90 : 온도게이지 92 : 청소용개폐문
100 : 몸체

Claims (6)

  1. 내부에 연소실(12)이 구비된 제1벽(10)과, 제1벽(10)의 외측으로 제1벽(10)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벽(20)으로 이루어진 몸체(100)로 이루어지되, 제2벽(20)으로는 난방수유입구(22)와 난방수유출구(24)가 설치되어 제1벽(10)과 제2벽(20) 사이로 난방수가 순환하는 화목보일러로서,
    상기 몸체(100)는 수직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벽(20)의 외측면으로는 몸체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단열벽(26)이 형성되고,
    상기 제1벽(10)으로는 장작을 연소실(12)로 투입하는 장작투입구(30)와, 상기 장작투입구(30)의 하측으로는 연소실(12)로 투입된 장작에 불을 붙이도록 장작점화구투입문(40)이 형성되되, 제1벽(10)의 상면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하측방향으로 수직단턱(16)을 이루며 마감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실(12)의 하단으로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장작지지판(14)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실(12)의 상면으로는 제2벽(2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연통(60)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60)의 하단에는 장작에서 발생되는 열이 바로 연통(6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소열회류구(70)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60)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통(6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주름관(62)이 설치되고, 주름관(62)의 하면으로는 목초액배출구(66)가 구비된 목초액받이(6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는 장작지지판(14)의 관통공으로 배출되는 연소재를 외부로 수거하도록 개폐문(52)이 형성되고, 공기가 투입되는 공기조절판(54)이 설치된 재받이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열회류구(70)는 몸체(100)의 제1벽(10)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제1벽(10)과 연결관(72)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10)의 상단과 제2벽(20)의 상단 사이에는 몸체(100)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의 중심으로 코일 또는 태엽의 형태로 형성되고, 양끝단이 제2벽(2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급탕관(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5. 삭제
  6. 삭제
KR1020090021416A 2009-03-13 2009-03-13 화목보일러 KR10091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416A KR100913230B1 (ko) 2009-03-13 2009-03-13 화목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416A KR100913230B1 (ko) 2009-03-13 2009-03-13 화목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230B1 true KR100913230B1 (ko) 2009-08-24

Family

ID=4121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416A KR100913230B1 (ko) 2009-03-13 2009-03-13 화목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2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0077A (zh) * 2014-04-10 2014-07-23 济南高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常压锅炉
CN103940078A (zh) * 2014-04-10 2014-07-23 济南高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内置横m型烟道的环保节能常压锅炉
CN103940077B (zh) * 2014-04-10 2016-11-30 顾玉奎 一种环保节能常压锅炉
CN108105755A (zh) * 2018-01-28 2018-06-01 冯锦传 用作物秸秆、林木废弃物作燃料的家用气化取暖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512A (ja) * 1983-08-11 1985-02-28 Kozo Moriuchi 燃焼装置
JPS62299608A (ja) * 1986-06-19 1987-12-26 Rinpei Murata 燃焼装置
KR980009070U (ko) * 1998-02-04 1998-04-30 곽종순 보일러 대체용 열교환 보일러
KR200386233Y1 (ko) * 2005-03-03 2005-06-08 배은수 2차 가열식 화목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512A (ja) * 1983-08-11 1985-02-28 Kozo Moriuchi 燃焼装置
JPS62299608A (ja) * 1986-06-19 1987-12-26 Rinpei Murata 燃焼装置
KR980009070U (ko) * 1998-02-04 1998-04-30 곽종순 보일러 대체용 열교환 보일러
KR200386233Y1 (ko) * 2005-03-03 2005-06-08 배은수 2차 가열식 화목 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0077A (zh) * 2014-04-10 2014-07-23 济南高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常压锅炉
CN103940078A (zh) * 2014-04-10 2014-07-23 济南高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内置横m型烟道的环保节能常压锅炉
CN103940077B (zh) * 2014-04-10 2016-11-30 顾玉奎 一种环保节能常压锅炉
CN108105755A (zh) * 2018-01-28 2018-06-01 冯锦传 用作物秸秆、林木废弃物作燃料的家用气化取暖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397B1 (ko) 화목보일러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100569155B1 (ko)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및 그 제조방법
KR100913230B1 (ko) 화목보일러
KR101248480B1 (ko)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US4455997A (en) Heating unit for hot tubs and/or spa units
CN205372642U (zh) 一种节能回风炉
CN201088055Y (zh) 禽畜舍用热风炉
CN200940864Y (zh) 以煤、电炉为热源的家庭节能多用炉
CN209893460U (zh) 一种节能环保炉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CN210662932U (zh) 一种多功能节能高效热利用系统
CN201152547Y (zh) 可供热水的节能采暖炕
KR100858042B1 (ko) 화목보일러
CN201003777Y (zh) 不锈钢铜热导管家用采暖炉
KR101289512B1 (ko) 주택용 화목 보일러
KR200492718Y1 (ko) 화목 난로
KR100369485B1 (ko) 나무 보일러
CN209960591U (zh) 一种液体燃料取暖装置
CN210979925U (zh) 家用多功能取暖炉
CN212930084U (zh) 一种生物颗粒取暖炉防烫装置
CN219934083U (zh) 一种能烤明火的柴火气化地暖炉
CN210980358U (zh) 空气能热泵配套用节能环保水箱
KR200412325Y1 (ko) 보일러
KR101243373B1 (ko) 다목적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