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819U - 화목 난로 - Google Patents

화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819U
KR20140001819U KR2020120008418U KR20120008418U KR20140001819U KR 20140001819 U KR20140001819 U KR 20140001819U KR 2020120008418 U KR2020120008418 U KR 2020120008418U KR 20120008418 U KR20120008418 U KR 20120008418U KR 20140001819 U KR20140001819 U KR 20140001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late
combustion
space
solid fue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원
Original Assignee
윤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원 filed Critical 윤기원
Priority to KR2020120008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819U/ko
Publication of KR20140001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9/00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 F23M9/06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in fire-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8Ai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체 연료가 오랜 시간 동안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연료 소모량의 저감을 통한 연소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고체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된 연소열이 연통을 통해 곧장 배출됨을 방지하여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소재의 청소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관을 이루면서 외면에는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면서 고체 연료가 안착됨과 더불어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안착플레이트; 상기 몸체 내의 하부 공간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저부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재받이;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적재된 고체 연료의 일부를 상기 몸체 내의 상부측 공간과 구획하는 연소 지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목 난로{firewood stove}
본 고안은 화목 난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체 연료가 오랜 시간 동안 연소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지속적인 연소가 가능하고,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목 난로는 나무나 갈탄 등의 고체 연료를 사용하여 주위를 난방하는 장비이다.
이와 같은 화목 난로는 통상적으로 외관을 이루면서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면서 고체 연료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위치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된 연통과, 상기 몸체의 저부 공간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재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 투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의 안착플레이트 상면에 다수의 고체 연료를 투입한 후 상기 고체 연료를 점화함으로써 상기 고체 연료가 연소된다.
이때, 상기한 고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열로 인해 몸체가 가열되고, 이러한 몸체의 가열에 의한 연소열의 발산이 이루어지면서 해당 화목 난로의 주변에 대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고체 연료의 연소가 진행되는 도중 발생된 이산화탄소와 연기는 상기 몸체에 연결된 연통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전술된 화목 난로는 연료의 제공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번의 연료 제공으로도 오랜 시간 동안 연소될 수 있도록 연료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이 연료의 연소시 발생된 연소열의 방출은 최대한 지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화목 난로는 고체 연료를 투입한 후 해당 고체 연료에 불을 붙이게 될 경우 각 고체 연료가 순차적으로 연소되는 것이 아니라 일괄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록 이 고체 연료의 연소에 따른 화력은 우수하더라도 연소가 빨리 이루어짐에 따른 지속적인 고체 연료의 제공이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일반적인 화목 난로는 고체 연료의 연소시 발생된 연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연통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연통을 통해 상기 연기만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연소시 발생된 연소열도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난방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종래에는 연통의 일부를 화목 난로의 본체 내에 지그재그식으로 연장 설치하거나,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 설치하는 등의 구조적 개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연소열의 배출 시간이 최대한 지연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해당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연기에 포함된 미세한 연소재가 상기 연통의 연장 부위를 따라 유동되는 도중 해당 연장 부위 내에 쌓이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지만, 이러한 연소재 및 그을음에 대한 청소의 수행이 용이하지 못하여 상기 연소재의 쌓임으로 인한 관로의 막힘이 우려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고체 연료가 오랜 시간 동안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연료 소모량의 저감을 통한 연소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고체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된 연소열이 연통을 통해 곧장 배출됨을 방지하여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소재의 청소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화목 난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화목 난로에 따르면 외관을 이루면서 외면에는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면서 고체 연료가 안착됨과 더불어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안착플레이트; 상기 몸체 내의 하부 공간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저부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재받이;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적재된 고체 연료의 일부를 상기 몸체 내의 상부측 공간과 구획하는 연소 지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 투입구는 상기 몸체의 전면 중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설치 부위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 투입구와 인접한 전방측 부위에만 형성되며, 상기 연소 지연막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후방측 부위의 상부를 가로막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 지연막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 내의 상측 공간에 구비되면서 상기 몸체 내의 고체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된 연통으로 곧장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 내의 상측 공간 일부를 가로막는 배출 지연막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배출 지연막은 상기 연통의 공기 유입측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혹은, 양측 방향을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화목 난로에 따르면 외관을 이루면서 외면에는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면서 고체 연료가 안착됨과 더불어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안착플레이트; 상기 몸체 내의 하부 공간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저부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재받이; 상기 몸체 내의 상측 공간에 구비되면서 상기 몸체 내의 고체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된 연통을 곧장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 내의 상측 공간 일부를 가로막는 배출 지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출 지연막은 상기 연통의 공기 유입측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혹은, 양측 방향을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화목 난로는 연소 지연부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고체 연료에 대한 연소가 최대한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화목 난로는 상기한 연소 지연막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구조를 통해 해당 연소 지연막의 상면에 각종 연소재의 쌓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전방측 고체 연료의 연소가 완료될 경우 후방측 고체 연료의 연소를 위한 공기 유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후방측 고체 연료에 대한 연소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화목 난로는 배출 지연막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화목 난로의 몸체 내에서 연소열이 충분히 순환될 수 있음에 따라 우수한 난방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배출 지연막은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해당 배출 지연막의 상면에 연소재가 쌓임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연소재에 의한 연통의 막힘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안착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내부 구조 중 배출 지연막의 다른 형태에 따른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내부 구조 중 배출 지연막의 다른 형태에 따른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화목 난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는 크게 몸체(100)와, 연통(200)과, 안착플레이트(300)와, 재받이(400)와, 연소 지연막(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화목 난로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로써, 내부가 빈 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외면에는 연료 투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연료 투입구(110)는 장작과 같은 나무나 갈탄 등의 고체 연료(10)를 투입하는 부위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료 투입구(110)가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됨을 그 예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연료 투입구(110)는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한 측면 혹은,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료 투입구(110)의 입구측에는 연료 투입구(110)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개폐도어(120)가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상면(130)은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몸체(100) 내부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도 상기한 몸체(100)의 상면(130)이 상기 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통(200)은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연소로 인해 발생된 연기를 몸체(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관이다.
상기한 연통(200)은 상기 몸체(100)의 상면(130)에 일체형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통(200)의 외측 끝단 부위는 연결관(예컨대, 엘보우형 연결관 및 직선형 연결관 등)(도시는 생략됨)과 연결되면서 실외로 상기 연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플레이트(300)는 상기 몸체(100) 내로 투입된 고체 연료가 안착되는 부위로써, 상기 몸체(100) 내부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안착플레이트(300)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연료 투입구(110)가 형성된 부위에 비해서는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료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고체 연료는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얹힐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에는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관통공(310)이 관통 형성되며, 특히 상기 관통공(310)은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 투입구(110)와 인접한 전방측 부위에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한 관통공(310)의 위치에 대한 특징은 안착플레이트(300)에 얹혀진 고체 연료(10)의 연소가 전방측에서만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전방측에 얹혀진 고체 연료(10)로부터 후방측에 얹혀진 고체 연료(10)로 갈수록 순차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동일 시점에 일괄적으로 고체 연료(10)가 연소됨을 방지함으로써 전체적인 연소 시간의 증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재받이(400)는 상기 몸체(100) 내에서 연소가 완료된 고체 연료(10)의 재를 수거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재받이(400)는 상기 몸체(100) 내의 하부 공간인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저부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은 개방된 형태의 박스체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재받이(400)의 전면에는 공기 유입구(4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구(410)는 외부 공기를 상기 몸체(100) 내의 연소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멍이다.
즉, 상기 공기 유입구(41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몸체(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계속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관통공(310)을 통해 상기 몸체(100) 내의 고체 연료(10)가 연소되는 공간으로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공기 유입구(410)는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 하부측이나 배면 하부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소 지연막(50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상측 부위에 구비되면서 상기 안착프레이트(300)에 적재된 고체 연료(10)의 일부를 상기 몸체(100) 내의 상부측 공간과 구획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연소 지연막(500)은 안착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관통공(31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후방측으로는 원활히 유동되지 않도록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연소 지연막(500)은 안착플레이트(300)의 전방측에 얹혀진 고체 연료(10)들이 완전히 연소되기 전까지는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후방측에 얹혀진 고체 연료(10)들로의 공기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는 요인으로 적용됨으로써 전방측에 위치된 고체 연료(10)들부터 후방측에 위치된 고체 연료(10)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연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연소 지연막(500)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수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전방측에 얹혀진 고체 연료(10)들이 완전히 연소된 후에는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후방측에 얹혀진 고체 연료(10)들의 연소를 위한 공기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후방측 고체 연료(10)들의 불완전 연소가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연기와 함께 연통으로 유동되는 연소재가 상기 연소 지연막(500)의 상면에 쌓이더라도 상기 연소 지연막(500)이 이루는 경사에 의해 상기 연소 지연막(500)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안착플레이트(300)로 흘러내려 상기 연소재가 상기 연소 지연막(500)의 상면에 쌓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는 상기 몸체(100) 내의 상측 공간에 배출 지연막(600)이 더 구비됨을 추가적으로 제시한다.
상기 배출 지연막(600)은 상기 몸체(100) 내의 고체 연료(10)가 연소되는 공간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구비된 연통(200)으로 곧장 배출됨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몸체(100) 내의 상측 공간 일부를 가로막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 지연막(600)은 상기 연통(200)의 공기 유입측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는 절곡 구조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배출 지연막(600)의 형상은 상기 연통(200)을 통해 배출되는 연기에 포함된 연소재가 상기 배출 지연막(600)의 상면에 쌓이지 않고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소재의 쌓임에 의한 연기의 배출 방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그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배출 지연막(600)은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연통(200)의 공기 유입측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을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는 절곡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를 이용한 난방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연료 투입구(110)를 통해 장작 등의 고체 연료(10)를 상기 몸체(100) 내로 투입한다.
이때, 상기 고체 연료는 상기 몸체(100) 내의 안착플레이트(300) 상면 전 부위에 걸쳐 고르게 얹힐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발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얹힌 고체 연료(10)에 대한 연소가 시작된다.
또한, 이때에는 재받이(400)의 전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4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몸체(1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전방측에 형성된 관통공(310)을 통해 상기 고체 연료(10)가 연소되는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고체 연료(10)에 대한 연소는 상기한 공기의 제공에 의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고체 연료(10)가 연소되는 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관통공(310)의 형성 위치에 대한 특징으로 인해 안착플레이트(300)의 전방측 공간으로만 제공되며, 이로 인해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에 얹힌 모든 고체 연료(10)가 균일하게 연소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에 얹힌 고체 연료(10)들 중 전방측인 상기 관통공(310)의 위치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된 고체 연료(10)들만이 원활히 연소된다.
특히,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후방측 상부에는 연소 지연막(500)이 구비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비록 상기 관통공(31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연소 지연막(500)에 의해 몸체(100) 내의 상부 공간과 구획되지 않은 안착플레이트(300)의 전방측 상부로만 원활히 유동될 뿐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후방측 상부로는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물론,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상면 전방측에 얹혀있던 고체 연료(10)들의 연소가 완료되면 상기 공기는 점차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상면 후방측으로 유동량이 늘어나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상면 후방측에 위치된 고체 연료(10)를 연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에 얹힌 고체 연료(10)들은 전방측에 위치된 고체 연료(10)들부터 후방측에 위치된 고체 연료(10)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연소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안착플레이트(300)에 얹혀있던 고체 연료(10)들이 모두 균일하게 연소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측 고체 연료(10)로부터 순차적인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동일한 양의 고체 연료(10)라 할지라도 연소 시간의 증가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고체 연료(10)의 연소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고체 연료(10)의 연소에 따라 연소열 및 연기가 발생됨과 더불어 연소재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연소재의 대부분은 통과공(310)을 통해 낙하되면서 재받이(400)에 쌓이게 되지만, 일부의 연소재는 상기 연소열 및 연기와 함께 몸체(100) 내의 상부 공간으로 유동되고, 계속해서 연통(200)을 통해 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몸체(100) 내의 상부 공간에는 역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의 배출 지연막(600)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연소열 및 연기는 상기 연통(200)을 통해 곧장 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배출 지연막(600)에 의해 가로막힌 부위를 우회하여 상기 몸체(100) 내의 둘레측 공간으로 유동된 후 다시금 상기 연통(200)을 향해 유동되며, 이로 인해 연소열은 화목 난로의 몸체(100) 내에서 상기 배출 지연막(600)에 의한 배출의 지연 시간만큼 오랜 시간 동안 추가로 머무를 수 있게 되어 난방 효율이 더욱 우수해 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연소열 및 연기의 유동은 상기 몸체(100) 내에 구비된 연소 지연막(500)의 위치로 인해 상기 몸체(100) 내의 후방측 공간으로 직접 유동됨이 방지되어 충분한 몸체(100) 내부에서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배출 지연막(600)은 공기가 직상부로 곧장 유동됨을 차단함에 따라 상기 연통(200)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열 및 연기에 편승된 일부의 연소재가 상기 배출 지연막(600)에 막혀 낙하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배출 지연막(600)을 피하여 상기 배출 지연막(600)의 상측 공간으로 유동된다 하더라도 상기 배출 유동의 약화로 인해 상기 배출 지연막(600)의 상면에 쌓이게 된다. 물론, 상기 연소재가 상기 배출 지연막(600)의 상면에 쌓인다 하더라도 상기 배출 지연막(600)의 형상적인 특징 즉, 절곡 구조로 인해 그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림으로써 상기 배출 지연막(600)의 상면에 쌓이게 됨이 방지되며, 이로 인한 연통(200)의 막힘 역시 방지된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는 지속적으로 고체 연료(10)를 투입할 필요가 없이 한 번의 투입으로도 장시간 동안의 연소가 진행될 수 있게 되고, 화목 난로의 몸체(100) 내에서 연소열이 충분히 순환될 수 있음에 따라 우수한 난방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연소재의 쌓임에 따른 연통(200)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목 난로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의 각 구성 중 연소 지연막(500)은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물론, 상기한 연소 지연막(500)이 생략될 경우에는 공기의 유동이 안착플레이트(300)의 후방측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그만큼 고체 연료(10)들의 전체적인 연소 시간이 짧아진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연소 지연막(500)을 함께 포함함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그 생략도 가능한 것이다.
100. 몸체 110. 연료 투입구
120. 개폐도어 130. 상면
200. 연통 300. 안착플레이트
310. 관통공 400. 재받이
410. 공기 유입구 500. 연소 지연막
600. 배출 지연막

Claims (5)

  1. 외관을 이루면서 외면에는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면서 고체 연료가 안착됨과 더불어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안착플레이트;
    상기 몸체 내의 하부 공간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저부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재받이;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상측 부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적재된 고체 연료의 일부를 상기 몸체 내의 상부측 공간과 구획하는 연소 지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투입구는 상기 몸체의 전면 중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설치 부위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연료 투입구와 인접한 전방측 부위에만 형성되며,
    상기 연소 지연막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후방측 부위의 상부를 가로막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지연막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의 상측 공간에 구비되면서 상기 몸체 내의 고체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된 연통으로 곧장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 내의 상측 공간 일부를 가로막는 배출 지연막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배출 지연막은 상기 연통의 공기 유입측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혹은, 양측 방향을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5. 외관을 이루면서 외면에는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면서 고체 연료가 안착됨과 더불어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안착플레이트;
    상기 몸체 내의 하부 공간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저부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된 재받이;
    상기 몸체 내의 상측 공간에 구비되면서 상기 몸체 내의 고체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된 연통을 곧장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 내의 상측 공간 일부를 가로막는 배출 지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출 지연막은 상기 연통의 공기 유입측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 혹은, 양측 방향을 향해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난로.
KR2020120008418U 2012-09-20 2012-09-20 화목 난로 KR201400018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418U KR20140001819U (ko) 2012-09-20 2012-09-20 화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418U KR20140001819U (ko) 2012-09-20 2012-09-20 화목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19U true KR20140001819U (ko) 2014-03-28

Family

ID=5244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418U KR20140001819U (ko) 2012-09-20 2012-09-20 화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8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18Y1 (ko) * 2019-06-24 2020-11-30 주식회사 유림하이텍 화목 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18Y1 (ko) * 2019-06-24 2020-11-30 주식회사 유림하이텍 화목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16411A1 (en) Pullout firebox drawer
KR20120002124A (ko) 휴대용 조립식 난로
JP3996469B2 (ja) 薪ストーブ
JP4785980B1 (ja) 燃焼装置
KR101250617B1 (ko) 장작 스토브
KR102064058B1 (ko) 화목난로
CN105393058A (zh) 燃烧结构
KR20140001819U (ko) 화목 난로
JP5491457B2 (ja) グリル
JP6959009B2 (ja) 燃焼装置
JP4722882B2 (ja) グリル
KR101786730B1 (ko) 화목난로
KR200400023Y1 (ko) 화목 보일러
KR10155484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 난로
KR101709583B1 (ko) 다목적 화목 난로
KR20140006418U (ko) 화목 난로
JP4985971B2 (ja) グリル
KR20190030448A (ko) 펠릿공급장치
KR20160001813U (ko) 나무난로 겸용 필렛난로
KR100260720B1 (ko) 다목적 보일러
KR20130005878U (ko) 화목 난로
KR200425900Y1 (ko) 석탄 보일러
KR101723483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JP7242111B1 (ja) 薪ストーブ
KR102324144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