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205B1 - 고형연료 난로 - Google Patents

고형연료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205B1
KR101861205B1 KR1020160169818A KR20160169818A KR101861205B1 KR 101861205 B1 KR101861205 B1 KR 101861205B1 KR 1020160169818 A KR1020160169818 A KR 1020160169818A KR 20160169818 A KR20160169818 A KR 20160169818A KR 101861205 B1 KR101861205 B1 KR 10186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olid fuel
supply pipe
fuel supply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덕수
Original Assignee
성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덕수 filed Critical 성덕수
Priority to KR102016016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1Free-standing fireplaces, e.g. for mobile homes ; Fireplaces convertible into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2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5Igniting devices; Fire-igniting fan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고형연료 난로는,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화실이 형성된 난로본체와;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화실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고형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관과;하부에 상기 연료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적재되며,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연료공급관과 독립적으로 상기 고형연료로 안내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연소되도록 하는 점화연소부와; 상기 난로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실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을 포함하되, 상기 점화연소부는,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된 상단부가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로 일정 높이 노출되게 상기 난로본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연료공급관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용되는 내부공기안내관과;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적재판지지프레임과; 상기 적재판지지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료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적재되어 연소되는 연료적재판과;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외부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된 외부공기유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내부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기안내관과 상기 연료공급관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하부로 안내되고, 상기 연료적재판에 적재된 고형연료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형연료 난로{HEATER FOR SOLID FUEL}
본 고안은 고형연료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팰릿, 목분 등의 고형연료의 효과적인 연소를 가능하게 하여 연소율을 높일 수 있는 고형연료 난로에 관한 것이다.
석유나 석탄 등과 같은 화석 연료의 사용은 환경오염을 초래하므로 그 사용을 지양하고자 하는 추세가 있다. 이에 전기 등을 사용하는 난방기구가 도입되었으나 전기료의 증가 및 전기의 생산에도 상당한 환경 오염이 발생하므로 다른 난방수단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춰 친환경적인 대체에너지원으로 바이오매스(biomass) 기반의 연료가 다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란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식물체, 균체 및 이들을 먹고 살아가는 동식물체를 포함하는 생물 유기체를 말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바이오매스의 범주에 속하는 목재팰릿, 목분, 잣껍질, 팜껍질 등과 같은 고형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는 화실에 적층되는 연료가 연소되는 경우 원활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넓은 사발이나 접시 형태의 화격자의 경우 적층되는 연료에 의해 연료 사이의 공기 운용이 불완전하여 연소의 불완전에 이르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연료가 목재 팰릿이나 목분의 경우와 같이 단위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연료가 연소되면서 적층위치가 변경되어 연료 사이의 공극이 줄어들어 더욱 불완전연소가 발생되는 빈도가 높았다.
이렇게 고형연료가 불완전 연소될 경우, 연료소비가 증가되며 난방효율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1265호 "펠릿난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형연료로 공기공급을 원활히 하여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는 고형연료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형연료 난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형연료 난로는,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화실이 형성된 난로본체와;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화실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고형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관과;하부에 상기 연료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적재되며,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연료공급관과 독립적으로 상기 고형연료로 안내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연소되도록 하는 점화연소부와; 상기 난로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실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을 포함하되, 상기 점화연소부는,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된 상단부가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로 일정 높이 노출되게 상기 난로본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연료공급관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용되는 내부공기안내관과;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적재판지지프레임과; 상기 적재판지지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료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적재되어 연소되는 연료적재판과;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외부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된 외부공기유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내부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기안내관과 상기 연료공급관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하부로 안내되고, 상기 연료적재판에 적재된 고형연료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로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기안내관과 상기 외부공기유입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커버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판지지프레임은, 상기 연료적재판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적재판안착프레임과; 상기 적재판안착프레임 보다 폭이 얇게 형성되어 상기 연료적재판의 외주면과 분리되는 적재판분리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는 외부공기의 이동통로를 연료공급경로와 독립되게 형성하여 고형연료의 종류와 적재상태와 상관없이 외부공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고형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형연료가 내부공기안내관의 하부에 적재되고, 외부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며 고형연료로 공급되므로 고형연료의 연소시 발생된 화염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화실로 모두 배출되므로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의 연료공급관과 공기공급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연료공급관과 공기공급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의 내부공기안내관과 연료적재판 및 적재판지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의 고형연료의 연소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100)의 연료공급관(120)과 점화연소부(130)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연료공급관(120)과 점화연소부(13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고형연료 난로(100)는 고형연료(M)의 연소가 일어나는 화실(도 5의 111)이 형성된 난로본체(110)와, 난로본체(110)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연료공급관(120)과, 연료공급관(120)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연료공급관(120)과 독립적으로 고형연료(M)로 외부공기(A)를 공급하여 고형연료(M)가 완전연소되도록 하는 점화연소부(130)와, 난로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화실(111)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140)과, 연료공급관(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연료공급관(120)으로 고형연료(M)를 공급하는 연료저장통(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100)는 목재팰릿, 목분, 잣껍질, 팜껍질 등과 같은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100)는 고형연료(M)의 공급로와 외부공기의 공급로를 분리하여 형성하여 고형연료(M)의 완전연소를 유도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고형연료 난로(100)는 종래 고형연료의 적재위치에 따라 외부공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불완전연소가 발생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난로본체(110)는 점화연소부(13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화염과 연소가스가 유동되는 화실(111)을 형성한다. 난로본체(110)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난로본체(110)의 일측에는 화실(111) 바닥에 쌓이는 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재배출도어(113)가 구비된다. 경우에 따라 난로본체(110)의 바닥에는 재받이(미도시)가 구비되어 재의 배출과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난로본체(110)에는 관찰창(115)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화실(111)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화실(111) 내부의 화염 상태를 보고 고형연료(M)를 추가로 투입하거나 공기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료공급관(120)은 난로본체(110)의 상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공급관(120)은 점화연소부(130)의 내부공기안내관(131)의 내부에 일정길이 수용된다. 연료공급관(120)의 상부는 일정길이 외부로 노출되고 하부는 내부공기안내관(131)내부에 수용된다. 외부로 노출된 연료공급관(120)의 상단은 연료저장통(150)과 결합되어 고형연료(M)를 공급받는다.
연료공급관(120)은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연료공급관삽입공(135a)에 용접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연료공급관(120)은 내부공기안내관(13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연료적재판(132)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외부공기유입커버(135)에 고정된다.
여기서, 연료적재판(132)과 연료공급관(120)의 하단부 사이의 이격공간은 고형연료(M)가 점화 및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연료공급관(120)과 연료적재판(132) 사이의 이격거리는 사용되는 고형연료의 종류와 내부공기안내관(13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고려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는 거리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화연소부(130)는 연료공급관(120)과 독립적으로 외부공기의 공급로를 형성하고, 고형연료(M)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고형연료(M)의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화실(111) 방향으로 화염(도 5의 F)의 토출을 유도한다.
점화연소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A)의 공급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기안내관(131)과, 내부공기안내관(131)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고형연료(M)가 적재되는 연료적재판(132)과, 연료적재판(132)을 내부공기안내관(131)의 하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적재판지지프레임(133)과, 내부공기안내관(131)의 상부를 막아 외부공기(A)의 이동경로를 제한하는 외부공기유입커버(135)와, 난로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연료공급관(120)과 점화연소부(130)를 지지하는 커버지지프레임(137)과, 외부공기유입커버(13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공기안내관(131)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량을 조절하는 공기유입량조절부재(139)를 포함한다.
내부공기안내관(131)은 하단부는 화실(111)에 위치되고 상단부는 난로본체(110)의 상부로 노출된다. 화실에 위치된 내부공기안내관(131)의 표면에는 점화공(131a)이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점화공(131a)을 통해 수동으로 고형연료(M)를 점화하게 된다.
내부공기안내관(131)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131b)이 관통형성된다. 내부공기유입공(131b)은 내부공기안내관(131)의 외벽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연료적재판(132)은 내부공기안내관(131)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연료공급관(120)을 통해 공급된 고형연료(M)가 적재된다. 고형연료(M)는 연료적재판(132)에 적재된 상태로 점화되어 연소된다. 연료적재판(132)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화염배출공(132a)이 관통형성된다. 화염배출공(132a)을 통해 고형연료(M)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화염과 재가 화실(111)로 배출된다.
적재판지지프레임(1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기안내관(131)의 하단부 내측벽에 고정결합되어 연료적재판(132)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한다. 적재판지지프레임(133)은 내부공기안내관(13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적재판지지프레임(133)은 연료적재판(132)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적재판지지프레임(133)은 폭에 따라 적재판안착프레임(133a)과 적재판분리프레임(133b)으로 구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지지프레임(133)에는 재배출공(133c)이 관통형성된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안착프레임(133a)의 재배출공(133c)의 폭(d1)은 연료적재판(132)의 폭(W)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적재판안착프레임(133a)에는 연료적재판(132)의 외주연이 안착된다.
반면, 적재판분리프레임(133b)의 재배출공(133c)의 폭(d2)은 연료적재판(132)의 폭(W)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적재판분리프레임(133b)에는 연료적재판(132)이 안착되지 않는다.
여기서, 적재판안착프레임(133a)의 면적이 적재판분리프레임(133b) 보다 넓게 구비되어 연료적재판(132)이 적재판안착프레임(133a) 상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적재판지지프레임(133)의 형상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료적재판(132)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연료적재판(132)이 적재판분리프레임(133b) 쪽으로 회동되며 적재판지지프레임(13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연료적재판(13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점화연소부(130) 내부의 재를 제거하거나, 잔여 고형연료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외부공기유입커버(135)는 내부공기안내관(131)의 외부를 커버하여 내부공기유입공(131b)으로 외부공기(A)가 유입되는 경로를 제한한다. 외부공기유입커버(135)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지지프레임(137)의 상면에 결합된다. 외부공기유입커버(135)는 외부로 노출된 내부공기안내관(131)의 측면과 상부를 커버한다.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상면 가운데영역에는 연료공급관삽입공(135a)이 관통형성되고, 연료공급관삽입공(135a)의 외측으로 복수개의 외부공기유입공(135b)이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밀폐된 형상에 의해 내부공기유입공(131b)으로는 외부공기유입공(135b)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만 유입될 수 있게 외부공기(A)의 유입경로가 제한된다.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상부에는 공기유입량조절부재(139)가 연료공급관(12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공기유입량조절부재(139)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공기량조절공(139a)이 외부공기유입공(135b)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공기유입량조절부재(139)를 회동시켜 공기량조절공(139a)과 외부공기유입공(135b)을 동축상에 위치시키거나 어긋나게 배치하여 내부공기안내관(131)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커버지지프레임(137)은 난로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연료공급관(120)과 점화연소부(130)를 지지한다.
커버지지프레임(137)에는 내부공기안내관(131)이 삽입되는 안내관삽입공(137b)이 관통형성되고, 테두리영역에는 체결부재삽입공(137b)이 복수개 구비된다.
체결부재삽입공(137b)을 통해 체결부재(B)가 삽입되어 난로본체(110)에 커버지지프레임(137)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고형연료 난로(100)를 제조할 때 연료공급관(120)과 점화연소부(130)는 하나의 모듈형태로 제조되어 난로본체(11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커버지지프레임(137)의 안내관삽입공(137b)에 내부공기안내관(131)이 삽입되고, 내부공기안내관(131)과 안내관삽입공(137b)은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 때, 내부공기안내관(131)의 하부에는 적재판지지프레임(133)이 미리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내부공기안내관(131)이 커버지지프레임(137)에 고정되면, 외부공기유입커버(135)를 커버지지프레임(137) 상부에 배치한다. 그리고,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테두리영역을 커버지지프레임(137)에 용접하여 고정한다.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고정이 완료되면,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연료공급관삽입공(135a)으로 연료공급관(120)을 일정깊이 삽입하고, 연료공급관(120)과 연료공급관삽입공(135a)을 용접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공급관(120)의 하단부는 연료적재판(132)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연료공급관(120)과 점화연소부(130)는 난로본체(110)에 커버지지프레임(137)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통(140)은 난로본체(110)에 화실(111)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고형연료(M)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연료저장통(150)은 연료공급관(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형연료(M)를 연료공급관(120)으로 공급한다. 이 때, 연료저장통(150)은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구비되어 자동으로 고형연료(M)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수동으로 고형연료(M)를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형연료 난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장소에 설치된다. 이 때, 사용자는 연료저장통(150)에 연료를 충진한다. 연료저장통(150)의 연료공급수단을 조작하여 고형연료(M)를 연료공급관(120)으로 공급한다. 연료공급관(120)을 통해 공급된 고형연료(M)는 연료적재판(132)에 적재된다.
사용자는 공기유입량조절부재(139)의 공기량조절공(139a)이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외부공기유입공(135b)과 완전히 일치하도록 위치시켜 공기유입량이 최대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재배출도어(113)를 열고 가스토치를 점화공(131a)에 30초 이상 위치시켜 고형연료(M)를 점화시킨다.
이 때,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유입커버(135)의 외부공기유입공(135b)을 통해 외부공기(A)가 내부공기안내관(131)의 내부공기유입공(131b)으로 유입되고, 내부공기안내관(131)과 연료공급관(12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외부공기(A)가 이동한다.
외부공기(A)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고, 연료적재판(132)에 적재된 고형연료(M)로 공급되어 고형연료(M)가 완전연소되도록 돕는다.
여기서, 적재판지지프레임(133)에 의해 연료적재판(132)이 내부공기안내관(13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부공기(A)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고형연료(M)로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 특히, 연료적재판(132)에 적재된 국부적인 영역으로만 연속적으로 외부공기 공급이 가능해지므로 완전 연소가 유도될 수 있다.
또한, 고형연료(M)가 연소되면서 고형연료(M)의 적재위치가 변경되고 고형연료(M) 사이의 공극이 변화되더라도 공기공급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연소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외부공기(A)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공급되므로 연료적재판(132)에 적재된 고형연료(M)가 연소되며 발생된 화염(F)이 상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화염배출공(132a)을 통해 화실(111)로 배출되어 난방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난로는 외부공기의 이동통로를 연료공급경로와 독립되게 형성하여 고형연료의 종류와 적재상태와 상관없이 외부공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고형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형연료가 내부공기안내관의 하부에 적재되고, 외부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며 고형연료로 공급되므로 고형연료의 연소시 발생된 화염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화실로 모두 배출되므로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고형연료 난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화목난로 110 : 난로본체
111 : 화실 113 : 재배출도어
115 : 관찰창 120 : 연료공급관
130 : 점화연소부 131 : 내부공기안내관
131a : 점화공 131b : 내부공기유입공
132 : 연료적재판 132a : 화염배출공
133 : 적재판지지프레임 133a : 적재판안착프레임
133b : 적재판분리프레임 133c : 재배출공
135 : 외부공기유입커버 135a : 연료공급관삽입공
135b : 외부공기유입공 137 : 커버지지프레임
137a : 안내관삽입공 137b : 체결부재삽입공
139 : 공기유입량조절부재 139a : 공기량조절공
139b : 손잡이 140 : 연통
150 : 연료저장통
A : 외부공기
B : 체결부재
M : 고형연료

Claims (3)

  1. 고형 연료가 연소되는 화실이 형성된 난로본체와;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화실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고형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관과;
    하부에 상기 연료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적재되며,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연료공급관과 독립적으로 상기 고형연료로 안내하여 상기 고형연료가 연소되도록 하는 점화연소부와;
    상기 난로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실의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을 포함하되,
    상기 점화연소부는,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된 상단부가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로 일정 높이 노출되게 상기 난로본체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연료공급관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용되는 내부공기안내관과;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적재판지지프레임과;
    상기 적재판지지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료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적재되어 연소되는 연료적재판과;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난로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외부공기유입공이 관통형성된 외부공기유입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내부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기안내관과 상기 연료공급관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내부공기안내관의 하부로 안내되고, 상기 연료적재판에 적재된 고형연료로 공급되고,
    상기 난로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기안내관과 상기 외부공기유입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커버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지지프레임은,
    상기 연료적재판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적재판안착프레임과;
    상기 적재판안착프레임 보다 폭이 얇게 형성되어 상기 연료적재판의 외주면과 분리되는 적재판분리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난로.
  2. 삭제
  3. 삭제
KR1020160169818A 2016-12-13 2016-12-13 고형연료 난로 KR10186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818A KR101861205B1 (ko) 2016-12-13 2016-12-13 고형연료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818A KR101861205B1 (ko) 2016-12-13 2016-12-13 고형연료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205B1 true KR101861205B1 (ko) 2018-05-28

Family

ID=6245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818A KR101861205B1 (ko) 2016-12-13 2016-12-13 고형연료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806A (ko) 2019-12-15 2021-06-23 김이권 고효율 고형연료 난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87Y1 (ko) 2006-12-06 2008-03-26 신성식 벽난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87Y1 (ko) 2006-12-06 2008-03-26 신성식 벽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806A (ko) 2019-12-15 2021-06-23 김이권 고효율 고형연료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5564B2 (en) Combustion furnace
KR200448540Y1 (ko) 펠릿 난로
KR101587377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1392216B1 (ko)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가열장치
WO2017048314A1 (en) Improved pellet stove
KR200486674Y1 (ko) 난로
KR101306785B1 (ko) 펠렛 히터
US4441436A (en) Solid fuel burning methods and apparatus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CN102374540A (zh) 燃烧设备
KR200484000Y1 (ko) 펠렛 연소기
KR101051707B1 (ko) 고체연료 연소장치
KR101224417B1 (ko) 펠릿 난로
KR200483689Y1 (ko) 고형 연료를 사용하는 난로의 연소장치
KR101708370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무동력 바베큐 장치
KR102023110B1 (ko) 화목 펠릿 난로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100008811U (ko) 목재펠릿연료를 위한 무동력 연소장치
CN102261646B (zh) 生物质秸秆颗粒燃烧器
KR20150125288A (ko) 펠릿 겸용 수평식 화목 가스화 보일러
KR20160114755A (ko) 펠릿을 이용한 난로
KR102080993B1 (ko) 무연 고체연료 스토브
KR20190037854A (ko) 펠릿 난로
KR101428438B1 (ko) 과립고체 연료버너 및 그것을 이용한 보일러
KR102297258B1 (ko) 유해연소가스를 제거 가능한 펠릿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