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00Y1 - 펠렛 연소기 - Google Patents

펠렛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00Y1
KR200484000Y1 KR2020160007350U KR20160007350U KR200484000Y1 KR 200484000 Y1 KR200484000 Y1 KR 200484000Y1 KR 2020160007350 U KR2020160007350 U KR 2020160007350U KR 20160007350 U KR20160007350 U KR 20160007350U KR 200484000 Y1 KR200484000 Y1 KR 200484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or
combustion chamber
air
plate
pel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2020160007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펠렛 연소기로서, 펠렛을 공급할 수 있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부는: 연소기 외부몸체와,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소기 내부몸체와,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에서 공급된 펠렛을 1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상부 연소실과, 상기 상부 연소실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 연소실에서 1차적으로 연소되어 낙하되는 펠렛을 2차적으로 연소시키는 하부 연소실, 및 상기 상,하부 연소실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와 연소기 내부몸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펠렛 연소기{Pellet burner}
본 고안은 펠렛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펠렛이 연소판의 외측 부분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게 하여 연소판에 전달되는 열을 줄여 연소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역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펠렛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추운 겨울철이나 습기가 높은 장마철에 습기 제거를 목적으로 주택이나 상가 및 공장 등의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과 가축을 기르는 축사 또는 과일과 채소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하우스 등의 시설에는 난방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난방장치의 연료로는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환경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는 친환경적으로 우수한 펠렛 연료가 각광받고 있다.
상기 펠렛 연료는 나무의 부산물인 톱밥을 가공 건조하고, 펠렛성형기를 이용하여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작은 알갱이 형태의 펠렛으로 성형되는 이산화탄소가 절감되는 친환경 제품이다.
그리고 펠렛팅 과정에서 별도의 첨가제 없이 나무에 있는 리그닌 성분이 녹아 펠렛모양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연료로 사용되는 석유나 석탄의 구입비용보다 월등히 저렴하여 전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난방장치(이하, '난로'라 한다.)도 함께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펠렛 연료를 이용하는 난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450891호(명칭: 무연통 펠릿난로),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448540호(명칭: 펠릿난로),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148447호(명칭: 다기능 펠릿 연소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난로 구성은, 크게 펠렛 연료를 점화 연소시키는 연소통과 펠렛 연료를 수용 저장하는 저장통 및 상기 저장통에 수용된 펠렛 연료를 연소통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또는 컨베이어밸트 등의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펠렛 연료를 이용한 난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연소기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스크류방식이 대부분이었고, 하향식으로 이루어진 연소기는 공기조절이 어려워 화력조절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대부분가열된 열기가 장시간 체류하지 못하고 배출되어 난방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이송장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작함으로써, 운용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 및 이송장치와 공기투입기의 제작으로 제품의 크기가 커져 제작비가 상승하고, 상승한 제작비용은 고스란히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금전적 부담이 커지게 되며, 그러함에 따라 생활이 어려운 서민 가정에는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펠렛 연소기는 연료통과 연소기가 측면으로 구분되어 설치됨으로써, 부피가 큰 펠렛 연소기는 설치면적이 넓어야 하는 문제점으로 운용, 설치 및 난방효율에 걸쳐 큰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12076호(명칭: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연소통을 통해 내려온 다수의 펠렛이 1차 연소판의 통기공을 막거나, 2차 연소판 또는 다수의 통기구가 시간의 흐름 등에 따라 막혀서 공기의 흐름이 단절되어 불완전 연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다른 종래기술들도 내포하고 있으며, 펠렛이 연소하면서 1차 연소판 또는 2차 연소판이 막히면 공기의 흐름이 단절되어 불완전 연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펠렛이 연소판의 상부 전체부위에서 연소가 이루어짐으로서, 장시간 사용시에는 연소판에 전달되는 고열로 인하여 연소판이 변형되는 문제점도 있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450891호, 무연통 펠릿난로.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448540호, 펠릿난로,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1148447호, 다기능 펠릿 연소기. 국내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12076호,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펠렛이 연소판의 외측 부분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게 하여 연소판에 전달되는 열을 줄여 연소판의 변형 및 역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펠렛 연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펠렛을 공급할 수 있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에 환형의 테두리부가 형성된 연소기 외부몸체;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소기 내부몸체;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에서 공급된 펠렛을 1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상부 연소실; 상기 상부 연소실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 연소실에서 1차적으로 연소되어 낙하되는 펠렛을 2차적으로 연소시키는 하부 연소실; 및 상기 상,하부 연소실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와 연소기 내부몸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펠렛의 공급통로 역할을 하는 제1 원통체와, 상기 제1 원통체의 중간부위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환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테두리부와, 상기 상부 테두리부의 외주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 원통체와, 상기 제2 원통체의 하단에서 내외부로 돌출되게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에 구비되는 환형의 테두리부에 안착되는 하부 테두리부, 및 상기 하부 테두리부의 내주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경과 소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3 원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 원통체의 하단은: 상기 상부 연소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간극을 이루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원통체의 하단은: 상기 하부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연소실은: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로 공급된 펠렛을 1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원통체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간극을 이루게 설치된 상부 연소판과, 상기 상부 연소판을 지지하도록 연소기 외부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상부 연소판 지지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연소실은: 상기 상부 연소실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2차 연소된 재가 낙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구멍들이 형성된 원판형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연소판과, 상기 하부 연소판을 지지하도록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 연소판 지지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하부 연소실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부 연소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소기 외부몸체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 공기유입공;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하부 테두리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연소실의 외측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 연소실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기유입공; 및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상부 테두리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연소실의 외측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용 장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유입용 장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공기 조절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유입공기 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연소판은: 상기 제2 원통체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개수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돌출되어 상기 판체의 외주면과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낙하공간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돌부;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연소실에서 1차 연소되어 크기가 작아진 펠렛이 상부 연소판의 외주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낙하공간을 통해 하부 연소실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연소판의 상부와 상기 제3 원통체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2~5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연소판은: 공급된 펠렛이 상부 연소판의 외측부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부 연소판의 상면 중앙 부위에 상부로 돌출되게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연소판은: 상기 판체의 외주면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걸림돌부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원통체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의하면,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펠렛이 연소판의 외측 부분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연소판의 외측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연소판에 가해지는 열 전달을 줄여 연소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가 설치된 난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다른 펠렛 연소기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상부 연소판을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상부 연소판이 연소기 외부몸체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본 사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하부 연소판을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하부 연소판이 연소기 외부몸체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본 사진으로, 도 5표시의 사진에서 상부 연소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연소기 내부몸체의 상부 테두리부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유입공기 조절판을 위에서 도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및 펠렛이 연소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의 변형예에 따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가 설치된 난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다른 펠렛 연소기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상부 연소판을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상부 연소판이 연소기 외부몸체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본 사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하부 연소판을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하부 연소판이 연소기 외부몸체에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본 사진으로, 도 5표시의 사진에서 상부 연소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연소기 내부몸체의 상부 테두리부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구비되는 유입공기 조절판을 위에서 도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에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 및 펠렛이 연소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의 변형예에 따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펠렛 연소기는 도 1표시와 같이 난로 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난로 몸체(100)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통체 또는 함체로 형성되어 내부에서 펠렛이 연소되며, 연통(104) 및 재받이(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연통(104)은 실외로 연락되게 설치되는 굴뚝으로, 연통(104)의 외측 단부에는 팬(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연통(104)은 배기구이다. 즉, 팬의 작동에 따라 난로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공기가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펠렛의 하향 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내부의 연기가 배기되게 한다.
또한, 연통(104)의 중간부위에는 화력조절용 개폐부(10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력조절용 개패부(106)는 연통(104)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그 개폐 여부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량(속도)을 조절하여 화력이 조절되게 한다.
한편, 재받이는 난로 몸체(100)의 내부 공간 바닥에 구비되어 펠렛이 연소되어 낙하되는 재를 받아 외부로 배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난로 몸체(100)의 외형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난로 몸체(100), 연통(104), 재받이 등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이다.
또한, 상기 난로 몸체(100)의 상부에는 펠렛을 공급할 수 있는 호퍼(102)가 설치된다.
이러한 호퍼(102)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호퍼(102)의 하부에 연료 차단기(103)가 구비된다. 상기 연료 차단기(103)는 호퍼(102) 하부 통로를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펠렛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펠렛 연소기에는 상기 호퍼(102)의 하부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소부의 구성이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연소부는 연소기 외부몸체(110)와 연소기 내부몸체(120), 상부 연소실(130), 하부 연소실(140) 및 공기유입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에 환형의 테두리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환형의 테두리부(112)가 난로 몸체(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연소기 외부몸체(1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120)는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호퍼(102)의 하부에 연락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원통체(121)가 구비되어 상기 호퍼(102)로부터 펠렛이 공급되는 공급통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원통체(121)의 중간부위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상부 테두리부(122)가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테두리부(122)의 외주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제2 원통체(12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원통체(123)의 하단에서 내외부로 돌출되게 하부 테두리부(124)가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110)에 구비되는 환형의 테두리부(112)에 상기 하부 테두리부(124)가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 테두리부(124)의 내주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제3 원통체(12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3 원통체(125)는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내경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원통체(125)의 직경은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1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연소실(130)은 호퍼(102)로부터 제1 원통체(121)를 통해 공급되는 펠렛을 1차적으로 연소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 연소실(130)은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120)로 공급된 펠렛을 1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내부에 상부 연소판(13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연소판(132)은 상기 제3 원통체(125)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간극(d)을 이루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 연소판(132)의 상부와 상기 제3 원통체(125)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d)은 2~5cm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cm의 간극(d)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상기 간극(d)이 크게 되면, 화력이 약하고 연료 소모가 심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간극(d)이 좁으면, 역화 현상이 발생되고 펠렛의 가스화 연소로 인하여 폭발(폭파)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2~5cm의 간극(d)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이로 인해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상부 연소판(132)을 지지하도록 하고자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11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연소판 지지돌부(134)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 연소판 지지돌부(134)는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외경에 원주방향을 따라 3개소 혹은 4개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연소판(132)은 제3 원통체(125)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체(132a)와 상기 판체(132a)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개수로 돌출되게 간격유지돌부(132b)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참조)
상기 간격유지돌부(132b)는 판체(132a)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돌출되어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110)에 설치시 상기 판체(132a)의 외주면과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내주면 사이에 낙하공간(132c)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낙하공간(132c)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상부 연소실(130)에서 1차 연소되어 크기가 작아진 펠렛이 상부 연소판(132)의 외주면 외측으로, 즉 낙하공간(132c)을 통해 하부 연소실(140)로 낙하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3 원통체(125)의 하단이 상기 상부 연소실(130)에 구비되는 상부 연소판(132)으로부터 소정 간극(d)을 이루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원통체(121)의 하단이 상기 하부 테두리부(122)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호퍼(102)로부터 제1 원통체(121)를 통해 공급되는 펠렛이 상기 상부 연소판(132)에 쌓이게 된다.
이때, 펠렛은 제3 원통체(125)에 의해 원뿔 형상으로 쌓이게 되고, 즉 제1 원통체(121)의 하부로부터 제3 원통체(125)까지 원뿔형으로 쌓이게 되고, 원뿔형으로 쌓인 펠렛이 외측부에서 연소됨으로서 연소되어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 상기 낙하공간(132c)을 통해 하부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낙하되는 크기가 작아진 펠렛은 하부 연소실(140)에서 2차적으로 연소되어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며, 연소된 재가 하부로 낙하되어 재받이에 모이게 된다. 즉, 상기 상부 연소실(130)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하부 연소실(1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 연소실(140)에서 1차적으로 연소되어 낙하되는 펠렛을 하부 연소실(140)에서 2차적으로 연소된다.
이러한 하부 연소실(140)은 상기 상부 연소실(130)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내부에 하부 연소판(14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연소판(142)은 2차 연소된 재가 낙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구멍(142a)들이 형성된 원판형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진다.(도 6참조)
또한, 상기 하부 연소판(142)을 지지하도록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내측으로 하부 연소판 지지돌부(144)가 돌출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하부 연소판 지지돌부(144)는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3개소 혹은 4개소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연소실(130)과 하부 연소실(140)에서 펠렛이 연소될 수 있도록 하고자, 상부 연소실(130)과 하부 연소실(140)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110)와 연소기 내부몸체(120)에 공기유입부(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유입부(150)는 상기 하부 연소실(140)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부 연소판(142)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1 공기유입공(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공기유입공(152)은 연소기 외부몸체(1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부(150)는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120)에 구비되는 하부 테두리부(124)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2 공기유입공(15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 공기유입공(154)은 상부 연소실(130)의 외측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 연소실(14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부(150)는 연소기 내부몸체(120)에 구비되는 상부 테두리부(122)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공기유입용 장공(156)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용 장공(156)을 통해 상부 연소실(130)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도 8참조)
이러한 공기유입용 장공(156)는 공기가 유입되는 기능 이외에 상부 연소실(130)에서 펠렛을 최초 점화시 점화기구(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상부 연소실(130)에 펠렛이 원뿔 형상으로 쌓이면, 상기 공기유입용 장공(156)을 통해 점화기구를 삽입하여 펠렛이 연소되도록 점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용 장공(15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공기 조절공(158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테두리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유입공기 조절판(15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참조)
이때, 상기 공기유입용 장공(156)과 상기 공기 조절공(158a)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기 조절판(158)을 회전시킴에 의해 공기 조절공(156)과 공기유입용 장공(158a)이 교차되면서 크기가 조절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공기 조절판(158)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유입공기 조절판(158)의 외주면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관미를 살리기 위하여 도 9표시와 같은 형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연소판(132)은 공급된 펠렛이 용이하게 원뿔 형상으로 쌓이면서 외측부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게 하고자 상부 연소판(132)의 상면 중앙 부위에 도 11표시와 같이 상부로 돌출되게 원뿔 형상의 가이드돌부(13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부(133a)에 의해 상기 제1 원통체(121)를 통해 상부 연소판(132)에 쌓이는 펠렛이 원뿔 형상으로 쌓이면서 외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 연소판(132)을 구성하는 판체(132a)의 외주면 둘레에 도 11표시와 같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걸림돌부(133b)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부(133b)들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펠렛이 쉽게 하부로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연소판(132)의 상부로 소정 간극(d)을 이루게 설치되는 제3 원통체(125)의 하단부에는 도 11표시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부(12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25a)의 형성을 인해 연소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접촉량을 늘려 펠렛의 연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연소실(130)에 배치되는 연소기 내부몸체(120)의 외주면에는 도 11표시와 같이 제3 공기유입공(125b)들을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부 연소실로 공기의 유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펠렛 연소기는, 호퍼(102)에 저장되는 펠렛 이 자중에 의해 연소기 내부몸체(120)에 구비되는 제1 원통체(121)를 통해 공급되어 상부 연소판(132)의 상부에 원뿔 형상으로 쌓이게 된다.
이후, 공기유입용 장공(156)과 공기 조절공(158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점화기구를 공기유입용 장공(156)을 통해 삽입하여 원뿔 형상으로 쌓인 펠렛의 외측부분이 연소되도록 외측부분을 점화한다.
점화된 펠렛은 원뿔 형상으로 쌓인 상태에서 외측부분만이 연소되기 때문에, 상부 연소판(132)의 중간부위에는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 원뿔 형상으로 쌓인 펠렛의 외측 부분이 연소되면서 펠렛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 상기 호퍼(102) 및 제1 원통체(121)를 통해 펠렛이 자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부 연소판(132)의 외주면 외측으로 형성되는 낙하공간(132c)을 통해 하부 연소실(140)의 하부 연소판(142) 위로 낙하되어 완전히 연소되고, 재는 하부 연소판(142)의 배출구멍(142a)들을 통해 재받이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된 펠렛이 원뿔 형상으로 쌓인 상태에서 외측 부분만이 연소됨으로서 상부 연소판(132)의 중앙부분으로 열전달이 되지 않게 함으로서 상부 연소판(132)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 연소판(132)에는 연소되어 크기가 작아진 펠렛이 하부로 낙하되는 구멍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 종래와 같이 구멍이 막히는 염려가 없게 되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부 연소판의 중앙부위에 종래와 같이 구멍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이는 종래와 같이 연소되어 크가가 작아진 펠렛이 낙하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라, 하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기능만을 가질 뿐이므로, 구멍이 막히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난로 몸체 102 - 호퍼
110 - 연소기 외부몸체 120 - 연소기 내부몸체
130 - 상부 연소실 140 - 하부 연소실
150 - 공기유입부

Claims (7)

  1. 펠렛을 공급할 수 있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락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단에는 환형의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연소기 외부몸체와, 이 연소기 외부몸체의 상부에서 내부로 일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연소기 내부몸체와,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에서 공급된 펠렛을 1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상부 연소실과, 상기 상부 연소실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구비되어 상기 상부 연소실에서 1차적으로 연소되어 낙하되는 펠렛을 2차적으로 연소시키는 하부 연소실 및 상기 상,하부 연소실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와 연소기 내부몸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부로서 이루어지면서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도록 하는 연소부;
    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연락되게 설치되어 펠렛의 공급통로 역할을 하는 제1 원통체와, 상기 제1 원통체의 중간부위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환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테두리부와, 상기 상부 테두리부의 외주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 원통체와, 상기 제1 원통체의 하단과 대응되는 높이의 상기 제2 원통체의 하단에서 내외부로 돌출되게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에 구비되는 환형의 테두리부에 안착되는 하부 테두리부, 및 상기 하부 테두리부의 내주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경과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 연소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간극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 원통체로서 구비되며,
    상기 상부 연소실은,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3 원통체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원판 형상의 판체의 외주면과 상기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개수로 돌출되게 간격유지돌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간격유지돌부들 사이는 낙하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원통체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간극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로 공급된 펠렛을 1차적으로 연소시키도록 하는 상부 연소판과, 상기 상부 연소판을 지지하도록 연소기 외부몸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상부 연소판 지지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연소실은,
    상기 상부 연소실의 하부에서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연소실의 낙하공간을 통해 낙하하는 1차 연소된 재를 2차 연소되도록 하면서 다수의 배출구멍들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원판형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연소판과, 상기 하부 연소판을 지지하도록 연소기 외부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 연소판 지지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하부 연소실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부 연소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소기 외부몸체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 공기유입공과,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하부 테두리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연소실의 외측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 연소실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 공기유입공과,
    상기 연소기 내부몸체에 구비되는 상부 테두리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연소실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용 장공 및
    상기 공기유입용 장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공기 조절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유입공기 조절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연소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소판의 상부와 상기 제3 원통체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2~5c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연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소판은,
    공급된 펠렛이 상부 연소판의 외측부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부 연소판의 상면 중앙 부위에 상부로 돌출되게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연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소판은,
    상기 판체의 외주면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걸림돌부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연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통체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연소기.
KR2020160007350U 2016-12-16 2016-12-16 펠렛 연소기 KR200484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50U KR200484000Y1 (ko) 2016-12-16 2016-12-16 펠렛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50U KR200484000Y1 (ko) 2016-12-16 2016-12-16 펠렛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00Y1 true KR200484000Y1 (ko) 2017-07-18

Family

ID=5939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350U KR200484000Y1 (ko) 2016-12-16 2016-12-16 펠렛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583A (ko) * 2017-03-28 2018-10-08 윤기원 필렛 난로 연소장치
KR102372097B1 (ko) 2021-12-15 2022-03-10 주식회사 엠엠씨 펠릿 연소기
KR20230122232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차콜코리아 캠핑용 화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40Y1 (ko) 2009-05-20 2010-04-21 오영덕 펠릿 난로
KR200450891Y1 (ko) 2010-01-13 2010-11-08 오영덕 무연통 펠릿난로
KR101148447B1 (ko) 2009-07-27 2012-05-29 김용언 다기능 펠릿 연소기
KR20130112076A (ko) 2012-04-03 2013-10-14 이종찬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
KR101479579B1 (ko) * 2013-10-17 2015-01-06 유인규 펠릿 난로
KR20150069154A (ko) * 2013-12-13 2015-06-23 임영권 공기순환을 위한 다단계식 연소받이를 포함하는 무동력 팰렛난로 및 그에 사용되는 팰렛 연소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40Y1 (ko) 2009-05-20 2010-04-21 오영덕 펠릿 난로
KR101148447B1 (ko) 2009-07-27 2012-05-29 김용언 다기능 펠릿 연소기
KR200450891Y1 (ko) 2010-01-13 2010-11-08 오영덕 무연통 펠릿난로
KR20130112076A (ko) 2012-04-03 2013-10-14 이종찬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
KR101479579B1 (ko) * 2013-10-17 2015-01-06 유인규 펠릿 난로
KR20150069154A (ko) * 2013-12-13 2015-06-23 임영권 공기순환을 위한 다단계식 연소받이를 포함하는 무동력 팰렛난로 및 그에 사용되는 팰렛 연소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583A (ko) * 2017-03-28 2018-10-08 윤기원 필렛 난로 연소장치
KR102398420B1 (ko) 2017-03-28 2022-05-16 윤원자 필렛 난로 연소장치
KR102372097B1 (ko) 2021-12-15 2022-03-10 주식회사 엠엠씨 펠릿 연소기
KR20230122232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차콜코리아 캠핑용 화로
KR102625495B1 (ko) * 2022-02-14 2024-01-16 주식회사 차콜코리아 캠핑용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000Y1 (ko) 펠렛 연소기
US9945564B2 (en) Combustion furnace
KR20190037854A (ko) 펠릿 난로
KR101324944B1 (ko) 친환경 우드 펠렛 난방장치
CN104566481A (zh) 可再生生物质燃料燃烧炉
KR101479579B1 (ko) 펠릿 난로
KR101306785B1 (ko) 펠렛 히터
ES2881260T3 (es) Quemador de pellas
KR101051707B1 (ko) 고체연료 연소장치
CN103767558A (zh) 一种烧烤炉具
KR101224417B1 (ko) 펠릿 난로
KR101394254B1 (ko) 테이퍼형 연소기를 갖는 목재 펠릿 보일러 및 그 동작방법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101533159B1 (ko) 펠렛 연소기
KR20150070812A (ko) 화목난로용 연소기
KR200483689Y1 (ko) 고형 연료를 사용하는 난로의 연소장치
KR101579086B1 (ko) 무동력 펠릿난로
CN204880163U (zh) 一种干燥式麦秸秆燃烧器
KR101270293B1 (ko) 회전식 펠릿 난로
CN206291240U (zh) 新型采暖炉
CN207778423U (zh) 用作物秸秆、林木废弃物作燃料的家用气化取暖炉
CA2865969A1 (en) An oven having an enclosed heat exchange zone
CN204421073U (zh) 可再生生物质燃料燃烧炉
KR20110088905A (ko)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KR20160114755A (ko) 펠릿을 이용한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