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905A -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 Google Patents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905A
KR20110088905A KR1020100008631A KR20100008631A KR20110088905A KR 20110088905 A KR20110088905 A KR 20110088905A KR 1020100008631 A KR1020100008631 A KR 1020100008631A KR 20100008631 A KR20100008631 A KR 20100008631A KR 20110088905 A KR20110088905 A KR 2011008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ole
fuel
sto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홍성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표 filed Critical 홍성표
Priority to KR102010000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8905A/ko
Publication of KR2011008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89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flue-gas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3Grates; Ir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24B1/1955Hoods

Abstract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연소구멍과, 상부 타측에 형성되어 연통과 연결되는 배연구멍을 구비하는 난로 본체; 중심에 화염공을 구비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화염공 쪽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연소구멍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연소판; 원판형의 상판, 및 각각 상기 상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창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판 상부에 놓이는 연소 헤드;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둘레를 따라 다수의 급기공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연소판 및 상기 연소 헤드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난로 본체(110)에 장착되는 연료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제공함으로써, 연소 도중의 연료가 연소판 상부에서 적체됨 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유동이 방해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연소판이 과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Stove Using Solid Material as Fuel}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톱밥, 잣껍질, 팜껍질 등과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석유나 석탄 등과 같은 화석연료의 만연한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응하고자, 친환경적인 대체에너지원으로 바이오매스(biomass) 기반의 연료가 다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란 태양에너지를 받은 식물과 미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식물체, 균체 및 이들을 먹고 살아가는 동식물체를 포함하는 생물 유기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바이오매스의 범주에 속하는 톱밥, 잣껍질, 팜껍질 등과 같은 고형물질을 연료로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가 제공된바 있다. 이와 같은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는, 톱밥, 잣껍질, 팜껍질 등과 같은 고형물질을 별다른 가공 없이 그대로 연료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가공하여 팰릿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의 구체적인 일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1978-00049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톱밥 난로'가 제공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톱밥 난로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톱밥 난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톱밥 난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연소구멍(5)과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배연구멍(15)을 구비하는 난로 본체(10)와, 중앙에 원형의 연소구멍(5)과 연통되는 화염공(25)을 구비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어 외측 가장자리가 연소구멍(5)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턱(7)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연소판(30)과, 이 연소판(30) 상부에 놓이는 연소 헤드(50)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둘레에 다수의 급기공(65)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하단부가 연소판(30) 둘레를 둘러싸도록 난로 본체(10)에 장착되는 연료 호퍼(7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톱밥 난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판(30) 상부에 연소 헤드(50)를 배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점화가 이루어지면 연소판(30)과 연소 헤드(50) 사이의 틈새 주변에서 연소가 일어나게 된다. 연소가 일어나면, 급기공(65)을 통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고, 연소에 따른 화염은 화염공(25)을 통해 난로 본체(10)의 내부공간으로 하향이동한 후 난로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수평이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배연구멍(15)과 이 배연구멍(15)에 설치되는 연통(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생성물인 재는 화염공(25)과 연소구멍(5)을 통해 낙하하여 난로 본체(10)의 내부공간에 쌓이게 된다. 또한, 연소판(30) 주변의 톱밥(1)이 연소에 의해 소모되면, 연료 호퍼(70)에 채워진 톱밥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지속적인 연소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톱밥 난로에서, 연소판(30)이 평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연소 도중의 톱밥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연소판(30) 상부에 적체되어 연소판(30), 특히 연소판(30)의 화염공(25) 쪽 가장자리 부분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연소판(30)을 내화성이 높은 소재로 제작하더라도 과도한 열에 의해 쉽게 손상됨에 따라 연소판(3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소헤드(50)의 몸체에 복수의 관통공(55)를 형성하고 관통공(55)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판(30) 상에 놓인 연소재가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관통공(55)이 톱밥에 의하여 폐색되고 또한 연소되지 않은 톱밥이 관통공(55)과 화염공(25)을 통하여 낙하하여 난로본체(10)에 쌓이고 의하여 발화하여 불완전 연소가 되거나 상승 화염에 의하여 연료 호퍼(70)에 채워진 톱밥이 발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통공(55)이 형성된 삿갓형의 몸체와 지지다리(45)를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연소판(30) 상부에 배치되는 연소 헤드(50)는 톱밥을 가장자리로 과도하게 안내하여 연료인 톱밥의 공급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톱밥의 공급속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화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 순간적인 과도한 톱밥의 공급으로 연소판(30)과 연소 헤드(50) 사이의 틈이 순간적으로 막혀 공기 유동이 방해를 받게 됨에 따라 연소의 중단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연소 도중의 연료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제한적인 영역에서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 도중의 연료에 의해 공기 유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연소 도중의 연료에 의한 부품의 과열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연료의 공급속도를 큰 기복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화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연소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부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연소구멍과, 상부 타측에 형성되어 연통과 연결되는 배연구멍을 구비하는 난로 본체; 중심에 화염공을 구비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화염공 쪽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연소구멍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연소판; 원판형의 상판, 및 각각 상기 상판의 하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창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판 상부에 놓이는 연소 헤드; 및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둘레를 따라 다수의 급기공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연소판 및 상기 연소 헤드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난로 본체(110)에 장착되는 연료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배연구멍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연구멍에 설치되는 개도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개도조절밸브는 상기 배연구멍 내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개도조절판과 상기 개도조절판을 회전조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연구멍 외부에 배치되는 조절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급기공을 이격된 상태로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화염차단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판은 상향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판은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화염공 쪽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형물질은 상기 창살 사이에 걸리어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연소 도중의 연료가 연소판 상부에서 적체됨 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유동이 방해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연소판이 과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연료의 공급속도를 큰 기복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연소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화력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연소판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톱밥 난로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톱밥 난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수의 개념을 도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치수에 국한되지는 않는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도 7에서 윗방향을 '상향'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난로 본체(110)와, 연소판(130), 연소 헤드(150) 및 연료 호퍼(170)를 포함한다.
난로 본체(110)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지지다리(111)에 의해 지지되는 가운데 수평으로 배치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연소구멍(105)과,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배연구멍(115)을 구비한다. 그리고, 난로 본체(110)는, 점화와 유지보수를 위해 내부공간으로 접근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소구멍(105)과 인접한 일측방의 측단면 및 배연구멍과 인접한 타측방의 측단면에 각각 개폐도어(101)(103)를 구비한다. 또한, 난로 본체(110)는, 재수집구멍(113)을 경계로 난로 본체(110)의 내부공간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연소구멍(105)의 직하부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태의 재수집함(121)을 구비하고, 이와 같은 재수거함(121)에는 서랍식으로 출입가능한 재수집통(123)이 배치되며, 연소 도중의 연료가 연소구멍(105)을 통해 낙하하더라도 곧바로 재수집구멍(113)을 통해 재수집함(121) 내부에 배치되는 재수집통(123)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완전히 연소된 후 남게 되는 재만이 재수집통(123)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수집함(121) 상부의 재수집구멍(113) 위에는 그릴 형태 또는 메쉬 형태의 스크린(127)이 배치된다.
연소판(130)은, 중심에 화염공(125)을 구비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의 화염공(125) 쪽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소판(130)은, 외측 가장자리가 난로 본체(110)의 연소구멍(105)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107)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이때, 연소판(1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판(130)은 상향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가장자리에서 화염공(125) 쪽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 헤드(150)는, 원판형의 상판(155), 및 각각 상판(155)의 하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창살(145)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연소판(130) 상부에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연료 호퍼(17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둘레를 따라 다수의 급기공(165)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료 호퍼(170)는, 난로 본체(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단부에 수평의 플랜지(17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연료 호퍼(170)는 급기공(165)이 위치하는 그 하단부가 상기한 연소판(130)과 연소 헤드(150)의 둘레를 둘러싸는 배치구조를 갖도록 난로 본체(11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연료 호퍼(170)의 상부에는 뚜껑(175)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연소 헤드(150)의 상판(155) 직경은 연료 호퍼(170)의 하단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소 헤드(150)의 상판(155) 외주면과 연료 호퍼(170)의 하단부 내주면 간에 연료가 위치할 수 있는 환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연소판(130)의 외경은 연료 호퍼(170)의 하단부 내경과 비슷한 정도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연소판(130)의 외경과 연료 호퍼(170)의 하단부 내경이 330mm 정도로 형성되는 경우, 연소 헤드(150)의 상판(155) 직경은 26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폭이 30mm 정도인 상기한 환형의 공간이 연소 헤드(150)의 상판(155) 외주면과 연료 호퍼(170)의 하단부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연료 호퍼(170)에 채워지는 연료가 연소판(130) 상부의 가장자리부분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료 헤드(150)를 이루는 창살(145)은 각각 가장자리와 5mm 내지 7mm 정도의 간격을 갖는 상판(155) 하면의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대략 18mm 정도의 직경과 대략 50mm 정도의 높이를 같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인접한 창살(145)과 대략 12mm 정도의 원주방향 간격을 갖도록 배열된다. 상기에서 창살(145)의 간격은 연소시키려는 고형물질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고형물질은 창살(145) 사이에 걸리어 연소되고, 연소된 후에는 창살(145) 사이를 통하여 배출된다.
배연구멍(115)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 배연구멍(115)에는 공기유동을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도조절밸브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개도조절밸브는 배연구멍(115) 내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개도조절판(215)과 이 개도조절판(215)을 회전조작시킬 수 있도록 배연구멍(115) 외부에 배치되는 조절손잡이(205)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는 연료 호퍼(170)에 구비되는 급기공(165)을 이격된 상태로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화염차단테(190)를 또한 포함한다. 이 화염차단테(190)는 급기공(165)에 인접한 연소판(130)과 연소 헤드(150) 사이의 위치에서 연료의 연소가 일어남에 따라 연소 도중의 연료가 급기공(165)을 통해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기공(165)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는 않도록 하기 위해 연료 호퍼(170)의 하단부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하, 이상과 같은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에서의 연소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연소구멍(105)의 상부에 연소판(130)을 설치하고, 연소판(130) 상부에 연소 헤드(150)가 배치된 상태에서 연료 호퍼(170)에 연료를 채우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난로는 톱밥을 연료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톱밥보다 알갱이의 크기가 큰 잣껍질이나, 잣껍질 등을 압축가공하여 대략 0.5mm 정도의 직경과 대략 25mm 정도의 길이를 같는 펠릿형태의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것에 더욱 적합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연소판(130) 상부에 배치되는 연소 헤드(150)의 상판(155)과 창살(145)에 의해 연료가 연소판(130) 중앙의 화염공(125)으로 직접낙하하는 것이 차단되며, 따라서 연료 호퍼(170)에 연료를 채울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점화가 이루어지는데, 우선 연소 구멍(105)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개폐도어(101)을 개방하고 스크린(127) 상부에 신문지 등과 같은 초기 발화제를 놓아둔 상태에서 초기 발화제에 불을 붙인 후 개폐도어(101)를 닫으면, 급기공(165)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판(130)과 연소 헤드(150) 사이의 틈새를 지나 화염공(125)을 거쳐 난로 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다음 배연구멍(115)과 연통(180)을 차례로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유동이 유발된다. 이때, 화염차단테(190)을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토치(미도시) 등과 같은 점화수단을 이용하여 급기공(165)에 불꽃을 접근시키면, 이미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동에 의해 불꽃이 급기공(165)을 통해 연료 호퍼(170)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되고, 이와 같이 빨려들어가는 불꽃에 의해 연료 호퍼(170)의 내부이자 연소판(130) 상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연료에 점화가 이루어지면서 연료의 연소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연소가 시작되면, 급기공(165)을 통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연소에 따른 화염은 화염공(125)을 통해 난로 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하향이동한 후 난로 본체(110)의 내부공간에서 수평이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배연구멍(115)과 이 배연구멍(115)에 설치되는 연통(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최종 연소생성물인 재는 화염공(125)과 연소구멍(105)을 통해 낙하하여 스크린(127) 주변으로 떨어진 다음 재수거함(121) 내부에 배치된 재수거통(123)으로 낙하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급기공(165)과 인접한 연소판(130)의 가장자리 상부에 위치한 연료는 연소 헤드(150)의 창살(145)에 걸린 상태에서 연소가 시작되며, 연소 도중의 연료는 지속되는 연소 과정에서 서서히 크기가 작아짐과 더불어 연료 호퍼(170)에 채워진 연료의 자중에 의한 압력과 연소에 따라 유발되는 공기유동의 영향을 받아, 연소판(130) 상부에서 창살(145)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화염공 쪽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창살(145)을 통과한 연소 도중의 연료는, 연소판(130)이 화염공(125)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화염공(125) 쪽으로의 이동 속도가 점진적으로 빨라지게 되어 연소판(130)의 상부에 오랫동안 머무르지 않고 화염공(125)을 통해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소 도중의 연료가 연소판(130)의 상부에 적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함에 따라, 연소판(130) 특히 연소판(130)의 화염공(125) 둘레의 부분이 과도한 열을 받지 않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과도한 열에 의해 연소판(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연소판(13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화염공(125)을 통해 낙하한 연소 도중의 연료는 연소구멍(105) 직하부에 위치한 스크린(127) 위에서 완전히 재가 될 때까지 계속 연소하게 되며, 이후 남게 되는 재는 스크린(127) 하부에 위치한 재수거통(123)에 쌓이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방향성을 갖는 공기유동은 배연구멍(115)에 구비되는 개도조절밸브에 의해 양적으로 조절되며, 이와 같은 개도조절밸브에 의한 공기유동의 조절에 의해 화력 또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개도조절밸브를 이루는 조절손잡이(205)를 조작하여 개도조절판(215)을 회전시켜 배연구멍(115)의 개도, 즉 개방정도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공기유동을 양적으로 조절하고, 공기유동의 양적 조절에 따라 부수적으로 연료의 연소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1, 103: 개폐도어 105: 연소구멍
107: 걸림턱 110: 난로 본체
111: 지지다리 113: 재수집구멍
115: 배연구멍 121: 재수집함
123: 재수집통 125: 화염공
127: 스크린 130: 연소판
145: 창살 150: 연소 헤드
155: 상판 165: 급기공
170: 연료 호퍼 171: 플랜지
175: 뚜껑

Claims (7)

  1.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연소구멍(105)과, 상부 타측에 형성되어 연통(180)과 연결되는 배연구멍(115)을 구비하는 난로 본체(110); 중심에 화염공(25)을 구비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화염공(125) 쪽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연소구멍(105)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턱(107)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연소판(130); 원판형의 상판(155), 및 각각 상기 상판(155)의 하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창살(145)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소판(130) 상부에 놓이는 연소 헤드(150); 및 하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둘레를 따라 다수의 급기공(165)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연소판(130) 및 상기 연소 헤드(15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난로 본체(110)에 장착되는 연료 호퍼(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연구멍(115)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연구멍(115)에 설치되는 개도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조절밸브는 상기 배연구멍(115) 내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개도조절판(215)과 상기 개도조절판(215)을 회전조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연구멍(115) 외부에 배치되는 조절손잡이(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공(165)을 이격된 상태로 외부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화염차단테(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판(130)은 상향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판(130)은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화염공(125) 쪽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7. 제1 항에 있어서, 고형물질은 상기 창살(145) 사이에 걸리어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KR1020100008631A 2010-01-29 2010-01-29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KR20110088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31A KR20110088905A (ko) 2010-01-29 2010-01-29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31A KR20110088905A (ko) 2010-01-29 2010-01-29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641A Division KR20120125592A (ko) 2012-10-19 2012-10-19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05A true KR20110088905A (ko) 2011-08-04

Family

ID=4492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31A KR20110088905A (ko) 2010-01-29 2010-01-29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89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97B1 (ko) * 2012-06-21 2013-08-09 오윤석 하향 연소식 화목난로
KR20140118362A (ko) * 2013-03-29 2014-10-08 김용학 난방 펠릿난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97B1 (ko) * 2012-06-21 2013-08-09 오윤석 하향 연소식 화목난로
KR20140118362A (ko) * 2013-03-29 2014-10-08 김용학 난방 펠릿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9146B1 (en) Biomass pellet stove
WO1998048219A1 (en) Solid fuel burner for a heating apparatus
WO2018160767A1 (en) Fire pit apparatus
KR101479579B1 (ko) 펠릿 난로
KR101587377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GB2494403A (en) Rotating granular fuel burner with steps and air lifting fuel
CN211650344U (zh) 一种以生物质为燃料的炉子
US11175047B2 (en) Pellet stove
US9927174B2 (en) Self Torrefied Pellet Stove
KR200484000Y1 (ko) 펠렛 연소기
US10408459B2 (en) Pellet stove with basket adjustment
KR20110088905A (ko)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KR101051707B1 (ko) 고체연료 연소장치
KR101394254B1 (ko) 테이퍼형 연소기를 갖는 목재 펠릿 보일러 및 그 동작방법
KR102155508B1 (ko) 화목난로용 연소기
KR20120125592A (ko)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CN101581447A (zh) 一种燃料笼及具有该燃料笼的燃烧器
JP3151271U (ja) 乾燥バイオ燃料粉燃焼炉
KR101645933B1 (ko) 완전연소 촉진을 통해 연소효율을 향상한 연탄난로 화덕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160114755A (ko) 펠릿을 이용한 난로
KR102297258B1 (ko) 유해연소가스를 제거 가능한 펠릿 난로
KR101404671B1 (ko) 목재 펠릿 보일러의 테이퍼형 연소기
WO2014148956A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пелле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18

Effective date: 2013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