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252B1 -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 Google Patents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252B1
KR102361252B1 KR1020200162228A KR20200162228A KR102361252B1 KR 102361252 B1 KR102361252 B1 KR 102361252B1 KR 1020200162228 A KR1020200162228 A KR 1020200162228A KR 20200162228 A KR20200162228 A KR 20200162228A KR 102361252 B1 KR102361252 B1 KR 10236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
casing
partition wall
air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택
윤성희
Original Assignee
유민스테인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민스테인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민스테인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2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7Ash-s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로가 배치된 실내 공간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가온하고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며 연소 후 잔열 유지 효과를 높이도록, 바닥 또는 지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받침부(110)의 상부에 본체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연통(120)이 입설 고정되도록 연통구(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케이싱(200);과 상기 후방 케이싱(200)의 대향인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배치되며 난로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좌우 하단에 구비되는 보조 에어 공급구(320)와 연료를 출입하도록 연료 게이트(330)가 구비되는 전방 케이싱(3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중앙 위치에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로 연료를 연소하도록 형성되는 연소공간(410)과 상기 연소공간(41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소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유도 격벽(420)이 구비되는 연소 공간부(400);을 포함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 STOVE INSTALLED WITH AIR BLOCKING AND GUIDING WALL }
본 발명은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로가 배치된 실내 공간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가온하고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며 연소 후 잔열 유지 효과를 높이도록, 베이스 케이싱, 후방 케이싱, 전방 케이싱 및 공기유도 격벽이 포함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목재, 석탄 등의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시키는 기구를 가리킨다.
이러한 난로는 전기히터와 보일러 등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면서 예전에 비해서는 사용량이 줄어든 상태지만, 전원주택이나 펜션 등 주변에서 목재 등을 쉽게 구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연료비 절감차원에서 여전히 이용량이 많은 편이며, 전기, 기름 보다 연료비가 적고 발열량이 높은 이유로 겨울철 공장등에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난로는 내부에 연소실을 구비하는 난로본체를 통해 외관을 이루며, 난로본체 한쪽으로는 연소실로 연료를 투입하기 위해 개폐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연료투입구가 마련되고, 연소실의 저부 바닥에는 연료를 올려놓기 위한 화격자가 배치되며, 난로본체 다른 한 쪽으로는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통이 연결되는데, 종래 난로의 경우 연소시 난로본체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복사열만을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난로본체 주변의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뜨겁게 가열되는 반면, 난로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실내공간으로는 제대로 온기를 전달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종래 난로의 경우 실내공간을 전체적으로 가온시키기 위해서는 장시간 가동시켜야 하여, 곧바로 가온 효과를 누릴 수 없으며, 연료비 증가 문제점이 제기되는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41799호(2007.04.20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로가 배치된 실내 공간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가온하고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며 연소 후 잔열 유지 효과를 높이도록, 베이스 케이싱, 후방 케이싱, 전방 케이싱 및 공기유도 격벽이 포함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 또는 지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받침부(110)의 상부에 본체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연통(120)이 입설 고정되도록 연통구(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케이싱(200)과 상기 후방 케이싱(200)의 대향인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배치되며 난로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좌우 하단에 구비되는 보조 에어 공급구(320)와 연료를 출입하도록 연료 게이트(330)가 구비되는 전방 케이싱(300)으로 내부에 연소 물질을 넣어 용이하게 연소되도록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중앙 위치에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로 연료를 연소하도록 형성되는 연소공간(410)과 상기 연소공간(41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소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유도 격벽(420)으로 구비되는 연소 공간부(400)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유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의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면을 따라서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하도록 제 2 공기유도 격벽(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되도록 공기공급 타공(421a)가 더 구비되어 난로 내부의 공기 흐름이 용이하게 제어되도록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 외측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상기 연통구(130)까지 상향하는 공기 흐름이 이어지도록 제 3 공기유도 격벽(423)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소공간(410)의 최 상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과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이 서로 절곡 결합되는 위치에서는 간격이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진행하며 점점 좁아져 상승하는 공기가 가속 되도록 가속 공간부(4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내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열 보존부(430)가 더 구비되어 난로 내부의 흐르는 유체의 속력을 용이하게 제어하고, 내부 열 보존을 용이하도록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소공간(410)의 저부는 연소된 연료의 재가 하부로 떨어지도록 연소재유도구(4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소재유도구(412)의 직하 위치이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직 후방에는 연소재수용부(413)가 더 구비되어 연소재를 용이하게 담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소재수용부(413)의 좌우측에는 바닥에서 소정 간격 입설되어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과 나란한 연소재보호벽(413a)가 더 구비되어 서랍형식으로 상기 연소재수용부(41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외측에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만곡면을 따라 열보호부(1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열보호부(14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으로 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직접 전달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열 전달공(141)이 더 구비되어 난로 내부의 열 보존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는 먼저, 바닥 또는 지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받침부(110)의 상부에 본체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연통(120)이 입설 고정되도록 연통구(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케이싱(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케이싱(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케이싱(200)의 대향인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배치되며 난로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좌우 하단에 구비되는 보조 에어 공급구(320)와 연료를 출입하도록 연료 게이트(330)가 구비되는 전방 케이싱(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중앙 위치에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로 연료를 연소하도록 형성되는 연소공간(410)과 상기 연소공간(41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소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유도 격벽(420)으로 구비되는 연소 공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의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면을 따라서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하도록 제 2 공기유도 격벽(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되도록 공기공급 타공(421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 외측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상기 연통구(130)까지 상향하는 공기 흐름이 이어지도록 제 3 공기유도 격벽(4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상기 연소공간(410)의 최 상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과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이 서로 절곡 결합되는 위치에서는 간격이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진행하며 점점 좁아져 상승하는 공기가 가속 되도록 가속 공간부(4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내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열 보존부(4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소공간(410)의 저부는 연소된 연료의 재가 하부로 떨어지도록 연소재유도구(4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소재유도구(412)의 직하 위치이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직 후방에는 연소재수용부(4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소재수용부(413)의 좌우측에는 바닥에서 소정 간격 입설되어,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과 나란한 연소재보호벽(413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외측에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만곡면을 따라 열보호부(1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열보호부(14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으로 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직접 전달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열 전달공(14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케이싱(300)의 전면에는 상기 연료 게이트(330)와 면 접촉 밀폐되도록 제 1 게이트 테두리(331)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 게이트(330)의 이면에는 상기 제 1 게이트 테두리(331)에 대응되는 제 2 게이트 테두리(33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테두리(332)의 내측에는 열경화 유리(3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여,
첫째, 난로가 배치된 실내 공간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가온하고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며 연소 후 잔열 유지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바닥 또는 지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받침부(110)의 상부에 본체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연통(120)이 입설 고정되도록 연통구(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케이싱(200)과 상기 후방 케이싱(200)의 대향인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배치되며 난로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좌우 하단에 구비되는 보조 에어 공급구(320)와 연료를 출입하도록 연료 게이트(330)가 구비되는 전방 케이싱(300)으로 케이싱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연소 물질이 내부에서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중앙 위치에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로 연료를 연소하도록 형성되는 연소공간(410)과 상기 연소공간(41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소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유도 격벽(420)으로 구비되는 연소 공간부(400)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유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의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면을 따라서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하도록 제 2 공기유도 격벽(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되도록 공기공급 타공(421a)가 더 구비되어 난로 내부의 공기 흐름이 용이하게 제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 외측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상기 연통구(130)까지 상향하는 공기 흐름이 이어지도록 제 3 공기유도 격벽(423)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소공간(410)의 최 상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과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이 서로 절곡 결합되는 위치에서는 간격이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진행하며 점점 좁아져 상승하는 공기가 가속 되도록 가속 공간부(4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내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열 보존부(430)로 난로 내부의 흐르는 유체의 속력을 용이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내부 열 보존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연소공간(410)의 저부는 연소된 연료의 재가 하부로 떨어지도록 연소재유도구(4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소재유도구(412)의 직하 위치이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직 후방에는 연소재수용부(413)가 더 구비되어 연소재를 용이하게 담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연소재수용부(413)의 좌우측에는 바닥에서 소정 간격 입설되어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과 나란한 연소재보호벽(413a)가 더 구비되어 서랍형식으로 상기 연소재수용부(41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여덟째,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외측에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만곡면을 따라 열보호부(1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열보호부(14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으로 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직접 전달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열 전달공(141)이 더 구비되어 난로 내부의 열 보존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베이스, 후방, 및 전방케이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연소 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전방 케이싱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연소재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연료 게이트 및 열경화 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공기유도 격벽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공기공급 타공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열 보존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통해 연료를 연소시키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3D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베이스, 후방, 및 전방케이싱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연소 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전방 케이싱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연소재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연료 게이트 및 열경화 유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공기유도 격벽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공기공급 타공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의 열 보존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통해 연료를 연소시키는 일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3D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는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또는 지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받침부(110)의 상부에 본체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연통(120)이 입설 고정되도록 연통구(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케이싱(100)이 구비된다.
이때,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외측에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만곡면을 따라 열보호부(1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열보호부(14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으로 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직접 전달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열 전달공(141)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케이싱(200)이 구비된다.
여기에, 도 1, 4 및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케이싱(200)의 대향인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배치되며 난로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좌우 하단에 구비되는 보조 에어 공급구(320)와 연료를 출입하도록 연료 게이트(330)가 구비되는 전방 케이싱(300)이 구비된다.
이때, 도 7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케이싱(300)의 전면에는 상기 연료 게이트(330)와 면 접촉 밀폐되도록 제 1 게이트 테두리(331)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 게이트(330)의 이면에는 상기 제 1 게이트 테두리(331)에 대응되는 제 2 게이트 테두리(33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테두리(332)의 내측에는 열경화 유리(333)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중앙 위치에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로 연료를 연소하도록 형성되는 연소공간(410)과 상기 연소공간(41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소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유도 격벽(420)으로 구비되는 연소 공간부(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도 9 및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의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면을 따라서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하도록 제 2 공기유도 격벽(4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되도록 공기공급 타공(421a)가 더 구비되며,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공(421a)은 테이퍼드진 형상으로 구비되어 유체 흐름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도 9 및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 외측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상기 연통구(130)까지 상향하는 공기 흐름이 이어지도록 제 3 공기유도 격벽(423)이 더 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상기 연소공간(410)의 최 상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과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이 서로 절곡 결합되는 위치에서는 간격이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진행하며 점점 좁아져 상승하는 공기가 가속 되도록 가속 공간부(411)가 더 구비되고,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내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열 보존부(430)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공간(410)의 저부는 연소된 연료의 재가 하부로 떨어지도록 연소재유도구(4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소재유도구(412)의 직하 위치이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직 후방에는 연소재수용부(413)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재수용부(413)의 좌우측에는 바닥에서 소정 간격 입설되어,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과 나란한 연소재보호벽(413a)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연소재수용부(413)를 서랍 형식으로 분리하도록 하여 연소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르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를 이용하면, 첫째, 난로가 배치된 실내 공간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가온하고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며 연소 후 잔열 유지 효과를 높이며, 바닥 또는 지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받침부(110)의 상부에 본체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연통(120)이 입설 고정되도록 연통구(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케이싱(200)과 상기 후방 케이싱(200)의 대향인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배치되며 난로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좌우 하단에 구비되는 보조 에어 공급구(320)와 연료를 출입하도록 연료 게이트(330)가 구비되는 전방 케이싱(300)으로 케이싱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연소 물질이 내부에서 용이하게 연소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중앙 위치에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로 연료를 연소하도록 형성되는 연소공간(410)과 상기 연소공간(41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소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유도 격벽(420)으로 구비되는 연소 공간부(400)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유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의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면을 따라서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하도록 제 2 공기유도 격벽(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되도록 공기공급 타공(421a)가 더 구비되어 난로 내부의 공기 흐름이 용이하게 제어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 외측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상기 연통구(130)까지 상향하는 공기 흐름이 이어지도록 제 3 공기유도 격벽(423)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소공간(410)의 최 상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과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이 서로 절곡 결합되는 위치에서는 간격이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진행하며 점점 좁아져 상승하는 공기가 가속 되도록 가속 공간부(4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내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열 보존부(430)로 난로 내부의 흐르는 유체의 속력을 용이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내부 열 보존율을 극대화하며, 상기 연소공간(410)의 저부는 연소된 연료의 재가 하부로 떨어지도록 연소재유도구(4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소재유도구(412)의 직하 위치이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직 후방에는 연소재수용부(413)가 더 구비되어 연소재를 용이하게 담아 배출하며, 상기 연소재수용부(413)의 좌우측에는 바닥에서 소정 간격 입설되어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과 나란한 연소재보호벽(413a)가 더 구비되어 서랍형식으로 상기 연소재수용부(41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외측에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만곡면을 따라 열보호부(1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열보호부(14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으로 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직접 전달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열 전달공(141)이 더 구비되어 난로 내부의 열 보존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베이스 케이싱
110 ... 받침부
120 ... 연통
130 ... 연통구
140 ... 열보호부
141 ... 열 전달공
200 ... 후방 케이싱
300 ... 전방 케이싱
310 ... 베이스 에어 공급구
320 ... 보조 에어 공급구
330 ... 연료 게이트
331 ... 제 1 게이트 테두리
332 ... 제 2 게이트 테두리
333 ... 열경화 유리
400 ... 연소 공간부
410 ... 연소공간
411 ... 가속 공간부
412 ... 연소재유도구
413 ... 연소재수용부
413a ... 연소재보호벽
420 ... 공기유도 격벽
421 ... 제 1 공기유도 격벽
421a ... 공기공급 타공
422 ... 제 2 공기유도 격벽
423 ... 제 3 공기유도 격벽
430 ... 열 보존부

Claims (8)

  1. 바닥 또는 지면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받침부(110)의 상부에 본체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연통(120)이 입설 고정되도록 연통구(130)가 구비되는 베이스 케이싱(100);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 케이싱(200);
    상기 후방 케이싱(200)의 대향인 전방에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을 밀폐하도록 배치되며 난로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좌우 하단에 구비되는 보조 에어 공급구(320)와 연료를 출입하도록 연료 게이트(330)가 구비되는 전방 케이싱(300); 및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중앙 위치에서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와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로 연료를 연소하도록 형성되는 연소공간(410)과 상기 연소공간(410)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연소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유도 격벽(420)으로 구비되는 연소 공간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의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측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내면을 따라서 상기 보조 에어 공급구(320)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하도록 제 2 공기유도 격벽(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소공간(410)에 공급되도록 공기공급 타공(421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 외측과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사이에서 상기 연통구(130)까지 상향하는 공기 흐름이 이어지도록 제 3 공기유도 격벽(42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은,
    상기 연소공간(410)의 최 상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과 상기 제 2 공기유도 격벽(422)이 서로 절곡 결합되는 위치에서는 간격이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진행하며 점점 좁아져 상승하는 공기가 가속 되도록 가속 공간부(4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도 격벽(421)의 내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열 보존부(4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공간(410)의 저부는 연소된 연료의 재가 하부로 떨어지도록 연소재유도구(4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소재유도구(412)의 직하 위치이고 상기 베이스 에어 공급구(310)의 직 후방에는 연소재수용부(4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재수용부(413)의 좌우측에는 바닥에서 소정 간격 입설되어 상기 공기유도 격벽(420)과 나란한 연소재보호벽(413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외측에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의 만곡면을 따라 열보호부(1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열보호부(140)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00)으로 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직접 전달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열 전달공(14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케이싱(300)의 전면에는 상기 연료 게이트(330)와 면 접촉 밀폐되도록 제 1 게이트 테두리(331)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 게이트(330)의 이면에는 상기 제 1 게이트 테두리(331)에 대응되는 제 2 게이트 테두리(33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테두리(332)의 내측에는 열경화 유리(3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KR1020200162228A 2020-11-27 2020-11-27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KR10236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228A KR102361252B1 (ko) 2020-11-27 2020-11-27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228A KR102361252B1 (ko) 2020-11-27 2020-11-27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252B1 true KR102361252B1 (ko) 2022-02-14

Family

ID=8025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228A KR102361252B1 (ko) 2020-11-27 2020-11-27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3997A1 (de) * 2000-01-29 2001-08-09 Schott Glas Durchlüftete Backofentür
JP2004077060A (ja) * 2002-08-21 2004-03-11 Takeshi Fukuda 薪ストーブ
KR20070041799A (ko) 2005-10-14 2007-04-20 김영용 난방용 난로
JP2010078269A (ja) * 2008-09-29 2010-04-08 Topre Corp ペレット燃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3997A1 (de) * 2000-01-29 2001-08-09 Schott Glas Durchlüftete Backofentür
JP2004077060A (ja) * 2002-08-21 2004-03-11 Takeshi Fukuda 薪ストーブ
JP3996469B2 (ja) * 2002-08-21 2007-10-24 武 福田 薪ストーブ
KR20070041799A (ko) 2005-10-14 2007-04-20 김영용 난방용 난로
JP2010078269A (ja) * 2008-09-29 2010-04-08 Topre Corp ペレット燃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KR20130035264A (ko) 화목 난로
KR101587377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KR20160022688A (ko) 화목난로
KR20100137897A (ko) 연기 발생이 없는 화목 연소장치
CN105928010A (zh) 多管式高效散热炉
KR102361252B1 (ko)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ES2552995T3 (es) Aparato de calefacción de rendimiento muy elevado, de muy poca profundidad y de amplia visión
KR20170020055A (ko) 바이오매스 구들 난방장치
KR102437889B1 (ko) 공기순환식 고온연소 화목난로
US4404954A (en) Fireplace furnace
KR101694694B1 (ko) 연기 없이 오래 타는 고효율 화목난로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20180080055A (ko) 화목보일러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KR102011676B1 (ko) 벽난로
RU157185U1 (ru) Печь пиролизная
KR102502330B1 (ko) 화목난로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20150118692A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101770283B1 (ko) 하향 연소식 난로 겸용 보일러
NO145737B (no) Ovn eller peis for oppvarming av rom.
KR20150056935A (ko) 화목온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