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055A -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보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0055A KR20180080055A KR1020170000952A KR20170000952A KR20180080055A KR 20180080055 A KR20180080055 A KR 20180080055A KR 1020170000952 A KR1020170000952 A KR 1020170000952A KR 20170000952 A KR20170000952 A KR 20170000952A KR 20180080055 A KR20180080055 A KR 201800800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chamber
- combustion
- rear end
- exhaust passage
- gri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6—Water heaters having plural combustion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5—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연소실과, 상기 제1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제1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화구를 통해 상기 제1연소실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 연장되는 제2연소실과, 상기 제2연소실의 후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연소실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통과, 상기 제1연소실, 상기 제2연소실 및 상기 연통의 외측에 구비되는 워터자켓 및 상부에 연통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연소실의 후단에 구비되는 그릴을 포함하여, 제2연소실로 낙하된 1차 연소물이 그릴에 의해 배기통로로 비산되지 않아 제2연소실 내에서 완전히 연소될 수 있고, 공기 등은 연통공을 통해 배기통로로 배기됨으로써 연소실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향 연소식 화목보일러에서 화목의 2차 연소시 1차 연소물이 연소실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완전 연소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목보일러는 화목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열효율이 낮고 화목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점차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로 대체되는 추세였으나, 최근 지속적인 경제난 속에서 간단한 구조, 저렴한 연료비 등 화목보일러만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다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화목보일러는 화목의 연소 방향에 따라 상향 연소식과 하향 연소식으로 구분되는데, 하향 연소식이 상향 연소식에 비해 화력이 높고 목초액, 타르의 발생량이 적을 뿐 아니라 장시간 연소가 가능한 이점이 있어 선호되고 있다.
하향 연소식 화목보일러의 경우 통상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연소실과, 제1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제1연소실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연소실과, 제2연소실의 후단에 연결되는 배기통로와, 배기통로의 후단에 설치되는 연통 및 제1연소실과 제2연소실의 외측에 형성되는 워터자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향 연소식 화목보일러에 의하면, 제1연소실에서 1차로 연소된 화목이 제2연소실로 떨어져 2차로 연소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이 배기통로를 거친 후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워터자켓 내부의 열매체는 연소열에 의해 승온되어 난방용수 또는 생활용수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하향 연소식 화목보일러의 경우 제2연소실에서 1차 연소물이 화염에 의해 비산되어 배기통로의 내부에 집적되고, 이로 인해 연소열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열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배기통로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연소실에서 제2연소실로 낙하된 1차 연소물이 화염에 의해 제2연소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목의 완전 연소를 유도할 수 있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연소실과; 상기 제1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제1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화구를 통해 상기 제1연소실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 연장되는 제2연소실과; 상기 제2연소실의 후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연소실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통과; 상기 제1연소실, 상기 제2연소실 및 상기 연통의 외측에 구비되는 워터자켓; 및 상부에 연통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연소실의 후단에 구비되는 그릴;을 포함하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그릴은 상기 제2연소실과 상기 배기통로를 구획하는 격벽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릴은 그릴부와, 상기 그릴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타단에 상기 그릴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연소실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목보일러는 상기 제2연소실과 상기 배기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워터자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소실의 양측 하단 모서리는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소실의 바닥에 상기 화구 주변으로 내화벽돌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화벽돌의 상부에 다수의 화목받침대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제1연소실의 전단과 후단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목의 2차 연소가 이루어지는 제2연소실에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후단, 즉, 제2연소실의 전방에 그릴이 설치됨으로써 제2연소실에 낙하된 1차 연소물이 그릴에 의해 배기통로로 비산되지 않고 제2연소실 내에서 완전하게 연소될 수 있다.
또한, 그릴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통해 제2연소실의 공기, 연소열, 연소가스가 배기통로로 원활하게 배기되기 때문에 연소실 내부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고, 화목의 완전 연소를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연소실의 양측 하단 모서리를 경사지게 구성하거나, 제2연소실과 배기통로 사이에 워터자켓을 형성함으로써 워터자켓 내부의 열매체를 빠르게 순환시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화구 주변에 내화벽돌을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고, 내화벽돌의 상부에 화목받침대를 이격하여 고정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화목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통로를 확보하여 완전 연소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정면 개요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평면 개요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측면 개요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제1연소실에 설치되는 내화벽돌과 화목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그릴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정면 개요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평면 개요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측면 개요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제1연소실에 설치되는 내화벽돌과 화목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그릴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정면 개요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평면 개요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측면 개요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제1연소실에 설치되는 내화벽돌과 화목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화목보일러의 그릴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100)는 하우징(110)과, 제1연소실(120)과, 송풍기(130)와, 제2연소실(140)과, 배기통로(141)와, 연통(150)과, 워터자켓(160) 및 그릴(17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제1연소실(120), 송풍기(130), 제2연소실(140), 배기통로(141), 연통(150), 워터자켓(160) 및 그릴(17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의 전단에는 화목(10)을 투입하기 위한 상부도어(111)와, 화목(10)의 연소를 위한 공기 공급과 연소시 발생하는 목초액, 찌꺼기, 재 등을 청소하기 위한 중간도어(112) 및 하부도어(113)가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도어(111)와 중간도어(112)는 제1연소실(120)에 배치되고, 하부도어(113)는 제2연소실(140)에 배치된다.
제1연소실(120)은 화목(10)의 1차 연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하우징(1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10)과 유사하게 직육면체 형태를 가진다. 다만, 제1연소실(120)의 양측 하단 모서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연소실(120)의 외측에는 워터자켓(160)이 구비되는데, 워터자켓(160)은 제1연소실(120)로부터 전도된 연소열을 이용하여 열매체를 승온시킬 수 있도록 제1연소실(120)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1연소실(120)의 양측 하단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면 이와 접하는 워터자켓(160)의 해당 부분도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화구(121) 주변에 형성된 워터자켓(160) 내부의 열매체가 승온되어 상승할 경우 모서리를 우회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열매체의 순환이 느려져 열효율이 저하된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제1연소실(120)의 양측 하단 모서리가 경사지게 구성되면 워터자켓(160)의 해당 부분 역시 경사진 형태를 가지게 되어 열매체의 우회시간이 짧아지고, 그 결과 열매체의 순환이 빨라져 열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즉, 열매체는 승온시 밀도가 낮아져 상승하게 되므로 열매체를 가이드하는 워터자켓(160)이 수직에 가깝게 배치될 때 가장 빠르게 순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를 고려하여 제1연소실(120)의 양측 하단 모서리를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열매체의 수평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빠른 상승을 유도한 것이다.
제1연소실(120)의 바닥 중앙에는 화구(121)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 경우, 화구(121)의 주변에는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벽돌(12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연소실(120)의 내부는 화목(10)의 연소시 1200℃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화목(10)이 장시간 연소될 경우 화구(121) 주변이 연소열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용융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구(121) 주변에 내화벽돌(122)을 배치하여 화구(121)의 변형을 방지한 것이다. 내화벽돌(122)은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화구(121) 주변에 내화벽돌(122)을 배치하면 화구(121)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지만 내화벽돌(122) 위로 화목(10)이 다단 적층될 경우 공기의 통로가 협소해져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화목(10)의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화벽돌(122)의 상부에는 화목받침대(123)가 형성된다.
화목받침대(123)는 금속 소재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가 마련되어 내화벽돌(122)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화목받침대(123)와 인접하는 화목받침대 사이로 공기 통로가 확보되어 화목(10)이 다단 적층되더라도 내측에 위치한 화목(10)까지 완전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제1연소실(120)의 연소가스가 화구(121)를 통해 하향으로 배기될 때 화구(121) 둘레의 워터자켓(160) 내의 저온의 열매체와 직접 열교환하지 않고 내화벽돌(122)을 통해 열교환하게 되므로 화구(121) 둘레의 워터자켓(160)에서 응축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제1연소실(120)에 화목(10)의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도어(112)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송풍기(130)는 중간도어(112)의 내측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병렬 형성되는 노즐(124)을 통해 제1연소실(120)에 공기를 공급한다.
그러나 제1연소실(120)의 경우 화목(10)을 다량 적층하여 연소시킬 수 있도록 비교적 큰 부피를 가지기 때문에 송풍기(13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제1연소실(120)의 후단까지 도달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연소실(120)의 후단에는 송풍기(131)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송풍기(131)는 하우징(110)의 후단 외측에 설치되어 제1연소실(120)의 후단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소실(120)의 후단에 다수의 공기분사공(125)이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공기분사공(125)은 송풍관(126)에 의해 송풍기(131)와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기(131)를 작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송풍관(126)을 따라 유입된 후 공기분사공(125)을 통해 제1연소실(120)의 후단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송풍기(130)(131)에 의해 제1연소실(120)의 전단 뿐 아니라 후단에서도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다단 적층된 화목(10)이 전체적으로 충분하게 연소되고, 그 결과 화목(10)의 불완전 연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연소실(140)은 화목(10)의 2차 연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제1연소실(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전단으로 연장된다. 제1연소실(120)과 제2연소실(140)은 화구(121)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1연소실(120)에서 화목(10)의 연소로 발생하는 작은 조각의 1차 연소물이 화구(121)를 통해 제2연소실(140)로 낙하될 수 있다.
배기통로(141)는 제2연소실(140)로부터 전달되는 연소열과 연소가스를 연통(150)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연소실(140)의 후단과 연통되어 제2연소실(14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하우징(110)의 후단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2연소실(140)에서 1차 연소물의 2차 연소로 발생한 연소열과 연소가스는 제2연소실(140)의 후단으로 전달되고, 제2연소실(140)의 후단에서 양측의 배기통로(141)로 분기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전달되어 연통(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2연소실(140)의 양측에 배기통로(141)가 병렬 배치됨으로써 연소열이 지그재그 형태로 전달되어 연소열의 체류 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통(150)은 제1연소실(120)과 제2연소실(140)에서 발생한 연소열과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기통로(141)의 후단에 연결된다.
연통(150)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기부(151)와 제2배기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기부(151)는 통상의 연통과 마찬가지로 배기통로(141)의 후단에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후단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2배기부(152)는 제1배기부(151)와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후단 외측에 구비된다.
제2배기부(152)의 내측에는 배기회류판(153)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배기회류판(153)은 제2배기부(152)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1배기부(151)에서 제2배기부(152)로 진입한 연소열과 연소가스는 외부로 즉시 배출되지 않고 배기회류판(153)에 의해 하강한 후 상승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외부로 배출된다. 즉, 배기회류판(153)은 연소열과 연소가스의 배출속도를 지연시켜 후술하는 워터자켓(160)(161)에서의 열교환 시간을 늘림으로써 열효환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워터자켓(160)은 화목(10)의 연소로 발생한 연소열을 이용하여 워터자켓(160) 내부에서 순환하는 열매체를 승온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연소실(120)과, 제2연소실(140) 및 연통(150)의 둘레에 형성된다. 즉, 워터자켓(160)은 하우징(110)의 전반에 걸쳐 구비되며, 그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열매체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소정의 온도로 승온된 열매체는 난방관이나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어 난방용수 또는 생활용수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에 출수관과 환수관이 적절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제2연소실(140)과 배기통로(141) 사이에도 워터자켓(161)이 형성된다.
제2연소실(140)은 구조적으로 화구(121)의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2연소실(140)과 배기통로(141) 사이에 워터자켓(161)이 형성되면 열매체를 고온으로 승온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워터자켓(161)은 수직한 배치 구조를 가져 열매체가 승온 후 바로 상승할 수 있으며, 상승된 열매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연소실(120)의 경사진 모서리로 유도되어 빠르게 순환될 수 있다.
그릴(170)은 제2연소실(140)에 낙하된 1차 연소물이 연소가스를 따라 제2연소실(14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연소실(140)의 후단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제1연소실(120)에서 화목(10)을 1차로 연소시킨 후 제2연소실(140)에서 1차 연소물을 다시 2차로 연소시키는 하향 연소식으로 구성되는데, 제2연소실(140)에는 화구(121)로부터 화염이 강하게 분사되기 때문에 1차 연소물이 화염에 의해 제2연소실(140) 밖으로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1차 연소물이 제2연소실(140) 밖으로 이탈되면 배기통로(141)나 연통(150)으로 비산되어 집적됨으로써 연소열의 전달을 방해하여 열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연소실(140)의 후단에 그릴(170)을 설치하여 1차 연소물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1차 연소물이 제2연소실(140) 내에서 완전히 연소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그릴(170)은 제2연소실(140)과 배기통로(141)를 구획하는 격벽, 여기서는 워터자켓(161)에 일측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릴(170)이 워터자켓(16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면 1차 연소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2연소실(140)의 청소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릴(170)은 제2연소실(140)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그릴(1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부(171)와, 그릴부(17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부(172) 및 바닥부(172)의 후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벽부(17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릴(170)은 제2연소실(140)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제2연소실(140)로부터 인출하여 바닥부(172)에 잔존할 수 있는 목초액, 찌꺼기, 재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릴(170)의 인출시 연소 잔류물은 벽부(173)에 의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그릴(170)의 상부에는 연통공(174)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연통공(174)은 제2연소실(140)의 공기, 연소열, 연소가스를 배기통로(141)로 원활하게 배기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제2연소실(140)의 후단을 그릴(170)로 전체적으로 차단하면 1차 연소물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공기 등의 이동 통로가 협소해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기 등이 원활하게 배기되지 않아 제2연소실(140)의 압력이 증가하고,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그릴(170)의 상부에 연통공(174)을 형성하면 1차 연소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공기 등의 배기 통로도 확보할 수 있어 화목보일러(100)의 원활한 가동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연통공(174)의 크기는 1차 연소물의 크기와 공기 등의 배기량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부도어(111)를 개방하여 제1연소실(120)의 바닥에 화목(10)을 적층한다.
이후, 상부도어(111)를 닫고, 송풍기(130)(131)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점화기 등으로 점화하면 화목(10)이 연소되기 시작한다. 이 경우, 송풍기(130)(13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화목(10) 및 화목받침대(123)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여 내측에 위치한 화목(10)까지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다.
화목(10)이 어느 정도 연소되면 화목 조각 등의 1차 연소물이 발생하고, 이러한 1차 연소물은 화구(121)를 통해 제2연소실(140)로 떨어진다.
제2연소실(140)로 낙하된 1차 연소물은 화구(121)에서 하방으로 분사되는 화염에 의해 계속적으로 연소된다. 이 경우, 제2연소실(140)에서 2차 연소가 이루어지는 동안 1차 연소물이 화염에 의해 비산될 수 있으나, 비산된 1차 연소물은 그릴(17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에 완전히 연소될 때까지 제2연소실(140) 내에 계속 잔류하게 된다.
한편, 송풍기(130)(13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화목(10)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열 및 연소가스는 연통공(174)과, 그릴(170)의 격자 사이로 배기되어 배기통로(141)를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워터자켓(160)(161) 내부의 물이 연소열에 의해 승온되고, 승온된 물은 외부로 출수되어 난방용수, 생활용수 등으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배기통로(141)를 거친 연소열과 연소가스는 연통(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연통(150)으로 진입한 연소열과 연소가스는 외부로 즉시 배출되지 않고 배기회류판(153)에 의해 하강한 후 상승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배출속도를 지연시켜 워터자켓(160)(161)에서의 열교환시간을 늘려 열교환율을 향상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화목
100 : 화목보일러
110 : 하우징 111 : 상부도어
112 : 중간도어 113 : 하부도어
120 : 제1연소실 121 : 화구
122 : 내화벽돌 123 : 화목받침대
124 : 노즐 125 : 공기분사공
126 : 송풍관 130, 131 : 송풍기
140 : 제2연소실 141 : 배기통로
150 : 연통 151 : 제1배기부
152 : 제2배기부 153 : 배기회류판
160, 161 : 워터자켓 170 : 그릴
171 : 그릴부 172 : 바닥부
173 : 벽부 174 : 연통공
110 : 하우징 111 : 상부도어
112 : 중간도어 113 : 하부도어
120 : 제1연소실 121 : 화구
122 : 내화벽돌 123 : 화목받침대
124 : 노즐 125 : 공기분사공
126 : 송풍관 130, 131 : 송풍기
140 : 제2연소실 141 : 배기통로
150 : 연통 151 : 제1배기부
152 : 제2배기부 153 : 배기회류판
160, 161 : 워터자켓 170 : 그릴
171 : 그릴부 172 : 바닥부
173 : 벽부 174 : 연통공
Claims (8)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연소실과;
상기 제1연소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제1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화구를 통해 상기 제1연소실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단으로 연장되는 제2연소실과;
상기 제2연소실의 후단과 연통되어 상기 제2연소실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 연장되는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통과;
상기 제1연소실, 상기 제2연소실 및 상기 연통의 외측에 구비되는 워터자켓; 및
상부에 연통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연소실의 후단에 구비되는 그릴;
을 포함하는 화목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상기 제2연소실과 상기 배기통로를 구획하는 격벽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그릴부와, 상기 그릴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타단에 상기 그릴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벽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연소실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소실과 상기 배기통로 사이에 형성되는 워터자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실의 양측 하단 모서리는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실의 바닥에 상기 화구 주변으로 내화벽돌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벽돌의 상부에 다수의 화목받침대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제1연소실의 전단과 후단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보일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952A KR20180080055A (ko) | 2017-01-03 | 2017-01-03 | 화목보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952A KR20180080055A (ko) | 2017-01-03 | 2017-01-03 | 화목보일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055A true KR20180080055A (ko) | 2018-07-11 |
Family
ID=6291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0952A KR20180080055A (ko) | 2017-01-03 | 2017-01-03 | 화목보일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8005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593B1 (ko) | 2021-03-03 | 2021-11-03 | 박성현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
KR102570615B1 (ko) * | 2022-05-27 | 2023-08-23 | 김남수 | 연소 효율과 열효율이 향상된 화목 보일러 |
-
2017
- 2017-01-03 KR KR1020170000952A patent/KR2018008005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593B1 (ko) | 2021-03-03 | 2021-11-03 | 박성현 |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
KR102570615B1 (ko) * | 2022-05-27 | 2023-08-23 | 김남수 | 연소 효율과 열효율이 향상된 화목 보일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787B1 (ko) | 고체연료용 열풍기 | |
KR101288589B1 (ko) | 펠릿겸용화목보일러 | |
RU153204U1 (ru) |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 |
RU2619434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 |
EP2884200A1 (en) | Central heating boiler | |
KR101564844B1 (ko) | 고효율 펠릿 난로 | |
KR20180080055A (ko) | 화목보일러 | |
US9945563B2 (en) | Very shallow heating apparatus with very high yield and a wide view | |
KR200446195Y1 (ko) | 우드펠릿 온수보일러 | |
KR101634784B1 (ko) | 다용도 난로 | |
KR101250435B1 (ko) | 화목보일러 | |
CN106175480B (zh) | 一种无烟烧烤架 | |
US20130112119A9 (en) | Clean burning furnace method and apparatus | |
RU160346U1 (ru) | Печь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ая | |
JP2004180684A (ja) | 木材燃焼型オーブン | |
KR102470351B1 (ko) |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 |
KR101312963B1 (ko) | 화목연소장치 | |
KR20110080431A (ko) | 펠렛 보일러 | |
KR101535983B1 (ko) | 화목온풍기 | |
KR101525069B1 (ko) | 화재진압이 가능한 화목보일러 | |
US20160102865A1 (en) | Down-draft heating device | |
RU2551183C2 (ru) |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101595061B1 (ko) |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 |
KR20120059344A (ko) | 하입식 우드 펠렛 보일러 연소장치 | |
KR20160093308A (ko) | 화목 난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