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692A -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692A
KR20150118692A KR1020140044541A KR20140044541A KR20150118692A KR 20150118692 A KR20150118692 A KR 20150118692A KR 1020140044541 A KR1020140044541 A KR 1020140044541A KR 20140044541 A KR20140044541 A KR 20140044541A KR 20150118692 A KR20150118692 A KR 2015011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combustion
water
hearth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270B1 (ko
Inventor
안병연
Original Assignee
안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연 filed Critical 안병연
Priority to KR1020140044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27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9/00Central heating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heat transfer fluid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24D1/00 - F24D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의 방바닥(구들장)을 난방시켜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방고래가 형성된 구들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들장의 전면부에 슬라이딩 서랍형식의 아궁이연소실을 설치하고 상기 아궁이연소실을 통해 화목이나 알갱이 형태의 펠릿(pellet)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기(열기)와 연기가 방고래를 통과하면서 구들장이 난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구들장의 내부 가장자리에 물저장관을 설치하여 아궁이연소실의 연소열에 의해 데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구들장을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설치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택의 이전이나 증개축 등의 시공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a portable korean underfloor heating boiler}
본 발명은 주택의 방바닥(구들장)을 난방시켜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방고래가 형성된 구들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들장의 전면부에 슬라이딩 서랍형식의 아궁이연소실을 설치하고 상기 아궁이연소실을 통해 화목이나 알갱이 형태의 펠릿(pellet)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기(열기)와 연기가 방고래를 통과하면서 구들장이 난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구들장의 내부 가장자리에 물저장수단을 설치하여 아궁이연소실의 연소열에 의해 데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구들장을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설치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택의 이전이나 증개축 등의 시공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통적인 난방 시스템은 화목을 태워 발생하는 열기와 연기를 이용하여 구들장을 데운 후 이 구들장의 열기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구들 난방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들 난방 방식은 나무를 쪼개 만든 장작은 물론, 버려진 폐목이나 벌채된 잔가지 등 일상 생활을 하는 도중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연소 가능한 물체들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어 비교적 난방 비용이 저렴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구들은 순수 우리말로“구운 돌”에서 그 유래를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으로, 방바닥 밑으로 화기가 통하도록 하여 구들장을 데워주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난방시설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통적인 난방시설인 구들을 이용한 난방구조를 살펴 보면 등록특허 제10-1177489호의 '구들 구조물'에서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의 일측에 불기운을 불어넣은 아궁이(10)가 형성되고, 상기 아궁이(10)를 통해 유입된 불기운은 구들장을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아궁이(10)에서 발생한 화기(火氣)는 복수의 두둑(40)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30)라는 화기의 이동통로를 따라 골고루 확산되며, 고래(30)를 순환하여 온도가 내려간 열(연)기는 굴뚝(20)을 통해 비산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들장에 있어, 화기의 통로인 복수의 고래(30)는 아궁이(10)로부터 굴뚝(20)을 향하는 경로 중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길이가 서로 다른데, 길이가 긴 고래는 짧은 고래에 비해 화기가 식기 쉬우므로, 상대적으로 그 상부의 구들장은 차갑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는 모든 고래(30)로 유입되는 화기가 방의 아랫목(아궁이 부분)과 가운데 부분에 집중되어 아랫목은 지나치게 뜨거우나 방의 가장자리(옆)와 웃목은 상대적으로 차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구들 난방 방식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름이나 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현재에는 이러한 보일러 시스템이 난방 시스템의 대세를 이루고 있다.
KR 10-1177494 (등록번호) 2012.08.21. KR 10-0755261 (등록번호) 2007.08.29. KR 20-0455944 (등록번호) 2011.09.27.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들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이나 이를 보완하는 통상적인 보일러 난방시스템은 주택의 방바닥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동 또는 이설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여 주택을 이전하거나 증축 또는 개축 등을 위해서는 부득이 새로 시공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택 건축에 있어 경제성이 떨어지고 시공기간이 길어져 효용성이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바닥을 형성하는 구들장과 이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구들장의 하부측에 화기와 연기가 통과하는 방고래(연도)와 상기 구들장의 전면부에 슬라이딩으로 열고 닫는 서랍형식의 아궁이연소실을 설치하여 상기 연소실을 통해 화목이나 화목으로 제조된 알갱이 형태의 펠릿(pellet)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기(열기)과 연기가 방고래를 통과하면서 구들장이 데워져 난방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지지부에 지게차 등의 작업다리(L자형 포크)가 삽설되는 작업구를 구비하여 지게차 등을 통해 간단하게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설치와 이동이 편리하여 주택의 이전이나 신축 또는 증개축 시에 시공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이동식 구들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들장을 하부측에서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에 물을 수용하는 'ㄷ'자 형상의 물수용부를 설치 구비함으로써 아궁이연소실의 연소열로 구들장을 데워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물수용부에 수용된 물도 함께 데워줄 수 있도록 하여 온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들장을 축열시켜 난방이 이루어지는 구들보일러에 있어서, 주택의 방바닥으로 형성되면서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들장과, 상기 구들장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구들장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서랍형식으로 탈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아궁이연소실, 및 상기 구들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일측면에 이송수단의 포크를 끼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삽설끼움구가 구비되는 고정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구들장은 상기 아궁이연소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생성되는 화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도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요철프레임과 상기 요철프레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도를 통과하는 화기가 모아져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프레임에는 내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되면서 물을 수용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물수용부가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보일러는 방바닥을 형성하는 구들장의 전면부에 슬라이딩 서랍형식으로 아궁이연소실을 설치하고 상기 연소실을 통해 화목이나 화목으로 제조된 알갱이 형태의 펠릿(pellet)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기(열기)와 연기가 방고래를 통과하면서 구들장이 데워져 난방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구들과 연소실이 착탈식으로 분리 및 설치가 가능하여 구들의 운용은 물론 청소나 수리 등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들장의 하부측에 고정지지부를 설치하고 그 측면부에 지게차 등의 작업다리(L자형 포크)가 삽설되는 작업구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간단하게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들의 설치와 이용이 편리하여 주택의 이전이나 신축 또는 증개축 시에 시공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들장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에 물을 수용하는 'ㄷ'자 형상의 물수용부를 구비하여 아궁이연소실의 연소열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간편하게 온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가 주택에 설치 시공되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와 단면도 및 물수용부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에 구비된 서랍식 아궁이연소실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에 구비된 서랍식 아궁이연소실의 펠릿 연소구가 설치된 개략적인 상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에 구비되는 구들장(방바닥)에 온수파이프가 설치 구비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종래의 구들에 대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택의 방바닥으로 형성되면서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들장(110)과,
상기 구들장(110)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구들장(110)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서랍형식으로 탈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아궁이연소실(120), 및
상기 구들장(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일측면에 이송수단(지게차의 L자형 포크)을 끼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삽설끼움구(131)가 구비되는 고정지지프레임(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구들장(110)은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서 화목 또는 펠릿 등의 연료가 연소되면서 생성되는 화기(열기와 연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도(煙道, 111)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요철프레임(112)과 상기 요철프레임(112)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도(111)를 통과하는 화기가 모아져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통로(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프레임(130)에는 내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되면서 물을 수용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물수용부(132)가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철프레임(112)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형성되는 오목부(112a)와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볼록부(112b)가 연이어 교대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되, 상기 볼록부(112b)는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서 생성되는 화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연도(煙道, 111)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오목부(112a)는 황토와 자갈 등을 섞어 수용하면서 상기 볼록부(112b)의 상부면과 함께 방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통로(113)에는 상기 아궁이연소실(120)로부터 유입되는 연기나 열기를 높이 차를 이용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의 연통굴뚝(14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은 내부에 화목 또는 펠릿 등이 연소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그 상부면이 개방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육면체로 구성되고 전면부에는 이를 개폐하여 화목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도어(121)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은 그 상단부 양측 모서리부에 상기 구들장(110)의 내부측으로 끼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슬라이딩날개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들장(110)에는 그 바닥부측에 상기 측면슬라이딩날개부(122)가 삽설되면서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이 탈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요홈레일부(114)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은 그 후면 상단부에서 상기 측면슬라이딩날개부(122)와 연접되도록 하는 후면에지부(123)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 구비된 상기 측면슬라이딩날개부(122)와 상기 후면에지부(123)가 상기 구들장(110)의 바닥면에 슬라이딩으로 삽설됨으로써 상기 구들장(110)의 내부가 외부와 밀폐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의 몸체부는 상기 구들장(110)의 하부측인 상기 고정지지프레임(1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서 연소되어 생성되는 열기와 연기는 그 상부면으로 올라와 상기 요철프레임(112)에 형성되는 상기 연도(111)로 들어가 상기 가이드통로(113)를 통해 상기 연통굴뚝(140)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구들장(110)으로 열이 전도되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는 그 내부에서 연소되는 화력에 의해 물을 데워줄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파이프(150)가 구비되되, 상기 물공급파이프(150)는 물저장탱크(160)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파이프(150)는 상기 물저장탱크(160)로부터 상기 아궁이연소실(120)로 차거운 물을 공급해주는 냉수공급파이프(151)와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서 데워진 물이 상기 물저장탱크(16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온수공급파이프(15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저장탱크(160)에는 별도의 콕크(미도시)를 설치하여 데워진 물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들장(110)의 상면으로는 난방파이프(153)를 설치하고 상기 온수공급파이프(152)를 상기 난방파이프(153)와 연결하여 상기 구들장(110)의 난방을 온수에 의해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들장(110)은 상기 연도(111)로부터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난방파이프(153)에 의해 추가적으로 열이 전달되어 난방 효율이 극대화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는 그 전방 상부면측에 화목 등을 알갱이 형태로 제조하여 만든 펠릿(pellet)을 저장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호퍼수단(170)이 설치 구비되고,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도어(121)의 내벽면에 연결 설치되면서 펠릿(pellet)을 수납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구(180)가 설치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 연통 설치되는 상기 호퍼수단(170)의 목부(171)에는 상기 연소구(180)로 공급되는 펠릿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플레이트(172)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구(180)는 상기 호퍼수단(170)에 구비된 상기 목부(171)를 통해 펠릿연료가 투입되어 연소되도록 상부측에 펠릿투입구(181a)가 형성되는 몸통부(181)와 상기 몸통부(181)의 일측면에 구비되면서 단부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되어 연소되는 불꽃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연소불꽃토출부(182)로 구성되되, 상기 몸통부(181)의 내부에는 펠릿이 수납 연소되면서 연소된 재가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다수개의 슬롯틈새(183a)가 형성되는 V자 형상의 연소플레이트(183)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181)의 바닥면에는 상기 연소플레이트(183)에서 펠릿이 연소되면서 떨어지는 재(ash)가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의 바닥면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재배출틈새(181b)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호퍼수단(170)에 구비된 상기 목부(171)를 통해 공급되는 펠릿이 상기 몸통부(18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연소플레이트(183)에서 연소되면서 연소되는 불꽃은 상기 연소불꽃토출부(182)로 토출되고 연소된 재는 상기 슬롯틈새(183a)와 상기 재배출틈새(181a)를 통해 떨어져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21)에는 상기 연소구(180)와 연통되면서 펠릿연소에 요구되는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산소공급구(124)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121)에는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의 내부에서 연소되는 상황을 외부에서 인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투영창(125)과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 화목이 연소될 때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산소공급구(126)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21)에는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127)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개폐도어(121)를 통해 화목연료나 펠릿연료를 상호 선택적(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해 진다.
즉,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에 화목연료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도어(121)를 개폐하면서 화목을 투입하여 이용하고, 펠릿연료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도어(121)를 닫아 둔 상태에서 상기 조절플레이트(172)를 조절하면서 상기 호퍼수단(170)에 저장된 펠릿연료를 상기 연소구(180)로 공급하여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굴뚝(140)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팬수단(141)을 설치 구비할 수가 있다. 이는 상기 팬수단(14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도(111)를 통해 공기 흡입력이 커져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의 연소능력을 높여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프레임(130)의 내측면에 설치 구비되는 상기 물수용부(132)의 단부에는 물을 공급 또는 배출하는 공급밸브(132a)와 배출밸브(132b)가 각각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프레임(130)의 내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구(133)가 설치되어 상기 구들장(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밸브(132a)를 통해 상기 물수용부(132)에 물을 공급 저장하하게 되면 상기 아궁이연소실(120)의 연소열에 의해 데워지게 되고 이를 상기 배출밸브(132b)를 통해 사용하게 됨으로써 온수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보일러(100)는 상기 고정지지프레임(130)에 구비된 상기 삽설끼움구(131)에 지게차와 같은 이송수단의 L자형 포크를 끼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바, 이동주택이나 주택의 증개축 시에 상기 구들보일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어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는 방바닥을 형성하는 구들장과 이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구들장의 하부측에 화기와 연기가 통과하는 방고래(연도)와 상기 구들장의 전면부에 슬라이딩으로 열고 닫는 서랍형식의 아궁이연소실을 설치하여 상기 연소실을 통해 화목이나 화목으로 제조된 알갱이 형태의 펠릿(pellet)을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기(열기)과 연기가 방고래를 통과하면서 구들장이 데워져 난방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지지부에 지게차 등의 작업다리(L자형 포크)가 삽설되는 작업구를 구비하여 지게차 등을 통해 간단하게 들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설치와 이동이 편리하여 주택의 이전이나 신축 또는 증개축 시에 시공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는 구들장을 하부측에서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에 물을 수용하는 'ㄷ'자 형상의 물수용부를 설치 구비함으로써 아궁이연소실의 연소열로 구들장을 데워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물수용부에 수용된 물도 함께 데워줄 수 있도록 하여 온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110:구들장
111:연도 112:요철프레임 112a:오목부 112b:볼록부
113:가이드통로 114:요홈레일부
120:아궁이연소실
121:개폐도어 122:측면슬라이딩날개부 123:후면에지부
124:제1산소공급구 125:투영창 126:제2산소공급구
127:개폐수단
130:고정지지프레임 131:삽설끼움구 132:물수용부
132a:공급밸브 132b:배출밸브
140:연통굴뚝 141:팬수단
150:물공급파이프 151:냉수공급파이프 152:온수공급파이프
153:난방파이프
160:물저장탱크
170:호퍼수단 171:목부 172:조절플레이트
180:연소구 181a:재배출틈새 181:몸통부 182:연소불꽃토출부
183:연소플레이트 183a:슬롯틈새

Claims (6)

  1. 구들장을 축열시켜 난방이 이루어지는 구들보일러에 있어서,
    주택의 방바닥으로 형성되면서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들장과,
    상기 구들장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구들장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서랍형식으로 탈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아궁이연소실, 및
    상기 구들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일측면에 이송수단의 포크를 끼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삽설끼움구가 구비되는 고정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구들장은 상기 아궁이연소실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생성되는 화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연도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요철프레임과 상기 요철프레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도를 통과하는 화기가 모아져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프레임에는 내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되면서 물을 수용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물수용부가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궁이연소실의 전방 상부면측에는 알갱이 형태의 펠릿을 저장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호퍼수단이 설치 구비되고, 상기 아궁이연소실의 내부에는 개폐도어의 내벽면에 연결 설치되면서 펠릿을 수납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구가 설치 구비되는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구는 상기 호퍼수단에 구비된 상기 목부를 통해 펠릿연료가 투입되어 연소되도록 상부측에 펠릿투입구가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면서 단부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되어 연소되는 불꽃이 토출되도록 하는 연소불꽃토출부로 구성되되,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는 펠릿이 수납 연소되면서 연소된 재가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다수개의 슬롯틈새가 형성되는 V자 형상의 연소플레이트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연소플레이트에서 펠릿이 연소되면서 떨어지는 재가 상기 아궁이연소실의 바닥면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재배출틈새가 형성 구비되는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에는 상기 연소구와 연통되면서 펠릿연소에 요구되는 산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산소공급구와, 상기 아궁이연소실의 내부 연소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영창, 상기 아궁이연소실에 화목이 연소될 때 요구되는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산소공급구, 및 상기 아궁이연소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이 더 설치 구비되는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부의 일단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밸브가 설치 구비되고, 상기 물수용부의 타단부에는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밸브가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로에는 상기 아궁이연소실로부터 유입되는 연기나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의 연통굴뚝이 설치 구비되고,
    상기 연통굴뚝의 단부에는 화기의 흡입 배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팬수단이 더 설치 구비되는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1020140044541A 2014-04-15 2014-04-15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10162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41A KR101622270B1 (ko) 2014-04-15 2014-04-15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41A KR101622270B1 (ko) 2014-04-15 2014-04-15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92A true KR20150118692A (ko) 2015-10-23
KR101622270B1 KR101622270B1 (ko) 2016-05-18

Family

ID=5442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541A KR101622270B1 (ko) 2014-04-15 2014-04-15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556B1 (ko) 2020-03-02 2020-08-03 김도순 구들침대용 난방장치
KR20240031567A (ko) 2022-08-31 2024-03-08 주식회사 안병연구들명가 아궁이의 열기를 이용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480B1 (ko) * 2012-02-01 2013-04-02 안병연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270B1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49B1 (ko) 이동식 구들보일러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KR200486674Y1 (ko) 난로
KR101622270B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KR101640029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579258B1 (ko) 난방 펠릿난로
JP2014115068A (ja) 屋内設置型ロケットストーブ
KR101469802B1 (ko) 이동식주택용 난방장치
CN106360800B (zh) 密集烤烟反烧热风炉及其使用方法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RU2445550C1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20150006393A (ko) 로스톨
RU110822U1 (ru) Печь
KR101770283B1 (ko) 하향 연소식 난로 겸용 보일러
KR20150000221A (ko) 고형 연료를 사용하는 무동력 난로
KR101250434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CN218328362U (zh) 一种采用多种燃料的取暖设备
KR102297549B1 (ko) 고효율 고형연료 난로
KR101051655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CN102759124A (zh) 一种炉篦可升降生物质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