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799A - 난방용 난로 - Google Patents

난방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799A
KR20070041799A KR1020050096775A KR20050096775A KR20070041799A KR 20070041799 A KR20070041799 A KR 20070041799A KR 1020050096775 A KR1020050096775 A KR 1020050096775A KR 20050096775 A KR20050096775 A KR 20050096775A KR 20070041799 A KR20070041799 A KR 20070041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uel
combustion chamber
blower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용
Original Assignee
김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용 filed Critical 김영용
Priority to KR102005009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1799A/ko
Publication of KR2007004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7Condition responsive controls for regula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2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9Fuel-handl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5Igniting devices; Fire-igni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 연소실 바닥에 쌓인 소각재나 연료의 부스러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연소실 내의 송풍이 이루어지므로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소각재가 날리거나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그로인해 송풍공이 막히지 않으므로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져 연료가 원활하게 연소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연료에 불꽃을 점화시켜 주므로서 점화시간이 단축될 뿐만아니라 빠른 불꽃의 활성화로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송풍기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작동시켜 실내온도를 설정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해제가 가능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래치캐스터가 구비된 받침판을 더 구비하므로서 보다 안정적인 이동 및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제품 전체의 상품성 및 신뢰성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연료, 소각재, 연소실, 공기유도관, 점화장치, 송풍수단

Description

난방용 난로 {A STOVE}
도 1은 본 발명 난방용 난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난방용 난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난방용 난로에서 연소실 공기유도관의 상세도.
도 4은 본 발명 난방용 난로에서 연소실 공기유도관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난방용 난로에서 연료투입구에 대한 상세도.
도 6는 본 발명 난방용 난로에서 점화장치에 대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 난방용 난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상단부 110: 연료투입구
120: 투입공 130: 내측단턱
140: 외측단턱 150: 속덮개
160: 겉덮개 170: 내화제
200: 중간몸체부 210: 연소실
220: 연소가스배출구 230: 점화장치
240: 인출구 250: 공기유도관
251: 수직관 252, 254:송풍공
253: 수평관 260: 단열재
270: 안전망 280: 받침부
300: 하단부 310: 공기수용부
400:송풍수단 410: 송풍기
420: 하우징 430: 컨트롤부
440: 온도감지센서 500: 받침부
510: 래치캐스터
본 발명은 난방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연료가 연소되면서 연소실 바닥에 쌓인 소각재가 뚜껑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유도관의 송풍공을 막지 않도록 유도하여 연료가 원활하게 연소되고, 먼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난방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나 축사 또는 공장이나 공공장소등 규모가 넓은 장소 에서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갈탄이나 연탄 그리고 목재등의 연료를 사용하는 난방용 난로를 주로 많이 사용한다.
종래의 난방용 난로는 난로내에 소정량의 연료를 투입시켜 준 상태에서 연소기의 하부로 부터 연료에 불꽃을 점화시켜 주고, 송풍기등을 이용하여 연소기의 하부에 공기를 송풍시켜 연료의 불꽃이 꺼지지 않고 원활히 연소가 이루어지는 난방용 난로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난방용 난로는 투입되어 있는 연료의 하부에서 부터 점화가 이루어지고 연소기의 하부에서 공기를 송풍시켜주게 됨에 따라 불꽃이 상부로 올라가 위에 적재된 연료가 일시적으로 불꽃이 붙어 소각됨에 따라 땔감이 완전히 소각되기 전에 소정량씩 수시로 연료를 투입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연료를 투입시켜줄 시간대에 투입하지 못하면 불꽃이 꺼지거나 온도가 하강하였다가 다시 투입시켜주면 온도가 높아지는 온도변화가 심하며, 연료도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00-0063321 호는 연료를 연소실내에 가득 채워준 상태에서 상기의 땔감이 최상단에서 부터 하부로 서서히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투입되어 있는 땔감이 일시에 불꽃이 붙어 연소되는 일이 없이 장시간동안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준 상태에서 연소시켜 줄 수 있으며, 수시로 연료를 투입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상기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는 상면에 뚜껑과 열기배출관이 갖추어지고, 하단 일측에 재를 배출시켜 주는 배출구가 갖추어지도록 하여 땔감이 담겨지는 연소 부와; 상기 연소부의 바닥면에 공기 수용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공과; 상기 연소실의 내주벽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세워져 공기수용부로 부터 유입된 공기가 직 상승하면서 연소실내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송풍공이 갖추어진 공기유도관으로 형성된 땔감연소부와, 상기 땔감연소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연소로의 송풍기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의 공기를 땔감연수부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수용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난방용 땔감연소장치는 땔감에 불꽃을 점화하여 연소가 이루어지서 연소가 완료된 땔감의 소각재와 연료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들이 연소부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며, 상기 바닥면에 쌓인 소각재와 연료의 부스러기들의 일부는 연소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공으로 통해 상기 공기수용부내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소부 바닥면과 공기수용부내에 쌓인 소각재 및 연료부스러기들은 상기 송풍기로 부터 강제 송풍되어 공기수용부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실 내에 날리게 되어 먼지를 발생하며, 상기 연소실내에 가득 차 날리는 소각재는 뚜껑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소실내에 날리는 소각재와 연료부스러기들은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공을 막아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므로 연소실내에 가득 적재된 땔감의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연소실내에 땔감을 가득 채워준 상태에서 주로 번개탄으로 땔감에 불꽃을 점화시키므로 땔감에 불꽃이 활성화되기까지 번개탄 및 땔감에서 발생하는 연기는 실내를 가득 채울 뿐만 아니라 점화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가 완료된 소각재와 연료에서 발생하는 부스러기들이 쌓이는 연소부의 바닥면에 송풍공을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송풍공이 형성된 공기유도관을 형성하여 바닥면에 쌓이는 소각재와 연료부스러기들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날려서 외부로 배출되거나 송풍공을 막아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난방용 난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연료에 불꽃을 점화시켜 주므로서 점화시간이 단축될 뿐만아니라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난방용 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작동시켜 실내온도를 설정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난방용 난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연료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투입구의 가장자리에는 내부에 내화재가 충진된 ㄱ자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프레임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연소가스배출구와, 상기 연소가스배출구의 일측에 점화장치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소각재를 배출시키는 인출구를 형성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내부 양측에 사방으로 다수개의 송풍공이 뚫린 원형의 수직관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의 바닥면에는 인출구 부분을 제외한 연소실의 내주연을 따라 수평관을 형성하되 상기 수평관의 측면에 설정간격을 두고 송풍공을 형성한 공기유도관으로 이루어진 중간몸체부와; 상기 중간몸체부의 공기유도관과 연통하는 공기수용부로 이루어진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공기수용부내로 공기를 강제 주입시키는 송풍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단부의 연료투입구는 투입공의 외주면으로 내외측 이중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단턱에는 중앙에 걸이부가 구비된 상판과 상기 상판보다 작은 하판 사이에 유리강화섬유가 끼워져 결합되는 속덮개가 덮어지되, 상기 상판과 유리강화섬유는 단턱에 안착되고 하판은 투입공에 끼워져 상기 유리강화섬유가 소각재 유출차단기능을 하도록 하며, 상기 외측 단턱에는 중앙에 걸이공이 형성된 겉덮개가 덮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몸체부의 점화장치는 휴대용가스통과, 상기 휴대용가스통에 연결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연결되는 가스송출관과, 상기 가스송출관에 연결되어 가스량을 조절하는 밸브와, 상기 가스송출관의 선단부에 연결된 토치부로 구성된 토치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수단은 공기수용부내로 공기를 송풍시켜주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커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정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의 일측에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난방용 난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난방용 난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난방용 난로에서 연소실 공기유도관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난방용 난로에서 연소실 공기유도관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난방용 난로에서 연료투입구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6는 본 발명 난방용 난로에서 점화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난방용 난로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난방용 난로는 연료투입구(110)를 형성한 상단부(100)와, 연소실(210)과 공기유도관(220)으로 이루어진 중간몸체부(200)와, 공기수용부(310)로 이루어진 하단부(300)와, 송풍수단(400)과, 래치캐스터가 구비된 받침판(500)으로 구성한다.
이때, 연료는 갈탄, 석탄, 목재등 각종 땔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단부(100)는 상면에 연료투입구(110)를 형성하되, 상기 연료투입구(110)는 투입공(120)의 외주면으로 내외측 이중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단턱(130)에는 속덮개(150)를 덮고, 상기 외측 단턱(140)에는 중앙에 걸이공이 형성된 겉덮개(160)가 덮어지는 이중덮개를 형성한다.
상기 속덮개는 중앙에 걸이부(151)가 구비된 상판(152)과 상기 상판(152)보다 작은 하판(153) 사이에 유리강화섬유(154)를 끼워 결합한 것으로, 상기 상판(152)과 유리강화섬유(154)는 내측 단턱(130)에 안착되고 하판(153)은 투입공(120)에 끼워져 상기 유리강화섬유(154)가 소각재 유출차단기능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료투입구(110)를 제외한 상단부(100)는 ㄱ자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내부에 내화제(170)를 충진하여 상기 프레임을 손으로 만져도 화상을 입히지 않도록 형성한다.
상기 중간몸체부(200)의 연소실(210)은 상기 상단부(100)의 프레임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연소가스배출구(220)와, 상기 연소가스배출구(220)의 일측에 점화장치(230)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소각재를 배출시키는 인출구(240)를 형성한다.
상기 연소실(210) 내부바닥에는 공기유도관(250)을 형성하되, 상기 공기유도관(250)은 연소실(210)의 내부 양측에 사방으로 다수개의 송풍공(252)이 뚫린 원형의 수직관(251)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210)의 바닥면에는 인출구(240) 부분을 제외한 연소실(210)의 내주연을 따라 수평관(253)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관의 측면에 설정간격을 두고 송풍공(25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도관(2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4개의 수직관(251)과, 연소실(210)의 바닥면에 인출구(240) 부분을 제외한 연소실(210)의 내주연을 따라 수평관(253)을 형성하여 송풍량을 증대시키므로서 보다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의 공기유도관(250)은 삼각모양을 갖거나 반원형 또는 사각형상등 어느 형상도 무방하며, 상기 연소실(210)의 내부바닥에는 단열재(260)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화장치(230)는 휴대용가스통(231)과, 상기 휴대용가스통(231)에 연결되는 부착판(232)과, 상기 부착판(232)에 연결되는 가스송출관(233)과, 상기 가스송출관(233)에 연결되어 가스량을 조절하는 밸브(234)와, 상기 가스송출관(233)의 선단부에 연결된 토치부(235)를 포함하는 토치램프를 구성하여 상기 연소실(210)의 상단에서 불꽃을 점화시키기 위해 연소실(210)의 상단에 장착하되, 상기 토치부(235)만 연소실(210)내에 위치하며, 나머지는 연소실(210) 외측에 위치하여 안정망(270)의 받침부(280)에 수용된다.
상기 점화장치(230)는 상기 밸브(234)를 조절하여 가스가 소량분출하도록 한 다음 연료투입구(110)를 열고 불꽃을 점화시키 후 연료투입구(110)를 닫고 10초~15초동안 밸브(234)를 열어 가스가 많이 분출하도록 하여 순간적으로 불꽃이 활성화되도록 한 후 밸브(234)를 닫아주면 된다.
이처럼 상기 점화장치(230)는 연료에 순간적으로 강한 불꽃을 공급하므로서 점화시간이 단축시키며 빠른 불꽃의 활성화로 연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몸체부(200)에는 연소통(210)의 외주연을 따라 안전망(270)을 구비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안전망(270)에는 상기 점화장치(230)를 받쳐주는 받침부(28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하단부(300)는 상기 송풍수단(400)으로 인해 강제 주입된 공기가 공기유도관(25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수용부(310)를 형성한다.
상기 송풍수단(400)은 공기수용부(310)내로 공기를 송풍시켜주는 송풍기(410)와, 상기 송풍기(410)를 커버하는 하우징(420)과, 상기 하우징(420)의 상면에 설정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부(430)와, 상기 컨트롤부(430)의 일측에 온도감지센서(440)를 구비하여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410)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작동시켜 실내온도를 설정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상기 받침판(500)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해제가 가능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 래치캐스터(510)를 구비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동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료투입구(110)를 통해 연소실(210)내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관(251)의 최상단부분에 형성된 송풍공(252) 이상으로 적재되지 않을 정도까지 연료를 투입시켜준다.
이는 공기유도관(250)의 최상단에 위치한 송풍공(252)을 통해 공기가 내부로 송부되어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연료가 원활히 연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연료가 투입되면 상기 점화장치(230)의 밸브(234)를 조절하여 가스가 소량분출하도록 한 다음 불꽃을 점화시키 후 연료투입구(110)를 닫고 10초~15초동안 밸브(234)를 최대한 열어 가스가 많이 분출하도록 하여 순간적으로 불꽃이 활성화되도록 한 후 밸브(234)를 닫는다. 아울러 송풍기(410)를 가동시켜 주게 되면 상기 송풍기(410)에 의해 공기수용부(310)내로 강제로 송풍되는 외부의 공기가 수직관(251)과 수평관(253)으로 이루어진 공기유도관(250)을 통해 연소실(210)로 송풍이 이루어져 불꽃이 꺼지지 않고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송풍기(410)의 가동에 의해 공기수용부(310)내로 강제 송풍되어 공기유도관인 수직관(251)으로 유입된 공기는 수직관(251)을 따라 상승하면서 사방으로 형성된 송풍공(252)을 통해 연소실(210)내 양측에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승되는 공기중 연료 상단부로 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력에 의해 상단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는 불꽃을 하부로 밀어주는 역활을 하여 불꽃이 하부로 내려가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서서히 연료를 태워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관(253)으로 유입된 공기는 수평관(253)의 측면에 형성된 송풍공(254)을 통해 연소실(210)의 하부에 적재되어 있는 연료 사이로 상승되되 연소실 바닥에 쌓인 소각재나 연료의 부스러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소각재가 날리거나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그로 인해 송풍공(252,254)이 막히지 않으므로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지면서 연료를 태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송풍수단(400)의 컨트롤부(430)를 조절하여 설정온도를 맞춰놓으면 일정시간 경과 후 온도감지센서(440)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410)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작동시켜 연소실(210)의 화력을 조절하므로서 실내온도를 설정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한편, 연료투입구(110)의 상면에는 주전자나 물통을 올려 물을 끊일 수 있으며, 상기 주전자나 물통에 의해 뜨거운 연료투입구(110)는 가려지게 되고, 상기 연료투입구(110)를 제외한 상단부(100)는 내화재(170)를 내장하였으며, 중간몸체부(200)는 안전망(270)을 구비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면 연소후 남은 재는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난방용 난로는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연료에 불꽃을 점화시켜 주므로서 점화시간이 단축될 뿐만아니라 빠른 불꽃의 활성화로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연소실 바닥에 쌓인 소각재나 연료의 부스러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연소실 내의 송풍이 이루어지므로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소각재가 날리거나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그로 인해 송풍공이 막히지 않으므로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져 연료가 원활하게 연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작동시켜 송풍기의 사용을 제어하므로서 유지비용 및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실내온도를 설정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해제가 가능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래치캐스터가 구비된 받침판을 더 구비하므로서 보다 안정적인 이동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전자나 물통에 의해 뜨거운 연료투입구는 가려지게 되고, 상기 연료투입구를 제외한 상단부는 내화재를 내장하였으며, 중간몸체부는 안전망을 구비하므로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제품전체의 상품성 및 신뢰성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면에 연료투입구(110)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투입구(110)의 가장자리에는 내부에 내화재(170)가 충진된 ㄱ자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단부(100)와;
    상기 상단부(100)의 프레임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연소가스배출구(220)와, 상기 연소가스배출구(220)의 일측에 점화장치(230)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소각재를 배출시키는 인출구(240)를 형성한 연소실(210)과,
    상기 연소실(210)의 내부 양측에 사방으로 다수개의 송풍공(252)이 뚫린 원형의 수직관(251)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210)의 바닥면에는 인출구(240) 부분을 제외한 연소실(210)의 내주연을 따라 수평관(253)을 형성하되 상기 수평관(253)의 측면에 설정간격을 두고 송풍공(254)을 형성한 공기유도관(250)으로 이루어진 중간몸체부(200)와;
    상기 중간몸체부(200)의 공기유도관(250)과 연통하는 공기수용부(310)로 이루어진 하단부(300)와;
    상기 하단부(300)의 공기수용부(310)내로 공기를 강제 주입시키는 송풍수단(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난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연료투입구(110)는 투입공(120)의 외주면으로 내외측 이중 단 턱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단턱(130)에는 중앙에 걸이부(151)가 구비된 상판(152)과 상기 상판(152)보다 작은 하판(153) 사이에 유리강화섬유(154)가 끼워져 결합되는 속덮개(150)가 덮어지되, 상기 상판(152)과 유리강화섬유(154)는 내측 단턱(130)에 안착되고 하판(153)은 투입공(120)에 끼워져 상기 유리강화섬유(154)가 소각재 유출차단기능을 하도록 하며, 상기 외측 단턱(140)에는 중앙에 걸이공(161)이 형성된 겉덮개(160)가 덮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난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몸체부의 점화장치(230)는 휴대용가스통(231)과, 상기 휴대용가스통(231)에 연결되는 부착판(232)과, 상기 부착판(232)에 연결되는 가스송출관(233)과, 상기 가스송출관(233)에 연결되어 가스량을 조절하는 밸브(234)와, 상기 가스송출관(233)의 선단부에 연결된 토치부(235)로 구성된 토치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난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몸체부(200)에는 연소통(210)의 외주연을 따라 안전망(270)을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난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400)은 공기수용부(310)내로 공기를 송풍시켜주는 송풍기(410)와, 상기 송풍기(410)를 커버하는 하우징(420)과, 상기 하우징(420)의 상면에 설정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부(430)와, 상기 컨트롤부(430)의 일측에 온도감지센서(440)를 구비하여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난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300)의 하부에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받침판(500)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500)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해제가 가능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 래치캐스터(510)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이동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난로.
KR1020050096775A 2005-10-14 2005-10-14 난방용 난로 KR20070041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75A KR20070041799A (ko) 2005-10-14 2005-10-14 난방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75A KR20070041799A (ko) 2005-10-14 2005-10-14 난방용 난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254U Division KR200406457Y1 (ko) 2005-10-14 2005-10-14 난방용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799A true KR20070041799A (ko) 2007-04-20

Family

ID=3817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775A KR20070041799A (ko) 2005-10-14 2005-10-14 난방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17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919B1 (ko) * 2009-08-31 2010-07-28 송대섭 착화기가 구비된 연탄난로
KR101676316B1 (ko) 2015-10-27 2016-11-15 주식회사 구들 복합 기능 난로
KR102166079B1 (ko) * 2019-09-17 2020-10-15 안재환 연소장치의 공기공급장치
KR102361252B1 (ko) 2020-11-27 2022-02-14 유민스테인레스 주식회사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919B1 (ko) * 2009-08-31 2010-07-28 송대섭 착화기가 구비된 연탄난로
WO2011025332A2 (ko) * 2009-08-31 2011-03-03 Song Ji-Seop 착화기가 구비된 연탄난로
WO2011025332A3 (ko) * 2009-08-31 2011-06-09 Song Ji-Seop 착화기가 구비된 연탄난로
KR101676316B1 (ko) 2015-10-27 2016-11-15 주식회사 구들 복합 기능 난로
KR102166079B1 (ko) * 2019-09-17 2020-10-15 안재환 연소장치의 공기공급장치
KR102361252B1 (ko) 2020-11-27 2022-02-14 유민스테인레스 주식회사 이중 공기 유도 격벽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274A (en) Gas log fireplace system
CN104081127A (zh) 一种篝火炉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20070041799A (ko) 난방용 난로
KR101478221B1 (ko) 펠렛 난로
EP2303083B1 (en) An incineration system for a toilet
KR102064058B1 (ko) 화목난로
KR200406457Y1 (ko) 난방용 난로
US7162980B2 (en) Water heater burner clogging detection and shutdown system
KR100977012B1 (ko) 기압차를 이용한 연소장치 겸용 보일러
KR200475650Y1 (ko) 벽난로
KR101481807B1 (ko) 펠렛 난로 점화장치
KR20080039633A (ko) 난로의 공기 공급관
KR20080039632A (ko) 난로의 공기 공급관
KR101238344B1 (ko) 액체연료버너의 연료공급장치
KR200294585Y1 (ko)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
JP4189818B2 (ja) 焼却炉
US2816519A (en) Incinerator apparatus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JP3776387B2 (ja) 流動焼却炉装置およびガスガンの燃焼制御方法
JP3314002B2 (ja) ごみ処理装置
KR0139048Y1 (ko) 소각을 위한 점화와 운반이 용이한 소각보일러의 구조
KR200249586Y1 (ko)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KR200325374Y1 (ko) 코-크스 연료를 이용한 난방용 난로
KR20140065329A (ko) 펠렛 난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