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586Y1 -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586Y1
KR200249586Y1 KR2020010001659U KR20010001659U KR200249586Y1 KR 200249586 Y1 KR200249586 Y1 KR 200249586Y1 KR 2020010001659 U KR2020010001659 U KR 2020010001659U KR 20010001659 U KR20010001659 U KR 20010001659U KR 200249586 Y1 KR200249586 Y1 KR 200249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bustion
combustion chamber
firewood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학
Original Assignee
이창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학 filed Critical 이창학
Priority to KR2020010001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58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겨울철에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갈탄및 석탄 그리고 목재등의 땔감을 연소용난로내에 가득채워준 다음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땔감부터 하부로 서서히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땔감을 수시로 투입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한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면에 뚜껑(12)과 열기배출관(13)이 갖추어지고, 하단 일측에 연소실(11a)내에 잔류하고 있는 재를 배출시켜 주는 배출구(14)가 갖추어진 연소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연소부의 바닥면에 외부로 부터 공기가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2)을 형성하며, 연소실(11a)의 내주벽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세워져 공기수용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직 상승하면서 연소실내로 송풍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송풍공(15a)이 갖추어진 공기유도관(15)으로 형성된 땔감연소부(10)와; 연소부(11)의 하부에 갖추어져 송풍기(21)의 송풍력으로 인해 공기를 송풍시켜 공기유입송을 통해 연소실내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공기수용부(20)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Burning device of fuel for heating}
본 고안은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겨울철에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갈탄및 석탄 그리고 목재등의 땔감을 연소용난로내에 가득채워준 다음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땔감부터 하부로 서서히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땔감을 수시로 투입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한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촌에서는 겨울철에 비닐하우스 또는 축사에 난방장치를 설치하여 농작물과가축등이 성장할수 있는 적정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연료는 사용이 편리한 석유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료는 고유가시대에서 경제적 부담을 많이 느껴 최근에는 사용자가 다소의 불편함을 감안하더라도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수 있는 갈탄이나 석탄 그리고 목재등의 땔감을 사용하여 비닐하우스, 축사등에 열기를 송풍시켜 주거나 가정에서는 보일러로 사용함은 물론, 공공장소등에서 난로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땔감을 사용하는 연소장치는 연소기(난로)내에 소정량의 땔감을 투입시켜 준 상태에서 연소기의 하부로부터 땔감에 불꽂을 점화시켜 주고 송풍기등을 이용하여 연소기의 하부에 공기를 송풍시켜 땔감의 불꽂이 꺼지지 않고 원활히 연소가 이루어져 상기 연소된 열기를 비닐하우스나 축사내로 송풍시켜 주어 난방을 하거나, 상기의 열기를 보일러로 사용하게 되면 가정에서 실내의 난방및 온수로 사용할수 있게된다.
그리고, 학교나 체육관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연소기 자체에서 발산되는 열기 자체만으로도 실내를 훈훈하게 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땔감을 사용할 경우 석유등과 같은 연료에 비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수는 있으나, 연소장치는 투입되어 있는 땔감의 하부에서 부터 점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에서 연소가 원활히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를 송풍시켜 주게됨에 따라 불꽂이 상부로 올라가 위에 적재되어 있는 땔감 전체에 일시적으로 불꽂이 붙어 소각됨에 따라 땔감이 완전히 소각되기 전에 소정량씩 수시로 땔감을 투입시켜 주고있는 실정이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고, 특히 비닐하우스나 축사에서는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주어야만 농작물이나 가축들이 정상적인 성장을 하는데,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하다가 일정한 시기에 땔감을 투입시켜 주지 못할 경우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다시 투입시켜 주었을 경우 온도가 높아지게 되는 온도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 정상적인 성장이 어려웠으며, 밤에는 사용자가 수면에 의해 땔감을 투입시켜 줄 시간대에 땔감을 투입시켜 주지 못한 상태에서 날이 밝을 경우에는 급속도로 떨어지는 영하의 온도에 의해 농작물이나 가축들이 동사하게 되어 농가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면서도 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수 있는 갈탄, 석탄 그리고 목재등의 땔감을 연소기내에 가득채워준 상태에서 상기의 땔감이 최상단에서부터 하부로 서서히 연소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함에 따라 투입되어 있는 땔감이 일시에 불꽂이 붙어 연소되는 일이 없어 장시간동안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준 상태에서 연소시켜 줄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시로 땔감을 투입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
도 2 는 도1의 A-A선 평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땔감연소부 11:연소통
15:공기유도관 15a:송풍공
20:공기수용부 21:송풍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연소장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2 는 도1중 A-A선 평단면도로서,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내부에 땔감이 가득히 담겨진 상태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땔감에 불꽂을 점화시켜 점화된 불꽂이 하부로 내려가면서연소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땔감연소부(10)와: 상기 땔감연소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강제로 송풍기(2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땔감연소부내로 송풍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공기수용부(20)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의 땔감연소부(10)는 상면 일측에 갖추어져 개폐되는 뚜껑(12)을 통해 연소실(11a)내로 땔감이 담겨질수 있도록 하는 연소부(11)를 형성시켜 주는데, 상기 연소부의 바닥면에는 공기수용부(20)와 연통될수 있도록 하여 공기가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2)을 형성하고, 상면과 하단 일측에는 각각 연소된 열기를 배출시켜 주는 열기배출관(13)및 연소가 완료된 재를 배출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1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소실(11a)의 내주벽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세워져 공기수용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직 상승하면서 연소실내로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송풍공(15a)이 갖추어진 공기유도관(15)을 형성하여 된다.
이때, 상기의 공기유도관(15)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삼각모양을 갖거나 반원형 또는 사각형상등과 같은 어느 형상으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공기 유도관(15)은 원통형의 파이프를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소통(11)의 상면 일측에 갖추어져 있는 뚜껑(12)을 통해 연소실(11a)내에 연소시켜 주고자 하는 땔감(갈탄,석탄,목재)을 가득채워 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땔감은 연소실(11a) 내주연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공기유도관(15) 최상단부분에 형성된 송풍공(15a) 이상으로 적재되지 않을 정도까지만 투입시켜 준다.
이는 공기유도관(15)의 최상단에 위치한 송풍공을 통해 공기가 내부로 송풍되어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땔감이 원활히 연소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땔감의 투입이 완료되면 투입되어 있는 땔감의 최상단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땔감에 불꽂을 점화시켜 준 상태에서 뚜껑을 닫고 송풍기(21)를 가동시켜 주게되면 상기 송풍기에 의해 공기수용부(20)내로 강제로 송풍되는 외부의 공기가 연소통(10)의 바닥면에 갖추어진 공기유입공(12)을 통해 연소실(11a)로 송풍이 이루어져 불꽂이 꺼지지 않고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땔감의 상단에 불꽂을 점화시켜 주게 되면 점화 초기에는 연소실(11a)내에 공기가 잔류하고 있어 상단부분의 땔감이 타게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땔감이 지속적으로 타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부로 부터 강제로 연소실내로 공기를 송풍시켜 주어야 하는 것으로서, 이는 송풍기(21)의 가동으로 인해 공기수용부(20)내로 강제 송풍되는 공기는 바닥면에 뚫려있는 공기유입공(12)을 통해 연소실(11a)내로 공기가 유입되는데, 이때 공기유입공을 통해 연소실(11a) 하부로 직접 유입되는 공기는 적재되어 있는 땔감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부로 상승되는 것이고, 연소실의 내주벽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공기유도관(15)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의 공기유도관을 따라 상승하면서 전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갖추어진 송풍공(15a)을 통해 연소실(11a)내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땔감이 적층되어 있는 부분의 송풍공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바닥면으로 부터 올라오는 공기와 함께 땔감 사이를 통해 상승되어 최상단에서 점화된 불꽃이 꺼지지 않고 지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공기유도관(15)을 따라 상승하던 공기중 땔감 상단부로 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력에 의해 상단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는 불꽃을 하부로 밀어주는 역활을 하고 있어 불꽂이 하부로 내려가면서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서서히 땔감을 태워주게 되는 것이다.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므로서 땔감이 완전히 연소되면 연소후 남은 재는 배출구(14)을 통해 배출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소실(11a)의 중앙에 공기수용부(20)와 연통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외주연측에 임의의 간격으로 공기가 송풍될수 있는 송풍공(30a)이 갖추어진 원통형의 공기유도관(30)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공기수용부(20)로 송풍되는 공기가 바닥면에 갖추어진 공기유입공(12)을 통해 연소실로 직접 송풍됨은 물론, 내주연에 갖추어진 공기유도관(15)의 송풍공(15a)을 통해 연소실내로 송풍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연소실 중앙에 수직으로 갖추어진 공기유도관(30)을 통해 이의 외주연에 갖추어진 송풍공(30a)를 통해 연소실 중앙으로 부터 송풍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연소통내에 땜감을 가득채워 놓은 상태에서 최상 단에 위치한 땜감에 불꽂을 점화시켜 준 다음 송풍기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외부의 공기가 연소통의 내벽면에 갖추어진 공기유도관을 따라 상승하면서 송풍관을 통해 연소실내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연소실내에 적층되어 있는 땜감의 상부에서 부터 불꽃이 점화되어 점화된 불꽃이 연소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에 의하여 하부로 서서히 내려가면서 땔감을 태워주게 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불꽃이 하부로 부터 상부로 올라와 수시로 땔감을 투입시켜 주어 아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연소실 내에 일시에 땔감을 적층시켜 준 상태에서 땔감을 연소시켜 주도록 하고있어 수시로 땔감을 투입시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상면에 뚜껑(12)과 열기배출관(13)이 갖추어지고, 하단 일측에 연소실(11a) 내에 잔류하고 있는 재를 배출시켜 주는 배출구(14)가 갖추어진 연소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연소부의 바닥면에 외부로 부터 공기가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2)을 형성하며, 연소실(11a)의 내주벽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세워져 공기수용부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직 상승하면서 연소실내로 송풍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송풍공(15a)이 갖추어진 공기유도관(15)으로 형성된 땔감연소부(10)와; 연소부(11)의 하부에 갖추어져 송풍기(21)의 송풍력으로 인해 공기를 송풍시켜 공기유입송을 통해 연소실내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공기수용부(20)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기수용부(20)로 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연소실(11a) 중앙에서 외측으로 송풍될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송풍공(30a)이 뚫린 공기유도관(30)을 연소실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3. 청구항3는 삭제 되었습니다.
KR2020010001659U 2001-01-19 2001-01-19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KR200249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59U KR200249586Y1 (ko) 2001-01-19 2001-01-19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59U KR200249586Y1 (ko) 2001-01-19 2001-01-19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321A Division KR20020032252A (ko) 2000-10-26 2000-10-26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586Y1 true KR200249586Y1 (ko) 2001-11-16

Family

ID=7309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659U KR200249586Y1 (ko) 2001-01-19 2001-01-19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5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27B1 (ko) 2009-10-20 2012-04-23 홍성훈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27B1 (ko) 2009-10-20 2012-04-23 홍성훈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944B1 (ko) 친환경 우드 펠렛 난방장치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101479579B1 (ko) 펠릿 난로
LT4998B (lt) Kieto kuro deginimo būdas ir šildymo katilas, kuriame šis būdas įgyvendintas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KR200249586Y1 (ko)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KR100796434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US20040089289A1 (en) Gas-fueled multi-mode fireplace assembly
CN201539853U (zh) 一种燃料笼及具有该燃料笼的燃烧器
CN101581447A (zh) 一种燃料笼及具有该燃料笼的燃烧器
KR20150002292U (ko)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KR20020032252A (ko) 난방용 땔감 연소장치
CN101619860B (zh) 自动添加燃料的柴草炉灶
CN206207428U (zh) 一种悬吊围栏式上给料垃圾焚烧装置
CN105823076A (zh) 便携式自主增压引风户外炉
KR200349281Y1 (ko) 거꾸로 타는 나무 보일러
KR200377162Y1 (ko) 난방용 난로
KR20080039633A (ko) 난로의 공기 공급관
KR20080039632A (ko) 난로의 공기 공급관
KR100802591B1 (ko) 나무보일러
KR100264288B1 (ko) 고체 연료용 열풍기
KR200193841Y1 (ko)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연소장치
CN2641486Y (zh) 存柴式烧柴民用炉
KR100798620B1 (ko) 연료 저장식 온풍기
KR200325374Y1 (ko) 코-크스 연료를 이용한 난방용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914

Effective date: 20080421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