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93Y1 - 톱밥 난로 - Google Patents

톱밥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93Y1
KR200450693Y1 KR2020090016801U KR20090016801U KR200450693Y1 KR 200450693 Y1 KR200450693 Y1 KR 200450693Y1 KR 2020090016801 U KR2020090016801 U KR 2020090016801U KR 20090016801 U KR20090016801 U KR 20090016801U KR 200450693 Y1 KR200450693 Y1 KR 200450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opening
stove
stove bod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연모
Original Assignee
강연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모 filed Critical 강연모
Priority to KR2020090016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F23M11/04Means for supervising combustion, e.g. windows
    • F23M11/042Viewing ports of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F23M11/04Means for supervising combustion, e.g. windows
    • F23M11/045Means for supervising combustion, e.g. windows by observing the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27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 F23M2700/008Preventing outwards emission of flames or hot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의 톱밥 난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내부를 개폐하는 메인 도어가 형성된 난로 몸체 및 상기 난로 몸체 상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복수의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며, 원뿔형의 로스톨이 내장되어 상기 난로 몸체 내로부터 공급된 초기 점화원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톱밥이 연소되는 톱밥 연소통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이 결합되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 측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난로 몸체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투명창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투명창 내측에 에어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톱밥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투명창의 그을림을 방지할 수 있어 톱밥 난로 내부의 아름다운 화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다.

Description

톱밥 난로{SAWDUST STOVE}
본 고안은 톱밥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톱밥을 연료로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톱밥 난로에 관한 것이다.
톱밥 난로는 1960~1970년대에 주로 이용하던 난방 기구로서, 최근에 유가가 급등하고, 전원주택에서 난방 및 옛 향수를 느끼기 위해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톱밥 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톱밥 난로의 톱밥 연소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톱밥 난로(10)는 난로 몸체(11) 및 상기 난로 몸체(11) 상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톱밥 연소통(12)을 포함한다.
상기 난로 몸체(11)는 톱밥 연소통(12) 내에서 톱밥(200)이 연소되도록 점화원을 공급하고, 톱밥(200)의 연소 시 발생되는 연소 가스를 배기관(미도시)으로 배출하는 경로로서 기능한다.
상기 난로 몸체(11)에는 도어(Door;15)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5)를 통해 난로 몸체(11) 내로 불이 붙은 종이 등의 점화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톱밥 연소통(12)은 난방 연료로써 사용되는 톱밥(200)이 수용되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원통형이 사용되며, 길이 방향의 측면에 수직한 하면은 중심부가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톱밥 연소통(12)의 하부에는 복수의 공기 흡입홀(14)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톱밥 연소통(12) 내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 하면에는 개구된 중심부를 덮도록 원뿔형의 로스톨(Rostol;13)이 결합된다.
상기 로스톨(13)에는 복수의 로스톨홀(Rostol hole;13a)이 형성되며, 상기 로스톨홀(13a)을 통해 공급된 점화원에 의하여 상기 로스톨(13) 주변에서 톱밥(200)의 연소가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톱밥 난로(10)는 외부에서 톱밥 난로(10)의 내부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내부에서 톱밥(200)이 연소되고 있는 상태, 즉 화력 등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없어 화력 등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의 톱밥 난로(10)는 전원 주택의 보급과 함께 난방 기능뿐만 아니라 고풍스러움과 옛 추억을 불러 일으키기 위한 인테리어로서의 기능도 하는데, 종래의 톱밥 난로(10)는 시각적으로 톱밥이 연소되는 광경을 볼 수 없어 인테리어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톱밥(200) 연소에 필요한 외부 공기는 난로 몸체(11) 하부로부터 공급되는데, 이는 연소되는 톱밥(200)까지의 경로가 길어 적절한 외부 공기의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톱밥 연소통(12)의 하면이 길이 방향의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톱밥(200)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Sludge) 등의 부산물이 톱밥 연소통(12)의 하면에 쌓여 로스톨(13)에 형성된 로스톨홀(13a)을 막아 외부 공기의 공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톱밥 난로(10)는 난로 몸체(11) 내에 점화원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어(15)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종이 등을 넣고 불을 붙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점화원 형성 시 연기 등이 열린 도어(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톱밥 난로 내의 연소 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고풍스러움 및 향수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개선된 톱밥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톱밥의 연소 과정 시 발생되는 슬러지 등의 부산물이 로스트홀을 막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 공기의 공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톱밥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톱밥 난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내부를 개폐하는 메인 도어가 형성된 난로 몸체 및 상기 난로 몸체 상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복수의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며, 반구형의 로스톨이 내장되어 상기 난로 몸체 내로부터 공급된 초기 점화원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톱밥이 연소되는 톱밥 연소통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이 결합되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 측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난로 몸체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상기 톱밥 연소통의 하부는 테이퍼지며, 상기 테이퍼진 하단부에 상기 로스 톨이 결합된다.
상기 톱밥 연소통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홀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개폐홀이 형성된 조절링이 삽입되며, 상기 조절링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홀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난로 몸체 또는 상기 메인 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초기 점화원의 형성을 위해 불을 상기 난로 몸체 내로 공급하기 위한 점화홀이 형성되되, 상기 점화홀은 자력에 의하여 상기 난로 몸체 또는 상기 메인 도어에 붙을 수 있는 점화 마개에 의하여 개폐된다.
본 고안의 톱밥 난로에 의하면, 메인 도어에 형성된 투명창을 통해 톱밥 난로 내의 화염을 외부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화염의 아름다운 모습을 전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옛 추억에 젖어드는 등 사용자의 감성을 북돋을 수 있다.
또한, 투명창을 통해 나타나는 화염의 형성 정도에 의하여 현재의 화력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메인 도어를 열고 확인한 후 톱밥 난로 내로의 공기 공급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또한, 투명창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투명창 내측에 에어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투명창의 그을림을 방지할 수 있다.
톱밥 연소통의 하부를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하고, 테이퍼진 부분의 단부에 로스톨을 결합시킴으로써, 톱밥의 연소 과정 중 발생하는 슬러지 등의 부산물이 골 부분에 쌓이게 하여 로스톨홀을 통한 공기의 공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톱밥 연소통의 외주면에 삽입된 조절링의 회전량 조절에 의하여 톱밥 난로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적절한 유입 공기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메인도어나 난로 몸체에 점화홀을 형성함으로써, 난로 몸체 내에 있는 초기 점화 연료의 점화 시, 메인 도어를 열지 않고 점화시킬 수 있어 점화 시 발생되는 연기 등이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톱밥 난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밥 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톱밥 난로(100)는 난로 몸체(110) 및 상기 난로 몸체(110) 상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며, 톱밥 등의 연료가 저장되어 연소되는 톱밥 연소통(130)을 포함한다.
상기 난로 몸체(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메인 도어(Main door;120)가 설치되며, 타측에 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관이 결합되며, 하부에 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재를 모아 청소하기 위한 재받이(150)가 설치된다.
상기 재받이(150)에는 복수의 하부홀(미도시)이 서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하부홀은 조절판(151)에 의하여 그 개구 정도가 조절된다.
즉, 상기 조절판(151)에도 상기 복수의 하부홀에 대응되는 복수의 조절홀(미도시)이 서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조절판(151)의 회전에 의하여 하부홀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라 메인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어(120)는 프레임(Frame;121)과, 투명창(122) 및 서브 도어(Subdoor;123)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1)은 상기 난로 몸체(11)의 일측, 즉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부에 개구부(125)가 형성된 구조로, 상기 프레임(121)에는 상기 개구부(125)를 덮도록 상기 투명창(122)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상기 투명창(122)을 통해 난로 몸체(110) 내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창(122)이 상기 개구부(125)에 배치 시 개구부(125) 전면을 덮도록 배치되지 않고, 개구부(125) 중 상부의 일정 부분은 개구된 상태로 남겨지도록 상기 프레임(121)에 결합된다.
즉, 상기 메인 도어(120)에도 상기 개구부(125)를 통해 외부 공기가 난로 몸체(11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123)는 상기 프레임(1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121)에 접촉 시 상기 프레임(121)에 형성된 유입 경로를 폐쇄하고, 프레임(1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유입 경로를 개방한다.
상기 프레임(121)에 대한 상기 서브 도어(123)의 회전은 상기 서브 도어(123)에 결합된 볼트(Bolt;124)의 풀고 조임에 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124)를 풀면 상기 서브 도어(123)는 프레임(121)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121)에 형성된 유입 경로를 폐쇄하고, 상기 볼트(124)를 조이면 상기 서브 도어(123)는 프레임(1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유입 경로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난로 몸체(110) 또는 메인 도어(120)에는 상기 난로 몸체(110) 내에 넣은 화목 등과 같은 초기 점화 연료에 불을 공급하기 위한 점화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점화홀에는 점화 마개(111)가 끼워져 점화홀을 개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점화홀을 통한 불의 공급은 상기 메인 도어(12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난로 몸체(110) 내의 초기 점화 연료를 초기 점화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화 마개(111)는 자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난로 몸체(110) 또는 메인 도어(120)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결합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점화 마개(111) 대신 난로 몸체(1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점화홀을 개폐할 수 있는 회전 도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Ⅲ-Ⅲ′선에 따라 톱밥 연소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톱밥 연소통 중 조절링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톱밥 연소통(130)은 하부에 복수의 공기 흡입홀(132)이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공기 흡입홀(132) 하부의 톱밥 연소통(130) 부분은 수렴하는 형태의 테이퍼(Taper)진 구조로, 상기 테이퍼진 부분(131)의 단부에는 정점이 톱밥 연소통(130)의 상부를 향하며, 복수의 로스트홀(133)이 형성된 반구형의 로스톨(134)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퍼진 부분(131)은 난로 몸체(110) 내에 노출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홀(132)은 상기 난로 몸체(110) 상부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톱밥 연소통(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 흡입홀(132)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개폐홀(14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조절링(140)이 삽입된다.
상기 조절링(140)은 톱밥 연소통(130)의 외주면을 통해 난로 몸체(110) 상면에 안착되며, 회전에 의하여 톱밥 연소통(130) 내로의 외부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링(140)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홀(141)과 공기 흡입홀(132)이 중첩될 경우 최대량의 외부 공기가 톱밥 연소통(130) 내로 유입되고, 개폐홀(141)이 공기 흡입홀(132) 사이에 배치 시 외부 공기가 톱밥 연소통(13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톱밥 난로(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메인 도어(120)에 형성된 투명창(122)을 통해 톱밥 난로(100) 내에서 화목이나, 우드 펠릿, 톱밥(200) 등의 연료가 연소되는 모습, 즉 화염을 외부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화염의 아름다운 모습을 전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옛 추억에 젖어드는 등 사용자의 감성을 북돋을 수 있다.
또한, 투명창(122)을 통해 나타나는 화염의 형성 정도에 의하여 현재의 화력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메인 도어(120)를 열고 확인한 후 톱밥 난로(100) 내로의 공기 공급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둘째, 투명창(122) 상부에 개구부(125)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25)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투명창(122) 내측에 에어 커튼(Air curtain)을 형성함으로써,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투명창(122)의 그을림을 방지할 수 있다.
세째, 톱밥 연소통(130)의 하부를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하고, 테이퍼진 부분(131)의 단부에 로스톨(134)을 결합시킴으로써, 톱밥(200)의 연소 과정 중 발생하는 슬러지 등의 부산물이 골 부분에 쌓이게 하여 로스톨홀(133)을 통한 공기의 공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네째, 난로 몸체(110) 하부에 형성된 조절판(151) 및 톱밥 연소통(130)의 외주면에 삽입된 조절링(140)의 회전량 조절에 의하여 톱밥 난로(100)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적절한 유입 공기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다섯째, 메인 도어(120)나 난로 몸체(110)에 점화 마개(111)로 개폐할 수 있는 점화홀을 형성함으로써, 난로 몸체(110) 내에 있는 초기 점화 연료의 점화 시, 메인 도어(120)를 열지 않고 점화시킬 수 있어 점화 시 발생되는 연기 등이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톱밥 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톱밥 난로의 톱밥 연소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밥 난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라 메인 도어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Ⅲ-Ⅲ′선에 따라 톱밥 연소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톱밥 연소통 중 조절링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톱밥 난로 110... 난로 몸체
111... 점화 마개 120... 메인 도어
121... 프레임 122... 투명창
123... 서브 도어 124... 볼트
125... 개구부 130... 톱밥 연소통
131... 테이퍼진 부분 132... 공기 흡입홀
133... 로스톨홀 134... 로스톨
140... 조절링 141... 개폐홀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내부를 개폐하는 메인 도어가 형성된 난로 몸체; 및
    상기 난로 몸체 상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중 상기 난로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는 복수의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중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에 배치된 부분에는 반구형의 로스톨이 내장되어 상기 난로 몸체 내로부터 공급된 초기 점화원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톱밥이 연소되는 톱밥 연소통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이 결합되되, 상부에 개폐에 의하여 상기 난로 몸체 내부와 외부를 직접 연통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개구부 측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개방 시, 상기 난로 몸체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투명창의 내측에 에어 커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톱밥 연소통의 하부 중 상기 난로 몸체의 내부에 배치된 부분은 테이퍼지며, 상기 테이퍼진 하단부에 상기 로스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로 몸체 또는 상기 메인 도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초기 점화원의 형성을 위해 불을 상기 난로 몸체 내로 공급하기 위한 점화홀이 형성되되, 상기 점화홀은 자력에 의하여 상기 난로 몸체 또는 상기 메인 도어에 붙을 수 있는 점화 마개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
KR2020090016801U 2009-12-24 2009-12-24 톱밥 난로 KR2004506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801U KR200450693Y1 (ko) 2009-12-24 2009-12-24 톱밥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801U KR200450693Y1 (ko) 2009-12-24 2009-12-24 톱밥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693Y1 true KR200450693Y1 (ko) 2010-10-22

Family

ID=4447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801U KR200450693Y1 (ko) 2009-12-24 2009-12-24 톱밥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93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023B1 (ko) * 2011-06-28 2013-04-25 안연숙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
KR101270293B1 (ko) 2013-04-05 2013-05-31 권현 회전식 펠릿 난로
KR101273480B1 (ko) 2013-01-08 2013-06-10 박원길 이중난로
KR101422091B1 (ko) 2012-12-31 2014-07-23 한태원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KR101440813B1 (ko) * 2013-01-21 2014-09-17 나종권 별도의 점화로를 구비한 무동력 펠릿연소기
KR200477269Y1 (ko) * 2013-11-11 2015-05-26 전미경 난방용 난로
CN106642208A (zh) * 2016-11-18 2017-05-10 刘开芹 自动调节煤炉
KR102316959B1 (ko) * 2020-04-22 2021-10-26 주병선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KR102366608B1 (ko) * 2021-08-24 2022-02-23 지철민 하이브리드 조립식 난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641U (ko) * 1990-04-11 1991-12-27
KR200285061Y1 (ko) 2002-05-08 2002-08-14 정현진 벽난로 전면유리의 그을음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641U (ko) * 1990-04-11 1991-12-27
KR200285061Y1 (ko) 2002-05-08 2002-08-14 정현진 벽난로 전면유리의 그을음 방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023B1 (ko) * 2011-06-28 2013-04-25 안연숙 펠렛연료용 무동력 난로
KR101422091B1 (ko) 2012-12-31 2014-07-23 한태원 연소효율이 우수한 목재용 난로
KR101273480B1 (ko) 2013-01-08 2013-06-10 박원길 이중난로
KR101440813B1 (ko) * 2013-01-21 2014-09-17 나종권 별도의 점화로를 구비한 무동력 펠릿연소기
KR101270293B1 (ko) 2013-04-05 2013-05-31 권현 회전식 펠릿 난로
KR200477269Y1 (ko) * 2013-11-11 2015-05-26 전미경 난방용 난로
CN106642208A (zh) * 2016-11-18 2017-05-10 刘开芹 自动调节煤炉
KR102316959B1 (ko) * 2020-04-22 2021-10-26 주병선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KR102366608B1 (ko) * 2021-08-24 2022-02-23 지철민 하이브리드 조립식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693Y1 (ko) 톱밥 난로
KR20130035264A (ko) 화목 난로
US20140238282A1 (en) Bonfire oven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101382093B1 (ko) 벽난로를 겸한 화목 보일러
KR20170020055A (ko) 바이오매스 구들 난방장치
KR101542350B1 (ko) 축열식 화목 난방장치
KR101372399B1 (ko) 공기 흐름이 개선된 난로
KR100787863B1 (ko) 벽난로
KR100852910B1 (ko) 그을음 및 연기 발생이 저감되는 난로
KR20160054344A (ko) 다목적 화목 난로
KR20080039632A (ko) 난로의 공기 공급관
CN207907290U (zh) 全回火柴煤节能炉灶
KR20080039633A (ko) 난로의 공기 공급관
US10228142B2 (en) Wood-burning stove with internal baffles for increased burn times
CN205746800U (zh) 燃煤锅炉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200453945Y1 (ko) 음성 안내기능이 구비된 난로
KR20190104690A (ko) 화목 난로
KR20140135353A (ko) 화목 벽난로
KR200410237Y1 (ko) 나무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1764602B1 (ko) 가스 벽난로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KR101723483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가진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