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959B1 -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 Google Patents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959B1
KR102316959B1 KR1020200048504A KR20200048504A KR102316959B1 KR 102316959 B1 KR102316959 B1 KR 102316959B1 KR 1020200048504 A KR1020200048504 A KR 1020200048504A KR 20200048504 A KR20200048504 A KR 20200048504A KR 102316959 B1 KR102316959 B1 KR 102316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lame passage
outdoor air
passage
barbe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병선
Original Assignee
주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병선 filed Critical 주병선
Priority to KR102020004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47J37/0772Small-size, portable barbecues for use in a firepl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6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바베큐 장치는, 바베큐 고기를 익히기 위한 화염 및 복사열을 상측으로 제공하는 제1 화염 통로를 포함하는 바베큐 그릴과, 장작 연료의 1차 연소를 위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화염 통로 측으로 화염 및 복사열을 제공하도록 연결된 제2 화염 통로를 포함하는, 장작 연료 연소부와, 상기 제1 화염 통로에 연결되는 연통을 포함하며,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는, 상기 제2 화염 통로 내로 유입되는 미연 가스(unburned gas)를 2차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2 화염 통로 측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제1 외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A BARBECUE APPARATUS WITH TOP-DOWN FIREWOOD FUEL COMBUSTION}
본 발명은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바베큐 그릴 측으로 화염 및 복사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난로로서도 기능하며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베큐 장치는 열을 이용하여 고기 등을 구워 요리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바베큐를 만드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열을 내기 위한 연료로서 주로 가스, 숯, 우드 펠릿 및 장작 연료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숯이나 장작 연료를 이용하는 바베큐 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바베큐 그릴의 아래에 위치한 연료 연소부에서 연료를 연소함으로써, 이에 따른 화염이나 복사열을 이용하여 바베큐 고기를 익히고 있다.
한편, 바베큐 그릴의 아래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식에서 더 나아가 그을음이나 재 등의 유해물질의 흡착이나 유입을 줄이고 복사열이나 화염의 양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면에 위치한 장작 연료 연소부 내에서 장작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측면에서의 장작 연료의 연소에 따른 화염이나 복사열을 바베큐 그릴의 아래 영역으로 유도하는 방식의 바베큐 장치도 종종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바베큐 장치(1)는, 바베큐 그릴(10), 장작 연료 연소부(20) 및 연통(30)을 구비하며, 바베큐 그릴(10)은 개폐가능한 커버(11)와 장작 연료의 연소에 따른 열을 유도하기 위한 하부(12), 그리고 내부에 바베큐 고기를 익히기 위한 석쇠(13)를 구비한다.
하지만, 이러한 바베큐 장치의 경우, 바베큐 그릴의 아래 영역으로 유도되는 화염이나 복사열이 내부의 바베큐 고기 측으로 잘 전달되지 않아 많은 량의 장작 연료의 투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의 경우, 직하형 바베큐 장치에 비해 그을음 등의 유해물질이 바베큐 고기에 흡착되는 양이 줄어들기는 하지만, 여전히 그을음 등의 유해물질이 그릴 측으로 유입되어 바베큐 고기에 흡착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에 있어서, 연료 효율이 낮은 단점, 그을음 등의 유해물질이 그릴 측으로 유입되어 바베큐 고기에 흡착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는, 바베큐 고기를 익히기 위한 화염 및 복사열을 상측으로 제공하는 제1 화염 통로(117)를 포함하는 바베큐 그릴(110)과, 장작 연료의 1차 연소를 위한 연소실(121)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화염 통로 측으로 화염 및 복사열을 제공하도록 연결된 제2 화염 통로(127)를 포함하는, 장작 연료 연소부(120)와, 상기 제1 화염 통로에 연결되는 연통(130)을 포함하며,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는, 상기 제2 화염 통로(127) 내로 유입되는 미연 가스(unburned gas)를 2차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2 화염 통로 측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제1 외기 유입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는,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23)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화염 통로 또는 상기 연소실 측으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2 외기 유입구(126)와, 상기 제2 화염 통로에서의 2차 연소 이후 화염이 상기 제1 화염 통로 측으로 전달되기 전에 미연 가스를 3차 연소시키기 위해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재받이 겸 외기 유입구(129)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는, 상기 재받이 겸 외기 유입구(129)와 상기 제1 화염 통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화염 통로(117) 측으로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해물질 유입 방지판(127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베큐 그릴은, 상기 제1 화염 통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화염 통로 측으로 유입되는 화염 및 복사열이 상기 연통으로 직접적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판(11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재 연료 연소부는, 상기 제2 화염 통로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하기 위한 관찰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에 있어서 연료 효율이 낮은 단점, 그을음 등의 유해물질이 그릴 측으로 유입되어 바베큐 고기에 흡착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베큐 장치는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에서 1차, 2차 및 3차 연소를 통해 그을음을 최소화함으로써, 연료의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장작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난로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베큐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베큐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에서 각각 B-B 라인 및 C-C 라인을 절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베큐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에서 각각 B-B 라인 및 C-C 라인을 절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100)는, 바베큐 그릴(110), 장작 연료 연소부(120), 및 연통(130)을 포함한다.
바베큐 그릴(110)은, 커버(111)와 하부(112) 그리고 바베큐 고기를 올려 놓고 익힐 수 있도록 내부에 마련된 석쇠(113)를 포함한다. 도면들에서 석쇠(113)로 예시되어 있으나, 회전식일 수도 있다.
커버(111)는 개폐가능한 구조이고, 하부(112)의 내부에는 석쇠(113) 측으로 화염과 복사열을 전달하여 바베큐 고기를 익힐 수 있도록 제1 화염 통로(1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베큐 그릴(110)은 제1 화염 통로(117) 상에 위치하여, 제1 화염 통로(117) 측으로 유입되는 화염 및 복사열이 연통(130) 측으로 직접적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머물도록 하기 위해 차단하는 차단판(114)을 포함한다. 즉, 차단판(114)이 없는 경우 제1 화염 통로(117) 및 연통(130)을 통해 복사열이 곧바로 빠져나가버리므로, 석쇠(113) 위에 놓인 바베큐 고기가 익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차단판(114)을 설치함으로써 석쇠(113)의 아랫 부분에 화염 및 열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한다.
장작 연료 연소부(120)는, 장작 연료의 1차 연소를 위한 연소실(121)과 연소실(121)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1 화염 통로(117) 측으로 화염 및 복사열을 제공하도록 제1 화염 통로(117) 측과 연결된 제2 화염 통로(127)를 포함한다. 연소실(121)에서의 1차 연소 이후 화염이 아랫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로 일컬어진다. 장작 연료 연소부(120)는 제2 화염 통로(127) 내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1 외기 유입구(123)를 포함한다. 제1 외기 유입구(123)는 제2 화염 통로(127) 내로 외기를 유입시켜, 제2 화염 통로(127)의 상부에서 제2 화염 통로(127) 내로 유입되는 미연 가스(unburned gas)를 2차 연소시킨다. 여기서의 미연 가스(unburned gas)는 연소실(121) 내에서의 장작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어 하향하는 화염 내에 포함되는 각종 물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물질들은 제2 화염 통로(127) 내에서 외기 유입홀(1231)을 통해 들어오는 외기에 의해 연소된다.
연통(130)은 제1 화염 통로(117)에 연결된다. 즉, 연통(130)은 바베큐 그릴(110)의 하부(112)에 연결되어, 장작 연료 연소부(120)의 제2 화염 통로(127)에서부터 바베큐 그릴(110)의 하부(112) 내의 제1 화염 통로(117)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연통(130)까지의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연통(130)은 장작 연료 연소부(120) 측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바베큐 그릴(110)의 하부(112)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이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장작 연료 연소부(12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장작 연료 연소부(120)는 내부에 연소실(121)이 형성된 상부(120a)와 상부(120a)의 아래에 위치하며 내부에 제2 화염 통로(127)가 형성된 베이스부(120b)를 포함한다. 또한, 장작 연료 연소부(120)는, 베이스부(120b)의 내부에 위치한 제2 화염 통로(127)와 연소실(121) 내부 간의 화염, 열 및 연기의 순환을 위한 화염구(125)를 포함한다. 또한, 화염구(125)를 통해, 목재 연료의 연소 결과 발생하는 물질들(미연 가스, 재 등)도 낙하하게 된다. 미연 가스는 2차 연소되며, 제2 화염 통로(127)의 바닥에 설치된 제1 재받이(128) 내에 유입되어 필요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외기 유입구(123)는, 화염구(125)의 하부이면서 제1 재받이(128)의 상부에 위치하여, 연소실(121) 내에서의 1차 연소 이후의 미연 가스의 2차 연소를 위해 외기를 유입시킨다. 제1 외기 유입구(123)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외기 유입홀(1231)을 통해 제2 화염 통로(127) 측으로 유입되어 미연 가스의 2차 연소를 촉진시킨다.
제1 외기 유입구(123)의 내측에 위치한 영역(도 4a에서 L1 및 L2로 표시되며, L2의 경우, 단면상으로는 L1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으나, 제2 화염 통로(127)의 외곽을 따라 L1과 L2는 연결되어 있음)으로 외기가 유입되어, 연소실(121) 내에서의 1차 연소 이후 화염구(125)를 따라 화염과 함께 이동하는 미연 가스를 2차 연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 4a의 L1과 L2 그리고 도 4b의 L3와 L4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즉, 도 4a에서 L1, L2, 도 4b에서 L3, L4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화염 통로(127)의 외곽을 따라 이들 영역들(L1, L2, L3, L4)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외기 유입구(12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외기 유입홀(1231) 측으로 유입되어 미연 가스의 2차 연소를 가능케 한다.
상부(120a)에는 장작 연료 투입부(122)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제2 연소실(121) 내부로 목재 연료를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보충해 넣을 수 있다.
상부(120a)의 아래에서 화염구(125)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부(120b)에는, 관찰창(124), 제2 외기 유입구(126) 및 제1 재받이(128)가 구비된다.
관찰창(124)은 제2 화염 통로(127)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하기 위한 창으로서, 제2 화염 통로(127)에 연결된 제1 화염 통로(117) 측 상황도 함께 관찰할 수 있다. 관찰창(124)은 고정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개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외기 유입구(126)는 제2 화염 통로(127) 측으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연소실(121) 내의 목재 연료의 연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기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기 유입구(126)는 제1 외기 유입구(123)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2 외기 유입구(126)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별도의 외기 유입관(미도시)을 통해 연소실(121)의 내부, 그리고 제1 외기 유입구(123)가 형성된 부분까지 상부로 외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별도의 외기 유입관(미도시)은 장작 연료 연소부(120) 내에 위치한다.
제1 재받이(128)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소실(121) 내에서 목재 연료의 연소 이후 제2 화염 통로(127) 내로 낙하하는 재 또는 제2 화염 통로(127) 내에서의 2차 연소 이후에 낙하하는 재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하향식 장작 난로 연소부(120)에 있어서는 연소실(121) 내에서 대부분의 장작 연료가 완전 연소에 가깝게 연소가 이뤄지므로, 연소 후 발생하는 재는 일반적인 장작 연료 연소부(즉, 비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에서 연소 후 발생하는 재의 양에 비해 극히 적다.
장작 연료 연소부(120)에서 베이스부(120b)의 내부, 즉 제2 화염 통로(127)는 두 개의 영역(1271, 1272)으로 구분된다. 두 개의 영역(1271, 1272)을 각각 제1 영역(1271)과 제2 영역(1272)으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제1 영역(1271)은 제1 화염 통로(117) 측과 연결되는 통로이며, 제2 영역(1272)은 연소실(121)의 직하에 위치하여 연소실(121)에서의 장작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화염 및 미연 가스 등이 화염구(125)를 통해 통과한 직후의 영역이다.
장작 연료 연소부(120)는, 제1 재받이(128), 관찰창(124) 등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흙, 벽돌 및 모르타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장작 연료 연소부(120)에는 추가적으로 제2 화염 통로(127)에서의 2차 연소 이후 화염이 제1 화염 통로(117) 측으로 전달되기 전에 미연 가스를 3차 연소시키기 위해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재받이 겸 외기 유입구(129)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1 화염 통로(117) 측으로 그을음이나 재 등의 유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해물질 유입 방지판(127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재받이 겸 외기 유입구(129)에는 외기 유입구와 제2 재받이가 구비되어 연소에 필요한 외기를 추가로 더 유입시킬 수 있으며, 필요시 재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연소실(121)에서 장작 연료가 연소할 때의 화염, 열기, 연기 등의 이동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것은 최종적으로 연통(130)을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연기의 흐름 또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20b)의 내부에서의 화살표 흐름은, 차례대로 제2 영역(1272), 제1 영역(1271) 순으로의 화염의 흐름으로 볼 수 있다. 연소실(121) 내의 장작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화염 및 복사열은 제2 화염 통로(127) 및 제1 화염 통로(117)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바베큐 그릴(110) 내부에서 석쇠(113)에 놓인 바베큐 고기로 전달되어 바베큐 고기를 익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장작 연료 연소부(120)는 난로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제1 외기 유입구(123), 제2 외기 유입구(126), 및 재받이 겸 외기 유입구(129)는 필요에 따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개방되는 양을 조절하여 화염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바베큐 그릴 측으로 유입되는 그을음이나 기타 유해 물질이 바베큐 고기에 흡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장작 연료의 1차 연소, 미연 가스(unburned gas)의 2차 및 3차 연소를 통해 그을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연료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0 : 바베큐 그릴
120 : 장작 연료 연소부
130 : 연통

Claims (5)

  1. 바베큐 고기를 익히기 위한 화염 및 복사열을 상측으로 제공하는 제1 화염 통로(117)를 포함하는 바베큐 그릴(110);
    장작 연료의 1차 연소를 위한 연소실(121)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화염 통로 측으로 화염 및 복사열을 제공하도록 연결된 제2 화염 통로(127)를 포함하는, 장작 연료 연소부(120); 및
    상기 제1 화염 통로에 연결되는 연통(130);을 포함하며,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120)는,
    상기 제2 화염 통로(127) 내로 유입되는 미연 가스(unburned gas)를 2차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2 화염 통로 측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제1 외기 유입구(123)와, 상기 제1 외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화염 통로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23)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제2 화염 통로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내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외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외기는 차례대로 상기 내측 영역 및 상기 제2 화염 통로를 거쳐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는,
    상기 제1 외기 유입구(123)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화염 통로 내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2 외기 유입구(126)와,
    상기 제2 화염 통로에서의 2차 연소 이후 화염이 상기 제1 화염 통로 측으로 전달되기 전에 미연 가스를 3차 연소시키기 위해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재받이 겸 외기 유입구(1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는,
    상기 재받이 겸 외기 유입구(129)와 상기 제1 화염 통로(117)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화염 통로 측으로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해 물질 유입 방지판(12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베큐 그릴은,
    상기 제1 화염 통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화염 통로 측으로 유입되는 화염 및 복사열이 상기 연통으로 직접적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판(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작 연료 연소부(120)는,
    상기 제2 화염 통로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하기 위한 관찰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 장치.
KR1020200048504A 2020-04-22 2020-04-22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KR102316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504A KR102316959B1 (ko) 2020-04-22 2020-04-22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504A KR102316959B1 (ko) 2020-04-22 2020-04-22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959B1 true KR102316959B1 (ko) 2021-10-26

Family

ID=7826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504A KR102316959B1 (ko) 2020-04-22 2020-04-22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9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58007U (ko) * 1987-10-06 1989-04-11
JP2009019846A (ja) * 2007-07-13 2009-01-29 Masaji Furukawa 燃焼器具
KR200450693Y1 (ko) * 2009-12-24 2010-10-22 강연모 톱밥 난로
KR20190132597A (ko) * 2018-05-18 2019-11-28 김용학 다용도 화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58007U (ko) * 1987-10-06 1989-04-11
JP2009019846A (ja) * 2007-07-13 2009-01-29 Masaji Furukawa 燃焼器具
KR200450693Y1 (ko) * 2009-12-24 2010-10-22 강연모 톱밥 난로
KR20190132597A (ko) * 2018-05-18 2019-11-28 김용학 다용도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709A (en) Fuel burning stove
US6325000B1 (en) Waste incineration machine
KR102316959B1 (ko) 하향식 장작 연료 연소부를 갖는 바베큐 장치
US5931154A (en) Gas fireplace burner plate
KR20160050105A (ko) 하향 연소식 펠렛난로
CA2651538C (en) Fireplace combustion system
CN104566492A (zh) 兼具采暖、烧水、烧饭功能的柴炉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KR102011676B1 (ko) 벽난로
KR102320351B1 (ko) 연탄 연료와 목재 연료의 결합형 고효율 난로
KR20180001236A (ko) 외부 공기조절이 용이한 난로
RU2011927C1 (ru) Печь
KR100407205B1 (ko) 열효율을 개선한 가스 튀김기의 구조
KR102413149B1 (ko) 완전연소가 유도되는 화목난로
KR102412513B1 (ko) 자동 반복 연소 난로
KR102591827B1 (ko)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US3645248A (en) Constant burning pilot for double burner oven
JP2004232932A (ja) 薪焚き調理ストーブ
KR200294585Y1 (ko) 벽난로용 완전 연소장치
KR102414733B1 (ko) 화목난로
US20220268445A1 (en) Cabinet circulator solid fuel heater combustion system
RU202969U1 (ru) Печь-камин
KR890008260Y1 (ko) 훈육기(燻肉器)
KR101902815B1 (ko) 그릴장치
SU352092A1 (ru) Печь для отопления помещения и приготовленияпищ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