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344A - 다목적 화목 난로 - Google Patents

다목적 화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344A
KR20160054344A KR1020140153851A KR20140153851A KR20160054344A KR 20160054344 A KR20160054344 A KR 20160054344A KR 1020140153851 A KR1020140153851 A KR 1020140153851A KR 20140153851 A KR20140153851 A KR 20140153851A KR 20160054344 A KR20160054344 A KR 20160054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body portion
inle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583B1 (ko
Inventor
임창섭
Original Assignee
임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섭 filed Critical 임창섭
Priority to KR102014015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5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목적 화목 난로가 제공된다. 상기 화목 난로는, 연료 투입구가 일측에 개방 형성되고, 투입된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화실이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부; 및 일 영역에 투시창이 구비되며, 상기 연료 투입구를 개폐하는 화구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연료 투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표면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화구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료의 연소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화실에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화목 난로{MULTIPURPOSE FIREWOOD STOVE}
본 발명은 다목적 화목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유입부 및 유로 형성판을 통해 이중의 에어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투시창의 그을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목적 화목 난로에 관한 것이다.
난로라 함은, 나무, 석탄, 석유, 가스 따위의 연료를 연소시키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난방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난로 내부에서 가열된 열원의 방출에 의해 실내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최근, 주5일 근무제 도입 이후 주말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원주택과 펜션 이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난로와 같은 재래식 난방이 재조명을 받고 있다. 특히, 화목 난로는 나무 장작 등의 화목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로서, 고비용의 석유나 도시가스 연료의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난방 장치라는 점에서 전원주택, 펜션 등에서 보조 난방수단으로 매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통상적으로 화목 난로는 연료가 연소되는 화실, 연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연도, 화실 내로 연료를 공급하는 개폐식의 화구도어 등으로 구성되는데, 화구도어에는 내부의 연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화목 난로에 구비된 투시창은 화실 내부에서 나무 등이 연소됨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 그을음 등으로 인해 쉽게 오염됨으로써, 잦은 청소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오염된 상태를 장시간 방치할 경우, 육안으로 화실 내부를 확인하지 못할 정도로 투시창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그을음 등의 오염 물질의 제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화목 난로는 단순히 하나의 화실만으로 내부구조가 이루어진 관계로 인해, 연소로 발생한 열기가 화실 내부에서 오래 머물지 못하고 바로 연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버닝타임(Burning-time: 장작을 투입 후 재 투입하지 않고 장작을 태울 수 있는 최장시간)이 짧아 열의 활용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난방 효과도 미미하다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유입부 및 유로 형성판을 통해 이중의 에어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투시창의 그을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목적 화목 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실 내에서의 연소로 발생한 열기가 상체부를 거쳐 배출되는 동안 복수의 우회 패턴의 흐름을 갖도록 함으로써, 난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다목적 화목 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목적 화목 난로가 제공된다. 상기 화목 난로는, 연료 투입구가 일측에 개방 형성되고, 투입된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화실이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부; 및 일 영역에 투시창이 구비되며, 상기 연료 투입구를 개폐하는 화구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연료 투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표면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화구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료의 연소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화실에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유입부의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대하여 복수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 형성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유로 형성판을 중심으로 제 1 유입부 및 제 2 유입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유입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유로 형성판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시창과 인접하여 이동되도록 공기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시창에 그을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료의 연소로 발생한 열기의 배출 흐름을 안내하되, 수직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 중 일부와 연통되는 반면 수평부는 상기 몸체부의 다른 상단부와 이격 공간에 의해 분리되는 상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물을 채워 상기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기에 의해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보일러 순환 온수로 활용토록 한 탱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연료의 연소로 발생한 열기의 배출 흐름이 상기 상체부 내부로 이어질 수 있게, 상기 상체부와 연통하는 1차 대류구가 후방 일측 상단에 개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체부에는 상기 화실과 연통하는 열기 통로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열기 통로 내에서 열기의 흐름이 우회 상승토록 하기 위한 열류 변환판이 내부 중앙을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기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열류 변환판의 형성에 따라, 상, 하로 구획된 1차 우회로와 2차 우회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1, 2차 우회로의 상호 연통을 위한 2차 대류구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유입부 및 유로 형성판을 이용하여 자연 발생적으로 이중의 에어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투시창의 그을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원활한 산소 공급으로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실 내에서의 연소로 발생한 열기가 상체부를 거쳐 배출되는 동안 복수의 우회 패턴의 흐름을 갖도록 구현함으로써, 난로를 통해 장시간 열을 방출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실내 난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실의 그 외곽을 두르도록 형성된 온수챔버에 물을 저장하여, 연료의 연소에 따라 가열된 온수를 보일러 순환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비 절약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화목 난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화목 난로에 있어서, 공기 유입부 및 유로 형성판의 구현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화목 난로에 있어서, 공기 유입부 및 유로 형성판의 예시적인 작용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화목 난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다목적 화목 난로의 외부구조를 도시하고, 도 2는 다목적 화목 난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화목 난로(A)는 몸체부(1), 화구도어(2), 상체부(3) 및 탱크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는 실내온도 상승(난방)에 필요한 열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화목(예를 들어, 장작 등)의 연료를 집어넣고 불을 지펴 연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연료(w)의 투입을 위한 연료 투입구(11)가 개방 형성되고, 내부에는 연료(w)의 연소를 위한 화실(1a)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는, 바람직하게는, 수평의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 투입구(11)가 형성된 몸체부(1)의 일측에는, 연료 투입구(11)의 둘레를 따라, 몸체부(1)의 표면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의 선단 중 적어도 일부에 화구도어(2)의 내면이 밀착됨으로써, 연료 투입구(11)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12)에는 돌출부(12)의 하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소정의 형상의 공기 유입부(도 3의 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유입부(도 3의 13)는,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화구도어(2)의 내면이 돌출부(12)의 선단 중 적어도 일부와 밀착하게 되는 닫힌 상태에서, 연료(w)의 연소에 따라 외부로부터 화실(1a)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에는 화실(1a)의 하측으로 연료(w)의 연소로 발생한 재가 낙하 수집될 수 있도록 한 수집실(1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수집실(1b) 안으로 수용됨에 따라, 화실(1a)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연료(w)의 재를 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재받이(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의 후방 일측 상단에는 대류(Convection) 작용에 따른 열기의 배출 흐름이 상체부(3) 내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체부(3)와 연통하는 1차 대류구(1c)가 개통될 수 있다.
화구도어(2)는 연료 투입구(11)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돌출부(12)의 일 측단부에 힌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구도어(2)는,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해, 내면이 돌출부(12)의 선단 중 적어도 일부와 밀착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료 투입구(11)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화구도어(2)의 중앙부 일 영역에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화실(1a) 내의 연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투시창(21)은, 바람직하게는, 내열 유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화구도어(2)에는 유로 형성판(도 3의 22)이 화구도어(2)의 내면과 소정의 이격된 틈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형성판(도 3의 22)은 화구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공기 유입부(도 3의 13)의 상측으로 수직 배치되며, 공기 유입부(도 3의 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대하여 복수의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공기 유입부(도 3의 13) 및 유로 형성판(도 3의 22)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상체부(3)는 연료(w)의 연소로 발생한 열기의 배출 흐름을 안내함으로써, 실내난방에 필요한 열원이 난로 내부에서 오랜 시간 머물고 폐열로 낭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체부(3)는 몸체부(1)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부와 수직부로 구성된 "ㄱ"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수직부 끝단은 몸체부(1)의 상단부 중 일부, 즉, 몸체부(1)의 후방 일측 상단에 개통된 1차 대류구(1c)와 상호 연통되게 된다. 반면, 수평부는 이격 공간(3a)에 의해 몸체부(1)와 상호 분리되어, 수평부의 바닥면이 몸체부(1) 상단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화실(1a)의 외곽을 두르도록 물이 저장된 탱크부(4)와의 접촉 시 자체 과열온도로 인한 물의 증발을 억제하는 동시에 수분 접촉으로 인한 상체부(3) 표면의 성질변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하여, 상체부(3)의 내부에는 1차 대류구(1c)의 상측으로 연이어져 몸체부(1)와 평행 배치되는 열기 통로(3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열기 통로(3b)의 중앙을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는 열류 변환판(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류 변화판(31)이 열기 통로(3b)의 후방 내측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방 내측 단부면에는 닿지 않고 근접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열기 통로(3b)의 내부에는 열류 변환판(31)에 의해 상, 하로 구획되는 1차 우회로(3b-1) 및 2차 우회로(3b-2), 1차 우회로(3b-1)와 2차 우회로(3b-2)를 상호 연통시켜 열기가 2차 우회로(3b-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2차 대류구(3b-3)가 구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체부(3)의 후방 상단에는 연료(w)의 연소로 발생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 배출을 위한 연통을 연결할 수 있게 된 연도(32)가 에 상향 돌출된 상태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체부(3)의 구성을 통해, 연료(w)의 연소로 인해 발생한 열기는 화목 난로(A)의 내부에서 3회-우회(Three-Pass) 패턴의 이동 흐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연료(w)의 연소로 인해 발생한 열기는, 최초 화실(1a) 내부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흐름을 갖고, 이어서 1차 대류구(1c)를 통해 1차 우회로(3b-1)로 진입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이동 흐름을 갖게 되며, 다음으로, 2차 대류구(3b-3)를 통해 2차 우회로(2b-2)로 진입하여 다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이동하여 연도(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 흐름을 가지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a)는 열기가 화목 난로(A) 내에서 보다 오래 머물 수 있게 되어, 열기가 폐열로 낭비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그로 인한 모든 열원의 사용으로 실내난방의 효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체부(3)에는 상체부(3)의 전방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수용되어, 열기 통로(3b)를 통해 이동하는 열기를 이용해서 고구마 등의 음식물을 구울 수 있게 된 구이받이(3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탱크부(4)는 연료(w)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기를 통해 물을 가열함으로써, 보일러 순환 온수로 활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1)의 후방 측에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화실(1a)의 외곽을 두르도록 몸체부(1)의 내부공간 테두리 전체를 둘러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물을 채워넣을 수 있는 온수챔버(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온수챔버(41)에 채워진 상태로 열기에 의해 가열된 물을 보일러 온수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복수 이상의 온수관(42)이 적어도 일측 단부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화목 난로에 있어서, 공기 유입부 및 유로 형성판의 구현 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는 설명의 간이함을 위해, 돌출부 및 화구도어(열린 상태)를 포함하는 화목 난로의 일부만을 확대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에는 연료 투입구(11)의 둘레를 따라, 몸체부(1)의 표면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투입구(11)는,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료 투입구(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12)는 4개의 면을 가지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돌출부(12)에는, 돌출부(12)의 하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가로 방향으로 절개되어 개방됨으로써, 공기 유입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입부(13)가 형성된 돌출부(12)의 하측 일면은,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체부(1)의 표면으로부터 선단까지의 돌출 높이가 다른 일면의 돌출 높이보다 낮은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화구도어(2)가 열린 상태에서 힌지 이동을 통해 닫힌 상태가 되면, 돌출부(12)의 다른 일면의 선단은 화구도어(2)의 내면과 밀착되는 반면, 공기 유입부(13)가 형성된 돌출부(12)의 하측 일면의 선단은 화구도어(2)의 내면과 공기 유입부(13)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되며, 화실(1a) 내의 연료(w)가 연소됨 따라, 개방된 공기 유입부(13)를 통해 외부 공기가 화실(1a)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구도어(2)에는 유로 형성판(22)이 화구도어(2)의 내면과 소정의 이격된 틈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 형성판(22)은, 예를 들어, 소정의 두께를 가진 “ㄷ” 형상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돌출된 유로 형성판(22)의 양단이 화구도어(2)의 내면과 각각 결합됨으로써, 유로 형성판(22)은 화구도어(2)의 내면과 소정의 이격된 틈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유로 형성판(22)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술되는 바와 같이, 화구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공기 유입부(13)의 상측으로 수직 배치되며, 공기 유입부(13)를 제 1 유입부(도 4의 13-1) 및 제 2 유입부(도 4의 13-2)로 구획함으로써, 공기 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대하여 복수의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화목 난로에 있어서, 공기 유입부 및 유로 형성판의 예시적인 작용을 도시한다.
도 4에서는 화목 난로(A)의 화구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공기 유입부(13) 및 유로 형성판(22)의 작용이 화구도어(2) 및 돌출부(12)에 대한 일부 단면도를 통해 개념적으로 도시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공기 유입부(13)를 통해 외부로부터 화실(1a)로 공기가 유입되는 원리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화구도어(2)를 닫으면, 화구도어(2)의 내면이 돌출부(12)의 선단과 밀착하게 됨에 따라, 공기 유입구(13)만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연료(w)의 연소가 개시되면, 화실(1a)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산소 중 일부가 연료(w)의 연소를 위해 소모되는 한편, 열에 의해 데워진 공기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대류 현상에 의해 상승하여, 몸체부(1)와 연통되는 상체부(3)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연도(3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산소의 소모 및/또는 공기의 이동으로 인해 연소가 지속될수록 화실(1a) 내부의 압력이 외부보다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몸체부(1)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공기 유입부(13)를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의 공기가 화실(1a)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로 형성판(22)은 화구도어(2)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유입부(13)의 상측으로 수직 배치되게 됨으로써, 복수의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유입부(13)의 상측 중앙에 수직 배치된 유로 형성판(22)을 중심으로 하여, 공기 유입부(13)는 화구도어(2) 내면과 유로 형성판(22) 사이의 공간인 제 1 유입부(13-1)와 유로 형성판(22)과 돌출부(12)의 하측 일면의 선단 사이의 공간인 제 2 유입부(13-2)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입부(13-1)를 지나는 공기는 좁고 긴 화구도어(2) 내면과 유로 형성판(2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화구도어(2)의 내면(특히, 투시창(21))에 인접하여 상당한 높이만큼 상승하다가, 화실(1a)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되는 제 1 공기 유로(5a)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공기 유로(5a)가,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 등이 화구도어(2)에 근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일종의 에어 커튼(air curtain)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투시창(21)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유입부(13-2)를 지나는 공기는 유로 형성판(22)과 돌출부(12)의 하측 일면의 선단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제 2 공기 유로(5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 공기 유로(5b)는 최초 유로 형성판(22)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흐르다가 제 1 공기 유로(5a)만큼 상승하지 못하고, 화실(1a)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흐름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난로(A)는 공기 유입부(13) 및 유로 형성판(22)을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제 1 공기 유로(5a) 및 제 2 공기 유로(5b)로 구성되는 이중의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투시창(21)의 그을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원활한 산소 공급으로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화목 난로 1: 몸체부 1a: 화실
1b: 수집실 1c: 1차 대류구 2: 화구도어
3: 상체부 3a: 이격 공간 3b: 열기 통로
3b-1: 1차 우회로 3b-2: 2차 우회로 3b-3: 2차 대류구
4: 탱크부 5a: 제 1 공기 유로 5b: 제 2 공기 유로
11: 연료 투입구 12: 돌출부 13: 공기 유입부
13-1: 제 1 유입부 13-2: 제 2 유입부 14: 재받이
21: 투시창 22: 유로 형성판 31: 열류 변환판
32: 연도 33: 구이받이 41: 온수챔버
42: 온수관

Claims (7)

  1. 연료 투입구가 일측에 개방 형성되고, 투입된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화실이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부; 및
    일 영역에 투시창이 구비되며, 상기 연료 투입구를 개폐하는 화구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연료 투입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표면이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측 일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화구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료의 연소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화실에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목 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의 상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대하여 복수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 형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목적 화목 난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유로 형성판을 중심으로 제 1 유입부 및 제 2 유입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유입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유로 형성판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시창과 인접하여 이동되도록 공기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시창에 그을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목 난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료의 연소로 발생한 열기의 배출 흐름을 안내하되, 수직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 중 일부와 연통되는 반면 수평부는 상기 몸체부의 다른 상단부와 이격 공간에 의해 분리되는 상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물을 채워 상기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기에 의해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보일러 순환 온수로 활용토록 한 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목 난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연료의 연소로 발생한 열기의 배출 흐름이 상기 상체부 내부로 이어질 수 있게, 상기 상체부와 연통하는 1차 대류구가 후방 일측 상단에 개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목 난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에는 상기 화실과 연통하는 열기 통로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열기 통로 내에서 열기의 흐름이 우회 상승토록 하기 위한 열류 변환판이 내부 중앙을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목 난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열류 변환판의 형성에 따라, 상, 하로 구획된 1차 우회로와 2차 우회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1, 2차 우회로의 상호 연통을 위한 2차 대류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화목 난로.
KR1020140153851A 2014-11-06 2014-11-06 다목적 화목 난로 KR10170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51A KR101709583B1 (ko) 2014-11-06 2014-11-06 다목적 화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51A KR101709583B1 (ko) 2014-11-06 2014-11-06 다목적 화목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344A true KR20160054344A (ko) 2016-05-16
KR101709583B1 KR101709583B1 (ko) 2017-02-23

Family

ID=5610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851A KR101709583B1 (ko) 2014-11-06 2014-11-06 다목적 화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5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4106U1 (ru) * 2021-03-15 2021-05-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ОБАЗ" Банная печь
RU208217U1 (ru) * 2021-08-13 2021-12-08 Лилия Рамильевна Филипп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воды в каменку
RU209292U1 (ru) * 2021-09-17 2022-03-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ОБАЗ" Банная печ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586A (ja) * 1998-06-26 2000-01-18 Masuo Hikosaka 暖 炉
KR200285061Y1 (ko) * 2002-05-08 2002-08-14 정현진 벽난로 전면유리의 그을음 방지장치
KR100852910B1 (ko) * 2007-09-20 2008-08-20 박지안 그을음 및 연기 발생이 저감되는 난로
KR20140050977A (ko) * 2012-10-22 2014-04-30 임창섭 다목적 화목난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586A (ja) * 1998-06-26 2000-01-18 Masuo Hikosaka 暖 炉
KR200285061Y1 (ko) * 2002-05-08 2002-08-14 정현진 벽난로 전면유리의 그을음 방지장치
KR100852910B1 (ko) * 2007-09-20 2008-08-20 박지안 그을음 및 연기 발생이 저감되는 난로
KR20140050977A (ko) * 2012-10-22 2014-04-30 임창섭 다목적 화목난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4106U1 (ru) * 2021-03-15 2021-05-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ОБАЗ" Банная печь
RU208217U1 (ru) * 2021-08-13 2021-12-08 Лилия Рамильевна Филипп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воды в каменку
RU209292U1 (ru) * 2021-09-17 2022-03-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ОБАЗ" Банная печ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583B1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5264A (ko) 화목 난로
KR101709583B1 (ko) 다목적 화목 난로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KR101481295B1 (ko) 수평식 화목 난로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RU180744U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с каменкой
KR101377217B1 (ko) 대류형 화목 난로
KR200446195Y1 (ko) 우드펠릿 온수보일러
KR101248480B1 (ko)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RU2639233C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KR20110094505A (ko) 화목보일러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KR101434902B1 (ko) 벽난로가 결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후면이 개방된 보일러
KR20170070425A (ko)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KR101312963B1 (ko) 화목연소장치
KR102437889B1 (ko) 공기순환식 고온연소 화목난로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101535983B1 (ko) 화목온풍기
KR101622270B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101434900B1 (ko) 후면이 개방된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KR101958087B1 (ko) 수평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KR20160118705A (ko) 벽난로
RU157185U1 (ru) Печь пиролиз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