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194B1 - 건축물 출입문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출입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194B1
KR100586194B1 KR1020060025565A KR20060025565A KR100586194B1 KR 100586194 B1 KR100586194 B1 KR 100586194B1 KR 1020060025565 A KR1020060025565 A KR 1020060025565A KR 20060025565 A KR20060025565 A KR 20060025565A KR 100586194 B1 KR100586194 B1 KR 10058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aling material
entrance
building
entran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호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Priority to KR102006002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현관에 구비되는 현관 출입문의 상면과 바닥면에 존재하는 틈새에 밀봉재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현관출입문의 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출입문프레임에 착설되는 제1실링재;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현관출입문의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현관 바닥면의 대리석에 착설되는 제2실링재; 상기 제1실링재와 제2실링재에 구비되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설되는 슬릿판재; 그리고 건축물 현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대리석에 현관출입문의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의 설치홈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출입문구조를 제공한다.
제1실링재, 제2실링재, 현관출입문, 슬릿판재

Description

건축물 출입문 구조{DOOR STRUCTURE OF BUILDING}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구성하는 실링재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출입문에 설치된 실리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현관출입문 200 : 제1실링재
300 : 제2실링재 400 : 슬릿판재
500 : 볼트 600 : 대리석
700 : 힌지관통홀
본 발명은 건축물 현관출입문(doo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현관에 구비되는 현관출입문의 상면과 바닥면에 존재하는 틈새에 밀봉재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현관에는 현관 출입문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실내로 출입할 경우 현관출입문을 이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현관출입문은 현관을 이루는 벽체에 출입문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출입문프레임에 여닫이식 현관출입문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현관출입문은 양문 여닫이식과 외문 여닫이식이 주로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닫이식 자동문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여닫이식 현관출입문의 경우 출입문프레임과 현관출입문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여 외부로부터 틈새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므로 실내 난방에 저해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현관에 구비되는 현관출입문의 상면과 바닥면에 존재하는 틈새에 밀봉재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현관출입문 의 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출입문프레임에 착설되는 제1실링재;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현관출입문의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현관 바닥면의 대리석에 착설되는 제2실링재; 상기 제1실링재와 제2실링재에 구비되는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설되는 슬릿판재; 그리고 건축물 현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대리석에 현관출입문의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의 설치홈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출입문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실링재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바닥판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는 바닥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정 높이에서는 상호 연결되어 상면이 둥근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의 중간 높이에는 바닥판과 평행하도록 중간판재가 형성되어 상부중공과 하부중공으로 나뉘며, 상기 몸체부의 일정 위치에는 상면으로부터 중간판재까지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제거됨으로써 절개홈을 갖으며, 상기 절개홈의 위치에는 힌지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출입문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2실링재는 제1실링재와 같은 형상을 하면서 바닥판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몸체부가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출입문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슬릿판재는 제1실링재 및 제2실링재의 바닥판과 중간판재의 사이에 형 성되는 하부중공에 삽설되며, 상기 슬릿판재의 양측단은 하부중공으로부터 외부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며, 상기 슬릿판재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볼트홀에 볼트가 착설되면서 볼트에 의해 슬릿판재가 출입문프레임과 설치홈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출입문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현관에는 현관출입문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건축물의 내부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현관출입문은 벽체에 출입문프레임을 착설시키고, 상기 출입문프레임에는 현관출입문의 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실링재를 착설시키며, 상기 현관 바닥면에 착설된 대리석에는 일정 크기의 설치홈을 형성시킨 후 설치홈에 실링재를 착설시킨다. 상기 현관출입문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고무재질의 실링재를 설치함으로써 현관출입문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차가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구성하는 실링재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현관출입문에 설치된 실리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확대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축물의 현관에는 현관출입문(100)이 설치된다. 상기 현관출입문(100)은 현관의 상부벽체에 출입문프레임(110)을 설치한 다. 상기 출입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여닫이식 현관출입문(100)과 출입문프레임(110) 및 현관 바닥면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틈새를 통해 차가운 바람이 현관으로 유입된다.
상기 출입문프레임(110)에는 현관출입문(100)의 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무재질의 제1실링재(200)를 착설시킨다. 또한, 현관 바닥면에 착설되는 대리석(600)에는 현관출입문의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홈(610)을 현관출입문(100)의 좌우 폭에 맞게 형성시키고, 상기 설치홈(610)에는 제2실링재(300)가 착설된다. 상기 제1실링재(200)와 제2실링재(300)가 현관출입문(100)과 출입문프레임(110) 및 현관 바닥면의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틈새가 제1실링재(200) 및 제2실링재(300)에 의해 밀봉되어 틈새를 통해 차가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제1실링재(20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바닥판(210,310)과 그 바닥판(210,3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몸체부(220,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220,320)는 바닥판(210,3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20,320)는 바닥판(210,31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20,320)는 바닥판(210,310)의 양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정 높이에서는 상호 연결되어 상면이 둥근형상을 가지게 되며, 상기 몸체부(220,32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20,3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에는 중간 높이의 위치에 바닥판(210,310)과 평행하게 중간판재(240,340)가 형성되어 중공을 상부중공(250,350) 과 하부중공(230,330)으로 나누게 된다. 상기 몸체부(220,320)의 일정 위치에는 상면으로부터 중간판재(240,340)까지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제거됨으로써 절개홈(260,360)을 형성시키며, 상기 절개홈(260,360)의 위치에는 힌지관통홀(700)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관통홀(700)에는 현관출입문(100)의 힌지축(120)이 결합됨으로써 현관출입문(100)에 제1실링재(200)가 원활하게 착설된다.
상기 제2실링재(300)는 제1실링재(200)와 같은 형상을 하면서 바닥판(210,31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몸체부(220,320)가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몸체부(220,320)의 양측부로부터 바닥판(210,310)이 돌출되지 않고 바닥판(210,310)과 몸체부(220,320)의 양측면이 서로 일치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실링재(200) 및 제2실링재(300)에 구비되는 하부중공(230,330)에는 슬릿판재(400)가 삽설된다. 상기 슬릿판재(40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좁은 폭과 길이가 긴 판재이며, 상기 제1실링재(200) 및 제2실링재(300)의 바닥판(210,310)과 중간판재(240,34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중공(230,330)에 삽설된다. 상기 슬릿판재(400)는 제1실링재(200) 및 제2실링재(3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슬릿판재(400)의 양측단은 하부중공(230,330)으로부터 외부로 일정 길이가 돌출된다. 상기 슬릿판재(400)의 양측단에는 볼트홀(410)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홀(410)에 볼트(500)가 결합되면서 볼트(500)에 의해 슬릿판재(400)가 출입문프레임(110)과 설치홈(610)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슬릿판재(400)가 제1실링재(200)와 제2실링재(300)의 하부중공(230,330)에 삽설된 상태에서 슬릿판재(400)의 양측단에 구비된 볼트홀(410)에 볼트(500)를 결합시키면서 볼트(500)를 출입문프레임(110)과 설치홈(610)의 바닥면에 각각 착설시킴으로써 제1실링재(200)와 제2실링재(300)가 출입문프레임(110)과 설치홈(610)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제1실링재(200)와 제2실링재(300)를 구성하는 몸체부(220,320)의 일정 위치에는 상면으로부터 중간판재(240,340)까지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제거되어 절개홈(260,36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절개홈(260,360)이 형성된 중간판재(240,340)와 바닥판(210,310)에는 힌지관통홀(700)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관통홀(700)에 현관출입문(100)의 힌지축(120)이 결합된다. 상기 현관출입문(100)의 힌지축(120)이 힌지관통홀(700)에 결합됨으로써 제1실링재(200) 및 제2실링재(300)는 원활하게 현관출입문(100)의 직 상부와 직 하부에 각각 착설되어 제1실링재(200)와 제2실링재(300)가 밀봉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실링재(200)와 제2실링재(3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특히, 몸체부(220,3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중공(250,350)에 의해 제1실링재(200)와 제2실링재(300)의 상측이 압력에 의해 잘 수축된 후 원상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1실링재(200)와 제2실링재(300)가 현관출입문(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존재하는 틈새를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현관에는 현관출입문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건축물의 내부를 보호하게 되고, 상기 현관출입문은 벽체에 출입문프레임을 착설시키고, 상기 출입문프레임에는 현관출입문의 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실링재를 착설시키며, 상기 현관 바닥면에 착설된 대리석에는 일정 크기의 설치홈을 형성시킨 후 설치홈에 실링재를 착설시키며, 상기 현관출입문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고무재질의 실링재를 설치함으로써 현관출입문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차가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현관 출입문에 설치되고, 몸체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출입문 개폐시 이음부를 실링처리하도록 실링재가 설치된 건축물 출입문에 있어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현관출입문의 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출입문프레임에 착설되는 제1실링재;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실링재와 같은 형상을 하면서 바닥판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몸체부가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현관출입문의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현관 바닥면의 대리석에 착설되는 제2실링재;
    제1실링재 및 제2실링재의 바닥판과 중간판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중공에 삽설되고, 양측단은 하부중공으로부터 외부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며, 양측단에 구비되는 볼트홀에 볼트가 착설되면서 볼트에 의해 출입문프레임과 설치홈에 각각 고정되는 슬릿판재;
    그리고 건축물 현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대리석에 현관출입문의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의 설치홈;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출입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실링재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몸체부는 바닥판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몸체부는 바닥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정 높이에서는 상호 연결되어 상면이 둥근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의 중간 높이에는 바닥판과 평행하도록 중간판재가 형성되어 상부중공과 하부중공으로 나뉘며, 몸체부의 일정 위치에는 상면으로부터 중간판재까지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제거됨으로써 절개홈을 갖으며, 절개홈의 위치에는 힌지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출입문구조.
KR1020060025565A 2006-03-21 2006-03-21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10058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565A KR100586194B1 (ko) 2006-03-21 2006-03-21 건축물 출입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565A KR100586194B1 (ko) 2006-03-21 2006-03-21 건축물 출입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194B1 true KR100586194B1 (ko) 2006-06-08

Family

ID=3718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565A KR100586194B1 (ko) 2006-03-21 2006-03-21 건축물 출입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9657A (zh) * 2014-05-19 2014-09-03 覃健林 一种烘房门的密封结构
KR20150000737U (ko) * 2013-08-13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출입문이 구비된 장비 정비용 해치 구조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161Y1 (en) * 1994-02-16 1995-09-15 Kim Hyung Bae Sealing members of the door
JPH08199937A (ja) * 1995-01-25 1996-08-06 Tokin Corp シールド室の出入口の床面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186949Y1 (ko) 2000-01-21 2000-06-15 권순갑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KR200193672Y1 (ko) 2000-03-20 2000-08-16 김호철 도어용 방풍구조
KR200224332Y1 (ko) 2000-11-10 2001-05-15 이동윤 방풍용 몰드
KR200258369Y1 (ko) 2001-09-27 2001-12-29 윤성훈 차폐단을 이용한 접착형, 장착형 문풍지
KR200272198Y1 (ko) 2002-01-30 2002-04-17 나노 주식회사 도어용 바람막이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161Y1 (en) * 1994-02-16 1995-09-15 Kim Hyung Bae Sealing members of the door
JPH08199937A (ja) * 1995-01-25 1996-08-06 Tokin Corp シールド室の出入口の床面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186949Y1 (ko) 2000-01-21 2000-06-15 권순갑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KR200193672Y1 (ko) 2000-03-20 2000-08-16 김호철 도어용 방풍구조
KR200224332Y1 (ko) 2000-11-10 2001-05-15 이동윤 방풍용 몰드
KR200258369Y1 (ko) 2001-09-27 2001-12-29 윤성훈 차폐단을 이용한 접착형, 장착형 문풍지
KR200272198Y1 (ko) 2002-01-30 2002-04-17 나노 주식회사 도어용 바람막이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37U (ko) * 2013-08-13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출입문이 구비된 장비 정비용 해치 구조체
KR200486501Y1 (ko) * 2013-08-13 2018-07-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출입문이 구비된 장비 정비용 해치 구조체
CN104019657A (zh) * 2014-05-19 2014-09-03 覃健林 一种烘房门的密封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9379A1 (en) Door assembly
CN104818936A (zh) 密封装置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20090007577U (ko) 다중 기밀 방식의 창틀
KR100586194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200485380Y1 (ko)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KR200387062Y1 (ko) 창짝의 환기구조
KR20190071306A (ko) 창호 시스템
KR101129964B1 (ko) 조립식 통풍 창호
KR200438940Y1 (ko)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KR100675621B1 (ko)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20090113427A (ko) 미닫이 창문
KR101010298B1 (ko) 미닫이 창문
KR200399109Y1 (ko) 창문틀 빗물 유입 방지판
KR102655569B1 (ko) 기밀성과 방풍기능 향상 및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창틀하부프레임 구조
KR200377454Y1 (ko) 창틀용 배수구
JP4459760B2 (ja) サッシ
KR20200095024A (ko)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JP4581710B2 (ja) 免震住宅の外壁部における縁切構造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102601815B1 (ko) 구조가 간단하면서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창의 풍지판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KR102132265B1 (ko)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