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949Y1 -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 Google Patents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949Y1
KR200186949Y1 KR2020000001644U KR20000001644U KR200186949Y1 KR 200186949 Y1 KR200186949 Y1 KR 200186949Y1 KR 2020000001644 U KR2020000001644 U KR 2020000001644U KR 20000001644 U KR20000001644 U KR 20000001644U KR 200186949 Y1 KR200186949 Y1 KR 200186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support part
windshield
glass door
windbr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갑
Original Assignee
권순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갑 filed Critical 권순갑
Priority to KR2020000001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의 틈새를 차단하는 방풍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브라켓에 방풍부재를 결합하여 부착 사용토록 함에 따라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지지부(2) 일단에 방풍부(4)가 연장 형성되게 압축 성형하여 완제품을 얻도록 하므로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고, 또 지지부(2) 전면에 안내홈(10)을 형성해 주게 되면 적정길이의 안내롤러(12)를 이용하여 빈틈없이 신속하게 부착해 줄 수가 있으며, 그 전체는 폭이 좁고 납작한 형태로서 외관을 저해할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WINDBREAK BOARD FOR THE STRENGTHENED GLASS DOOR}
본 고안은 방화유리문과 문틀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데 이용되는 방풍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든 공공건물이나 빌딩 등의 현관 도어는 거의 모두 강화유리문이 설치되어 있을만큼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설치시 유리의 파손방지를 위하여는 문틀과의 사이 및 양 여닫이 문일 경우 타측 강화유리문과의 사이에 적정 폭의 틈새를 갖게 되므로 그 틈새를 방치할 경우 눈.비로 인한 물기와 먼지의 실내유입은 물론 외부의 공기유입으로 냉.난방을 제대로 유지할 수 없어 에너지 손실이 많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99-22626호에서와 같이 강화유리문 둘레에 경질로서 끼움홈과 체결홈을 갖는 브라켓을 부착 고정하여 상기 브라켓에 브러쉬나 부직포 또는 고무재 패드로 된 방풍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방풍부재가 틈새를 밀폐토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는 브라켓과 방풍부재가 별도로 제작되고 또 서로간에 결합수단을 갖게 하기 위하여는 견고하고 정밀하게 제작해 주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방풍판이 갖는 기능적인 측면에 비해 가격이 비싸 널리 이용될 수가 없고, 또 부착시 브라켓과 방풍부재를 결합해 주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브라켓은 방풍부재의 결합 수단을 갖기 위하여 경질로 제작되어야 하나 이러한 경우 문틀과 바닥이 강화유리문과 일직선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는 무방하나 휨이나 굴곡진 경우에는 비록 방풍부재가 유연성을 갖는다 하더라도 틈이 발생될 수밖에 없어 방풍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브라켓은 방풍부재와의 결합수단을 갖게 하기 위하여는 두껍게 형성해줄 수밖에 없어 비록 투명재로 제작해 준다 하더라도 외관상 크게 노출되고 또 브러쉬 등 방풍부재는 투명재로 제작해 줄 수가 없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단품으로서 압출 성형하여 완제품을 얻도록 하므로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고, 또 틈새가 갖는 간격이나 또는 문틀 및 바닥의 굴곡시에도 빈틈없이 부착할 수가 있어 방풍판으로서의 기능을 극대화시켜 줄 수가 있으며, 또한 폭이 좁고 얇은 두께로 제작할 수가 있어 부착시 미려한 외관을 갖는 강화유리문용 방풍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적정두께의 지지부 일단에 방풍부가 일체로 형성되게 압출 성형한 다음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토록 한 것으로서, 부착수단은 통상 양면테이프가 이용된다.
또한 본 고안을 성형 제조함에 있어서는 통상 투명재로 제작되나 원하는 색상으로 성형 제조할 수도 있고, 또 야광안료를 혼합 성형할 경우 야간에 발광으로 인한 미려한 외관 및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부 이면을 이용하여 부착하며, 상기 지지부 전면에는 수개의 안내홈을 형성해 주게 되면 틈새가 갖는 간격에 따라 적정길이를 갖는 안내롤러를 이용하여 빈틈없이 부착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방풍부는 지지부로부터 일직선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해 주고자 할 경우에는 2중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4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2')--지지부 (4)(4')(4')--방풍부
(6)--양면테이프 (8)--강화유리문
(10)--안내홈 (12)--안내롤러
(14)--문틀 (16)--걸림테
(18)--방풍판
본 고안은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압출 성형으로 제조하여 지지부(2)와 상기 지지부(2) 일단에 연장 형성된 방풍부(4)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 지지부(2)는 이면에 양면테이프(6)나 또는 각종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화유리문(8)에 접착 고정할 수 있을 만큼의 폭과 약간의 두께를 갖도록 하면 되며, 그 전면에는 수개의 안내홈(10)을 형성해 주게 되면 부착시 안내롤러(12)를 이용하여 휨에 약한 본 고안을 바르게 부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방풍부(4)는 복원력을 갖는 범위내에서 가급적 얇게 형성하여 유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착위치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할 수도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로서, 지지부(2) 일단에 방풍부(4)를 외측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하며, 이는 주로 양 여닫이 문일 경우 타측 강화유리문과의 사이에 갖는 틈새를 차단하는데 이용된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로서, 지지부(2') 일단에 방풍부(4')를 수평되게 형성한 구조로서, 이는 주로 문틀(14)과의 사이에 갖는 틈새를 차단하는데 이용된다.
도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로서, 지지부(2') 일단에 수평부와 경사부에 의해 2중 구조를 갖는 방풍부(4')를 형성한 구조로서, 이는 가장 취약한 바닥면과의 사이에 갖는 틈새를 차단하는데 이용되며, 2중에 의해 방풍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지지부(2) 이면의 평면부를 이용하여 양면테이프(6)나 또는 접착재로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연질로서 자유자재로 휨이 가능하므로 문틀 또는 바닥면의 굴곡에 따라 빈틈없이 접착해 줄 수가 있고, 또 부착위치에 따라 방풍부(4)를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연질로서 부착수단을 갖는 지지부(2)에 방풍부(4)가 연장 형성된 구조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부착시 지지부(2) 전면에 안내홈(10)이 형성된 경우 안내롤러(12)를 이용하여 부착해 주면 된다.
상기에 있어 안내롤러(12)는 지지부(12)의 안내홈(10)과 걸림수단을 갖는 걸림테(16)가 형성되며, 그 길이는 상기 걸림테(16)와 안내홈(10)의 걸림상태에서 지지부(2) 일단에 연장 형성된 방풍부(4)와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이면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안내롤러(12)를 이용한 본 고안의 부착시에는 지지부(2) 이면에 접착된 양면테이프(6)의 이면지를 제거하고, 안내롤러(12)의 걸림테(16)를 본 고안 방풍판(20)의 안내홈(10)과 결합한 다음 상기 안내롤러(12)의 단부를 문틀(14)이나 또는 바닥면과 접하게 한 상태에서 안내롤러(12)를 손바닥이나 기타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밀어주게 되면 본 고안 방풍판(18)이 양면테이프(6)에 의해 강화유리문(8) 외측에 접착되며, 이때 방풍부(4) 단부는 문틀(14) 또는 바닥면과 일정한 가압력으로 접하여 방풍판(18)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연질로서 자유자재로 휨이 가능하므로서 부착시 안내롤러(12)를 이용할 경우 문틀 또는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폭이나 또는 굴곡 유무에 관계없이 문틀 또는 바닥면과의 사이에 빈틈없이 부착 고정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이용되는 안내롤러(12)는 값싼 재질로 제작하여 1장의 강화유리문(8)을 기준으로 여유있게 절단된 방풍판(18)과 함께 포장하여 판매할 경우 값싼 경비로 누구나 쉽게 부착해 줄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지부(2)는 부착수단을 갖을만큼 폭이 좁고 얇은 두께이고, 또 상기 지지부(2)로부터 문틀 및 바닥면과의 사이에 갖는 틈새의 폭만큼 방풍부(4)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서 그 전체 폭을 약 20㎜∼25㎜ 정도이면 만족하므로 투명재로 성형 제조할 경우 외관상 거의 드러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반드시 투명재일 필요는 없으며, 원하는 색상으로 제작해 줄 수도 있고, 또 성형시 원료에 야광안료를 적정비율로 혼합 성형하게 되면 야간에 발광효과를 얻을 수가 있어 이는 별도의 추가 경비 없이 야간에 광고 효과도 기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부(2)에 방풍부(4)가 일체로 형성되게 단품으로 압출 성형하여 제조토록 하므로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고, 또 자체가 갖는 유연성 및 별도의 안내롤러(12)를 이용할 경우 빈틈없이 용이하게 부착해 줄 수가 있으며, 또한 폭이 좁고 납작한 형태로서 부착후에도 외관상 크게 돌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는 등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지지부(2) 일단에 방풍부(4)가 연장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판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2) 전면에 수개의 안내홈(14)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판
  3. 제1항에 있어서, 방풍부(4)는 지지부(2)로부터 외측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판
  4. 제1항에 있어서, 방풍부(4')를 2중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판
KR2020000001644U 2000-01-21 2000-01-21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KR200186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44U KR200186949Y1 (ko) 2000-01-21 2000-01-21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44U KR200186949Y1 (ko) 2000-01-21 2000-01-21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151A Division KR20010073944A (ko) 2000-01-24 2000-01-24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949Y1 true KR200186949Y1 (ko) 2000-06-15

Family

ID=1963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44U KR200186949Y1 (ko) 2000-01-21 2000-01-21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9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194B1 (ko) 2006-03-21 2006-06-08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101143699B1 (ko) * 2009-11-27 2012-05-09 최중경 문의 틈새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194B1 (ko) 2006-03-21 2006-06-08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101143699B1 (ko) * 2009-11-27 2012-05-09 최중경 문의 틈새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94B1 (ko) 차량용 도어 프레임
ATE512275T1 (de) Rahmenanordnung und verfahren zur sicherung von glasscheiben gegen aufprall
US20020078640A1 (en) Fastening member for a window and door assembly
US5269361A (en) Slat for a window blind
ATE301217T1 (de) Extrudiertes verbindungsprofil
KR200186949Y1 (ko)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KR20010073944A (ko) 강화 유리문용 방풍판
US5392577A (en) Decorative louvered door and method
KR101434429B1 (ko) 모자이크로 이루어지는 광고 건물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광고판
CN210263775U (zh) 一种护墙板平缝线装饰连接件
CN209360075U (zh) 封边条
KR100432749B1 (ko) 냉장고의 전면판넬 지지장치
CN209959060U (zh) 一种安装有装饰条的玻璃门
CN212002022U (zh) 一种玻璃装饰材料安装组件
CN218563434U (zh) 一种窄边内槽打胶固定结构
CN218493457U (zh) 一种玻璃门用便于安装拆卸的装饰条
CN219138225U (zh) 一种钢化玻璃装饰板
CN214658382U (zh) 一种组合装饰板
RU211482U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светодиодной подсветки
CN212926891U (zh) 一种带灯带的踢脚线
CN215873949U (zh) 一种镜柜门连接结构
CN218623875U (zh) 复合窗扇和外悬窗
CN219756211U (zh) 一种阳角装饰灯和墙体阳角装饰结构
CN214658424U (zh) 一种高装饰性墙板拼装结构
CN211369421U (zh) 一种踢脚线卡扣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