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476B1 - 창호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476B1
KR100648476B1 KR1020050018093A KR20050018093A KR100648476B1 KR 100648476 B1 KR100648476 B1 KR 100648476B1 KR 1020050018093 A KR1020050018093 A KR 1020050018093A KR 20050018093 A KR20050018093 A KR 20050018093A KR 100648476 B1 KR100648476 B1 KR 10064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dow
ventilation
windows
ventil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841A (ko
Inventor
김준헌
고종이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47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00Hand rubbing apparatus
    • D06F3/02Rubb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90Basins movable between sever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창호에 설치 사용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것으로,종래 유리(52)가 설치되어 있는 창짝(5) 또는 유리(52)의 외부에 설치, 사용되는 환기장치(10')의 문제점인 조망권이 침해되며, 설치후 유지보수 및 청결유지를 위한 청소가 곤란하며, 제작시의 제작공수 증가등의 문제점을 해결할수가 있으며, 특히 환기장치를 창호에 설치 사용시, 내풍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및 소음을 분산시켜 소음 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가 있으며, 그의 설치가 용이한 등의 창호용 환기장치(10)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외부공기 유입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대칭되는 구조의 다수개의 소음분산구(13,13a,13b,13c,13d)및 모헤어(14,14a), 유로(15)가 형성되어 있는 등의 몸체(1) 및 상기 몸체(1)의 상부에 결합되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는 등의 상부카바(2), 외부공기를 실내로 배출시 배출량을 조절할수 있는 공기배출조절구(34)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카바(3)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환기장치(10)를 창틀(4)의 외부에 설치 사용 함으로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동시에, 쾌적한 시야 확보 및 청결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수가 있으며,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사용시 내풍압성 저하 방지 및 몸체(1)를 분리하여 청소를 할수가 있으므로 본 환기장치(10)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 시킬수가 있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가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환기장치, 창호, 창틀, 창짝, 몸체, 상부카바, 전면카바, 유로, 모헤어

Description

창호용 환기장치{ventilation equipment use for pvc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를 확대,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의 결합된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의 몸체가 상부카바에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의 전면카바 및 공기유입조절구가 개폐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가 창틀에 설치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환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환기장치
1 : 몸체
11 : 본체 12,12a : 돌턱
13,13a,13b,13c,13d : 소음분산구
14,14a : 모헤어 15 : 유로
16 : 절곡선
2 : 상부카바
21 : 본체 22 : 공기유입구
23,23a : 요홈 24 : 중앙면
25 : 창틀체결부 26 ; 절곡선
3 : 전면카바
31 : 본체 32 : 공기배출구
33,33a : 돌턱 34 : 공기배출조절구
34a : 개폐부 34b : 조절구
4 : 창틀
5 : 창짝
51 : 골재 52 : 유리
53,53a : 연결구
6 : 실내
7 : 실외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창호에 설치 사용되는 창호용 환기장치에 관한것으로, 일반적으로 아파트등의 고층건물의 증가추세에 따라 고층에 위치한 세대의 풍압의 중요성과 함께 실내 환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따라서 건물설계시 중앙 공조 시스템으로 설계하여 건물의 전체적인 환기를 하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각세대에 제공되는 공기의 질에 대한 의구심이 발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세대에 설치,시공되는 창짝의 표면에 외부공기 유입을 위한 다수개의 구멍을 개공하여 사용 하거나, 상기 창짝에 설치되어 있는 유리의 상,하부면에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 시킬수가 있는 환기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나, 상기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위하여 창짝의 표면을 다수개의 개공처리를 함으로서, 창짝의 내풍압성 및 단열성 등의 물성 저하 및 미관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창짝(5)내의 유리(52)의 상,하부 외부면에 별도의 연결구(53,53a)등을 설치하여, 상기 연결구(53,53a)에 환기장치(10')를 부착,사용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소비자가 사용시 환기장치(10')가 부착, 사용되는 면적 만큼의 조망권이 침해되고, 설치후 해체가 불가하여 그의 유지보수 및 청결유지를 위한 청소등의 작업이 곤란하며, 창짝(5)의 골재(51) 또는 유리(52)의 상,하부 외부면에 설치를 위한 환기장치(10')의 구성 부품이 복잡하여 제작공수가 증가 되었으며, 별 도의 연결구(53,53a)를 유리(52)의 상,하부 외부면등에 부착한후 상기 환기장치
(10')를 연결구(53,53a)의 상,하부 연결턱에 설치하여야 함으로, 작업성 저하 및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으며, 그의 설치가 번잡하였고, 특히 창짝에 부착 사용함으로 인하여, 창짝의 내풍압성 성능이 저하되어 외부의 바람 및 외압에 견디지 못하여 사용이 곤란하였으며, 외부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및 소음이 그대로 실내로 전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그의 구성부품이 간단하고,설치가 용이한 등의 구조로 구성된 창호용 환기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안출된 발명으로서, 종래 유리가 설치되어 있는 창짝 또는 유리의 상,하부에 설치 사용되는 환기장치의 문제점인 조망권 침해 및, 설치후 유지보수 및 청결유지를 위한 청소등의 작업이 곤란하며, 제작시의 제작공수가 증가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수가 있으며, 특히 상기 환기장치를 창호에 설치 사용시, 바람 및 외압등에 의한 창호자체의 내풍압성을 그대로 유지시켜 내풍압성이 저하 되는 것을 방지 할수가 있으며, 그의 설치가 용이한 등의 구조로 구성 되어 있는 창호용 환기장치를 제공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의 구성은;
1) 몸체
2) 상부카바
3) 전면카바 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의하여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를 확대,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의 결합된상태를 확대 도시한 참고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의 몸체가 상부카바에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의 전면카바 및 공기유입조절구가 개폐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가 창틀에 설치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10)는 몸체(1) 및 상부카바(2), 전면카바(3)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를 상부카바(2)에 결합후, 전면카바(3)를 상부카바(2)의 전면에 결합하여, 창틀(4)상부면의 외부에 설치를 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는 소정두께의 직사각형 형태의 판인 본체(11)의 상부 전,후면에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 하기위한 모헤어(14,14a)/(방풍털이라고도 함)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헤어(14,14a)의 측면 및 본체(11)의 중앙부위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직접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직육면체 형태의 소음분산구(13,13a,13b,13c,13d)가 역배열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수개의 소음분산구(13,13a,13b,13c,13d)에 의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소음분산구와 소음분산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인 유로(15)에 의하여 S자 형태로 이동을 하여 실내로 유입이 되게 되어, 외부공기의 직접 유입 및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풍압의 저하 및 소음을 방지할수가 있으며;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상부 전면부에 본 발명의 환기구(10)를 창틀(4)외부에 설치시 창틀(4)의 폭에 따라 그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절곡이 되어 있는 다수개의 절곡선(1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곡선(16)을 절취할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1)의 좌,우측 측면에,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턱(12,12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턱(12,12a)을 상부카바(2)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23,23a)에 삽입 또는 분리를 함으로서, 착탈식으로 상기 몸체(1)를 상부카바(2)에 결합 및 해체를 할 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 중 상기 몸체(1) 및 상부카바(2)의 유지관리를 위한 보수 또는 청소가 필요할시는 착탈식으로 상기 몸체(1)를 상부카바(2)에서 해체,분리하여 보수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카바(2)는 "ㄱ"자 형태의 본체(21) 및 상기 본체(21) 외부의 저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될수 있는 빈 공간인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구(22)를 통하여 본체(21)의 내면으로 유입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본체(21)내부의 좌,우측 측면에 상기 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돌턱(12,12a)이 삽입될수 있는 요홈(23,23a)이 본체의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어, 착탈식으로 상기 몸체(1)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ㄱ"자 형태의 본체(21)를 창틀(4)상부면의 외부에 삽입 할수 있도록, 본체(21)의 중앙면(24) 하부를 창틀(4)의 폭과 일치하는 길이 및 소정높이의 면적을 갖는 공간으로 형성하여, 상기 공간인 창틀체결부(25)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환기장치(10)를 창틀(4)상부면의 외부에 삽입,설치를 하여 사용할수가 있으며, 본체(21)상부 전면부에 상기 몸체(1)의 절곡선(16)과 연동되어, 본 발명의 환기구(10)를 창틀(4)외부에 설치시 창틀(4)의 폭에 따라 그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절곡이 되어 있는 다수개의 절곡선(2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곡선(26)을 절취할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 한바와 같이, 상기 전면카바(3)는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31) 및 상기 본체(31)의 전면에 상기 몸체(1) 및 상부카바(2)를 거쳐 실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배출할수 있는 타원형상으로 개공 처리가 되어 있는 공기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공기의 배출시 그 배출량을 조절할수 있도록 상기 공 기배출구(32)내에 삽입,체결되어 좌우로 이동이 되어 개폐가 가능한 구조의 사각형 형상의 개폐부(34a) 및 원통형상의 조절구(34b)로 구성되어 있는 공기배출조절구(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이 그 양측면에 상기 상부카바 요홈(23,23a)의 전면부위에 결합되는 소정길이로 연장된 형태의 돌턱(33,3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카바(2)의 요홈(23,23a)의 전면에 착탈식으로 삽입,결합 및 분리,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10)를 창틀(4)상부면의 외부에 삽입만을 한후, 종래 창틀(4)의 시공방법인 마감몰탈을 사용하여 벽면에 결합 사용하는 구성으로, 창틀(4)의 벽면 결합시 결합력 및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사출물을 창틀(4)상부면의 외부에 부착을 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본 발명의 환기장치(10)를 상기 용도로도 공히 사용 할수가 있으므로, 별도의 사출물을 창틀(4)에 부착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시공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 구성중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장치(10)를 동일한 기술사상으로 창틀(4)의 하부면 외부나 창짝(5)의 상,하부면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할수도 있으며,상기 몸체(1)의 본체(11)내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장형의 돌턱(12,12a) 및 상기 상부카바(2)의 본체(21)내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장형의 요홈(23,23a)을 연장 시키지 않은 소정길이의 짧은 돌턱 및 요홈으로 다수개를 상기 본체(11,21)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사용 할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환기장치는 종래기술의 유리가 설치되어 있는 창짝(40) 또는 유리의 상,하부에 설치 사용되는 환기장치의 문제점인 조망권 침해 및, 설치후 유지보수 및 청결유지를 위한 청소등의 작업이 곤란하며, 제작시의 제작공수가 증가 되는 등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하였으며, 그 구성부품이 간단하여 작업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할수가 있는 동시에, 미관 향상 및 그의 설치가 용이하며, 특히 바람 및 외압등에 의한 내풍압성등의 물성 향상, 항상 청결한 외부공기를 실내로 제공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져올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Claims (7)

  1. 실내 환기를 위한 창호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창호용 환기장치(10)가 몸체
    (1) 및 상부카바(2), 전면카바(3)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및 전면카바 본체(11,31)의 측면에 본체의 내측면으로 연장된 형태의 돌턱(12,12a,33,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카바 본체(21)의 양측면에 상기 돌턱(12,12a,33,33a)이 결합되는 본체(21)의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요홈(23,2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1)및 상부카바(2),전면카바(3)를 착탈식으로 결합 및 분리, 해체를 할수가 있으며,
    상기 본체(21)의 외부 저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될수 있는 빈 공간인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31)의 전면에 외부공기를 실내로 배출할수 있는 개공 처리가 되어 있는 공기배출구(32)가 형성되어,외부공기를 실내로 공급할수가 있고, 상기 본체(21)의 중앙면(24) 하부에 창틀(4)의 외부에 결합을 할수가 있도록, 창틀
    (4)의 폭과 일치하는 길이 및 소정높이의 면적을 갖는 공간인 창틀체결부(25)가 형성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가 판형태의 본체(11) 및 상기 본체(11)의
    상부 전,후면에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 하기위한, 모헤어(14,14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헤어(14,14a)의 측면 및 본체(11)의 중앙부위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풍압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소음분산구(13,13a,13b,13c,13d)가 역배열로 형성되어 있어,상기 다수개의 소음분산구(13,13a,13b,13c,13d)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소음분산구와 소음분산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인 유로(15)에 의하여 S자 형태로 이동을 하여 실내로 유입이 되게큼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카바(3)가 "ㄱ"자 형태의 본체(31) 및 본체(3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배출구(32)에 삽입,체결되어 좌우로 이동이 되어 개폐가 가능한 구조의 사각형 형상의 개폐부(34a) 및 원통형상의 조절구(34b)로 구성된 공기배출조절구(34)가 형성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용 환기장치(10)를 창짝(5)의 외부면에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턱(12,12a,33,33a) 및 요홈(23,23a)을 다수개의 짧은 길이의 돌턱 및 요홈으로 형성하여 사용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6.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21)의 전면에 그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절곡이 되어 있는 다수개의 절곡선(16,26)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환기장치.
  7. 삭제
KR1020050018093A 2005-03-04 2005-03-04 창호용 환기장치 KR10064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093A KR100648476B1 (ko) 2005-03-04 2005-03-04 창호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093A KR100648476B1 (ko) 2005-03-04 2005-03-04 창호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41A KR20060096841A (ko) 2006-09-13
KR100648476B1 true KR100648476B1 (ko) 2006-11-27

Family

ID=3762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093A KR100648476B1 (ko) 2005-03-04 2005-03-04 창호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83B1 (ko) 2020-05-25 2020-08-31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환기 기능을 갖춘 창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486B1 (ko) * 2005-11-30 2007-01-3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KR100937685B1 (ko) * 2008-02-26 2010-01-19 메코시스 주식회사 슬랫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83B1 (ko) 2020-05-25 2020-08-31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환기 기능을 갖춘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41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449B1 (ko)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CN102869924B (zh) 用于窗户的通风设备
KR100648476B1 (ko) 창호용 환기장치
JP4730906B2 (ja) 通気路付き開口枠
US20120199225A1 (en) Plastic duct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090081331A (ko) 강화 유리벽 샤시 구조체
KR20090007577U (ko) 다중 기밀 방식의 창틀
RU2559551C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на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CN109425066A (zh) 汇流全热交换器
CN200971730Y (zh) 一种门窗用通风器
KR100675621B1 (ko) 창짝의 환기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JP2010121274A (ja) 防雨ルーバー
KR200387062Y1 (ko) 창짝의 환기구조
KR20080047112A (ko) 공기정화용 창호
JP4267582B2 (ja) 建具
KR101035950B1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WO2003071075A3 (en) Window and window frame structure thereof
JP4775022B2 (ja) 熱交換換気装置
WO20160937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on
JPH04366327A (ja) 排水ホース
KR102534370B1 (ko) 커튼월 구조를 갖는 환기 시스템
KR102538734B1 (ko) 커튼월 구조를 갖는 환기 시스템의 창틀 구조체
KR20080047121A (ko) 공기정화용 이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