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486B1 -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 Google Patents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486B1
KR100675486B1 KR1020050115263A KR20050115263A KR100675486B1 KR 100675486 B1 KR100675486 B1 KR 100675486B1 KR 1020050115263 A KR1020050115263 A KR 1020050115263A KR 20050115263 A KR20050115263 A KR 20050115263A KR 100675486 B1 KR100675486 B1 KR 10067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closing
closing devi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권
최영락
박선효
백기성
배상환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거세대에서의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맞바람을 이용하여 주거세대에서의 환기를 용이하게 하며 부가적으로 방음성능도 확보할 수 있는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에 있어서, 문의 전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대각선 방향으로 문의 후면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취출구; 상기 흡입구 및 취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시스템; 및 문 내부에 일정간격마다 교호되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최대한의 경로를 통해 상기 취출구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guide vane)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시스템은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개폐장치; 상기 취출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 개폐장치; 및 상기 제1 개폐장치와 제2 개폐장치를 상호 연결하여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개폐장치와 제2 개폐장치는 상단은 그물망 등으로 형성된 개구부로 형성되고 하단은 폐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맞바람 형성이 불가능한 주거환경에 있어서 현관문을 열지 않고도 외부의 소음을 전달시키지 않으면서 맞바람을 이용한 환기가 가능하게 한다.
환기, 방음, 소음, 현관문

Description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Soundproof ventilation door}
도1은 종래 현관문의 일반적인 내부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의 내부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 및 취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 및 취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 및 취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모사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관문 11 : 흡입구
12 : 취출구 13 : 개폐시스템
14 : 가이드 베인 131 : 제1 개폐장치
132 : 제2 개폐장치 133 : 구동부
134 : 개구부 135 : 폐구부
본 발명은 다기능 문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맞바람을 이용하여 주거 세대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는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주거형 오피스텔 및 주상복합 아파트 등은 기존의 아파트에 비해 거주환경에서의 기밀성은 증가한 데 반해 주거건물에 대한 환기수준은 시간당 0.2회에 그치고 있어 실내공기질의 악화가 예상되며, 장기적으로 거주자의 건강을 해칠 위험이 있다.
일반적으로 주거건물에 요구되는 환기수준은 최소 시간당 0.7회 가량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주거형태의 경우 대부분 편복도, 중복도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 마주보고 있는 창호를 개방하여 자연적으로 맞바람을 이용한 실내 환기를 유도하기가 어려운 평면구성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거주자들은 실내에 별도의 공기정화기를 구비하거나, 그렇지 못한 세대는 전체 실내 환기를 위해 정규적으로 창호와 함께 세대 현관문을 개방하여 맞바람을 이용한 환기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현관문을 열어 환기하는 방법은 거주자가 번번히 세대 현관문을 열어야 하는 편의성 문제, 세대의 주출입구를 개방하므로 발생하는 보안 문제 및 사생활 보호의 문제, 외부 공용공간에서의 소음유입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 일반적인 현관문의 구조는, 도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철판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되어 내부에는 현관문의 형상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프레임(1)이 형성되고, 현관문과 벽체 사이의 틀은 기밀성능 및 차음성능을 높이고자 가스켓 등을 설치하여 기밀하게 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현관문은 차음성능 및 기밀성능은 우수한 반면, 편복도 형태 등의 평면구조를 가지는 세대에 설치될 경우 맞바람을 이용하여 실내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현관문 전체를 열어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최근에는 일반 주거용 건물에도 천장에서 강제로 실내 내부공기를 취출하고 외부의 신선공기를 도입하는 강제 환기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나 이는 건설비용 중 설비비의 증가가 발생되고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맞바람을 이용하여 주거세대에서의 환기를 용이하게 하며 부가적으로 방음성능도 확보할 수 있는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에 있어서, 문의 전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대각선 방향으로 문의 후면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취출구; 상기 흡입구 및 취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시스템; 및 문 내부에 일정간격마다 교호되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최대한의 경로를 통해 상기 취출구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guide vane)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시스템은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개폐장치; 상기 취출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 개폐장치; 및 상기 제1 개폐장치와 제2 개폐장치를 상호 연결하여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개폐장치와 제2 개폐장치는 상단은 그물망 등으로 형성된 개구부로 형성되고 하단은 폐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의 내부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 및 취출구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음형 환기 현관문(10)은, 현관문의 전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1)와, 상기 흡입구(11)와 대각선 방향으로 현관문의 후면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취출구(12)와, 상기 흡입구(11) 및 취출구(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시스템(13), 및 현관문 내부에 상호 교호되게 형성된 가이드 베인(14, guide vane)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11)와 취출구(12)는 현관문 전면과 후면에 각기 형성되되, 현관문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최대한 긴 경로를 가질 수 있도록 상호 대각선 방향의 상·하부에 각기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구(11)는 현관문 전면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취출구(12)는 후면 하부에 형성하여 통상적으로 외기보다 더운 실내 공기가 자연적으로 외부로 환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다 원활한 환기를 위해 상기 흡입구(11) 및/또는 취출구(12)의 내부에는 환풍기(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강제 환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환풍기는 상기 개폐시스템(13)에 의해 상기 흡입구(11)와 취출구(12)가 개방됨과 동시에 같이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시스템(13)은 현관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11) 및 취출구(12)를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흡입구(11)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개폐장치(131)와, 상기 취출구(12)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 개폐장치(132), 및 상기 제1 개폐장치(131)와 제2 개폐장치(132)를 상호 연결하여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1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개폐장치(131)와 제2 개폐장치(132)는 상단은 그물망 등으로 형성된 개구부(134)로 형성되고 하단은 폐구부(135)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폐장치(131)와 상기 제2 개폐장치(132)가 상기 구동부(133)에 의해 상부로 이동될 경우 상기 개구부(134)가 현관문의 흡입구(11) 및 취출구(12)와 일치하게 되어 외부 공기가 현관문 내부로 유입가능하게 되는 반면, 상기 제1 개폐장치(131)와 상기 제2 개폐장치(132)가 상기 구동부(133)에 의해 하부로 이동될 경우 상기 폐구부(135)가 현관문의 흡입구(11) 및 취출구(12)와 일치하게 되어 외부 공기가 현관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4a 및 도4b는 상기 개폐시스템(13)에 의해 상기 흡입구(11) 및 취출구(12)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베인(14)은 현관문 내부에 상호 교호되게 배치되어 현관문의 구조적 프레임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구(11)로 흡입된 공기가 최대한의 경로를 통해 상기 취출구(12)로 취출될 수 있도록 흡입된 공기의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
도5는 상기 흡입구(11) 및 취출구(12)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모사도로서, 상기 흡입구(11)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 베인(14)의 경로를 따라 상기 취출구(12)로 취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현관문 내에서 환기를 위한 공기의 흐름 경로를 길게 할 경우, 주거내부 공기를 맞바람을 이용하여 환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통풍구를 구비한 현관문에 비해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소음을 차단하고, 세대 내의 프라이버시는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공기의 흡입 및 취출시 발생하는 유속소음 및 외부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베인(14) 및 현관문 내부 공기 통로에 방음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음재의 재료로는 불연성과 흡음성이 보장되는 유리면, 암면, 발포우레탄, 발포폴리에스테르, 멜라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가 원할 때 현관문의 개폐시스템을 개방하여 현관문을 전체 개방하지 않고도 충분한 환기를 유도하되, 내부의 장거리 가이드 베인 및 방음재를 이용하여 환기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방지하고 현관문을 개방하지 않음으로 인해 세대내 프라이버시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에 있어서,
    문의 전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대각선 방향으로 문의 후면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취출구;
    상기 흡입구 및 취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시스템; 및
    문 내부에 일정간격마다 교호되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최대한의 경로를 통해 상기 취출구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베인(guide vane)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시스템은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개폐장치;
    상기 취출구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 개폐장치; 및
    상기 제1 개폐장치와 제2 개폐장치를 상호 연결하여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개폐장치와 제2 개폐장치는 상단은 그물망 등으로 형성된 개구부로 형성되고 하단은 폐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50115263A 2005-11-30 2005-11-30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KR100675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263A KR100675486B1 (ko) 2005-11-30 2005-11-30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263A KR100675486B1 (ko) 2005-11-30 2005-11-30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486B1 true KR100675486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263A KR100675486B1 (ko) 2005-11-30 2005-11-30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85B1 (ko) 2008-02-26 2010-01-19 메코시스 주식회사 슬랫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9594U (ko) * 1978-11-01 1980-05-13
JPS57133792U (ko) * 1981-02-16 1982-08-20
KR200374308Y1 (ko) * 2004-09-17 2005-01-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060096841A (ko) * 2005-03-04 2006-09-13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호용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9594U (ko) * 1978-11-01 1980-05-13
JPS57133792U (ko) * 1981-02-16 1982-08-20
KR200374308Y1 (ko) * 2004-09-17 2005-01-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060096841A (ko) * 2005-03-04 2006-09-13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호용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85B1 (ko) 2008-02-26 2010-01-19 메코시스 주식회사 슬랫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9824A (en) Double window apparatus
KR100807273B1 (ko)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RU2594454C1 (ru) Окно, имеющее систему вентиляции
JP3746216B2 (ja) 換気機構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および建物の換気構造
CN101787843A (zh) 一种隔音除尘透气装置
KR100675486B1 (ko) 방음형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문
CN201627511U (zh) 一种隔音除尘透气装置
CN201228511Y (zh) 凸窗用自然通风消声器
CN105239894A (zh) 通风门
JP2002021234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換気ユニット
KR20200113529A (ko)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KR20090028667A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CN104790841A (zh) 隔音防雨百叶窗
KR101012282B1 (ko) 건축물의 벽체에 형성된 환기 구조
JP4996850B2 (ja) 建物の間仕切り構造
KR100662659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문
CN201354569Y (zh) 通风消音和隔音两用窗
JP2002013359A (ja) 自然換気用建具
JP2005146838A (ja) 建物
CN217501495U (zh) 一种带有通风换气功能的防盗门
KR200391419Y1 (ko)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
CN217925530U (zh) 一种幕墙通风窗
JP5467755B2 (ja) 建物
JP2005350890A (ja) 建物の換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