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972B1 -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972B1
KR102188972B1 KR1020200041474A KR20200041474A KR102188972B1 KR 102188972 B1 KR102188972 B1 KR 102188972B1 KR 1020200041474 A KR1020200041474 A KR 1020200041474A KR 20200041474 A KR20200041474 A KR 20200041474A KR 102188972 B1 KR102188972 B1 KR 102188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outdoor air
unit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태연
Original Assignee
원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태연 filed Critical 원태연
Priority to KR102020004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72B1/ko
Priority to EP21719016.4A priority patent/EP3913293B1/en
Priority to PCT/KR2021/002478 priority patent/WO2021206292A1/ko
Priority to CN202110348301.3A priority patent/CN113494750B/zh
Priority to US17/222,167 priority patent/US119136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penetrating a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3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for displaying temperature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구획되고,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에 청정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함체유닛; 실내공기 배기공간에 설치되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실내공기가 실내공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제1 공기순환팬으로 구성된 제1 공기순환유닛;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에 설치되며,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제2 공기순환팬으로 구성된 제2 공기순환유닛; 실내공기 도입공간과 장착공간 사이에 설치된 제1 프리필터 및 실외공기 도입공간과 장착공간 사이에 설치된 제2 프리필터와 헤파필터+탈취필터로 구성되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불순물과 실외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공기청정유닛;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다른 관로를 통해 교차 통과하는 장착공간에 설치되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전열교환기; 제1 공기순환유닛과 제2 공기순환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함체유닛을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Window mounted Smart Clean Ventilation purifier}
본 발명은 환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환기청정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순환을 통한 환기는 물론, 실외공기를 별도의 공기청정유닛을 통해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생활을 영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정화된 청정한 실외공기의 실내공급시 그 온도를 실내온도에 근접한 수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쾌적한 실내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내보내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환기가 필수다.
따라서, 공동주택, 사무실 및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환기는 창문을 개방하거나 자연 바람에 의해 실내공기를 실외로 대체하는 자연순환방식과 환풍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대체하는 강제순환 방식으로 구분되며, 이를 통상적으로 환기청정기라 한다.
그리고, 근래에 환기청정기는 내부의 오염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여 환기시키는 환기장치와 실내오염공기를 가지고 신선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공기청정기가 따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천정에 설치되는 반면, 상기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 장치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환기장치와 공기청정기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환기장치에 의한 환기 시, 집진 및 탈취능력이 부족하여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필터링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공기청정기만을 사용 시에는 집진 및 탈취능력만으로는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환기장치와 공기청정기를 동시에 설치 가능한 환기겸용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29955호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그러나, 종래 환기겸용 공기청정기를 겨울철에 가동할 경우 상기 환기겸용 공기청정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 온도가 낮은 외부 공기가 실내 온도를 낮추어 난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299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환기청정기의 구조 개선을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순환을 통한 환기는 물론, 실외공기를 별도의 공기청정유닛을 통해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생활을 영유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정화된 청정한 실외공기의 실내공급시 그 온도를 실내온도에 근접한 수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실내 CO2 및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공기순환팬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 창문 장착형 스마트 청정 환기청정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공기순환유닛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오염된 실내공기 중의 열을 별도의 전열교환소자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정화된 청정한공기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시공 과정에서 벽체의 천공 없이도 창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및 설치공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공기 배기공간(311), 실외공기 도입공간(314),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 장착공간(318) 및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이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구획되고, 상기 실내공기 배기공간(311)에 실내공기 실내공기 배출구(313)가 형성되고, 상기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에 실내공기 흡입구(312)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공기 도입공간(314)에 실외공기 흡입구(315)가 마련되고, 상기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에 청정공기 토출구(317)가 형성된 함체유닛(310); 상기 실내공기 배기공간(311)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실내공기가 실내공기 배출구(31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제1 공기순환팬(321)으로 구성된 제1 공기순환유닛(320); 상기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제2 공기순환팬(331)으로 구성된 제2 공기순환유닛(330); 상기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와 장착공간(318) 사이에 설치된 제1 프리필터(P1) 및 상기 실외공기 도입공간(314)과 장착공간(318) 사이에 설치된 제2 프리필터(P2)와 헤파필터+탈취필터(P3)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불순물과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공기청정유닛(340);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다른 관로를 통해 교차 통과하는 장착공간(318)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전열교환기(350); 상기 제1 공기순환유닛(320)과 제2 공기순환유닛(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0) 및 상기 함체유닛(310)을 창틀(30)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유닛(3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장착형 스마트 청정 환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60)에는, 상기 헤파필터+탈취필터(P3)의 교체시기를 확인하기 위한 타이머(T)와 필터 교체시 상기 타이머(T)를 리셋하기 위한 리셋기능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에는, 실외 공기의 질 및 실내 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제어부(360)로 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모듈은 VOC센서(N1)와 CO2센서(N2) 및 미세먼지 센서(N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에는 공기 순환시 상기 흡입구(315)를 개방하고, 공기 순환이 멈추면 상기 흡입구(315)를 폐쇄하는 스프링댐퍼(38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댐퍼(380)는 상기 VOC센서(N1)의 동작을 통해 실외공기에 문제(담배냄새, 화재연기, 악취)가 있다고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60)에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상기 스프링댐퍼(380)는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폐쇄하고, 상기 VOC센서(N1)의 동작을 통해 실외공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60)에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을 동작시키면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에는 스마트기기와 인테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IOT 기능이 부가되어 다양한 정보(실외 온도/습도, 실외 종합공기질, 실외 공기질, 실내 종합공기질, 실내 공기질, 원격제어 및 필터교체시기)를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유닛(370)은 상방으로 개구된 격자 형상으로 창틀(30)의 레일에 연결될 수 있도록 외면에 제1 연결홈(37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롤러(374)가 형성되며, 내면에 상기 함체유닛(310)의 테두리부위가 끼움 연결되는 슬라이드홈(375)이 마련되고, 상단에 끼움홀(377)이 형성된 틀체(371);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에 결속되며,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부터 창틀(30)의 상부까지 마감하기 위한 슬라이드월(4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월(470)은,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가이드홈(472)이 형성되며, 상단에 끼움돌기(473)가 돌출, 형성되고, 양측에 창틀(30)의 레일에 연결되는 제2 연결홈(474)이 마련되며, 상단에 고정홀(H)이 마련된 하판(471)과, 상기 하판(47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면에 상기 가이드홈(47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돌기(476)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하판(471)을 따라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 구현을 위해 하판(471)의 테두리부와 맞닿는 밀착편(477)이 마련되며, 상단 양측에 창틀(30)의 레일에 연결되는 제3 연결홈(478)이 마련된 상판(475) 및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475)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가변된 하판(471)과 상판(475)의 가변조절 길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이르렀을 때 상기 상판(475)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는 멈춤구(570) 및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를 결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홀(H)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돌기(476)을 가압하는 결속구(6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멈춤구(570)는, 상기 하판(471)의 후면에 구비되어 탄성스프링(572)의 탄성력에 의해 상판(475) 측으로 돌출되는 쐐기형 스토퍼(571) 및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에 걸림연결될 수 있도록 상판(475)의 전면에 형성되며, 쐐기형상의 홈과 돌기가 교번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토퍼레일(57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스마트 환기청정기는 실내공기의 개선을 통해 쾌적한 실내생활을 영유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화된 청정한 실외공기의 실내공급시 그 온도를 실내온도에 근접한 수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CO2 및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공기순환팬의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생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순환유닛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오염된 실내공기 중의 열을 별도의 전열교환소자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정화된 청정한 공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과정에서 벽체의 천공 없이도 창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및 설치공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스프링댐퍼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결속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결속유닛의 멈춤구와 결속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함체유닛과 결속유닛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제어부의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9b 및 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제어부를 통해 구현되는 IOT 기능을 나타낸 설정화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의 창틀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정면상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배면상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슬라이드월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슬라이드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에 UV-C LED(Ultraviolet-C 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에서 소모품, 예를 들어 필터, 전열교환기 등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에서 예약 추가를 위한 사용자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청정 환기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스프링댐퍼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내부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결속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결속유닛의 멈춤구와 결속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함체유닛과 결속유닛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300)는 함체유닛(310), 제1 공기순환유닛(320), 제2 공기순환유닛(330), 공기청정유닛(340), 전열교환기(350), 제어부(360), 결속유닛(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유닛(310)은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함체유닛(310)은 실내공기 배기공간(311), 실외공기 도입공간(314),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 장착공간(318) 및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이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구획된다.
또한, 상기 함체유닛(310)은 그 내부를 통해 찬공기와 더운공기가 교차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300)는 이러한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유닛(310)의 재질을 단열성이 우수한 EPP(Expanded Polypropylene) 재질로 설계한다.
상기 실내공기 배기공간(311)에는 실내공기 배출구(313)가 형성되고, 상기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에는 실내공기 흡입구(312)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공기 도입공간(314)에는 실외공기 흡입구(315)가 마련되고, 상기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에 청정공기 토출구(31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공간(318)에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다른 관로를 통해 교차되게 통과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공기순환유닛(320)은 상기 실내공기 배기공간(311)에 설치되어 실내 오염된 공기의 외부 배출을 위해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 공기순환유닛(320)은 외부전원 인가시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제1 공기순환팬(321)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1 공기순환팬(321)은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기 배출구(31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킨다.
한편,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은 상기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은 외부전원 인가시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제2 공기순환팬(331)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2 공기순환팬(331)은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공기청정유닛(340)은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불순물과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공기청정유닛(340)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이동경로에 설치되어 불순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와 장착공간(318) 사이에 설치된 제1 프리필터(P1) 및 상기 실외공기 도입공간(314)과 장착공간(318) 사이에 설치된 제2 프리필터(P2)와 헤파필터(P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열교환기(350)는 상기 함체유닛(310)에 구비된 장착공간(318)에 설치된다.
즉, 상기 장착공간(318)은 도면을 통해 확인 가능하듯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다른 관로를 통해 교차 통과한다. 이에 상기 전열교환기(350)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관로 상에서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실내공기가 따듯하고 실외공기가 차가울 경우 따듯한 실내공기의 열이 실외공기로 전달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따듯하게 하며, 실내공기가 차갑고 실외공기가 따듯할 경우 실내공기의 차가운 온도가 실외공기로 전달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이에, 상기 전열교환기(350)는 실내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의 온도조절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기청정기(300)의 동작과정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함체유닛(310)의 전면에 구비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기청정기(300)의 ON/OFF 기능 및 상기 제1 공기순환유닛(320)과 제2 공기순환유닛(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에는 별도의 타이머(T)가 구비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360)는 헤파필터+탈취필터(N3)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필터교체 알람 기능 및 타이머 리셋기능이 더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에는 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열교환기(350)의 교체를 알리는 알람 및 타이머 기능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로 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모듈에는 VOC센서(P1)와 CO2센서(P2) 및 미세먼지 센서(P3)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는 상기 센서들을 통해 실외 공기의 질 및 실내 공기의 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에는 스마트기기와 인테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IOT 기능이 부가되어 다양한 정보(실외 온도/습도, 실외 종합공기질, 실외 공기질, 실내 종합공기질, 실내 공기질, 원격제어 및 필터교체시기)를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에는 공기 순환시 상기 흡입구(315)를 개방하고, 공기 순환이 멈추면 상기 흡입구(315)를 폐쇄하는 스프링댐퍼(380)가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댐퍼(380)는 상기 VOC센서(N1)의 동작을 통해 실외공기에 문제(담배냄새, 화재연기, 악취)가 있다고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60)에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공기의 흐름이 멈추면서 상기 스프링댐퍼(380)가 상기 흡입구(315)를 폐쇄하고, 상기 VOC센서(N1)의 동작을 통해 실외공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60)에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을 동작시키면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상기 흡입구(315)를 개방하는 동작관계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결속유닛(370)은 상기 함체유닛(310)을 창틀과 창문 사이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결속유닛(370)은 틀체(371)와 슬라이드월(4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틀체(371)는 상방으로 개구된 격자 형상으로 창틀의 레일에 연결될 수 있도록 외면에 제1 연결홈(373)이 형성되고, 저면에서 제1 연결홈(373)의 내측에는 창틀의 레일레서 구름력을 부여하는 롤러(374)가 형성되며, 내면에 상기 함체유닛(310)의 테두리부위가 끼움 연결되는 슬라이드홈(375)이 마련되며, 상단에 끼움홀(37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홈(373)에는 통상의 창틀 등의 틈새로 외풍을 차단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모헤어(373a)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월(470)은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에 결속되며,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부터 창틀의 상부까지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슬라이드월(47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드월(470)은 하판(471), 상판(475), 멈춤구(570) 및 결속구(6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판(471)은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가이드홈(472)이 형성되고, 상단에 끼움돌기(473)가 돌출 및 형성되며, 양측에 창틀의 레일에 연결되는 제2 연결홈(474)이 마련되고, 상단에 고정홀(H)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473)은 상기 틀체(371)의 끼움홀(377)에 삽입 및 연결되어 상기 틀체(371)과 하판(471) 또한 견고한 연결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475)은 상기 하판(47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면에 상기 가이드홈(47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돌기(476)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하판(471)을 따라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 구현을 위해 하판(471)의 테두리부와 맞닿는 밀착편(477)이 마련되며, 상단 양측에 창틀의 레일에 연결되는 제3 연결홈(478)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상판(475)은 상기 가이드돌기(476)이 가이드홈(47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밀착편(477)이 하판(471)의 후면에 밀착되어 더욱 안정된 슬라이딩 이동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멈춤구(570)는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475)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가변된 하판(471)과 상판(475)의 가변조절 길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이르렀을 때 상기 상판(475)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 한다.
이때, 상기 멈춤구(570)는 쐐기형 스토퍼(571)과 스토퍼레일(5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는 상기 하판(471)의 후면에 구비되며, 탄성스프링(572)의 탄성력에 의해 상판(475) 측으로 돌출되는 동작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레일(574)은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에 걸림연결될 수 있도록 상판(475)의 전면에 형성되며, 쐐기형상의 홈과 돌기가 교번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는 상기 스토퍼레일(574)의 쐐기형상 홈에 삽입되어 하판(471)과 상판(475)의 길이가변을 제한하게 되며, 사용자가 상판(475)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외력에 의해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가 스토퍼레일(574)을 따라 이동한다.
이후, 상기 상판(475)으로 작용했던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는 상기 스토퍼레일(574)의 쐐기형상 홈에 삽입되어 하판(471)과 상판(475)의 길이가변을 제한한다.
한편, 상기 결속구(670)는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을 결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결속구(670)는 상기 고정홀(H)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돌기(476)을 가압하여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를 결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60)를 "ON" 시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기청정기(300)를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300)가 동작하면, 상기 제1 공기순환유닛(320)의 제1 공기순환팬(321)이 동작하여 오염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즉, 제1 공기순환팬(321)이 동작하면,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실내공기는 실내공기 흡입구(312), 실내공기 도입공간(319), 장착공간(318), 실내공기 배기공간(311) 및 실내공기 배출구(313)을 경유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을 경유하여 장착공간(318)으로 이동하는 오염된 실내공기는 상기 공기청정유닛(340)의 제1 프리필터(P1)를 통과하며 공기 중의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낸다.
또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의 제2 공기순환팬(331)이 동작하면 청정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제2 공기순환팬(331)이 동작하면,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는 실외공기 흡입구(315), 실외공기 도입공간(314), 장착공간(318),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 및 청정공기 토출구(317)를 경유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실외공기 도입공간(314)을 경유하여 장착공간(318)으로 이동하는 실외공기는 상기 청정유닛(340)의 제2 프리필터(P2) 및 헤파필터+탈취필터(P3)를 통과하며 공기중의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내어 청정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장착공간(318)에서는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다른 관로를 통해 교차 통과하며, 상기 장착공간(318)에 설치된 전열교환기(350)를 통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외부 청정공기의 실내 공급으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헤파필터+탈취필터(P3)의 교체시기는 상기 제어부(360)에 구비된 타이머(T)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필터(P1, P2, P3)를 교체하면, 사용자는 타이머를 리셋하여 다시 교체한 필터(P3)의 교체시기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60)에 구비된 VOC센서(N1)와 CO2센서(N2) 및 미세먼지 센서(N3)는 실외 공기의 질과 실내 공기의 질을 측정한다.
이에, 상기 센서(N1, N2, N3)들을 통해 실내 공기의 질이 청정하거나, 실외 공기의 질이 나쁨 단계일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기청정기(300)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며, 상기 센서(N1, N2, N3)들을 통해 실내 공기의 질이 나쁨 상태이거나, 실외 공기의 질이 좋음 단계일 경우 청정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기청정기(300)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따라 상기 CO2센서(N2)와 미세먼지 센서(N3)가 실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CO2센서(N2)와 미세먼지 센서(N3)는 실내에 측정되는 CO2 및 미세먼지의 오염된 농도에 따라 팬 속도를 제어하여 환기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이 심할 때는 팬의 속도가 빨라져 환기량이 증가하고, 오염이 약할 때는 팬(321, 331)의 속도를 줄여 환기량을 감소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오염이 매주 약할 때에는 팬(321, 331)이 정지되는데, 다시 오염도가 상승하게 되면 팬이 재 가동된다.(전기 요금, 냉/난방비 절감)
또한, 상기 VOC센서(N1)는 실외공기의 악취를 감지할 수 있도록 실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60)에서는 상기 VOC센서(N1) 센서를 통해 실외공기에 악취가 감지되면 제2 공기순환팬(331)의 동작 제어를 통해 외부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구비된 스프링댐퍼(380)는 상기 VOC센서(N1)의 동작을 통해 실외공기에 문제(담배냄새, 화재연기, 악취)가 있다고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60)에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상기 스프링댐퍼(38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폐쇄하고, 상기 VOC센서(N1)의 동작을 통해 실외공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60)에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을 동작시키면 강제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흡입구(315)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300)의 제어부(360)에는 스마트기기와 인테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IOT 기능이 더 부가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제어부의 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9b 및 9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제어부를 통해 구현되는 IOT 기능을 나타낸 설정화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360)는 실내공기질 표시화면, 취침모드 설정화면, 와이파이 표시화면, 팬 표시화면, 인공지능 표시화면 및 전원 표시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300)는 다양한 정보(실외 온도/습도, 실외 종합공기질, 실외 공기질, 실내 종합공기질, 실내 공기질, 원격제어 및 필터교체시기)를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또한 스마트 환기청정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IOT 기능의 구체적인 동작원리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 공용의 기술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창틀(30)에 설치하기 위한 결속유닛(370)의 설치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의 창틀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정면상태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를 나타낸 배면상태 분해사시도이며,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슬라이드월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와 도 11, 도 12, 도13a, 도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300)를 창틀(3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결속유닛(370)의 틀체(371)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기청정기(300) 설치를 위한 창틀(30)과 창문(31)의 벌어진 사이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틀체(371)은 그 둘레에 형성된 제1 연결홈(373)을 통해 창틀(30)의 레일(도시 생략됨)에 결합되며, 그 저면에서는 롤러(374)가 레일에 안착되어 구름력에 의해 좌우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상기 함체유닛(310)을 상기 틀체(371)의 슬라이드홈(375)에 끼워 결합하면 된다.
이후,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에 슬라이드월(470)을 구성하는 하판(471)의 하단을 연결한다.
이후, 상기 하판(471)의 가이드홈(472)에 상판(475)의 가이드돌기(476)를 연결한다.
이후, 상기 상판(475)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슬라이드월(470) 전체의 길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가변조절한다.
이후, 상기 슬라이드월(470)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이르렀을 때 상기 멈춤구(570)는 상기 상판(475)와 하판(471)의 길이가변을 제한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월(470)의 쐐기형 스토퍼(571)는 상기 스토퍼레일(574)의 쐐기형상 홈에 삽입되어 하판(471)과 상판(475)의 길이가변을 제한하게 되며, 사용자가 상판(475)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외력에 의해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가 스토퍼레일(574)을 따라 이동한다.
이후, 상기 상판(475)으로 작용했던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는 상기 스토퍼레일(574)의 쐐기형상 홈에 삽입되어 하판(471)과 상판(475)의 길이가변을 제한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속구(670)를 통해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을 결속한다. 즉, 상기 멈춤구(570)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월(470)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가 되었을 때 상기 결속구(670)는 상기 고정홀(H)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돌기(476)을 가압하여 상기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를 결속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틀체(371)과 하판(471)과 상판(475)의 순차적인 결합 설치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작업 환경에 따라 미리 조립된 상태로 창틀(30)에 장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기청정기는 그 내부에 별도의 전열교환기를 구비하여 환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손실을 미연에 방지하여 난방비 또는 냉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기청정기는 시공 과정에서 벽체의 천공 없이도 창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및 설치공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중 슬라이드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하판(471)의 상단에는 가이드돌기(476)를 따라 승강이동하는 LOCK장치(7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LOCK장치(700)는 상기 하판(471)의 상단에 위치시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를 지지하여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가 뒤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이에, 상기 쐐기형스토퍼(571)가 스토퍼레일(574)의 쐐기형상의 홈에 고정되어 상기 하판(471)이 안정된 고정구조를 갖도록 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에 UV-C LED(Ultraviolet-C 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C LED는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의 장착공간(318), 예를 들어 전열 교환기(350)의 인접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UV-C는 100nm 내지 280nm의 짧은 파장 영역을 갖는 자외선의 일종으로, 이러한 단파장 특성을 갖는 UV-C LED를 환기청정기 내에 설치하여 실내 공기중에 발생하는 세균을 원천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에서 소모품들, 예를 들어 필터, 전열교환기 등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UI(User Interface)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소모품들은 현재까지의 사용시간, 잔여시간, 교체주기 등을 수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시간 및 잔여시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그래프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에서 예약 추가를 위한 사용자 UI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예약 추가 화면에서는 시작시간, 종료시간, 요일별 반복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종 팬의 단계별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310: 함체유닛 311 : 실내공기 배기공간
312 : 실내공기 흡입구 314 : 실외공기 도입공간
315 : 실외공기 흡입구 316 :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
317 : 청종공기 토출구 319 : 실내공기 도입공간
320: 제1 공기순환유닛 321 : 제1 공기순환팬
330: 제2 공기순환유닛 331 : 제2 공기순환팬
340: 공기청정유닛 350: 전열교환기
360: 제어부 370: 결속유닛
371 : 틀체 373 : 제1 연결홈
373a : 모헤어 374 : 롤러
375 : 슬라이드홈 380: 스프링댐퍼
470: 슬라이드월 471: 하판
472: 가이드홈 473: 끼움돌기
474: 제2 연결홈 475: 상판
476: 가이드돌기 477: 밀착편
478: 제3 연결홈 570: 멈춤구
670: 결속구 700 : LOCK장치
P1 : 제1 프리필터 P2 : 제 프리필터
P3 : 헤파필터+탈취필터

Claims (6)

  1. 실내공기 배기공간(311), 실외공기 도입공간(314),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 장착공간(318) 및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이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구획되고, 상기 실내공기 배기공간(311)에 실내공기 배출구(313)가 형성되고, 상기 실내공기 도입공간(319)에 실내공기 흡입구(312)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공기 도입공간(314)에 실외공기 흡입구(315)가 마련되고, 상기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에 청정공기 토출구(317)가 형성된 함체유닛(310);
    상기 실내공기 배기공간(311)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오염된 실내공기가 실내공기 배출구(31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제1 공기순환팬(321)으로 구성된 제1 공기순환유닛(320);
    상기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가 실외공기의 실내도입공간(316)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제2 공기순환팬(331)으로 구성된 제2 공기순환유닛(330);
    상기 실내공기 도입공간(319)과 장착공간(318) 사이에 설치된 제1 프리필터(P1) 및 상기 실외공기 도입공간(314)과 장착공간(318) 사이에 설치된 제2 프리필터(P2)와 헤파필터+탈취필터(P3)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312)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 속에 포함된 불순물과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통해 유입된 실외공기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공기청정유닛(340);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다른 관로를 통해 교차 통과하는 장착공간(318)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전열교환기(350);
    상기 제1 공기순환유닛(320)과 제2 공기순환유닛(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60); 및
    상기 함체유닛(310)을 창틀(30)에 고정하기 위한 결속유닛(37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60)에는 상기 헤파필터+탈취필터(P3)의 교체시기를 확인하기 위한 타이머(T)와 필터 교체시 상기 타이머(T)를 리셋하기 위한 리셋기능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60)에는 실외 공기의 질 및 실내 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제어부(360)로 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모듈은 VOC센서(N1)와 CO2센서(N2) 및 미세먼지 센서(N3)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60)에는 스마트기기와 인테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IOT 기능이 부가되어 다양한 정보(실외 온도/습도, 실외 종합공기질, 실외 공기질, 실내 종합공기질, 실내 공기질, 원격제어 및 필터교체시기)를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유닛(370)은,
    상방으로 개구된 격자 형상으로 창틀(30)의 레일에 연결될 수 있도록 외면에 제1 연결홈(373)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롤러(374)가 형성되며, 내면에 상기 함체유닛(310)의 테두리부위가 끼움 연결되는 슬라이드홈(375)이 마련되고, 상단에 끼움홀(377)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홈에는 모헤어(373a)가 구비된 틀체(371);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에 결속되며,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부터 창틀(30)의 상부까지 마감하기 위한 슬라이드월(4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월(470)은,
    상기 함체유닛(31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가이드홈(472)이 형성되고, 상기 틀체(371)의 끼움홀(377)에 삽입 및 연결되도록 상단에 끼움돌기(473)가 돌출 및 형성되며, 양측에 창틀의 레일에 연결되는 제2 연결홈(474)이 마련되고, 상단에 고정홀(H)이 형성된 하판(471);
    상기 하판(47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면에 상기 가이드홈(47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돌기(476)가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하판(471)을 따라 안정된 슬라이딩 동작 구현을 위해 하판(471)의 테두리부와 맞닿는 밀착편(477)이 마련되며, 상단 양측에 창틀의 레일에 연결되는 제3 연결홈(478)이 마련된 상판(475);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475)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가변된 하판(471)과 상판(475)의 가변조절 길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이르렀을 때 상기 상판(475)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하는 멈춤구(570); 및
    상기 고정홀(H)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돌기(476)를 가압하여 상기 하판(471)과 상판(475)을 결속하는 결속구(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에는 공기 순환시 상기 흡입구(315)를 개방하고, 공기 순환이 멈추면 상기 흡입구(315)를 폐쇄하는 스프링댐퍼(38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댐퍼(380)는 상기 VOC센서(N1)의 동작을 통해 실외공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60)에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상기 스프링댐퍼(380)는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를 폐쇄하고,
    상기 VOC센서(N1)의 동작을 통해 실외공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360)에서 상기 제2 공기순환유닛(330)을 동작시키면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실외공기 흡입구(315)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구(570)는,
    상기 하판(471)의 후면에 구비되며, 탄성스프링(572)의 탄성력에 의해 상판(475) 측으로 돌출되는 쐐기형 스토퍼(571);
    상기 쐐기형 스토퍼(571)에 걸림연결될 수 있도록 상판(475)의 전면에 형성되며, 쐐기형상의 홈과 돌기가 교번되게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토퍼레일(5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6. 삭제
KR1020200041474A 2020-04-06 2020-04-06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10218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474A KR102188972B1 (ko) 2020-04-06 2020-04-06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EP21719016.4A EP3913293B1 (en) 2020-04-06 2021-02-26 Smart ventilation purifier for being window-mounted
PCT/KR2021/002478 WO2021206292A1 (ko) 2020-04-06 2021-02-26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CN202110348301.3A CN113494750B (zh) 2020-04-06 2021-03-31 窗户安装型智能换气净化器
US17/222,167 US11913652B2 (en) 2020-04-06 2021-04-05 Window-mounted smart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474A KR102188972B1 (ko) 2020-04-06 2020-04-06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972B1 true KR102188972B1 (ko) 2020-12-10

Family

ID=7379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474A KR102188972B1 (ko) 2020-04-06 2020-04-06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13652B2 (ko)
EP (1) EP3913293B1 (ko)
KR (1) KR102188972B1 (ko)
CN (1) CN113494750B (ko)
WO (1) WO202120629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8238A (zh) * 2018-06-13 2018-09-18 中国矿业大学 窗户式空气净化系统
WO2021206292A1 (ko) * 2020-04-06 2021-10-14 원태연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CN113685931A (zh) * 2021-07-30 2021-11-23 河南舒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后期清理内部积尘的窗式新风机及方法
KR20220130032A (ko) * 2021-03-17 2022-09-26 (주)바이오트코리아 높낮이 조절형 비대면 검체 채취 장치
KR102524895B1 (ko) * 2022-05-26 2023-04-26 주식회사 서정 자동 환기창
KR20230174495A (ko) 2022-06-21 2023-12-28 윤영상 창문형 공기 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9024B (zh) * 2021-12-31 2024-02-13 深圳英创能源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新风净化一体机
CN114487309B (zh) * 2022-04-18 2022-06-21 南通森呼吸环保科技有限公司 基于无线传输的分布式室内空气检测装置及方法
USD1042770S1 (en) * 2022-05-13 2024-09-17 Lg Electronics Inc. Frame for window air conditioner
BE1030553B1 (nl) * 2022-05-23 2023-12-18 Renson Ventilation Nv Een ventilatiesysteem voor een residentieel gebouw
CN117060136B (zh) * 2023-08-21 2024-08-30 广东浩博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统计用电量的智能插座
CN118179197A (zh) * 2024-04-29 2024-06-14 唐山亨坤新能源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磷酸锰铁锂加工用尾气净化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955A (ko) 2001-07-09 2003-04-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기호도 산출 방법 및 콘텐츠 수신 장치
KR100728339B1 (ko) *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1965770B1 (ko) * 2018-02-06 2019-04-04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20190142091A (ko) * 2018-06-15 2019-12-26 (주)공존에스앤티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102060633B1 (ko) * 2019-07-24 2019-12-30 서진공조(주) 공기 청정 기술이 적용된 공기 순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067A (en) * 1915-02-15 1915-09-07 Leslie S Hackney Ventilating device.
US2010808A (en) * 1933-04-01 1935-08-13 Daniel L Braine Air conditioner
US2036851A (en) * 1934-02-12 1936-04-07 Edwin F Chittenden Window ventilator
US2218330A (en) * 1939-01-10 1940-10-15 Bell Telephone Labor Inc Ventilator
US2337325A (en) * 1941-01-10 1943-12-21 Gen Electric Air circulating device
US2373497A (en) * 1941-09-08 1945-04-10 Philco Radio & Television Corp Ventilator
US2559495A (en) * 1947-12-08 1951-07-03 Calkins Robert Walter Portable air controller
US3158083A (en) * 1961-03-10 1964-11-24 American Air Filter Co Bypass damper construction
US3120340A (en) * 1961-12-01 1964-02-04 Winton C Strumpell Blower
DE1901361B2 (de) * 1968-01-29 1972-09-14 Baumann, Ludwig, Niederhelfenschwil, St. Gallen (Schweiz) Raumventilator mit gleichzeitiger foerderung von zugluft und fortluft, insbesondere mit absperroganenfuer beide luftstroeme
US4043141A (en) * 1976-02-26 1977-08-23 A. C. Manufacturing Company Air cond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humidifier
US4518033A (en) * 1979-02-02 1985-05-21 Josef Gartner & Co.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rooms in a building
US4460388A (en) * 1981-07-17 1984-07-17 Nippon Soken, Inc. Total heat exchanger
US5238052A (en) * 1989-08-17 1993-08-24 Stirling Technology, Inc. Air to air recouperator
US5660605A (en) * 1995-09-18 1997-08-26 Holmes Products Corp. Window fan
US5660586A (en) * 1995-09-22 1997-08-26 Duracraft Corporation Variable discharge window fan
US5730651A (en) * 1996-08-08 1998-03-24 Lakewood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o. Independent directional-flow air ducts for low-profile window fan
US5902183A (en) * 1996-11-15 1999-05-11 D'souza; Melanius Process and apparatus for energy conservation in buildings using a computer controlled ventilation system
US6328095B1 (en) * 2000-03-06 2001-12-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eat recovery ventilator with make-up air capability
US6494940B1 (en) * 2000-09-29 2002-12-17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Air purifier
NL1020481C1 (nl) * 2002-04-26 2003-10-31 Oxycell Holding Bv Enthalpiewisselaar, uitgevoerd als kozijnstijl.
US6800022B2 (en) * 2003-02-19 2004-10-05 Delphi Technologies, Inc. Inlet ai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HVAC system having an air quality sensor
EP1486637B1 (en) * 2003-06-12 2009-08-05 Lidartech Co., Ltd. Window having a ventilation equipment
ES2245875B1 (es) * 2004-03-26 2006-11-16 Joaquin Espuelas Peñalva Proceso de fabricacion y filtro de tejido no tejido y/o de laminas o estructuras inyectadas filtrantes obtenidos por dicho proceso para la filtracion y eliminacion de la legionella pneumofila.
KR100714719B1 (ko) * 2004-12-03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하면서 공기를 청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7311740B2 (en) * 2005-02-14 2007-12-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nap acting split flapper valve
KR100617080B1 (ko) * 2005-02-1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966837B2 (en) * 2007-03-28 2011-06-28 Madina, LLC Air-conditioning register assembly and method
CA2602737A1 (en) * 2007-09-14 2009-03-14 Air Tech Equipment Ltd. Dehumidifying system
US8155797B2 (en) * 2009-08-12 2012-04-10 James Wiese Window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fan unit
US8123142B2 (en) * 2009-08-20 2012-02-28 Cislo Daniel M Solar powered smart ventilation system
JP5999353B2 (ja) * 2012-12-10 2016-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CN105134049A (zh) * 2015-09-04 2015-12-09 周国增 具有空气净化功能的窗框
CN105182785B (zh) * 2015-09-30 2018-05-25 北京格瑞那环能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家居系统
CN205191775U (zh) * 2015-12-11 2016-04-27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具备监控滤网洁净度功能的智能空气净化器
KR101824148B1 (ko) * 2016-03-03 2018-01-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KR101778736B1 (ko) * 2016-09-29 2017-09-14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45896A (ko) * 2016-10-24 2018-05-08 주식회사 리상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CN206531233U (zh) * 2017-02-17 2017-09-29 银成化学株式会社 地面式热回收换气装置
KR101812447B1 (ko) * 2017-04-14 2017-12-26 윤병석 환기장치
KR101828587B1 (ko) * 2017-06-26 2018-02-13 (주)센도리 먼지제거기능을 구비한 공조장치
KR101939686B1 (ko) * 2017-06-30 2019-04-1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IoT를 이용한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제어시스템
CN107401800A (zh) * 2017-07-17 2017-11-28 深圳沃海森科技有限公司 设置于新风机上的环保节能空调系统
EP3701197A1 (en) * 2017-10-26 2020-09-02 Koninklijke Philips N.V. Smart air purification
KR102022616B1 (ko) * 2017-11-30 2019-11-26 배진수 창문 장착형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방법
KR102052638B1 (ko) * 2018-01-29 2019-12-05 이윤미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CN108534333A (zh) * 2018-03-16 2018-09-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双向进出风管的热交换芯
CN108361874A (zh) * 2018-03-23 2018-08-03 上海交通大学 热交换新风净化器
KR102381534B1 (ko) * 2018-03-28 2022-03-31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20190117897A (ko) * 2018-04-09 2019-10-17 박준흥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N108917081A (zh) * 2018-05-31 2018-11-30 安徽科清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建筑通风用新风机
KR101956632B1 (ko) * 2018-07-16 2019-03-11 (주)센도리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KR102039071B1 (ko) * 2019-03-26 2019-11-0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설치 및 탈결합이 용이한 창틀거치형 공기청정기
KR102188972B1 (ko) * 2020-04-06 2020-12-10 원태연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955A (ko) 2001-07-09 2003-04-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기호도 산출 방법 및 콘텐츠 수신 장치
KR100728339B1 (ko) *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1965770B1 (ko) * 2018-02-06 2019-04-04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KR20190142091A (ko) * 2018-06-15 2019-12-26 (주)공존에스앤티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102060633B1 (ko) * 2019-07-24 2019-12-30 서진공조(주) 공기 청정 기술이 적용된 공기 순환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8238A (zh) * 2018-06-13 2018-09-18 中国矿业大学 窗户式空气净化系统
WO2021206292A1 (ko) * 2020-04-06 2021-10-14 원태연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20220130032A (ko) * 2021-03-17 2022-09-26 (주)바이오트코리아 높낮이 조절형 비대면 검체 채취 장치
KR20220130031A (ko) * 2021-03-17 2022-09-26 (주)바이오트코리아 높낮이 조절형 비대면 검체 채취 장치
KR102658173B1 (ko) 2021-03-17 2024-04-18 (주)바이오트코리아 높낮이 조절형 비대면 검체 채취 장치
KR102688430B1 (ko) 2021-03-17 2024-07-26 (주)바이오트코리아 높낮이 조절형 비대면 검체 채취 장치
CN113685931A (zh) * 2021-07-30 2021-11-23 河南舒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后期清理内部积尘的窗式新风机及方法
KR102524895B1 (ko) * 2022-05-26 2023-04-26 주식회사 서정 자동 환기창
KR20230174495A (ko) 2022-06-21 2023-12-28 윤영상 창문형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94750B (zh) 2022-12-20
EP3913293A4 (en) 2022-03-30
CN113494750A (zh) 2021-10-12
EP3913293A1 (en) 2021-11-24
WO2021206292A1 (ko) 2021-10-14
US20210310671A1 (en) 2021-10-07
EP3913293B1 (en) 2024-10-02
US11913652B2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972B1 (ko)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KR102056470B1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KR102039106B1 (ko)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KR101941574B1 (ko) 결로방지용 폐열 회수 환기장치
KR102383783B1 (ko) 기상정보를 연동한 에너지절감형 공기청정 클린 환기시스템
KR102079212B1 (ko) 대용량 필터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0587315B1 (ko) 환기시스템
KR100587359B1 (ko)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
KR102081237B1 (ko) 환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기청정기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20220008560A (ko) 실내 스탠드형 전열교환기
KR102317245B1 (ko)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0580288B1 (ko)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KR101808120B1 (ko) 실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 시스템
KR101884398B1 (ko) 열회수 환기장치
KR100587314B1 (ko) 환기시스템
KR101895355B1 (ko) 폐열 회수 환기장치
KR101851676B1 (ko) 폐열 회수 환기장치
KR101851677B1 (ko) 결로방지용 폐열 회수 환기장치
KR100844292B1 (ko) 공기정화 및 온도보상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KR102371835B1 (ko) 퍼지모드를 갖는 환기장치
KR102202404B1 (ko) 환기장치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0598130B1 (ko) 여과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