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70Y1 -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70Y1
KR200471670Y1 KR2020120008517U KR20120008517U KR200471670Y1 KR 200471670 Y1 KR200471670 Y1 KR 200471670Y1 KR 2020120008517 U KR2020120008517 U KR 2020120008517U KR 20120008517 U KR20120008517 U KR 20120008517U KR 200471670 Y1 KR200471670 Y1 KR 200471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blowing
elevator
door
moving unit
blow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관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의 하부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는 하부 풍음 차단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APPARATUS FOR SHIELDING WIND NOISE THROUGH GAP OF ELEVATOR}
본원은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틈새를 통한 풍음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도어(9)를 중심으로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 측의 연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인 도 1의 (a)를 참조하면, 틈새 중 하나는 도어(9)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틈새이다. 예시적으로, 도 1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9)와 도어(9) 하부에 설치된 도어 실 유닛(99) 사이에는 하부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9)의 측면에도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데, 예시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측의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인 도 1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9)와 좌측 쟘(Jamb)(95) 사이 및 도어(9)와 우측 쟘(97)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운행시 이러한 틈새를 통해 풍음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풍음은 엘리베이터 내부(90)에 탑승한 승객에게 소음을 전달하여 불쾌감을 초래하였다. 특히, 건물의 고층화 및 엘리베이터의 고속화에 따라 이러한 틈새로 인해 엘리베이터 내부(90)에 탑승한 승객은 풍음에 의한 소음뿐만 아니라 기압 변화에 의한 불쾌감도 느껴질 수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풍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압을 저감시켜 엘리베이터의 탑승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의 하부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는 하부 풍음 차단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도어의 하부 틈새를 차단하는 풍음 차단기구를 통해 엘리베이터 주행시에 좌측 및 우측 도어의 하부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풍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압을 저감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탑승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틈새를 통한 풍음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풍음 차단기구 및 상부 풍음 차단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 측의 연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풍음 차단기구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판을 설명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 측의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이하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풍음 차단기구 및 상부 풍음 차단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 측의 연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하부 풍음 차단기구(1)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도어(9)를 중심으로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틈새 중 하나는 도어(9) 하부에 형성된 하부 틈새인데,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이러한 하부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하부 틈새는 예시적으로,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9)와 도어(9) 하부에 설치된 도어 실 유닛(99) 사이에 형성된 틈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에 각각 내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내부에서 각각 구동할 수 있다.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엘리베이터의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에서는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의 하부 틈새를 차단한다.
여기에서 대향면이라 함은,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가 서로 맞물려 닫혔을 때 서로 맞닿게 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서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도어 실 유닛(99)의 도어 실 홈(991) 내부에 수용되어 도어(9)의 하면으로부터 도어 실 홈(991)의 바닥면까지를 차단함으로써 도어(9)의 하부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가 운행될 때, 즉, 닫힘 상태에서 하부 틈새를 통해 풍음이 발생하였다.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하부 풍음 차단기구(1)를 통해 닫힘 상태에서 도어(9)의 하부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풍음 발생을 최소화 하면서 기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엘리베이터의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하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한다.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림 상태에서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도어(9)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하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즉,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닫힘 상태에 한하여 하부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의 슬라이딩 구동시, 하부 풍음 차단기구(1)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에 의하면, 하부 풍음 차단기구(1)를 통해 닫힘 상태에서만 도어(9)의 하부 틈새를 차단하고, 도어(9)가 열릴 때에는 도어(9)의 하부 틈새 차단이 해제되도록 하는 선택적인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도어(9)가 열릴 때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로 인한 마찰 발생이 없도록 하면서 풍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아울러 엘리베이터 내부의 기압 변화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풍음 차단기구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전환 시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을 때, 대향면 상에 돌출된 부분이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감으로써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환하여 하부 틈새를 차단하는 링크 구조일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하부 가변이동유닛(11) 및 하부 풍음 차단판(13)이 하부 링크부재(15)에 의하여 결합된 링크구조일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도어(9)의 개폐방향(도 3 기준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풍음 차단기구(1)의 대향면 상에 돌출된 부분을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일측, 그 반대편 측을 타측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도어(9)의 열림 상태에서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일측(도 3 기준 오른쪽 측)은 대향면 상에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어(9)의 열림 상태를 닫힘 상태로 전환하면 이격되어 있던 좌측 도어(91)의 대향면 및 우측 도어(93)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게 되므로, 제1 도어(이를 테면 좌측 도어(91))의 대향면 상에 돌출되어 있던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일측은 제2 도어(이를 테면 우측 도어(93))의 대향면에 맞닿게 될 수 있다.
이때, 제1 도어의 하부 가변이동유닛(11)에는 제2 도어의 대향면의 누름 압력에 의하여 타측 방향(도어(9)의 개폐방향 중 열림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외력에 의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하부 가변이동유닛(11) 은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을 하는 하부 가변이동유닛(11)과 링크 구조를 이루는 하부 풍음 차단판(13)은 하부 가변이동유닛(11)에 연동되어 하부 틈새를 차단하도록 하향 이동하게 된다.
즉,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을 통해 대향면에 의한 외력을 구동력으로 전환하여 하부 풍음 차단판(13)이 하부 틈새를 차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들(11, 13)을 연동시키는 링크 구조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열림 상태에서 대향면 상에 돌출되고,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가변이동유닛(11),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이동에 따라 닫힘 상태에서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열림 상태에서는 상향으로 복귀되는 하부 풍음 차단판(13); 및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개폐 방향 이동을 하부 풍음 차단판(13)의 돌출 이동 및 복귀 이동으로 전환시키는 하부 링크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대향면에 의한 외력에 의해 타측 방향(열림 방향)으로 이동가능 할 수 있고, 후술할 탄성부재에 의해 타측 방향의 역방향인 일측 방향(닫힘 방향)으로 역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도어(9)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풍음 차단판(13)은 하부 링크부재(15)에 의해 하부 가변이동유닛(11)과 연동되는 바,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이동에 따라 닫힘 상태에서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열림 상태에서는 상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서 도시된 도어(9)를 좌측 도어(91)로 보아 좌측 도어(91)에 구비된 하부 풍음 차단기구(1)를 살펴보면, 도 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림 상태에서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일측은 좌측 도어(91)의 대향면 상으로 돌출(우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고, 하부 풍음 차단판(13)은 도어(91)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닫힘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측 도어(91)에 구비된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우측 도어(93)의 대향면과 맞닿게 되므로 우측 도어(93)의 대향면에 의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에는 좌측 방향(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외력에 의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 풍음 차단판(13)은 하부 링크부재(15)에 의해 하부 가변이동유닛(11)과 연동하여 하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열림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가 서로 이격되므로, 좌측 도어(91)에 구비된 하부 가변이동유닛(11)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고 후술할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일측 방향(닫힘 방향, 도 3 기준 우측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다시 대향면 상에 돌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하부 풍음 차단판(13)은 하부 링크부재(15)에 의해 하부 가변이동유닛(11)과 연동되어 상향으로 구동돼 좌측 도어(9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이 닫힘 상태에서는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가고 열림 상태에서는 대향면 상에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타측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가변이동유닛(11)에 타측 방향(열림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타측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타측 방향으로의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일측 방향(닫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향면 상에 다시 돌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폐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구동을 정리하면, 닫힘 상태가 되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에는 대향면에 의한 누름 압력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여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일측은 대향면까지 눌려들어 가게 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는 압축되게 된다. 또한, 열림 상태가 되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에는 대향면에 의한 누름 압력이 제거되고 탄성부재에 의한 닫힘 방향으로의 탄성 회복력이 작용하게 되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일측은 대향면 상에 돌출되게 된다.
또한, 하부 링크부재(15)의 양단은 하부 가변이동유닛(11) 및 하부 풍음 차단판(13) 각각에 힌지 체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링크부재(15)는 하부 가변이동유닛(11) 및 하부 풍음 차단판(13)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링크부재(15)를 통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이동이 하부 풍음 차단판(13)의 이동과 연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은 대향면에 의한 타측 방향(열림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및 탄성부재에 의한 일측 방향(닫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회복력에 의해 일측 및 타측 방향(개폐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이 일측 방향(열림 방향)으로 대향면 상에 돌출되면, 하부 링크부재(15)에 의해 하부 풍음 차단판(13)이 상향으로 끌어 올려져 하부의 풍음 차단이 해제된다.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이 타측 방향(닫힘 방향)으로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가면, 하부 링크부재(15)에 의해 하부 풍음 차단판(13)이 하향으로 내려가게 되어 하부의 풍음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의 개폐 방향 구동이 하부 링크부재(15)를 통해 하부 풍음 차단판(13)의 상하향 구동으로 전환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상하 운행되는 닫힘 상태에서만 선택적으로 풍음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열림 상태에서는 도어(9) 내부에 수용되고, 닫힘 상태에서는 도어(9) 외부로 돌출되어 하부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하부 풍음 차단기구(1)의 구동은 대향면에 의한 타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및 탄성부재에 의한 일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자동으로 도어(9) 하부에 형성된 하부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하부에 하부 가변이동유닛(11)이 배치되고 하부 풍음 차단판(13)이 복귀 이동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17)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하부에 내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풍음 차단기구(1)는 고정 프레임(17)에 의한 수용 공간 내에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상부 풍음 차단기구(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부 풍음 차단기구(3)의 구성 및 구성간의 작용은 앞서 살핀 하부 풍음 차단기구(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도 1을 참조하면, 풍음이 발생하는 틈새 중 하나는 도어(9)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틈새이다. 상부 풍음 차단기구(3)는 이러한 상부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상부 풍음 차단 기구(3)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의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에서는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의 상부 틈새를 차단한다.
또한, 풍음 차단 기구(3)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의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상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한다.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림 상태에서 상부 풍음 차단기구(3)는 도어(9) 내부에 수용되어 상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상부 풍음 차단기구(3)는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풍음 차단기구(3)는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전환 시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을 때, 대향면 상에 돌출된 부분이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감으로써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환하여 상부 틈새를 차단하는 링크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풍음 차단기구(3)는 열림 상태에서 대향면 상에 돌출되고,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가변이동유닛, 상부 가변이동유닛의 이동에 따라 닫힘 상태에서는 상향으로 돌출되고 열림 상태에서는 하향으로 복귀되는 상부 풍음 차단판(33); 및 상부 가변이동유닛의 개폐 방향 이동을 상부 풍음 차단판(33)의 돌출 이동 및 복귀 이동으로 전환시키는 상부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풍음 차단기구(1)는 상부 가변이동유닛이 닫힘 상태에서는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가고 열림 상태에서는 대향면 상에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링크부재의 양단은 상부 가변이동유닛 및 상부 풍음 차단판(33) 각각에 힌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풍음 차단기구(1)는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상부에 상부 가변이동유닛이 배치되고 상부 풍음 차단판(33)이 복귀 이동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1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풍음 차단기구(3) 및 하부 풍음 차단기구(1)를 배치함으로써 풍음이 발생하는 틈새 중 도어(9)의 상부 및 하부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차단판을 설명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 측의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좌측 도어(91) 와 좌측 쟘(95) 사이 및 우측 도어(93)와 우측 쟘(97) 사이의 측부 틈새를 차단하는 측면 차단판(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쟘(95, 97)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쟘(95, 97)의 도어측 프레임(도어(9)의 열림 시 도어(9)와 대향하는 판재 부분) 및 도어(9)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풍음이 발생할 수 있다. 측면 차단판(5)은 도어(9)와 쟘(95, 97)의 도어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풍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측면 차단판(5)은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각각의 반대향면과 연결 되고, 좌측 쟘(95) 및 우측 쟘(97) 각각에 있어서 측부 틈새를 형성하는 도어측 프레임을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9)와 도어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한 기류의 직접적인 유입을 차단하고, 형성되는 틈새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측면 차단판(5)와 도어측 프레임 사이로 기류의 이동 경로를 길게 연장 및 절곡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 내부로의 풍류 발생 및 엘리베이터 내부의 기압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측면 차단판(5)은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측면 차단판(5)은 쟘(95, 97)의 도어측 프레임을 감싸도록 도어측 프레임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에 있어서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는 각각의 대향면에 서로 맞물리는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닫힘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단차가 형성된 대향면을 갖는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9)의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가 닫힘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사이의 차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도어(9)의 하부, 상부, 좌측면, 우측면 및 도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에 의하면, 도어(9)의 하부는 하부 풍음 차단기구(1)를 통해, 도어(9)의 상부는 상부 풍음 차단기구(3)를 통해, 도어(9)의 좌 및 우측면은 측면 차단판(5)을 통해 틈새를 차단할 수 있고, 도어(9)의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좌측 도어(91) 및 우측 도어(93)를 대향면에 대하여 서로 맞물리는 단차를 가지도록 제작 설치함으로써 차단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틈새를 통한 풍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부 풍음 차단 기구 11: 하부 가변이동유닛
13: 하부 풍음 차단판 15: 하부 링크부재
17: 고정 프레임 3: 상부 풍음 차단 기구
33: 상부 풍음 차단판 5: 측면 차단판
9: 도어 91: 좌측 도어
93: 우측 도어 95: 좌측 쟘
97: 우측 쟘 90: 엘리베이터 내부
99: 도어 실 유닛 991: 도어 실 홈
7: 단차

Claims (17)

  1.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의 하부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는 하부 풍음 차단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풍음 차단기구는,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닫힘 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을 때, 상기 대향면 상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감으로써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환하여 상기 하부 틈새를 차단하는 링크 구조로서,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대향면 상에 돌출되고, 상기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가변이동유닛;
    상기 하부 가변이동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닫힘 상태에서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열림 상태에서는 상향으로 복귀되는 하부 풍음 차단판; 및
    상기 하부 가변이동유닛의 개폐 방향 이동을 상기 하부 풍음 차단판의 돌출 이동 및 복귀 이동으로 전환시키는 하부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링크부재의 양단은 상기 하부 가변이동유닛 및 상기 하부 풍음 차단판 각각에 힌지 체결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풍음 차단기구는 상기 하부 가변이동유닛이 상기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가고 상기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대향면 상에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풍음 차단기구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하부에 상기 하부 가변이동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풍음 차단판이 복귀 이동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도어와 좌측 쟘 사이 및 상기 우측 도어와 우측 쟘 사이의 측부 틈새를 차단하는 측면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차단판은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반대향면과 연결 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측부 틈새를 형성하는 도어측 프레임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차단판은 ㄷ자 형상인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의 상부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는 상부 풍음 차단기구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풍음 차단기구는,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닫힘 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을 때, 상기 대향면 상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대향면의 내측으로 눌려 들어감으로써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환하여 상기 상부 틈새를 차단하는 링크 구조인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풍음 차단기구는,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대향면 상에 돌출되고, 상기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가변이동유닛;
    상기 상부 가변이동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닫힘 상태에서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열림 상태에서는 상향으로 복귀되는 상부 풍음 차단판; 및
    상기 상부 가변이동유닛의 개폐 방향 이동을 상기 풍음 차단판의 돌출 이동 및 복귀 이동으로 전환시키는 상부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풍음 차단기구는 상기 상부 가변이동유닛이 상기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가고 상기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대향면 상에 돌출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부재의 양단은 상기 상부 가변이동유닛 및 상기 상부 풍음 차단판 각각에 힌지 체결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풍음 차단기구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상부에 상기 상부 가변이동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 풍음 차단판이 복귀 이동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는 상기 각각의 대향면에 서로 맞물리는 단차를 갖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17. 엘리베이터의 좌측 및 우측 도어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의 상부 틈새를 차단하고, 상기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틈새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는 상부 풍음 차단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풍음 차단기구는,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닫힘 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맞닿을 때, 상기 대향면 상에 돌출된 부분이 상기 대향면까지 눌려 들어감으로써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환하여 상기 상부 틈새를 차단하는 링크 구조로서,
    상기 열림 상태에서 상기 대향면 상에 돌출되고, 상기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가변이동유닛;
    상기 상부 가변이동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닫힘 상태에서는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열림 상태에서는 하향으로 복귀되는 상부 풍음 차단판; 및
    상기 상부 가변이동유닛의 개폐 방향 이동을 상기 상부 풍음 차단판의 돌출 이동 및 복귀 이동으로 전환시키는 상부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링크부재의 양단은 상기 상부 가변이동유닛 및 상기 상부 풍음 차단판 각각에 힌지 체결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KR2020120008517U 2012-09-24 2012-09-24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KR200471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517U KR200471670Y1 (ko) 2012-09-24 2012-09-24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517U KR200471670Y1 (ko) 2012-09-24 2012-09-24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670Y1 true KR200471670Y1 (ko) 2014-03-10

Family

ID=5148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517U KR200471670Y1 (ko) 2012-09-24 2012-09-24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57B1 (ko) * 2016-04-01 2016-07-28 (주)삼신엔지니어링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KR101817694B1 (ko) 2017-10-19 2018-01-11 주식회사 두드림 방폭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87Y1 (ko) * 1999-08-30 2000-02-15 우상철 개폐형 문지방
KR100921713B1 (ko) * 2008-12-31 2009-10-15 장병원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87Y1 (ko) * 1999-08-30 2000-02-15 우상철 개폐형 문지방
KR100921713B1 (ko) * 2008-12-31 2009-10-15 장병원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57B1 (ko) * 2016-04-01 2016-07-28 (주)삼신엔지니어링 차연구조를 갖는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 유닛
KR101817694B1 (ko) 2017-10-19 2018-01-11 주식회사 두드림 방폭문 시스템
WO2019078574A1 (ko) * 2017-10-19 2019-04-25 주식회사 두드림 방폭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552B2 (en) Moving window installation structure of sliding window system having aluminum alloy sash structure
US7921970B2 (en) Sealing device for elevator
KR200471670Y1 (ko)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KR101417297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EP1622823B1 (en) Sealing device for elevator door
JP580283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WO2008113148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KR102043814B1 (ko) 플랫 윈도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폴딩 도어
JP6012619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における気密装置及び気密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のかご
JP6242490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US2820516A (en) Door construction
KR101484665B1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 부재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JP7252858B2 (ja) 止水装置
JP7101514B2 (ja) 引戸
JP200502282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3713661B2 (ja) 引戸
JP4885250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KR102028629B1 (ko) 캠슬라이드 조립체를 구비한 금형
JP7133962B2 (ja) 建具
KR100656609B1 (ko)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KR101965464B1 (ko) 수평밀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창호시스템
KR101976861B1 (ko)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