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609B1 -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609B1
KR100656609B1 KR1020050104231A KR20050104231A KR100656609B1 KR 100656609 B1 KR100656609 B1 KR 100656609B1 KR 1020050104231 A KR1020050104231 A KR 1020050104231A KR 20050104231 A KR20050104231 A KR 20050104231A KR 100656609 B1 KR100656609 B1 KR 100656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holding
movable member
door
retur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fixed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될 때에 도어 글라스의 일측을 잡아서 도어 패널에 지지시켜 도어 글라스의 떨림을 예방하여 자동차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되어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지부와, 이 감지부로부터 상기 작동력을 전달받아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도어 패널에 지지시켜 주는 홀딩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Door glass hold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의 장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에 의해 도어 글라스가 홀딩되어 지지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부에 도어 글라스가 홀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홀딩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홀딩부에 도어 글라스가 홀딩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홀딩부에 도어 글라스가 해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도어 글라스 1-가이드레일
3-캐리어 플레이트 4-도어 패널
5-런채널 6-감지부
7-홀딩부 8-케이블
9-하우징 10-스위칭부재
11-하우징 12-가동부재
13-홀딩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될 때에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도어 패널에 지지시켜 주도록 된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는 도어프레임과 런채널에 각각 끼워져 장착된 글라스런 사이에 끼워져 글라스런의 인너립에 의해 구속되어진 상태로 캐리어 플레이트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게 되어 있다.
상기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부 도어프레임과 측부 도어프레임 및 런채널 사이에 도어 글라스가 끼워져 글라스런의 인너립에 의해 구속되어 안정되게 지지되고, 도어 글라스가 약간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측부 도어프레임과 런채널 사이에 도어 글라스가 끼워져 글라스런의 인너립에 의해 구속되어 안정되게 지지된다.
그런데,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되게 되면, 상기 측부 도어프레임의 하단부와 상기 런채널의 하단부에 의해서만 글라스런의 인너립에 의해 구속되어 지지됨에 따라 도어 글라스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도어를 여닫을 때에 자동차의 주행 중에 도어 글라스가 떨리게 되어서 상품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될 때에 도어 글라스의 일측을 잡아서 도어 패널에 지지시켜 도어 글라스의 떨림을 예방하여 자동차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되어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지부와, 이 감지부로부터 상기 작동력을 전달받아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도어 패널에 지지시켜 주는 홀딩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도어 글라스의 하단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도어 글라스를 승강시키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설치된 누름돌기와, 이 누름돌기에 의해 눌려지면 하방으로 눌려지게 설치된 스위칭부재, 이 스위칭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스위칭부재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홀딩부에 연결된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2개의 지지턱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부재는 도어 패널에 장착된 하우징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리턴스프링을 탄력적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가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이 긴장되면 전진 운동을 하는 반면에 상기 케이블이 이완되면 리턴스프링에 의해 후퇴운 동을 하는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가동부재의 전진 운동시에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지지하는 반면에 후퇴 운동시에는 리턴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도어 글라스를 해방시키는 2개의 홀딩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재의 일측면에는 2개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재가 상기 경사면에 각각 안착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재가 상하 양측면이 개방되면서 전면은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어 글라스의 두께 보다 큰 폭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4각 박스형상의 하우징내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거나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에 상기 하우징내에서 안내이동되게 상기 가동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안내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안내돌기가 끼워져 안내이동되는 안내레일이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부재가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전진 운동하거나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후퇴운동을 할 때에 상기 하우징내에서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각 홀딩부재의 일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이 끼워져 안내이동되는 안내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내벽에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의 장착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도어 글라스(1)의 하단 가장자리의 2군데는 가이드레일(2)을 따라 안내이동되게 설치된 캐리어 플레이트(3)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도어 글라스를 개폐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측을 안내이동시키기 위해 도어 패널(4)에는 상하로 경사지게 런채널(5)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어 글라스의 타측 가장자리는 도어 패널에 끼워져 안내이동되게 된다.
상기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되어 최하단에 위치될 때에 도어 글라스의 최하단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6)가 도어 패널(4)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6)에 의해 도어 글라스의 최하단 위치가 감지되면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도어 패널에 지지시켜 주는 홀딩부(7)가 도어 글라스의 이동 궤적과 인접한 도어 패널의 소정 부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부(7)와 상기 감지부(6)는 케이블(8)을 매개로 서로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다.
도 2에는 도어 글라스(1)가 완전히 개방되어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되어 최하단에 위치되면 도어 글라스의 양측 상단부가 각각 도어 패널과 런채널의 하단부에 끼워져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홀딩부(7)에 의해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가 잡혀져 도어 패널에 지지됨에 따라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되게 지지됨으로써, 도어 글라스의 떨림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에는 도어 글라스(1)가 최하단에 위치될 때에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6)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3)의 일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2개의 지지턱(3a)과, 상기 지지턱(3a)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대체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누름돌기(3b), 도어 패널(4)에 고정되게 장착된 하우징(9)에 스프링(10a)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케이블(8)의 일단이 고정되게 연결된 대체로 ㄴ자 형상을 한 스위칭부재(10)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 글라스가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누름돌기가 상기 스위칭부재(10)를 눌러서 스프링(10a)을 압축시키게 되고, 상기 스위칭부재가 눌려지면 상기 케이블이 일체로 당겨지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상기 홀딩부(7)의 구성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상기 홀딩부(7)는 상하 양측면이 개방되면서 전면은 상기 도어 글라스(1)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어 글라스의 두께 보다 큰 폭으로 개구된 개구부(11a)가 형성된 4각 박스형상의 하우징(11)과, 이 하우징내에 삽입되어 리턴스프링(12a)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케이블(8)의 타단이 끼워져 연결된 가동부재(12), 이 가동부재에 형성된 양측 경사면(12b)에 안착되어 경사면을 따라 각각 안내이동되게 상기 경사면과 밀착하는 경사면(13a)을 구비하고서 리턴스프링(13b)에 의해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 글라스를 양측에서 잡아서 지지하여 주는 2개의 홀딩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 글라스가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일체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가동부재의 경사면에 안착된 2개의 홀딩부재가 경사면에서 미끄럼이동하면서 2 개의 홀딩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서 홀딩부재 사이에 위치한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지지시켜 주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하우징내에서 규정된 궤적을 따라서 안내이동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안내돌기(12c)가 형성되고, 이 안내돌기(12c)가 끼워져 안내이동되는 안내레일(11b)이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거나 혹은 상기 리턴스프링(12a)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에 상기 가동부재의 안내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안내레일을 따라서 안내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2개의 홀딩부재(13)가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가동부재의 경사면 위에서 각각 미끄럼 이동할 때에 규정된 궤적을 따라서 안내이동되게 상기 각 홀딩부재의 일측면에는 안내홈(13c)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이 끼워져 안내이동되는 안내돌기(11c)는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각 홀딩부재가 상기 안내홈과 안내돌기의 상호 작용으로 규정된 궤적을 따라서 안내이동하면서 도어 글라스를 잡아서 홀딩시키거나 해방시키게 된다.
도 7에는 상기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되어 최하단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의해 감지부가 작동되어 상기 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2개의 홀딩부재를 매개로 도어 글라스를 잡아서 홀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블이 상기 스위칭부재에 의해 긴장되어 상기 가동부재가 케이 블에 의해 당겨지게 되면, 가동부재의 경사면에 안착된 2개의 홀딩부재가 가동부재의 경사면을 따라서 하강하여 2개의 홀딩부재 사이에 위치된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지지시켜 주게 된다. 이 때에 상기 각 홀딩부재를 지지하는 리턴스프링(13b)과 상기 가동부재(12)를 지지하는 리턴스프링(12a)은 각각 인장되면서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2개의 홀딩부재의 각 대향하는 전면에는 도어 글라스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각각 구형의 돌기(13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는 상기 도어 글라스가 다시 상승할 경우에 도어 글라스가 홀딩부로부터 해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어 글라스가 상승하여 캐리어 플레이트의 누름돌기(3b)가 상기 스위칭부재(10)로부터 이탈되면 스위칭부재(10)는 그 자체의 리턴스프링(10a)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위칭부재에 의해 긴장된 케이블(8)도 이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8)이 이완되면 케이블에 의해 당겨진 가동부재는 그 자체의 리턴스프링에 의해 후퇴하게 되며, 상기 가동부재의 후퇴운동과 동시에 상기 2개의 홀딩부재도 각각 그 자체의 리턴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2개의 홀딩부재 사이의 간격도 넓혀지게 되어, 홀딩부재에 의해 잡혀져 지지된 도어 글라스가 홀딩부재로부터 해방되면서 자유로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에 의하면, 도 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되어 최하단에 위치될 경우에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가 잡혀져 도어 패널에 자동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패널에서의 지지력이 증대되어 도어 글라스의 유동이나 떨림을 방지해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개방되어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감지부와, 이 감지부로부터 상기 작동력을 전달받아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도어 패널에 지지시켜 주는 홀딩부를 구비한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상기 도어 글라스의 하단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도어 글라스를 승강시키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설치된 누름돌기와, 이 누름돌기에 의해 눌려지면 하방으로 눌려지게 설치된 스위칭부재, 이 스위칭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스위칭부재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은 상기 홀딩부에 연결된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 2개의 지지턱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부재는 도어 패널에 장착된 하우징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리턴스프링을 탄력적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가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이 긴장되면 전진 운동을 하는 반면에 상기 케이블이 이완되면 리턴스프링에 의해 후퇴운동을 하는 가동부재와, 이 가동부재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가동부재의 전진 운동시에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아서 지지하는 반면에 후퇴 운동시에는 리턴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도어 글라스를 해방시키는 2개의 홀딩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일측면에는 2개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재가 상기 경사면에 각각 안착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가 상하 양측면이 개방되면서 전면은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어 글라스의 두께 보다 큰 폭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4각 박스형상의 하우징내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거나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에 상기 하우징내에서 안내이동되게 상기 가동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안내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안내돌기가 끼워져 안내이동되는 안내레일이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가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전진 운동하거나 상기 리턴스프링에 의해 후퇴운동을 할 때에 상기 하우징내에서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각 홀딩부재의 일측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이 끼워져 안내이동되는 안내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대향하는 내벽에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KR1020050104231A 2005-11-02 2005-11-02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KR10065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231A KR100656609B1 (ko) 2005-11-02 2005-11-02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231A KR100656609B1 (ko) 2005-11-02 2005-11-02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609B1 true KR100656609B1 (ko) 2006-12-11

Family

ID=3773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231A KR100656609B1 (ko) 2005-11-02 2005-11-02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733B1 (ko) 2015-12-04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글래스 레귤레이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733B1 (ko) 2015-12-04 2017-09-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글래스 레귤레이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5290B2 (ja) 家具の可動部を開閉するための装置
AU2016341396B2 (en) Sealing unit for a sliding door
KR101209406B1 (ko) 인입기구
JP5373071B2 (ja) 引き戸
CN108204708B (zh) 冰箱及其抽屉组件
CN114608247B (zh) 一种冰箱
US20110271482A1 (en) Forward movement mechanism of movable body
CA2637080A1 (en) Sliding door with lateral sealing movement
KR20120027750A (ko) 도어 힌지
KR20150006588A (ko)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CN110886562B (zh) 拉门装置
KR100656609B1 (ko)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JP6525925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ドアシュー
EP1953319A1 (en) Damper for wardrobe doors
KR101881031B1 (ko) 원터치 방식에 의해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도어 잠금장치
KR20100071366A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190000490U (ko)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KR200471670Y1 (ko) 엘리베이터 풍음 차단 장치
JP2016121507A (ja) 建具のスライダーとスライダー機構
KR102120222B1 (ko) 도어 자동 실링장치
KR100693515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도어 개폐 구조
KR101462480B1 (ko) 도어 틈새 막음장치
KR10188542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20080000047U (ko) 서랍용 레일
KR101976861B1 (ko) 폴딩 타입 도어용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