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588A -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588A
KR20150006588A KR20130080139A KR20130080139A KR20150006588A KR 20150006588 A KR20150006588 A KR 20150006588A KR 20130080139 A KR20130080139 A KR 20130080139A KR 20130080139 A KR20130080139 A KR 20130080139A KR 20150006588 A KR20150006588 A KR 2015000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ccommodation space
frame
rail memb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관
Original Assignee
한승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관 filed Critical 한승관
Priority to KR2013008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6588A/ko
Publication of KR2015000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6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91Top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8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ith additional removable glass panes or the like, framed or unfram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창문과 창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화(창문이 끼워지는 창틀의 높이가 창문의 높이와 거의 동일)함으로써, 방음이나 방풍 기능을 향상시키고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창문의 하측에 장착된 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창틀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부 레일 부재;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1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하부 레일 부재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부 레일 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관통홀을 갖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제1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되거나 제1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1 지지부재; 및 하부면이 제1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대면 결합하고, 제1 지지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하부 레일 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Window frame structure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닫이 창호의 수밀성, 기밀성, 내풍압성이 향상되고 창문의 탈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 창호는 창 또는 문짝을 상하의 문틀에 홈을 파서 끼우고, 홈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창이나 문 전체를 여닫게 한 창호를 말한다. 미닫이 창호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부재(10)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20)가 창틀부재(30)의 레일(40) 위에 얹혀져 슬라이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일상생활 중 이사를 하거나 창틀부재(30)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창문부재(10)를 창틀부재(30)로부터 분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그러나, 미닫이 창호는 창틀부재(30)의 레일(40) 위에 창문부재(10)가 얹혀진 상태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창문부재(10)를 창틀부재(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창문부재(10)를 들어올린 후, 창문부재(10)의 하측을 전면으로 당기거나(화살표 방향) 후면으로 밀어야만 한다. 즉, 창문부재(10)의 하측이 창틀부재(30)의 레일(40)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들어올려야만 창문부재(10)의 하측이 레일(30)에 걸리지 않고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미닫이 창호는 창문부재(10)가 창틀부재(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창문부재(10)의 상측과 하측을 창틀부재(30)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공간(또는 갭)(G1, G2)을 형성해야만 한다.
이러한 종래 미닫이 창호의 창문부재(10)와 창틀부재(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G1, G2)은 외부의 찬 공기나 더운 공기, 바람, 먼지, 소음 등이 실내로 들어올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래의 미닫이 창호는 방음이나 방풍 등의 기밀성이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겨울철 난방으로 데워진 공기가 이러한 공간을 통해 외부로 쉽게 유출됨으로써 열손실이 발생하여 난방비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 미닫이 창호의 방음이나 방풍에 대한 취약성 및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호(공개특허 제2013-0000492호), 구조가 개선된 창호(공개특허 제2010-0096460호), 미닫이 창호의 슬라이딩 틈새 밀봉장치(공개특허 제2009-0076804호) 등이 출원되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구조가 너무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음이나 방풍 기능의 향상 및 실외로 열손실의 최소화는 물론 창문을 창틀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하측에 장착된 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창틀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부 레일 부재;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1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하부 레일 부재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부 레일 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관통홀을 갖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제1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되거나 제1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1 지지부재; 및 하부면이 제1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대면 결합하고, 제1 지지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하부 레일 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 부재는, 제1 지지부재가 제1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시에 제1 지지부재가 하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 프레임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하부 프레임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제1 승강부재의 하부면은,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 제1 지지부재가 제1 수용공간에 삽입시 제 1 지지부재와 제1 승강부재를 고정 결합하여 하부 레일 부재가 제1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상부 레일 부재;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부 레일 부재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부 레일 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관통홀을 갖는 상부 프레임 부재; 하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수용공간에 삽입되거나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 2지지부재; 상부면이 제 2지지부재의 하부면과 대면 결합하고, 제 2지지부재가 제2 수용공간으로 삽입시에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부 레일 부재를 하강시키는 제 2승강부재; 및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측 하부면과 제 2승강부재의 외측 하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제 2지지부재가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시에 제 2승강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 상부 레일 부재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부재는, 제 2지지부재가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시에 제 2지지부재가 상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프레임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 프레임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2지지부재의 하부면과 제 2승강부재의 상부면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는, 제 2지지부재가 제2 수용공간에 삽입시, 제 2지지부재와 제 2승강부재를 고정 결합하여 상부 레일 부재가 제2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상부 레일 부재;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부 레일 부재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부 레일 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관통홀을 갖는 상부 프레임 부재; 하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수용공간에 삽입되거나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 2지지부재; 상부면이 제 2지지부재의 하부면과 대면 결합하고, 제 2지지부재가 제2 수용공간으로 삽입시에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외측 하부면에 결합된 상부 레일 부재를 하강시키는 제 2승강부재; 및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측 하부면과 제 2승강부재의 외측 하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제 2지지부재가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시에 제 2승강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 상부 레일 부재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창문과 창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화(창문이 끼워지는 창틀의 높이가 창문의 높이와 거의 동일)함으로써, 방음이나 방풍 기능을 향상시키고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사나 창틀에 낀 이물질 제거를 위한 청소 등 창문을 창틀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때, 창문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창문을 그대로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김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창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 창호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창틀 구조체의 하부 구조>
도 2는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하부 구조(이하, '창틀의 하부 구조'라 함)는 크게 하부 레일 부재(300a), 하부 프레임 부재(400a), 제1 지지부재(500a) 및 제1 승강부재(5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창틀의 하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레일 부재(300a)는 창문(100)의 하측에 장착된 롤러(110)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창틀(200)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레일 부재(300a)는 하기의 하부 프레임 부재(400a)와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110)가 하부 레일 부재(300a)에 얹혀진 상태로 하부 레일 부재(300a)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함으로써 창문(100)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하부 프레임 부재(400a)는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1 수용공간(S1)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하부 레일 부재(300a)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부 레일 부재(300a)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관통홀(TH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 관통홀(TH1)은 하부 레일 부재(300a)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부 레일 부재(300a)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 부재(400a)에 형성된 하부 관통홀(TH1)은 하부 레일 부재(300a)의 폭보다는 약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하부 레일 부재(300a)가 하부 관통홀(TH1)을 원활히 통과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부재(500a)는 상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 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제1 수용공간(S1)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수용공간(S1)에 삽입되거나 제1 수용공간(S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500a)는 하기 제1 승강부재(500b)와 대면적으로 맞닿는 상부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하부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지지부재(500a)는 하부 프레임 부재(400a)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제1 수용공간(S1)으로 삽입 또는 인출이 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500a)의 외면이 미끄럼성 수지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지지부재(500a)는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하부 관통홀(TH1)을 통해 제1 수용공간(S1)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 또는 제1 수용공간(S1)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1 수용공간(S1)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재(500a)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내측 하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거리는 돌출된 하부 레일 부재(300a)가 승강하는 높이(구체적으로는,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상부면 위로 돌출된 하부 레일 부재(300a)의 일단이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 관통홀(TH1)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 레일 부재(300a)의 승강하는 정도가 너무 크면, 하부 레일 부재(300a)가 하부 관통홀(TH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제1 승강부재(500b)는 하부면이 제1 지지부재(500a)의 상부면과 대면적으로 결합하면서 제1 지지부재(500a)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 승강부재(500b)는 제1 지지부재(500a)의 상부면과 대면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제1 지지부재(500a)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하부 레일 부재(300a)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제1 승강부재(500b)의 외측 상부면에는 하부 레일 부재(300a)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부 레일 부재(300a)는 제 1승강부재(500b)의 상부면에 용접결합 또는 다른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1 승강부재(500b)와 하부 레일 부재(300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 프레임 부재(400a)는 제1 지지부재(500a)가 제1 수용공간(S1)의 외부로 인출시에 제1 지지부재(500a)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측 일단에 하부 프레임 이탈방지부(70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 이탈방지부(700a)는 제1 수용공간(S1)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제1 지지부재(500a)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500a)가 제1 수용공간(S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인출시에, 제1 지지부재(500a)는 상측에 위치한 제1 승강부재(500b) 및 하부 레일 부재(300a)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제1 수용공간(S1)의 외부로 이탈시키는 힘을 계속하여 받게 되고 결국에는 제1 지지부재(500a)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 하부면의 단차진 부분이 하부 프레임 이탈방지부(700a)에 걸리게 함으로써 제1 지지부재(500a)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지지부재(500a)의 상부면과 제1 승강부재(500b)의 하부면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는 제1 지지부재(500a)가 제1 수용공간(S1)에 삽입시에 제1 지지부재(500a)와 제1 승강부재(500b)를 고정 결합하는 하부 체결부(80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체결부(800a)는 복수 개의 수나사(810)와 이에 대응되는 갯수의 암나사공(8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500a)의 상부면과 제1 승강부재(500b)의 하부면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공(820)에 수나사(810)를 회전결합시킴으로써, 제1 지지부재(500a)와 제1 승강부재(500b)를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부 체결부(800a)의 암나사공(820)이 제1 지지부재(500a)의 상부면과 제1 승강부재(500b)의 하부면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암나사공(820)이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타측 일단 및 제1 승강부재(500b)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지지부재(500a)가 제1 수용공간(S1)에 삽입시에 하부 프레임 부재(400a)와 제1 승강부재(500b)가 수나사(810)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수용공간(S1)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지지부재(500a)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1 수용공간(S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500a)의 일측면에는 제1 지지부재(500a)를 잡아당길 수 있는 하부 손잡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창틀 구조체의 상부 구조>
도 4는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상부 구조(이하, '창틀의 상부 구조'라 함)는 크게 상부 레일 부재(300b), 상부 프레임 부재(400b), 제 2지지부재(500c), 제2 승강부재(500d) 및 탄성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창틀의 상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레일 부재(300b)는 창문(100)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GH)에 삽입되어 창문(100)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창틀(200)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레일 부재(300b)는 하기의 상부 프레임 부재(400b)와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창문(100)의 하측에 장착된 롤러(110)가 하부 레일 부재(300a)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에 따라 창문(100)의 상측 부분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고, 창문(100)이 창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프레임 부재(400b)는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S2)을 내부에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부 레일 부재(300b)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부 레일 부재(300b)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관통홀(TH2)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부 관통홀(TH2)을 상부 레일 부재(300b)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부 레일 부재(300b)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관통홀(TH2)은 상부 레일 부재(300b)의 폭보다는 약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부 레일 부재(300b)가 상부 관통홀(TH2)을 원활히 통과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지지부재(500c)는 하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 부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제2 수용공간(S2)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수용공간(S2)에 삽입되거나 제2 수용공간(S2)의 외부로 인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2지지부재(500c)는 하기 제 2승강부재(500d)와 대면적으로 맞닿는 하부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상부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지지부재(500c)는 상부 프레임 부재(400b)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제2 수용공간(S2)으로 삽입 또는 인출이 될 수 있도록 제 2지지부재(500c)의 외면이 미끄럼성 수지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지지부재(500c)는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상부 관통홀(TH2)을 통해 제2 수용공간(S2)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 또는 제2 수용공간(S2)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2 수용공간(S2)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지지부재(500c)가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내측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거리는 돌출된 상부 레일 부재(300b)가 승강하는 높이(구체적으로는,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하부면 아래로 돌출된 상부 레일 부재(300b)의 일단이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부 관통홀(TH2)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 레일 부재(300b)의 승강하는 정도가 너무 크면, 상부 레일 부재(300b)가 상부 관통홀(TH2)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제 2승강부재(500d)는 상부면이 제 2지지부재(500c)의 하부면과 대면적으로 결합하면서 제 2지지부재(500c)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 2승강부재(500d)는 제 2지지부재(500c)의 상부면과 대면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제 2지지부재(500c)가 제2 수용공간(S2)으로 삽입시에 하측 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상부 레일 부재(300b)를 하강(가이드 홈(GH)에 삽입되도록 돌출)시킨다. 제 2승강부재(500d)의 외측 하부면에는 상부 레일 부재(300b)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부 레일 부재(300b)는 제 2승강부재(500d)의 하부면에 용접결합 또는 다른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 2승강부재(500d)와 상부 레일 부재(300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600)는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내측 하부면과 제 2승강부재(500d)의 외측 하부면 사이에 마련되며, 제 2지지부재(500c)가 제2 수용공간(S2)의 외부로 인출시에 제 2승강부재(500d)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 상부 레일 부재(300b)를 상승(제2 수용공간(S2)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즉, 제 2지지부재(500c)가 제2 수용공간(S2)의 외부로 인출되면, 이에 연동하여 제 2승강부재(500d)가 상승하면서 제 2승강부재(500d)의 외측 하부면에 결합된 상부 레일 부재(300b)를 제2 수용공간(S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탄성부재(600)로는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으나, 제 2승강부재(500d)에 탄성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600)는 제 2승강부재(500d)의 외측 하부면,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내측 하부면 또는 양쪽 모두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나, 용접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600)는 제 2승강부재(500d)에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프레임 부재(400b)는 제 2지지부재(500c)가 제2 수용공간(S2)의 외부로 인출시에 제 2지지부재(500c)가 상부 프레임 부재(400b)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 일단에 상부 프레임 이탈방지부(7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 이탈방지부(700b)는 제2 수용공간(S2)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제 2지지부재(500c)가 상부 프레임 부재(400b)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지지부재(500c)가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인출시에, 제 2지지부재(500c)는 탄성부재(60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수용공간(S2)의 외부로 이탈시키는 힘을 계속하여 받게 되고 결국에는 제 2지지부재(500c)가 상부 프레임 부재(400b)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차진 부분이 상부 프레임 이탈방지부(700b)에 걸리게 함으로써 제 2지지부재(500c)가 상부 프레임 부재(400b)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지지부재(500c)의 하부면과 제 2승강부재(500d)의 상부면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는 제 2지지부재(500c)가 제2 수용공간(S2)에 삽입시에 제 2지지부재(500c)와 제 2승강부재(500d)를 고정 결합하는 상부 체결부(80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체결부(800b)는 하부 체결부(800a)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수나사(810)와 이에 대응하는 갯수의 암나사공(8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지지부재(500c)의 하부면과 제 2승강부재(500d)의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공(820)에 수나사(810)를 회전결합시킴으로써, 제 2지지부재(500c)와 제 2승강부재(500d)를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 체결부(800b)의 암나사공(820)이 제 2지지부재(500c)의 하부면과 제 2승강부재(500d)의 상부면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암나사공(820)이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타측 일단 및 제 2승강부재(500d)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 2지지부재(500c)가 제2 수용공간(S2)에 삽입시에 상부 프레임 부재(400b)와 제 2승강부재(500d)가 수나사(810)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 수용공간(S2)에 삽입되어 있는 제 2지지부재(500c)가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2 수용공간(S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제 2지지부재(500c)의 일측면에는 제 2지지부재(500c)를 잡아당길 수 있는 상부 손잡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5의 (a)는 제1 지지부재(500a)와 제 2지지부재(500c)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 및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레일 부재(300a)는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어 창문(100)의 하측에 장착된 롤러(110)에 밀착되면서 창문(100)을 살짝 들어올리게 되고, 상부 레일 부재(300b)는 창문(100)의 상측에 마련된 가이드 홈(GH)에 삽입되도록 돌출된다. 이때, 탄성부재(600)는 압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재(500a)와 제 2지지부재(500c)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 및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창문(10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창문(100)을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도 5의 (b)는 제1 지지부재(500a)와 제 2지지부재(500c)가 하부 프레임 부재(400a) 및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외부로 각각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창문(100)을 창틀(200)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때, 제1 지지부재(500a) 및 제 2지지부재(500c)를 하부 프레임 부재(400a) 및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때, 제1 수용공간(S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승강부재(500b)는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하부 레일 부재(300a)도 롤러(110)로부터 분리되면서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 관통홀(TH1)을 따라 하강한다. 한편, 제2 수용공간(S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 2승강부재(500d)는 탄성부재(6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부 레일 부재(300b)도 가이드 홈(GH)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부 관통홀(TH2)을 따라 상승한다. 하부 레일 부재(300a)의 하강 및 상부 레일 부재(300b)의 상승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하부 프레임 부재(400a)의 외측 상부면과 상부 프레임 부재(400b)의 외측 하부면은 평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창문(100)을 들어올리지 않고 단지 창문(100)을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손쉽게 창문(100)을 창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창문 110 : 롤러
200 : 창틀
300a : 하부 레일 부재 300b : 상부 레일 부재
400a : 하부 프레임 부재 400b : 상부 프레임 부재
500a : 제1 지지부재 500b : 제1 승강부재 500c : 제 2지지부재
500d : 제 2승강부재
600 : 탄성부재
700a : 하부 프레임 이탈방지부 700b : 상부 프레임 이탈방지부
800a : 하부 체결부 800b : 상부 체결부
810 : 수나사 820 : 암나사공
TH1 : 하부 관통홀 TH2 : 상부 관통홀
S1 : 제1 수용공간 S2 : 제2 수용공간

Claims (7)

  1. 창문의 하측에 장착된 롤러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창틀을 따라 연장형성된 하부 레일 부재;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1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상기 하부 레일 부재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레일 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관통홀을 갖는 하부 프레임 부재;
    상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1 지지부재; 및
    하부면이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대면 결합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하부 레일 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시에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하부 프레임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상기 제1 승강부재의 하부면은,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 상기 제1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제 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승강부재를 고정 결합하여 상기 하부 레일 부재가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창문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상부 레일 부재;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기 상부 레일 부재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레일 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관통홀을 갖는 상부 프레임 부재;
    하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 2지지부재;
    상부면이 상기 제 2지지부재의 하부면과 대면 결합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가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삽입시에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레일 부재를 하강시키는 제 2승강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측 하부면과 상기 제 2승강부재의 외측 하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지지부재가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시에 상기 제 2승강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 상기 상부 레일 부재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 2지지부재가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시에 상기 제 2지지부재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 프레임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재의 하부면과 상기 제 2승강부재의 상부면의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는,
    상기 제 2지지부재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제 2지지부재와 상기 제 2승강부재를 고정 결합하여 상기 상부 레일 부재가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7. 창문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상부 레일 부재;
    양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된 제2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상기 상부 레일 부재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레일 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관통홀을 갖는 상부 프레임 부재;
    하부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제 2지지부재;
    상부면이 상기 제 2지지부재의 하부면과 대면 결합하고, 상기 제 2지지부재가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삽입시에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외측 하부면에 결합된 상기 상부 레일 부재를 하강시키는 제 2승강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내측 하부면과 상기 제 2승강부재의 외측 하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지지부재가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인출시에 상기 제 2승강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 상기 상부 레일 부재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20130080139A 2013-07-09 2013-07-09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20150006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139A KR20150006588A (ko) 2013-07-09 2013-07-09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139A KR20150006588A (ko) 2013-07-09 2013-07-09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588A true KR20150006588A (ko) 2015-01-19

Family

ID=5256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139A KR20150006588A (ko) 2013-07-09 2013-07-09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6588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046B1 (ko) * 2016-07-06 2017-02-06 이춘병 측면 레일을 갖는 단차 구조의 미닫이 창호
KR101705288B1 (ko) 2016-03-21 2017-02-09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20180125357A (ko) * 2017-05-15 2018-11-23 이병덕 도어설치용 모듈러 유닛구조
CN108868458A (zh) * 2018-07-22 2018-11-23 陈建明 一种分体式滑轨型材门窗
KR102446234B1 (ko) 2022-06-30 2022-09-22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69838B1 (ko) 2022-06-30 2022-11-23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70951B1 (ko) 2022-06-30 2022-11-28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72261B1 (ko) 2022-06-30 2022-11-30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816B1 (ko) 2022-06-30 2022-12-27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598B1 (ko) 2022-06-30 2022-12-27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8290B1 (ko) 2022-06-30 2023-01-13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8585B1 (ko) 2022-06-30 2023-01-13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9779B1 (ko) 2022-06-30 2023-01-18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288B1 (ko) 2016-03-21 2017-02-09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1703046B1 (ko) * 2016-07-06 2017-02-06 이춘병 측면 레일을 갖는 단차 구조의 미닫이 창호
KR20180125357A (ko) * 2017-05-15 2018-11-23 이병덕 도어설치용 모듈러 유닛구조
CN108868458A (zh) * 2018-07-22 2018-11-23 陈建明 一种分体式滑轨型材门窗
KR102470951B1 (ko) 2022-06-30 2022-11-28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69838B1 (ko) 2022-06-30 2022-11-23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46234B1 (ko) 2022-06-30 2022-09-22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72261B1 (ko) 2022-06-30 2022-11-30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816B1 (ko) 2022-06-30 2022-12-27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1598B1 (ko) 2022-06-30 2022-12-27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8290B1 (ko) 2022-06-30 2023-01-13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8585B1 (ko) 2022-06-30 2023-01-13 (주)윈도우코리아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2489779B1 (ko) 2022-06-30 2023-01-18 주식회사 유진시스템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6588A (ko)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20150006590A (ko)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102010885B1 (ko) 방충망 이탈방지용 클립
KR20150006589A (ko)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JP3153747U (ja) 引戸端面のクッション材取り付け部構造
US9777534B2 (en) Cover opening device of electric sunshade for side window
KR101756115B1 (ko) 창문 이탈방지용 판스프링
JP4813310B2 (ja) 引戸
KR20150061910A (ko) 롤방충망의 원터치식 개폐장치
CN205277206U (zh) 净化门
JP2010116710A (ja) 引戸装置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1079557B1 (ko)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클린룸용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
JP2008201533A (ja) エレベータ戸開時かご固定装置
KR101507928B1 (ko) 탈선 방지용 케스터 모듈
KR102051893B1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1825151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KR200470750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101079556B1 (ko)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클린룸용 반자동식 슬라이딩 도어
CN219577528U (zh) 一种机壳及医疗设备
KR101819888B1 (ko) 창문과 창틀의 기밀결합구조
KR20080002368U (ko) 창문 이탈방지 가이드 장치
KR101464606B1 (ko) 창호의 승강식 기밀장치
CN211598435U (zh) 一种皮带式磁控百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