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51B1 - 단열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열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151B1
KR101825151B1 KR1020150097613A KR20150097613A KR101825151B1 KR 101825151 B1 KR101825151 B1 KR 101825151B1 KR 1020150097613 A KR1020150097613 A KR 1020150097613A KR 20150097613 A KR20150097613 A KR 20150097613A KR 101825151 B1 KR101825151 B1 KR 101825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delete delet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656A (ko
Inventor
박환규
Original Assignee
박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환규 filed Critical 박환규
Priority to KR102015009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1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문되기 위해 이동되는 창문을 하강시켜서 창문의 하단이 창틀에 밀착되게 하여 창문의 하부를 통해 공기가 유통됨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건물의 벽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창틀(100)과, 창틀(100)을 따라 이동되어서 창틀(100)을 개폐하는 창문(200)과, 폐문하기 위해 창틀(100)을 따라 이동되는 창문(200)의 하단이 창틀(10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이동되는 창문(200)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창문안내수단(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 창호 시스템{INSULATION WINDOW SYSTEM}
본 발명은 폐문되기 위해 이동되는 창문을 하강시켜서 창문의 하단이 창틀에 밀착되게 하여 창문의 하부를 통해 공기가 유통됨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라 함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 것으로, 이러한 창호는 창문구조에 있어 외곽을 형성하는 창틀과 창틀 상에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는 창문틀 및 창문틀 상에 결합되는 유리창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창호 시스템의 구조에서 창틀은 창틀프레임을 상하 및 좌우에 사각형의 형태로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창문틀의 경우에는 창문틀프레임을 상하 및 좌우에 사각형의 형태로 결합하여 창틀 상에 끼워 결합 함으로써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거나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창문구조의 창호 시스템을 설명하면 직사각형 형태로 건물벽체에 형성된 창호개구면에 창틀프레임을 통해 설치된 창틀과 창문틀프레임을 통해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창틀에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틀 및 창문틀 상에 결합되는 유리창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 시스템에서 창틀을 구성하는 창틀프레임 중 하측과 상부측 창틀프레임의 대향면에는 상호 대응하여 창문틀의 좌우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레일이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된다. 즉, 창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의해 개문하거나 폐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창이 레일위에 올려져 있어서 창의 하단이 창문틀에서 이격됨에 의해 창의 하단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어 외풍이 유입되는 등의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0671256호가 2007.01.12.로 게재된 바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폐문되기 위해 이동되는 창문을 하강시켜서 창문의 하단이 창틀에 밀착되게 하여 창문의 하부를 통해 공기가 유통됨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시스템은, 건물의 벽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창틀(100)과, 창틀(100)을 따라 이동되어서 창틀(100)을 개폐하는 창문(200)과, 폐문하기 위해 창틀(100)을 따라 이동되는 창문(200)의 하단이 창틀(10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이동되는 창문(200)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창문안내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창틀(100)은 창문(200)의 테두리를 포위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창문(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0)을 포함하고, 창문(200)의 하단에는 창틀(100)의 레일(120)이 삽입되는 레일홈(210)이 형성되고, 레일홈(210)에는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20)가 설치되며, 창문안내수단(300)은 레일(120)의 상부에 폐문하는 방향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10)을 포함하는 경사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창틀(100)은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수단(140)을 포함하며, 수분배출수단(14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벽프레임(141)과, 베이스프레임(11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수분이 낙하되는 수분낙하부(142)과, 수분낙하부(142)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을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프레임(141)으로 안내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서 하부로 이격되면서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면서 외벽프레임(141)들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는 경사프레임(143)과, 경사프레임(143)을 따라 흐르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프레임(141)에 형성되는 수분배출부(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분배출수단(140)은 수분배출부(144)을 커버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수분의 이동은 허용하면서 이물질이나 벌레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차단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물질차단부(160)는 베이스프레임(110) 및 경사프레임(143)의 사이에 양단이 밀착되면서 수분배출부(144)에 밀착되는 다공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창문안내수단(300)은 레일(120)의 상부에 폐문하는 방향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10)이 형성되는 경사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창문안내수단(300)에 의해 하강되는 창문(200)의 하단을 지지하여 창문(200) 및 창틀(100)의 사이를 통한 공기유통을 차단하는 공기차단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창틀(100)은 공기차단수단(400)이 장착되는 장착구(130)를 포함하고, 공기차단수단(400)은 장방형이면서 양측면에 창틀(100)의 장착구(130)에 걸려서 고정되는 장착홈(4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개문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창문(200)을 창틀(100)에서 이격시키는 창문이격수단(500)을 포함하며, 창문이격수단(500)은 창틀(100)에 구비되어 창문(20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창문지지부(510)와, 창문(200)에 구비되어 창문지지부(510)에 가압되는 가압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창문지지부(510)는 창틀(100)의 내측면에서 창문(200)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샤프트(511)와,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면서 창틀(100)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체(512)와,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면서 탄성체(512)의 타단에 구비되어 가압부(520)를 가압하는 가압판(513)을 포함하고, 가압부(520)는 창문(200)에 형성되어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는 관통홀(521)과, 관통홀(521)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가압판(513)이 지지되는 가압판지지부(5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시스템은, 폐문되기 위해 이동되는 창문을 하강시켜서 창문의 하단이 창틀에 밀착되게 하여 창문의 하부를 통해 공기가 유통됨을 차단할 수 있어서, 내부공기의 유실 및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창문과 창틀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시스템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문이 폐문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창문이 폐문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창문이 개문된 상태에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창문이 폐문되어서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창문이 폐문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창문이 개문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창호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틀(100)과, 창문(200)과, 창문안내수단(300)을 포함한다.
창틀(100)은 건물의 벽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는 목재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창틀(100)은 창문(200)의 테두리를 포위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창문(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0)과, 베이스프레임(110)에 형성되어 공기차단수단(400)이 장착되는 장착구(130)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판재형태로 형성된다.
레일(12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창문(200)의 하부에 장착된 후술되는 캐스터(220)의 이동을 안내한다.
장착구(130)는 공기차단수단(400)이 강제로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 관통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차단수단(400)이 장착구(130)인 장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강제로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창틀(100)은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수단(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분배출수단(14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벽프레임(141)과, 베이스프레임(11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수분이 낙하되는 수분낙하부(142)와, 수분낙하부(142)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을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프레임(141)으로 안내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서 하부로 이격되면서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면서 외벽프레임(141)들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는 경사프레임(143)과, 경사프레임(143)을 따라 흐르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프레임(141)에 형성되는 수분배출부(144)를 포함한다.
외벽프레임(141)은 복수로 구성되어 건물의 실외와 실내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실내에 위치되는 외벽프레임(141)에는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장방형의 솔이나 스펀지와 같은 공기차단부재(15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차단부재(150)인 솔이나 스펀지는 단열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수분낙하부(142)는 베이스프레임(110)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로 구성된다.
경사프레임(143)은 판형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프레임(143)의 하부를 따라 코킹(146)이 채워지는 코킹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킹홈(145)에 실리콘과 같은 코킹(146)이 채워지면서 창틀(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경사프레임(143)의 하부와 건물의 사이에 메워질 수 있다.
수분배출부(144)는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프레임(141)에 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홀로 구성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10)에 모여지는 빗물이나 온도차에 의해 형성되는 결로와 같은 수분이 수분낙하부(142)를 통해 낙하되어 경사프레임(143)을 따라 하향되게 흐르면서 수분배출부(14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수분배출수단(140)은 수분배출부(144)을 커버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수분의 이동은 허용하면서 이물질이나 벌레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차단부(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물질차단부(160)는 베이스프레임(110) 및 경사프레임(143)의 사이에 양단이 밀착되면서 수분배출부(144)에 밀착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물질차단부(160)는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장착턱(147)이 돌출되어 이물질차단부(160)가 지지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차단부(160)가 수분배출부(144)를 커버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스펀지로 구성되는 경우,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의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강한 세기의 바람이 침투됨을 방지하는 단열효과가 있다.
창문(200)은 창틀(100)을 따라 이동되어서 창틀(100)을 개폐하는 것으로, 빛이 투과되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유리와 유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창문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창문(200)의 하단에는 창틀(100)의 레일(120)이 삽입되는 레일홈(210)이 형성되고, 레일홈(210)에는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2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홈(210)에 레일(120)이 삽입됨에 의해 창문(200)이 창틀(1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200)을 밀면 캐스터(220)가 레일(120)을 따라 이동되므로 창문(200)이 창틀(100)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220)는 복수로 구성되어 창문(200)의 양측이 지지되도록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하단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다.
창문안내수단(300)은 폐문하기 위해 창틀(100)을 따라 이동되는 창문(200)의 하단이 창틀(10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이동되는 창문(200)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레일(120)의 상부에 폐문하는 방향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10)이 경사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310)은 캐스터(2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길이는 캐스터(220)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즉, 캐스터(22)가 경사면(310)의 끝까지 이동하기 전에 창문(200)의 하단이 창틀(100)에 접촉되어야 한다. 이에 의해, 창문(200)과 창틀(100)의 밀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폐문하는 방향으로 창문(200)을 이동시키면 캐스터(220)가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다가 창문안내수단(300)인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하강되는 창문(200)의 하단이 창틀(100)의 하부에 밀착되므로 창문(200)의 하단과 창틀(100)의 하부를 통해 공기의 유통이 차단될 수 있다.
아울러, 창문(200)이 창문안내수단(300)인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해서 창문(200)의 일측단이 창틀(10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어서, 창문(200)의 일측단과 창틀(100)의 내측면의 사이를 통해 공기의 유통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창문안내수단(300)은 복수로 구성되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창틀(100)에 나란히 형성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창문안내수단(300)들의 사이에는 스토퍼(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600)는 돌기로 구성되어 창틀(10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문되기 위해서 창문(200)이 이동할 때 캐스터(220)가 스토퍼(600)에 걸리게 되므로, 캐스터(220)가 다른 창문안내수단(300)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600)는 스크류볼트로 구성될 수 있어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선정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안내수단(300)에 의해 하강되는 창문(200)의 하단을 지지하여 창문(200) 및 창틀(100)의 사이를 통한 공기유통을 차단하는 공기차단수단(400)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차단수단(400)은 플랙시블한 고무나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차단수단(400)은 장방형이면서 양측면에 창틀(100)의 장착구(130)에 걸려서 고정되는 장착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차단수단(400)을 창틀(100)의 장착구(130)에 강제로 삽입시키면 공기차단수단(400)의 장착홈(410)이 장착구(130)인 장홀의 양측에 걸리게 되므로, 창문안내수단(300)에 의해 하강되는 창문(20)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창문(200)이 하강되면서 공기차단수단(400)에 접촉되는 경우 공기차단수단(400)이 고무나 실리콘으로 구성됨에 의해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창문(20)의 하단이 공기차단수단(400)에 완전히 밀착되므로 공기의 유통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문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창문(200)을 창틀(100)에서 이격시키는 창문이격수단(500)을 포함한다.
창문이격수단(500)은 창틀(100)에 구비되어 창문(20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창문지지부(510)와, 창문(200)에 구비되어 창문지지부(510)에 가압되는 가압부(520)를 포함한다.
창문지지부(510)는 창틀(100)의 내측면에서 창문(200)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샤프트(511)와,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면서 창틀(100)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체(512)와,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면서 탄성체(512)의 타단에 구비되어 가압부(520)를 가압하는 가압판(513)을 포함한다.
가압부(520)는 창문(200)에 형성되어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는 관통홀(521)과, 관통홀(521)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가압판(513)이 지지되는 가압판지지부(522)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문되기 위해 열리는 창문(200)을 창틀(100)에서 이격시키므로 창문(200)을 개문하는 동작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창틀(100)의 일측면에는 걸림돌기(170)가 형성되고, 창문(200)에는 걸림돌기(170)에 걸리는 걸쇠(230)를 조작하는 손잡이와 같은 조작부(2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240)를 조작하여 걸쇠(230)를 걸림돌기(170)에 걸리게 하면 창문(200)의 폐문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조작부(240)를 조작하여 걸림돌기(170)에서 걸쇠(230)를 분리시키면 창문(200)이 개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폐문시키기 위해 창문(200)을 이동시키면 캐스터(220)가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캐스터(220)가 레일(120)에 형성된 창문안내수단(300)인 경사홈에 사용되어서 수용된다. 즉, 캐스터(220)가 경사홈에 형성된 경사면(310)을 따라 하강하므로 창문(200)의 하단이 공기차단수단(400)에 밀착된다. 특히, 캐스터(220)가 경사면(310)을 따라 하강되려는 상태이기 때문에 창문(200)의 자중에 의해 창문(200)의 하단이 공기차단수단(400)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창문(200)의 하단이 공기차단수단(400)에 밀착됨에 의해 창문(200)의 하단의 하단을 통해 공기가 유통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캐스터(220)가 경사면(310)을 따라 하강하므로 창문(200)의 일측단이 창틀(100)의 일측면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폐문된다. 즉, 창문(200)의 일측단이 창틀(100)의 일측면에 밀착되므로 폐문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창문(200)이 일측단과 창틀(100)의 일측면을 통한 공기의 유통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창문(200)의 관통홀(521)에 창틀(100)의 가이드샤프트(511)가 삽입되면서 가압판(513)이 창문(200)의 가압판지지부(522)에 지지되므로 가압판지지부(522)이 탄성체(512)를 가압하게 된다. 즉, 탄성체(512)는 압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부(240)를 조작하여서 걸쇠(230)를 걸림돌기(170)에 걸리게 하여 창문(200)의 폐문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창문(200)을 개문시키기 위해 조작부(240)를 역방향으로 조작하면 걸쇠(230)가 걸림돌기(170)에서 분리되면, 압축되었던 탄성체(512)가 신장된다. 이때, 탄성체(512)의 신장됨에 의해 가압판지지부(522)이 창문(200)의 가압판지지부(522)를 밀게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샤프트(511)가 창문(200)의 관통홀(521)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창문(200)이 창틀(100)에서 쉽게 이격된다.
이때, 탄성체(512)의 탄성에 의해 창문(200)이 창틀(100)에서 이격되면서 캐스터(220)가 경사면(310)을 따라 상승하면서 경사면(310)을 벗어나게 된다. 즉, 창문(200)의 개문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200)이 폐문된 상태에서는 창문(200)의 하부와 일측을 통해 공기가 유통됨이 차단될 수 있어서 냉난방에 유리한 이점이 있고, 창문(200)이 개문되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창문(200)이 창틀(100)에서 쉽게 이격되므로 창문(200)의 개방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창호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창틀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레일 130 : 장착구
140 : 수분배출수단 141 : 외벽프레임
142 : 수분낙하부 143 : 경사프레임
144 : 수분배출부 145 : 코킹
146 : 코킹홈 147 : 장착턱
160 : 이물질차단부 200 : 창문
210 : 레일홈 220 : 캐스터
230 : 걸쇠 240 : 조작부
300 : 창문안내수단 310 : 경사면
400 : 공기차단수단 410 : 장착홈
500 : 창문이격수단 510 : 창문지지부
511 : 가이드샤프트 512 : 탄성체
513 : 가압판 520 : 가압부
521 : 가압부 522 : 가압판지지부

Claims (10)

  1. 건물의 벽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창틀(100)과,
    창틀(100)을 따라 이동되어서 창틀(100)을 개폐하는 창문(200)과,
    폐문하기 위해 창틀(100)을 따라 이동되는 창문(200)의 하단이 창틀(10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이동되는 창문(200)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창문안내수단(300)과,
    창문안내수단(300)에 의해 하강되는 창문(200)의 하단을 지지하여 창문(200) 및 창틀(100)의 사이를 통한 공기유통을 차단하는 공기차단수단(400)과,
    개문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창문(200)을 창틀(100)에서 이격시키는 창문이격수단(500)을 포함하며,
    창틀(100)은
    창문(200)의 테두리를 포위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창문(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0)과,
    창틀(100)은 공기차단수단(400)이 장착되는 장착구(130)와,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수단(140)을 포함하고,
    수분배출수단(14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벽프레임(141)과,
    베이스프레임(11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수분이 낙하되는 수분낙하부(142)과,
    수분낙하부(142)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을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프레임(141)으로 안내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서 하부로 이격되면서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면서 외벽프레임(141)들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게 형성되는 경사프레임(143)과,
    경사프레임(143)을 따라 흐르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프레임(141)에 형성되는 수분배출부(144)와,
    수분배출부(144)을 커버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수분의 이동은 허용하면서 이물질이나 벌레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차단부(160)를 포함하고,
    이물질차단부(160)는 베이스프레임(110) 및 경사프레임(143)의 사이에 양단이 밀착되면서 수분배출부(144)에 밀착되는 스펀지로 구성되어, 해충의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강한 세기의 바람이 침투됨을 방지하고,
    창문(200)의 하단에는 창틀(100)의 레일(120)이 삽입되는 레일홈(210)이 형성되고, 레일홈(210)에는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20)가 설치되며,
    창문안내수단(300)은 레일(120)의 상부에 폐문하는 방향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10)을 포함하고,
    경사면(310)이 경사홈으로 구성되며,
    공기차단수단(400)은 장방형이면서 양측면에 창틀(100)의 장착구(130)에 걸려서 고정되는 장착홈(410)이 형성되고,
    창문이격수단(500)은
    창틀(100)에 구비되어 창문(20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창문지지부(510) 및
    창문(200)에 구비되어 창문지지부(510)에 가압되는 가압부(520)를 포함하며,
    창문지지부(510)는
    창틀(100)의 내측면에서 창문(200)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샤프트(511)와,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면서 창틀(100)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체(512)와,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면서 탄성체(512)의 타단에 구비되어 가압부(520)를 가압하는 가압판(513)을 포함하고,
    가압부(520)는
    창문(200)에 형성되어 가이드샤프트(511)가 관통되는 관통홀(521)과,
    관통홀(521)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가압판(513)이 지지되는 가압판지지부(5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창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97613A 2015-07-09 2015-07-09 단열 창호 시스템 KR101825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613A KR101825151B1 (ko) 2015-07-09 2015-07-09 단열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613A KR101825151B1 (ko) 2015-07-09 2015-07-09 단열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56A KR20170006656A (ko) 2017-01-18
KR101825151B1 true KR101825151B1 (ko) 2018-02-09

Family

ID=5799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613A KR101825151B1 (ko) 2015-07-09 2015-07-09 단열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281A (ko) * 2020-11-13 2022-05-20 김현민 창문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93B1 (ko) * 2005-12-16 2006-06-20 (주)한동윈시스코 창호시스템
KR100951443B1 (ko) * 2009-08-03 2010-04-07 (주)융기 창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93B1 (ko) * 2005-12-16 2006-06-20 (주)한동윈시스코 창호시스템
KR100951443B1 (ko) * 2009-08-03 2010-04-07 (주)융기 창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281A (ko) * 2020-11-13 2022-05-20 김현민 창문구조
KR102563206B1 (ko) * 2020-11-13 2023-08-04 김현민 창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56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6588A (ko) 미닫이 창호용 창틀 구조체
KR20180074727A (ko) 슬라이딩 도어용 실링 유닛
KR101825151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KR101179713B1 (ko) 개량된 배수구조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US6718695B1 (en) Railless window and door system
KR20070045542A (ko) 창틀
KR102079314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200410662Y1 (ko)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KR101538499B1 (ko)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102206070B1 (ko) 방충창 이탈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US9366070B2 (en) Active water management for fenestration assembly
KR101896427B1 (ko) 밀폐형 슬라이딩 자동문
JP5839969B2 (ja) 防音サッシ
JP6007403B2 (ja) 換気口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JP2000120355A (ja) 建 具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KR20110101652A (ko) 여닫이문 하단용 모헤어 프레임
KR101507928B1 (ko) 탈선 방지용 케스터 모듈
JP2007040101A (ja) サッシ窓
KR102102443B1 (ko)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KR101769578B1 (ko) 분리 가능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