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43B1 -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43B1
KR102102443B1 KR1020180051893A KR20180051893A KR102102443B1 KR 102102443 B1 KR102102443 B1 KR 102102443B1 KR 1020180051893 A KR1020180051893 A KR 1020180051893A KR 20180051893 A KR20180051893 A KR 20180051893A KR 102102443 B1 KR102102443 B1 KR 10210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outer housing
drain hole
window
window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359A (ko
Inventor
홍정기
Original Assignee
홍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기 filed Critical 홍정기
Priority to KR102018005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설치되어 창호 레일에 물이 고이게 되면 배수 홀을 개방시켜 물을 실외로 배출시키며, 외부에서 창문 측으로 바람이 불어오면 배수 홀을 폐쇄시켜 배수 홀을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는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배수구가 삽입 체결되며 상기 배수구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부가 소정간격으로 마련된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서 상기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수 홀이 마련된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창호 레일에 물이 고여 내부 하우징의 배수 홀을 통해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 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개방되어 창호 레일에 고인 물을 배수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면 폐쇄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DRAINAGE SYSTEM FOR WINDOW RAILS WITH WINDSHIELD FUNCTION}
본 발명은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 레일에 고여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창호 레일의 하단부에 마련된 배수 홀에 설치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에는 실내외 실외의 통풍, 채광, 물건의 반입이나 반출 또는 사람의 출입 등을 위하여 창호가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벽면의 일부분 또는 벽면의 전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개폐방법에 따라서 벽에 고정되어 개폐가 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붙박이 방식, 벽의 설치방향에서 내측이나 외측으로 개폐할 수 있는 여닫이 방식, 벽의 설치방향과 나란히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미서기 방식의 창호가 있다.
대개의 경우 물건의 반입이나 사람의 출입을 위해서는 여닫이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풍이나 채광을 위해서는 미서기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에서 미서기 창호는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서로 교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창문으로 이루어지며, 창문 중의 하나는 고정형으로 설치하여 다른 하나의 창문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폐하도록 하거나, 창문 모두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양쪽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미서기 창호는 프레임의 하부에 창호 레일이 설치되고, 창문에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호차가 설치되어 창문 개폐 시 호차가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미서기 창호의 창호 레일의 하단부에는 레일과 레일 사이에 고여 있는 물을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배수 홀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배수 홀은 상기 미서기 창호의 실외 측과 실내 측에 마련되어 있는 레일 모두에 마련될 수 있으며, 실외 측에 위치한 창호 레일에 마련된 배수 홀의 경우에는 우천 시 레일과 레일 사이에 고인 빗물을 실외로 배출시키게 되며, 실내 측에 위치한 창호 레일에 마련된 배수 홀의 경우에는 겨울철에 실내/외 온도차에 따라 창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실외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창호 레일의 하단부에 마련된 배수 홀의 경우에는 레일과 레일 사이에 고이게 되는 물을 실외로 배출시켜 실내로 물이 넘쳐흐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외부에서 창문 방향으로 바람이 불게 되면 바람이 상기 배수 홀을 통해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창호의 단열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6681호(2012.12.21.)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설치되어 창호 레일에 물이 고이게 되면 배수 홀을 개방시켜 물을 실외로 배출시키며, 외부에서 창문 측으로 바람이 불어오면 배수 홀을 폐쇄시켜 배수 홀을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배수구가 삽입 체결되며 상기 배수구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부가 소정간격으로 마련된 외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서 상기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수 홀이 마련된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창호 레일에 물이 고여 내부 하우징의 배수 홀을 통해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 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개방되어 창호 레일에 고인 물을 배수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면 폐쇄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삽입 체결되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수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창호 레일의 측면부에 밀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배수구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격벽부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서 상기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로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의 양측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따라 배수 홀로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의 양측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출부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 턱 및, 상기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출부에 마련된 결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부터 내부 하우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를 들면,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 위치한 창호 레일의 측면부에 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수 홀이 마련된 지지부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가이드 돌출부를 따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서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삽입되어 외부 하우징의 걸림 턱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걸림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 측으로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가압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격벽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배수구에 삽입 체결되며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배수 홀이 소정간격으로 마련된 가이드 벽체와, 상기 가이드 벽체에 마련된 복수개의 배수 홀과 연통되며 상기 배수구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벽체와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걸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마련된 관통 홈부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격벽부와 가이드 벽체 사이에 배치되어 창호 레일에 물이 고여 내부 하우징의 배수 홀을 통해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 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격벽부와 가이드 벽체를 따라 부상되어 가이드 벽체에 마련된 배수 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격벽부와 가이드 벽체를 따라 하강되어 가이드 벽체에 마련된 배수 홀을 폐쇄시키는 배수구 개폐부재 및, 상기 지지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 하우징의 결합 홈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벽체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부터 내부 하우징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는 물 보다 비중이 낮으며 바람에 의해 쉽게 이동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는 비가 오거나 결로에 의해 창호 레일 사이에 물이 고이게 되면 내부 하우징의 배수 홀과 가이드 벽체의 배수 홀을 순차적으로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배수구 개폐부재가 부상되어 상기 가이드 벽체의 배수 홀을 개방시켜 창호 레일 사이에 고여 있는 물이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는 외부에서 창문 측으로 바람이 불어와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로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로 유입된 바람에 의해 배수구 개폐부재가 가이드 벽체 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벽체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가이드 벽체 하부에 마련된 배수 홀에 밀착되어 상기 배수 홀을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외부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는 빗물이나 결로현상에 의해 창호 레일 사이에 고여 있는 물은 실외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외부로부터 창호 측으로 불어오는 바람은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는 비가 오거나 결로현상으로 인하여 창호 레일 사이에 물이 고인다 하더라도 실내로 물이 넘쳐흐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 찬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까지도 방지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창호에 비해 단열성을 대폭 향상시켜 실내 난방효율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까지도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가 창호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의 다른 분해사시도
도 5는 창문 외부로부터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바람이 유입될 시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창호 레일에 고인 물이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 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 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가 창호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의 다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100)는 외부 하우징(110), 내부 하우징(120) 및,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창호 레일(200)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210 : 도 5 참조)에 배수구(111)가 삽입 체결되며 상기 배수구(111)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부(113)가 소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배수구(111), 지지부(112), 격벽부(113), 가이드 돌출부(114), 걸림 턱(115) 및, 결합 홈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11)는 상기 창호 레일(200)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210 : 도 5 참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수 홀(21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배수구(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수구(11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창호 레일(200)의 측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배수구(111)가 상기 배수 홀(210)에 소정깊이 만큼 삽입되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격벽부(113)는 상기 배수구(111) 내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111)는 외부 하우징(110)에서부터 내부 하우징(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14)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반대 측에서 상기 창호 레일(200)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210)로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120)의 후술되는 걸림부(122)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111)의 양측면 상, 하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턱(115)은 상기 가이드 돌출부(114)를 따라 배수 홀(210)로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120)의 양측, 즉 걸림부(122)의 끝단부가 걸려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출부(11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부(116)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114)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130)의 후술되는 결합 돌출부(135)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반대 측에서 상기 창호 레일(200)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210)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하우징(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홀(121a)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지지부(121) 및, 걸림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1)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반대 측에 위치한 창호 레일(200)의 측면부에 밀착되어 걸림부(122)가 창호 레일(200)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210)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홀(121a)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21)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121a)에는 상기 지지부(12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복수개의 지지벽부(124)가 소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벽부(124)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복수개의 격벽부(113)와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배수 홀(121a)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122)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가이드 돌출부(114)를 따라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반대 측에서 창호 레일(200)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210)에 삽입되어 외부 하우징(110)의 걸림 턱(115)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2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120)은 한 쌍의 가압 돌출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압 돌출부(123)는 상기 걸림부(122)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12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10) 측으로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130)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가압 돌출부(122)는 상기 걸림부(122)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121)로부터 돌출되어 내부 하우징(120)의 걸림부(122)가 외부 하우징(110)의 걸림 턱(115)에 걸리게 되면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130)의 가이드 벽체(131)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 벽체(131)가 흔들리는 현상 없이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130)은 상기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되어 창호 레일(200)에 물이 고여 내부 하우징(120)의 배수 홀(121a)을 통해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 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개방되어 창호 레일(200)에 고인 물을 배수구(111)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면 폐쇄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130)은 가이드 벽체(121), 지지부(132), 관통 홈부(133), 배수구 개폐부재(134) 및, 결합 돌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체(131)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격벽부(113)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배수구(111)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 벽체(131)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배수 홀(131a)이 소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벽체(131)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격벽부(113)와 마찬가지로 상기 외부 하우징(110)에서부터 내부 하우징(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벽체(131)와 격벽부(113)가 외부 하우징(110)에서부터 내부 하우징(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벽체(131)의 하단부에만 복수개의 배수 홀(131a)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벽체(131)에 마련된 복수개의 배수 홀(131a)을 통해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물에 의해 배수구 개폐부재(134)가 가이드 벽체(131)와 격벽부(113)를 따라 상승되어 가이드 벽체(131)에 마련된 복수개의 배수 홀(131a)이 개방되어 창호 레일(200)에 고인 물이 배수구(1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면 바람에 의해 배수구 개폐부재(134)가 격벽부(113)와 가이드 벽체(131)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가이드 격벽(131)의 하단부에 마련된 배수 홀(131a)에 밀착되어 배수 홀(131a)을 폐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실내로 바람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32)는 상기 가이드 벽체에 마련된 복수개의 배수 홀(131a)과 연통되며 상기 배수구(111)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벽체(1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홈부(133)는 상기 지지부(132)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걸림부(122)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격벽부(113)와 가이드 벽체(131) 사이에 배치되어 창호 레일(200)에 물이 고여 내부 하우징(120)의 배수 홀(121a)을 통해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 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격벽부(113)와 가이드 벽체(131)를 따라 부상되어 가이드 벽체(131)에 마련된 배수 홀(131a)을 개방시키며,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격벽부(113)와 가이드 벽체(131)를 따라 하강되어 가이드 벽체(131)에 마련된 배수 홀(131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상기 격벽부(113)와 가이드 벽체(131) 사이에 배치되어 창호 레일(200)에 물이 고여 내부 하우징(120)의 배수 홀(121a)을 통해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 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외부 하우징(110)에서부터 내부 하우징(12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격벽부(113)와 가이드 벽체(131)를 따라 부상되어 가이드 벽체(131)에 마련된 배수 홀(131a)이 개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외부로 물이 배출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내부 하우징(120) 측으로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바람에 의해 가이드 벽체(131) 측으로 밀려 상기 격벽부(113)와 가이드 벽체(131)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가이드 벽체(131)에 마련된 배수 홀(131a)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 벽(131)체에 형성된 배수 홀(131a)을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외부의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외부로부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내부 하우징(120) 측으로 바람이 유입되어 바람에 의해 밀려 가이드 벽체(131) 측으로 이동될 시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부 하우징(120)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가이드 벽체(131)와 격벽부(113)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배구수 개폐부재(134)가 바람에 의해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 바닥면으로부터 뜨는 현상 없이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 벽체(131)의 하단부에 마련된 배수 홀(131a)에 밀착되어 배수 홀(131a)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물에 의해 용이하게 부상되면 바람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물 보다 비중이 낮으며 바람에 의해 쉽게 이동될 수 있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발포폼 계열의 압출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의 작동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창문 외부로부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될 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100)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창문 외부로부터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바람이 유입될 시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창문 외부로부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바람이 실내, 즉 내부 하우징(120) 측으로 유입되면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로 유입된 바람에 의해 배수구 개폐부재(134)가 밀려 가이드 벽체(131) 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외부 하우징(110)에서 내부 하우징(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벽체(131)에 의해 가이드 되어 바람에 의해 부상되지 않고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벽체(13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 홀(131a)에 밀착되어 상기 배수 홀(131a)을 폐쇄시켜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실내로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바람에 의해 쉽게 이동되어야 함으로써 스티로폼 등과 같은 발포폼 계열의 압출물로 제작된다.
따라서, 창문 외부로부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내부 하우징(120) 측, 즉 가이드 벽체(131) 측으로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바람에 의해 부상된 상태로 가이드 벽체(131)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 벽체(131)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100)는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와 마주하는 가이드 벽체(131)가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로 외부 하우징(110)에서 내부 하우징(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가이드 벽체(131)의 하단부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배수 홀(1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내부 하우징(120) 방향으로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는 바람에 의해 가이드 벽체(131) 측으로 밀려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벽체(131)에 의해 가이드 되어 배수 홀(131a)이 마련된 가이드 벽체(131)의 하단부로 하강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벽체(131)의 배수 홀(131a)에 밀착되어 상기 배수 홀(131a)을 폐쇄시켜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실내로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창호 레일에 고인 물이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창호 레일에 고인 물이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창호 레일(200)에 빗물이나 결로에 의해 물이 고이게 되면 창호 레일(200)에 고여 있는 물은 내부 하우징(120)의 배수 홀(121a)로 유입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배수 홀(121a)로 유입된 물은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130)의 지지부(132)를 통과한 후 가이드 벽체(131)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131a)로 유입되며, 상기 가이드 벽체(131)의 하단부에 마련된 배수 홀(131a)을 통과하여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로(111)로 유입되는 물은 가이드 벽체(131)와 격벽부(1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벽체(131)의 배수 홀(131a)을 폐쇄시킨 배수구 개폐부재(134)를 격벽부(113)를 따라 부상시켜 가이드 벽체(131)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131a)을 개방시키게 됨으로써 창호 레일(200)에 고인 물이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격벽부(113)는 배수구 개폐부재(134)를 지지하여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가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물과 함께 외부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가 물에 의해 부상 될 시 상기 가이드 벽체(131)와 함께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134)가 흔들리는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부상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100)는 비가 오거나 결로에 의해 창호 레일 사이에 물이 고이게 되면 내부 하우징(120)의 배수 홀(121a)과 가이드 벽체(131)의 배수 홀(131a)을 순차적으로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배수구 개폐부재(134)가 부상되어 상기 가이드 벽체(131)의 배수 홀을(131a) 개방시켜 창호 레일(200) 사이에 고여 있는 물이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100)는 외부에서 창문 측으로 바람이 불어와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로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외부 하우징(110)의 배수구(111)로 유입된 바람에 의해 배수구 개폐부재(134)가 가이드 벽체(131) 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벽체(131)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가이드 벽체(131) 하부에 마련된 배수 홀(131a)에 밀착되어 상기 배수 홀(131a)을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외부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100)는 빗물이나 결로현상에 의해 창호 레일 사이에 고여 있는 물은 실외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고, 외부로부터 창호 측으로 불어오는 바람은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100)는 비가 오거나 결로현상으로 인하여 창호 레일(200) 사이에 물이 고인다 하더라도 실내로 물이 넘쳐흐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 찬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까지도 방지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창호에 비해 단열성을 대폭 향상시켜 실내 난방효율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까지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외부 하우징 (120) : 내부 하우징
(130) :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

Claims (8)

  1.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배수구가 삽입 체결되며 상기 배수구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부가 소정간격으로 마련된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서 상기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수 홀이 마련된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창호 레일에 물이 고여 내부 하우징의 배수 홀을 통해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 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개방되어 창호 레일에 고인 물을 배수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면 폐쇄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삽입 체결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수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창호 레일의 측면부에 밀착되는 지지부;
    상기 배수구 내부에 소정간격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격벽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서 상기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로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의 양측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따라 배수 홀로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의 양측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출부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 턱; 및
    상기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출부에 마련된 결합 홈부를 포함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부터 내부 하우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 위치한 창호 레일의 측면부에 밀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수 홀이 마련된 지지부;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가이드 돌출부를 따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반대 측에서 창호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홀에 삽입되어 외부 하우징의 걸림 턱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걸림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 측으로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가압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개폐 가이드 유닛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격벽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배수구에 삽입 체결되며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배수 홀이 소정간격으로 마련된 가이드 벽체;
    상기 가이드 벽체에 마련된 복수개의 배수 홀과 연통되며 상기 배수구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벽체와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내부 하우징의 걸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마련된 관통 홈부;
    상기 외부 하우징의 격벽부와 가이드 벽체 사이에 배치되어 창호 레일에 물이 고여 내부 하우징의 배수 홀을 통해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 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격벽부와 가이드 벽체를 따라 부상되어 가이드 벽체에 마련된 배수 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바람이 유입되면 상기 격벽부와 가이드 벽체를 따라 하강되어 가이드 벽체에 마련된 배수 홀을 폐쇄시키는 배수구 개폐부재; 및
    상기 지지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 하우징의 결합 홈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체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서부터 내부 하우징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개폐부재는,
    물 보다 비중이 낮으며 바람에 의해 쉽게 이동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KR1020180051893A 2018-05-04 2018-05-04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KR102102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93A KR102102443B1 (ko) 2018-05-04 2018-05-04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93A KR102102443B1 (ko) 2018-05-04 2018-05-04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59A KR20190127359A (ko) 2019-11-13
KR102102443B1 true KR102102443B1 (ko) 2020-04-20

Family

ID=6853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893A KR102102443B1 (ko) 2018-05-04 2018-05-04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7095U (ko) * 1985-12-25 1987-07-08
JPH07279555A (ja) * 1994-04-11 1995-10-27 Ykk Architect Prod Kk 水抜穴用カバー
KR101216681B1 (ko) 2010-11-01 2012-12-28 김순석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59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890B1 (ko)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2102443B1 (ko)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KR101872970B1 (ko) 창호 프레임 구조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101031126B1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JP4600157B2 (ja) サッシの排水具
KR200434906Y1 (ko) 알루미늄 창틀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1312013B1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10403B1 (ko) 플랫 새시
JP2005105566A (ja) 複合サッシの下枠
KR102455797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단열창호
KR200387114Y1 (ko) 유도블록을 이용한 창호의 내부 결로수 배출시스템
KR20150038763A (ko)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진 오르내리창
KR20130061831A (ko) 배수홀캡을 구비한 고층용 미서기 시스템 창호
KR101876964B1 (ko) 다기능 창호용 프로파일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JP6756589B2 (ja) 断熱枠部材及び建具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KR102439954B1 (ko)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JP6918034B2 (ja) 建具
KR100874255B1 (ko) 알루미늄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