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681B1 -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681B1
KR101216681B1 KR1020100107534A KR20100107534A KR101216681B1 KR 101216681 B1 KR101216681 B1 KR 101216681B1 KR 1020100107534 A KR1020100107534 A KR 1020100107534A KR 20100107534 A KR20100107534 A KR 20100107534A KR 101216681 B1 KR101216681 B1 KR 10121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coupled
inn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759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0010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6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의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서 이들 사이의 상부 공간을 마감하는 창호프레임마감체;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고 창호프레임마감체 사이에 설치되어서 외측레일은폐체의 외부면에서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외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내측창호프레임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시키는 배수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측레일은폐체의 상부면에서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으로 흐른 빗물이 배수체의 배수구멍을 통해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로 배수된다. 그러므로 빗물이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을 통해 내측레일은폐체의 상부면으로 흐르는 것이 차단되며, 이에 따라 빗물이 창호의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Drainage structure of windows and doors having hidden rail type}
본 발명은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빗물이 창호프레임마감체에서 내측창호프레임 측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되고,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원활히 배수되는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창호들은 출입문 및 창문, 이 출입문 및 창문이 슬라이딩 계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호틀 등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이들 창호들은 외기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 내후성을 비롯하여, 내구성 및 유리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높은 기계적 성질을 만족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건물의 고급화 및 기능성을 갖는 창호로서, 거실의 분합문이나 발코니창 등의 비교적 대형 창호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올림미닫이 방식의 시스템 창호, 그리고 방범 기능을 갖는 방범 창호 등 여러가지 형태의 창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창호 시스템의 창호틀에는 출입문 및 창문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레일홈은 사람이 지나다닐 때 발에 이물감을 주거나 발이 걸리는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베란다에 적용된 창호틀의 경우 그 레일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이 쉽게 쌓이는 동시에 레일홈으로부터 이물질 들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베란다 창호에 적용된 창호틀 및 그 레일홈을 통해 외풍 내지 빗물이 손쉽게 침투하여 기밀성 및 배수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7124호 및 제10-439112호에 기밀성 및 배수성을 향상시킨 레일 은폐형 창호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출입문 및 창문을 창호틀의 레일홈에 결합시키는 구조가 복잡하여 출입문 및 창문을 레일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빗물의 배수 구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배수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비바람이 불면 외측창호프레임에 설치된 외측레일은폐체의 상부면을 따라 빗물이 흐르게 되는데, 외측레일은폐체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내측레일은폐체의 상부면 측으로 흐르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레일은폐체에서 창호프레임마감체로 흐르는 빗물이 내측창호프레임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한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호프레임마감체가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에 간편하고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한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살균기능이 향상되도록 한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원활히 배수되도록 한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는, 창호가 설치될 벽체 둘레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외측창호프레임; 상하부가 외측창호프레임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외측창호문틀 및 외측창호문틀에 설치되는 외측창호문으로 이루어진 외부창짝; 외측창호프레임의 상하부에 결합되어서 외측창호문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외측창호프레임의 내부를 은폐하는 외측레일은폐체들; 외부창짝의 외측창호문틀 하부에 설치되고 외측레일은폐체에 안착되어서 외부창짝이 외측레일은폐체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외측롤러들; 창호가 설치될 벽체 둘레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내측창호프레임;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서 이들이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시키는 연결스트립; 상하부가 내측창호프레임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내측창호문틀 및 내측창호문틀에 설치되는 내측창호문으로 이루어진 내부창짝; 내측창호프레임의 상하부에 결합되어서 내측창호문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내측창호프레임의 내부를 은폐하는 내측레일은폐체들; 내부창짝의 내측창호문틀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레일은폐체에 안착되어서 내부창짝이 내측레일은폐체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내측롤러들;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의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서 이들 사이의 상부 공간을 마감하는 창호프레임마감체;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고 창호프레임마감체 사이에 설치되어서 외측레일은폐체의 외부면에서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외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내측창호프레임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시키는 배수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의 다른 특징은, 창호프레임마감체는, 양측이 외측창호프레임의 일측 상단 및 내측창호프레임의 일측 상단에 지지되어서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의 상부공간을 마감하는 마감상판과, 마감상판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하단에 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측판으로 이루어지며; 창호프레임마감체의 결합측판에는 결합측판이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의 대응 측면에 밀착되도록 밀착패드가 결합되되, 이 밀착패드는,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 내측면에는 결합측판의 훅부가 결합되도록 쐐기돌부가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배수체는,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된 상판과, 상판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편들로 이루어진 결합부와; 상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 브러시가 결합되도록 브러시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의 대응 내측 상단부에 지지되는 브러시결합편들과; 상판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의 대응 내측 상단부에 지지되는 지지편들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배열된 지지편들에 의해 한쌍의 브러시결합편들 사이에는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배수구멍 측으로 유도되도록 배수통로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배수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이 합성수지재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창호프레임마감체에는, 살균기능을 갖는 금속입자가 고착되되, 이 금속입자는,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아연(Zn), 카드뮴(Cd), 팔라듐(Pd), 로듐(Rh) 및 크롬(C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전기방전법(arc-discharge) 또는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에 의해 고착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외측레일은폐체의 상부면에서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으로 흐른 빗물이 배수체의 배수구멍을 통해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로 배수된다. 따라서 빗물이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을 통해 내측레일은폐체의 상부면으로 흐르는 것이 차단되며, 이에 따라 빗물이 창호의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마감체의 결합측판들에 밀착패드를 밀어 끼우면 결합측판의 훅부와 밀착패드의 쐐기돌부가 체결되면서 간단히 결합된다. 이와 같이 창호프레임마감체에 밀착패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측판을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에 밀어 끼우면 밀착패드의 쐐기부분이 가압되면서 대응 내측면들에 밀착된다. 따라서 창호프레임마감체를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에 밀어 끼우는 간단한 작업으로 창호프레임마감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타이트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결합상태가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마감체에는, 살균기능을 갖는 금속입자코팅층이 고착되되, 이 금속입자코팅층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아연(Zn), 카드뮴(Cd), 팔라듐(Pd), 로듐(Rh) 및 크롬(C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빗물 중에 포함된 세균이 금속입자코팅층에 접촉되면서 살균처리되므로 세균이 실내로 침투하거나 번식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체는, 외측창호프레임 및 내측창호프레임 사이의 상부 공간에 결합되고 빗물을 배수시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있는 브러시결합편들 및 지지편들로 이루어지며, 브러시결합편들 및 지지편들 사이에는 창호프레임마감체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배수구멍 측으로 유도되도록 격자 형태의 배수통로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빗물이 어느 방향으로 유입되든지 서로 연결된 격자형태의 배수통로에 의해 배수구멍 측으로 원활히 유도되며, 이에 따라 빗물이 창호프레임마감체 또는 배수체에 머물지 않고 배수구멍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된다.
본 발명의 배수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이 합성수지재 원료에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된다. 따라서 특정한 비율로 혼합된 기능성방향제에 의해, 실내 거주자의 심신이 안정되고 혈액순환이 촉진되며 호흡기질환이 개선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외부창짝 및 내부창짝을 분리한 상태의 창호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창호프레임마감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배수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는, 창호가 설치될 벽체 둘레의 실외측에 외측창호프레임(10)이 결합된다. 외측창호프레임(10)에는 외부창짝(20)의 상하부가 결합된다. 이 외부창짝(20)은, 외측창호프레임(10)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외측창호문틀(21) 및 외측창호문틀(21)에 설치되는 외측창호문(22)으로 이루어진다.
외측창호프레임(10)의 상하부에는 외측창호문틀(21)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외측창호프레임(10)의 내부를 은폐하는 외측레일은폐체(30)들이 결합되어 있다.
외부창짝(20)의 외측창호문틀(21) 하부에는 외측레일은폐체(30)에 안착되어서 외부창짝(20)이 외측레일은폐체(30)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외측롤러(40)들이 결합된다.
창호가 설치될 벽체 둘레의 실내측에는 내측창호프레임(50)이 결합된다.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에는 이들이 서로 고정되도록 연결스트립(60)이 설치된다.
내측창호프레임(50)에는 내부창짝(70)의 상하부가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내부창짝(70)은, 상하부가 내측창호프레임(50)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내측창호문틀(71)과 내측창호문틀(71)에 설치되는 내측창호문(72)으로 이루어진다.
내측창호프레임(50)의 상하부에는 내측창호문틀(71)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내측창호프레임(50)의 내부를 은폐하는 내측레일은폐체(80)들이 결합되어 있다.
내부창짝(70)의 내측창호문틀(71) 하부에는 내측레일은폐체(80)에 안착되어서 내부창짝(70)이 내측레일은폐체(80)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내측롤러(90)들이 설치된다.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사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서 이들 사이의 상부 공간을 마감하는 창호프레임마감체(100)가 결합된다.
이 창호프레임마감체(100)는, 마감상판(101)과 결합측판(102)으로 이루어진다.
마감상판(101)은 양측이 외측창호프레임(10)의 일측 상단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일측 상단에 지지되어서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의 상부공간을 마감한다. 결합측판(102)은, 마감상판(101)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하단에 훅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결합측판(102)에는 결합측판(102)이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대응 측면에 밀착되도록 밀착패드(11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밀착패드(110)는,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 내측면에는 결합측판(102)의 훅부(103)가 결합되도록 쐐기돌부(111)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창호프레임마감체(100)에는, 살균기능을 갖는 금속입자코팅층(104)이 고착되어 있다. 이 금속입자코팅층(104)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아연(Zn), 카드뮴(Cd), 팔라듐(Pd), 로듐(Rh) 및 크롬(C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전기방전법(arc-discharge) 또는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에 의해 고착된다.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사이에는 배수체(120)가 결합된다. 이 배수체(120)는, 창호프레임마감체(100) 사이에 설치되어서 외측레일은폐체(30)의 외부면에서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외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내측창호프레임(50)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러한 배수체(120)는, 결합부(121), 브러시결합편(125), 지지편(128)들로 이루어진다.
배수체(120)의 결합부(121)는,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배수구멍(123)이 형성된 상판(122)과, 상판(122)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편(124)들로 이루어진다.
브러시결합편(125)들은, 상판(12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 브러시(127)가 결합되도록 브러시결합홈(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대응 내측 상단부에 지지된다.
지지편(128)들은, 상판(122)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대응 내측 상단부에 지지된다.
이러한 배수체(120)는, 등간격으로 배열된 지지편(128)들에 의해 한쌍의 브러시결합편(125)들 사이에는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배수구멍(123) 측으로 유도되도록 배수통로(129)들이 형성된다.
이 배수체(1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바, 이 합성수지재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합성수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된다.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방향제는 원료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방향제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방향제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는 불안, 긴장, 걱정, 초초함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늘 마음이 불안하고 여러 가지 걱정거리를 갖고 있으며 초조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계속되거나 아무런 이유없이 불안하고 초조할 때에는 이를 완화해 줄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기능성방향제는 실내에 거하는 동안 마음을 안정시키고 근육을 풀어주며 불안, 긴장감을 완화해 주는데 좋은 작용을 한다.
기능성방향제 중 버거못(Bergamot : citrus bergamia, citrus aurantium)은 주산지인 북이태리 지방의 버가모(Bergamo)에서 따온 이름으로, 그 열매에서 짜낸 에센셜 오일은 linalyl acetate, limonene, lonalol을 주로 함유하고 있고 신선한 과일 향과 더불어 약한 초록색을 띈다.
이러한 버거못 오일은 항울효과가 탁월한 업리프팅(uplifting) 오일이다. 다시 말해 버거못 오일은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상쾌하고 신선하게 해 주는 효과가 탁월하며 심리적으로 초조, 불안하고 우울한 사람에게 버거못 오일을 이용한 맛사지를 해주면 그 효과가 탁월하다.
카모마일 로만(Chamomile Roman : chamaemelum nobile & anthemis nobilis)은, isobutyl angelate, pinocarvone, α-pinene, camphene, β-pinene, sabinene, myrcene, cineole, γ-terpinene, caryophyllene, propylangelate, butyl angelate 등의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진통, 항염, 방부, 항경련, 진정 통경, 건위, 구충, 강장작용과 더불어 박테이라를 죽이고 상처를 낫게 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마음과 신경을 안정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클레리세이지(Clary Sage : salvia sclarea, salvia viridis)는, linalyl aceate, sclareol, linalol, salvene, salvone 등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레리세이지는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므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긴장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호흡기의 발작적인 경련, 즉 심한 기침등에 효과가 있어 천식환자에게 좋으며 강장효과가 있어 회복기에 있는 감기환자에게 좋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진경작용이 있어 위경련에도 좋다.
후랑켄세스(Frankincense : boswellia carteri)는, 1-pinene, dipentene, phellandrene, camphene, olibanol 등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랑켄세스 오일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특히 방부작용과 기침을 가라 앉히는 효능이 있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에 좋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된 배수체(120)는 실내에 향기를 발산하여서 거주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외측레일은폐체(30)의 상부면에서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상부면으로 흐른 빗물이 배수체(120)의 배수구멍(123)을 통해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로 배수된다.
따라서 빗물이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상부면을 통해 내측레일은폐체(80)의 상부면으로 흐르는 것이 차단되며, 이에 따라 빗물이 창호의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둘째,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결합측판(102)들에 밀착패드(110)를 밀어 끼우면 결합측판(102)의 훅부(103)와 밀착패드(110)의 쐐기돌부(111)가 체결되면서 간단히 결합된다.
이와 같이 창호프레임마감체(100)에 밀착패드(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측판(102)을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에 밀어 끼우면 밀착패드(110)의 쐐기돌부(111) 부분이 가압되면서 대응 내측면들에 밀착된다.
따라서 창호프레임마감체(100)를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에 밀어 끼우는 간단한 작업으로 창호프레임마감체(100)가 유동되지 않도록 타이트하게 결합되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결합상태가 안정적이다.
셋째,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마감체(100)에는 살균기능을 갖는 금속입자코팅층(104)이 고착되되, 이 금속입자코팅층(104)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아연(Zn), 카드뮴(Cd), 팔라듐(Pd), 로듐(Rh) 및 크롬(C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빗물 중에 포함된 세균이 금속입자코팅층(104)에 접촉되면서 살균처리되므로 세균이 실내로 침투하거나 번식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배수체(120)는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의 상부 공간에 결합되고 빗물을 배수시는 결합부(121)와 이 결합부(121)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있는 브러시결합편(125)들 및 지지편(128)들로 이루어지며, 브러시결합편(125)들 및 지지편(128)들 사이에는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배수구멍(123) 측으로 유도되도록 격자 형태의 배수통로(129)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빗물이 어느 방향으로 유입되든지 서로 연결된 격자형태의 배수통로(129)에 의해 배수구멍(123) 측으로 원활히 유도되며, 이에 따라 빗물이 창호프레임마감체(100) 또는 배수체(120)에 머물지 않고 배수구멍(123)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수된다.
다섯째, 본 발명의 배수체(1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이 합성수지재 원료에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된다.
따라서 특정한 비율로 혼합된 기능성방향제에 의해, 실내 거주자의 심신이 안정되고 혈액순환이 촉진되며 호흡기질환이 개선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외측창호프레임 20 : 외부창짝
21 : 외측창호문틀 22 : 외측창호문
30 : 외측레일은폐체 40 : 외측롤러
50 : 내측창호프레임 60 : 연결스트립
70 : 내부창짝 71 : 내측창호문틀
72 : 내측창호문 80 : 내측레일은폐체
90 : 내측롤러 100 : 창호프레임마감체
101 : 마감상판 102 : 결합측판
103 : 훅부 104 : 금속입자코팅층
110 : 밀착패드 111 : 쐐기돌부
120 : 배수체 121 : 결합부
122 : 상판 123 : 배수구멍
124 : 결합편 125 : 브러시결합편
126 : 브러시결합홈 127 : 브러시
128 : 지지편 129 : 배수통로

Claims (5)

  1. 창호가 설치될 벽체 둘레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외측창호프레임(10);
    상하부가 외측창호프레임(10)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외측창호문틀(21) 및 외측창호문틀(21)에 설치되는 외측창호문(22)으로 이루어진 외부창짝(20);
    외측창호프레임(10)의 상하부에 결합되어서 외측창호문틀(21)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외측창호프레임(10)의 내부를 은폐하는 외측레일은폐체(30)들;
    외부창짝(20)의 외측창호문틀(21) 하부에 설치되고 외측레일은폐체(30)에 안착되어서 외부창짝(20)이 외측레일은폐체(30)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외측롤러(40)들;
    창호가 설치될 벽체 둘레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내측창호프레임(50);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에 설치되어서 이들이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시키는 연결스트립(60);
    상하부가 내측창호프레임(50)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내측창호문틀(71) 및 내측창호문틀(71)에 설치되는 내측창호문(72)으로 이루어진 내부창짝(70);
    내측창호프레임(50)의 상하부에 결합되어서 내측창호문틀(71)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내측창호프레임(50)의 내부를 은폐하는 내측레일은폐체(80)들;
    내부창짝(70)의 내측창호문틀(71)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레일은폐체(80)에 안착되어서 내부창짝(70)이 내측레일은폐체(80)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내측롤러(90)들;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서 이들 사이의 상부 공간을 마감하는 창호프레임마감체(100);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사이에 결합되고 창호프레임마감체(100) 사이에 설치되어서 외측레일은폐체(30)의 외부면에서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외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내측창호프레임(50)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시키는 배수체(120)로 이루어지고;
    창호프레임마감체(100)는,
    양측이 외측창호프레임(10)의 일측 상단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일측 상단에 지지되어서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의 상부공간을 마감하는 마감상판(101)과, 마감상판(101)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하단에 훅부(103)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측판(102)으로 이루어지며;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결합측판(102)에는 결합측판(102)이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대응 측면에 밀착되도록 밀착패드(110)가 결합되되,
    이 밀착패드(110)는,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부 내측면에는 결합측판(102)의 훅부(103)가 결합되도록 쐐기돌부(111)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창호프레임마감체(100)에는,
    살균기능을 갖는 금속입자코팅층(104)이 고착되되,
    이 금속입자코팅층(104)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철(Fe), 아연(Zn), 카드뮴(Cd), 팔라듐(Pd), 로듐(Rh) 및 크롬(C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전기방전법(arc-discharge) 또는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에 의해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수체(120)는,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배수구멍(123)이 형성된 상판(122)과, 상판(122)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편(124)들로 이루어진 결합부(121)와;
    상판(12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 브러시(127)가 결합되도록 브러시결합홈(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대응 내측 상단부에 지지되는 브러시결합편(125)들과;
    상판(122)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외측창호프레임(10) 및 내측창호프레임(50)의 대응 내측 상단부에 지지되는 지지편(128)들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배열된 지지편(128)들에 의해 한쌍의 브러시결합편(125)들 사이에는 창호프레임마감체(100)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배수구멍(123) 측으로 유도되도록 배수통로(129)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수체(1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이 합성수지재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KR1020100107534A 2010-11-01 2010-11-01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KR10121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534A KR101216681B1 (ko) 2010-11-01 2010-11-01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534A KR101216681B1 (ko) 2010-11-01 2010-11-01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759A KR20120045759A (ko) 2012-05-09
KR101216681B1 true KR101216681B1 (ko) 2012-12-28

Family

ID=4626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534A KR101216681B1 (ko) 2010-11-01 2010-11-01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68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99B1 (ko) 2014-02-25 2014-10-06 김순석 ㄷ자 형상의 롤러지지대를 구비한 평레일 창호장치
KR101467319B1 (ko) * 2013-07-18 2014-12-01 (유)다산실업 빗물유입방지 미서기 창호
KR101905932B1 (ko) * 2014-01-15 2018-11-21 (주)엘지하우시스 레일 은폐형 미서기 창호
KR20190127359A (ko) 2018-05-04 2019-11-13 홍정기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KR102130248B1 (ko) 2019-04-30 2020-07-03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창호 틀의 배수구멍 가공장치
KR20200095024A (ko) * 2019-01-31 2020-08-10 김순석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102200207B1 (ko) 2019-07-17 2021-01-08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창호 틀의 배수구멍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78B1 (ko) * 2014-04-18 2016-02-18 현우공업 주식회사 구조변경이 용이한 다기능 창호 시스템
CN104563817B (zh) * 2014-12-25 2017-01-04 北京嘉寓门窗幕墙股份有限公司 一种推拉门窗框用排水件及推拉门窗
CN104563758B (zh) * 2015-01-22 2017-09-12 深圳市早田门窗技术发展有限公司 推拉门窗密封结构及推拉门窗
CH713489A1 (de) * 2017-02-27 2018-08-31 Guhl Beat Bodenführung.
KR102153572B1 (ko) * 2017-08-08 2020-09-08 (주)엘지하우시스 레일 은폐형 창호
KR102534380B1 (ko) * 2021-03-03 2023-05-18 김순석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48B1 (ko) 2007-03-28 2008-08-1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복수 트랙을 갖는 창호 시스템의 배수구조
KR100914756B1 (ko) 2009-03-02 2009-08-31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48B1 (ko) 2007-03-28 2008-08-1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복수 트랙을 갖는 창호 시스템의 배수구조
KR100914756B1 (ko) 2009-03-02 2009-08-31 김순석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319B1 (ko) * 2013-07-18 2014-12-01 (유)다산실업 빗물유입방지 미서기 창호
KR101905932B1 (ko) * 2014-01-15 2018-11-21 (주)엘지하우시스 레일 은폐형 미서기 창호
KR101446899B1 (ko) 2014-02-25 2014-10-06 김순석 ㄷ자 형상의 롤러지지대를 구비한 평레일 창호장치
EP2910718A1 (en) 2014-02-25 2015-08-26 Soon Seok Kim Window/ 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US9453360B2 (en) 2014-02-25 2016-09-27 Soon Seok Kim Window/ 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20190127359A (ko) 2018-05-04 2019-11-13 홍정기 방풍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레일용 배수장치
KR20200095024A (ko) * 2019-01-31 2020-08-10 김순석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102172592B1 (ko) * 2019-01-31 2020-11-02 김순석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102130248B1 (ko) 2019-04-30 2020-07-03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창호 틀의 배수구멍 가공장치
KR102200207B1 (ko) 2019-07-17 2021-01-08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창호 틀의 배수구멍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759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681B1 (ko)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KR101291155B1 (ko) 방충망이 구비된 미서기창호
CN101049511A (zh) 一种纯中药空气清新喷雾剂
DE60207543T2 (de) Absorptions- und desorptionsvorrichtung
Glass et al. Effects of a pleasant natural odor on mood: No influence of age
CN105642102A (zh) 一种中草药除臭组合物及其制备方法
Chambers et al. Count: 9
KR20060017914A (ko) 기능성 그레이팅
JP2022032601A (ja) C l tパネル板に囲繞された筐体の仮設建築物、及び、その居住性環境の管理を図る空気調和機、並びにその居住性環境の管理システム
KR101219651B1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및 창호 설치방법
KR20120045760A (ko) 창호용 문틀 마감구조
CN103371192B (zh) 天然植物驱蚊剂
KR100641683B1 (ko) 유해화학물질 제거액
KR101099440B1 (ko) Pvc 발포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욕실용 수납장
KR101071188B1 (ko) 향 지속성 방향제가 함유된 건축용 백 시멘트
CN213204761U (zh) 抗菌净化墙布
KR20110045915A (ko) 살균 및 세정기능이 보강된 탈취액 조성물
KR100402806B1 (ko) 일인용 휴면캡슐
KR20120068789A (ko) 인체에 이로운 향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어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주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를 제조하는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편안한 숙면을 유도하여 주면서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여 주도록 구비되는 푹신푹신한 석재 또는 목재 쿠션 침대
KR20120025334A (ko) 비즈 캡슐
CN212987434U (zh) 一种用于医院病房楼的空调装置
US20230110299A1 (en) Hygiene Base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Oppert Hospitals, Infirmaries, and Dispensaries: Their Construction, Interior Arrangement, and Management, with Descriptions of Existing Institutions, and Remarks on the Present System of Affording Medical Relief to the Poor
DE102019124877A1 (de) Sanitäreinrichtung
Kim et al. Actual conditions on the Living Environment of Small-scale Group-homes for the Elder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