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380B1 -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 Google Patents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380B1
KR102534380B1 KR1020210028041A KR20210028041A KR102534380B1 KR 102534380 B1 KR102534380 B1 KR 102534380B1 KR 1020210028041 A KR1020210028041 A KR 1020210028041A KR 20210028041 A KR20210028041 A KR 20210028041A KR 102534380 B1 KR102534380 B1 KR 102534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indoor
lower body
window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438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21002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3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고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막음판을 형성하거나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필름을 설치한 풍지판을 미서기창의 하부와 창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도록 설치하여, 틈새를 통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은 차단해 주면서 실내측 창틀프레임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Windbreake for sliding door with drainage structure}
본 발명은 풍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서기창의 하부와 창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해 주면서 실내측 창틀프레임에 고인 빗물은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에 관한 것이다.
미서기창은 창틀프레임의 레일 위에 창문이 얹혀져서 레일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창문이 개폐되는 방식이므로, 구조적으로 창문의 상부와 하부가 창틀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틈새가 생길 수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틈새를 통해서 바람이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풍지판'이란 바깥바람이 실내측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창틀과 창문 사이에 끼우는 판으로, 일종의 바람막이를 말한다.
한편,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에 시행되어 오던 에너지효율등급제가 2012년 7월부터 창호에도 적용되고 있는데, 건축물의 에너지는 약 40%가 창호를 통해 누출되고 있어서 창호에도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라벨이 붙여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창호의 에너지 효율 등급을 높이기 위해서는 풍지판의 역할 및 성능이 중요한 요소라고 하겠다.
풍지판에 관해 출현했던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등록 제1955653호 "창문용 풍지판"은 창문의 하부가 레일에 얹혀져서 결합되는 부분에 브러시를 삽입하여 레일 상면과 창문 하부 사이에 틈새를 막아주고, 레일이 위치하게 될 부분을 절개하여 개구(開口)를 형성한 판상(板狀)의 풍지판을 창문프레임의 측면에 부착한 구조이다. 또 특허등록 제1832151호 "풍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풍지판"은 레일이 위치하게 될 부분을 절개하여 개구(開口)를 형성하여 판상의 풍지판을 제작하고, 풍지판의 측면과 하부 및 절개된 부분에 브러시 형상의 풍지털을 부착하여, 풍지털이 부착된 풍지판을 창문프레임의 측면에 부착한 구조이다.
상기 특허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출현했던 모든 풍지판에 관한 제품 및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풍지판이 바람을 막아주는 기능만 고려하고 배수문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프레임의 하부와 창틀프레임 사이를 통해 외부에서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은 막아 줄 수 있지만,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고인 빗물이 판상(板狀)의 풍지판에 막혀서 배수되지 못하게 되어, 적은 양의 비가 오더라도 창틀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여있게 되고, 특히 많은 비가 올 경우 창틀에 고인 빗물이 외부로 배수되지 못하고 금방 실내로 넘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둘째, 풍지판이 대부분 합성수지 사출물, 발포시킨 폴리스티렌 또는 스폰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미서기창의 반복적 슬라이딩 및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풍지판의 형상이 변형되어 기밀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탄성을 잃게 되면서 원상태로 회복되려는 복원력 및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어 바람막이 역할도 제대로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풍지판이 외부로부터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시켜 주면서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고인 빗물은 원활하게 외부로 배수시켜서 바람막이와 배수기능을 동시에 갖춘 풍지판의 출현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고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막음판을 형성하거나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필름을 설치한 풍지판을 미서기창의 하부와 창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도록 설치하여, 틈새를 통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은 차단해 주면서 실내측 창틀프레임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은,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풍지판에 적용되는데, 상기 풍지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체; 판상(板狀)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는 상부체; 상기 실내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내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실내측배수공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구성된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필름이 실내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 측벽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실내측배수공을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실내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대신 실외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외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실외측배수공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 측벽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서 내측을 향해 대향(對向)하도록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체; 판상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며, 판상의 하부에는 하부체에서 한 쌍의 제1돌출부를 연결하는 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름삽입부가 형성된 상부체; 상단부가 필름삽입부에 삽입되고 양 측면 부분이 제1돌출부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하부체의 내부공간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되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필름이 제1돌출부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면서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1돌출부의 실외측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형성된 양 측벽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각각 제2구획판이 형성되어 있고, 양 제2구획판은 선단부(先端部)끼리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체; 판상(板狀)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며, 판상의 하부에는 하부체에서 한 쌍의 제2구획판을 연결하는 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름삽입부가 형성된 상부체; 상단부(上端部)가 필름삽입부에 삽입되고, 양 측면 부분이 제2구획판 선단부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양 제2구획판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되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상기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은, 하부체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제2구획판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바람이 지나가는 양 제2구획판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필름이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2구획판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위치한 양 측벽에서 내측을 향해 대향(對向)하도록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돌출부의 실외측 면에는 상방이 개방된 형상의 삽입대받침부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체; 막대 형상이고, 상기 하부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삽입대받침부에 막대 형상의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삽입되게 되는 필름삽입대; 상단부(上端部)가 필름삽입대에 삽입되고 양 측면 부분이 한 쌍의 제2돌출부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되는 필름; 판상(板狀)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는 상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필름삽입대와 필름이 설치된 하부체에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필름의 양 측면 부분이 제2돌출부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면서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2돌출부의 실외측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의 제1 및 제2막음판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막음판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면서 수로(水路)를 형성해 주도록 구성된 하부체; 판상이면서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체결부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는 상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하부체에 형성된 제1 및 제2막음판이 바람이 지나가는 직선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막음판 사이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통로가 수로 역할을 하게 되면서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하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의 제1 및 제2막음판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막음판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면서 수로를 형성해 주도록 구성된 상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체가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상부체에 형성된 제1 및 제2막음판이 바람이 지나가는 직선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상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막음판 사이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통로가 수로 역할을 하게 되면서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체의 상면에는 모헤야, 가스켓 또는 스펀지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은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 하부와 창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도록 설치되는데, 박스 형상의 하부체의 측면 또는 상부체의 필름삽입부나 별도의 필름삽입대에 설치한 필름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체크밸브 역할을 하게 되어,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은 막아 주면서,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미는 힘에 의해 필름이 실외측으로 개방되면서 빗물을 실외측으로 배수시켜 주게 된다.
또, 풍지판을 박스 형상으로 제작하고, 박스 형상의 양 측면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복수의 막음판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한 구조이기 때문에 막음판 사이로 형성되는 통로가 직선이 아니고 지그재그 형상이 되므로, 미서기창의 하부와 창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은 그 진로가 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이 차단되게 되고, 실내측 창틀프레임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 막음판 사이사이에 형성된 통로가 수로(水路)을 하여 빗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풍지판을 이루는 상부체의 상부에 모헤야 또는 탄성이 있고 부드러운 고무 재질의 가스켓이나 스펀지 등을 부착했기 때문에 창문을 창틀에 끼웠을 때, 창문프레임의 하부와 풍지판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모헤야나 가스켓이 막아주게 되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을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지판이 설치된 창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풍지판의 제1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과, A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필름의 부착위치를 변경한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과, B 방향으로 본 단면도에서 배수시의 필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필름의 부착위치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과, B 방향으로 본 단면도에서 배수시의 필름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구획판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풍지판에서 필름삽입대를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풍지판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배수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풍지판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배수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박스 형상으로 제작한 풍지판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막음판을 설치하거나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필름을 설치함으로써 미서기창의 하부와 창틀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은 차단해 주면서 실내측 창틀프레임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단창과 이중창의 차이는 창문의 개수만 차이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풍지판(30, 30', 30")은 단창은 물론 이중창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알루미늄 창호는 물론 PVC 창호에도 모두 적용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필름'이라고 기재한 것은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 뿐만 아니라 판상(板狀)인 형상이 미는 힘에 의해 변형됐다가 탄성에 의해 원상으로 복원되는 재질이면 모두 포함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풍지판(30)은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20)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상면에 형성된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 창틀 하부프레임(11)에 형성된 실외측레일(12)과 실내측레일(13) 사이에 설치되는데, 그 중에서 창문을 닫았을 때 실내측창문과 실외측창문의 수직프레임이 서로 접하게 되는 부분의 하부에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21은 창문프레임(20)의 측면에 레일의 단면(斷面)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레일삽입홈인데 레일삽입홈 내측에 레일이 위치하게 되고, 22는 창문을 구동시키기 위한 창문구동체이며, 23은 창문구동체(22)에 장착되어 레일 상을 슬라이딩 하게 되는 롤러이다.
미서기창은 창틀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된 레일 상을 슬라이딩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창문프레임(20)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상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서 그 틈새를 통해서 실내로 바람이 유입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풍지판(30)은 창문프레임(20)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해 주면서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실내측에 고인 빗물을 실외측으로 배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풍지판이 바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라는 점은 종래의 풍지판과 그 기능이 같지만, 풍지판에 배수구조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 본 발명만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지판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풍지판(30)은 창틀 하부프레임(11) 상면에 부착 설치되는 하부체(31)와, 하부체(31)와 결합되는 상부체(32)와, 하부체(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작동하면서 실외에서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바람은 막아주면서 하부프레임(11)의 실내측에 고인 빗물을 실외측으로 배수시키는 필름(33)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부체(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 형상의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설치시 길이방향('길이방향'이란 레일이 설치된 방향, 즉 레일의 길이방향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함)의 양단(兩端)에 위치하게 되는 양 측벽에 실내측배수공(312)과 실외측배수공(312')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부체(32)는 하부체(31)의 개방된 부분을 막아주는 뚜껑인데, 상부체(32)는 판상(板狀)이면서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체결부(321)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체결부(321)가 하부체(31)의 측벽과 결합하게 된다. 체결부(321)는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형성할 필요는 없고 하부체(31)의 측벽과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이나 수단이면 된다.
필름(33)은 실내측 및 실외배수공(312, 312') 형상과 같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실내측배수공(312)이 형성된 하부체(31) 측벽의 내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실내측배수공(312)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 즉 실외측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필름(33)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필름(22)의 상단부가 위치하게 될 부분에 필름의 상단(上端)이 삽입될 수 있는 홈(slot)이 구비된 필름삽입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바람의 미는 힘에 의해 필름(33)이 실내측배수공(312)이 형성된 하부체(31) 측벽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실내측배수공(312)을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31) 측벽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33)을 실내측에서 실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실내측배수공(312)을 개방시킴으로써 실외측배수공(312')을 통해 빗물을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름(33)을 실내측배수공(312)이 형성된 하부체(31) 측벽의 내측면에 설치하지 않고, 실외측배수공(312')이 형성된 하부체(31) 측벽의 외측면에 설치하여 실외측배수공(312')을 폐쇄시키거나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바람의 미는 힘에 의해 필름(33)이 실외측배수공(312')이 형성된 하부체(31) 측벽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실외측배수공(312')을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실내측배수공(312)을 통과한 후에 하부체(31) 측벽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실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실외측배수공(312')을 개방시켜 빗물을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상부체(32)의 상면에는 모헤야, 탄성이 있고 부드러운 고무 재질의 가스켓 또는 스펀지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상부체(32) 상부와 창무프레임(2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서 필름의 부착위치를 변경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부체(31)는 도 2에 도시한 하부체와 외부 형상은 동일한데, 동일한 부분은 설명이 중복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면, 필름(33)을 상부체(32)에 부착하고, 하부체(31)의 양 측벽의 길이방향 중간부분(반드시 중간부분이 아니라도 상관없다)에서 내측을 향해 대향(對向)하도록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돌출부(311)는 사각 막대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돌출부(311)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면서 하부체(31)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311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돌출부(311a)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필름(33)이 제1돌출부(311)와 바닥돌출부(311a)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밀착력이 더 강해서 한 쌍의 제1돌출부(311)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제1돌출부(311)를 설치하지 않고 하부체(31)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 사이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311a)만 설치할 수도 있다.
상부체(32)는 도 2에 도시한 상부체와 동일한 형상이고 필름부착부(322)가 더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체(32)의 판상 하부에는 하부체에 한 쌍의 제1돌출부(311)를 연결하는 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름(33)이 삽입될 수 있는 홈(slot)이 구비된 필름삽입부(322)가 형성되어 있어서, 필름삽입부(322)의 홈에 필름(33)의 상단부(上端部)가 삽입되고, 필름의 양 측면 부분이 돌출부(311)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하부체(31) 내부공간의 통로를 폐쇄시키게 되고, 일방향 즉 실외측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바람의 미는 힘에 의해 필름(33)의 양 측면 부분이 제1돌출부(311)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면서 실외측배수공(312')을 통과해서 풍지판(30) 내부로 유입된 바람이 실내측배수공(312) 쪽으로 가는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312)을 통과하여 제1돌출부(311)의 실외측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33)을 실내측에서 실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개방시킴으로써 실외측배수공(312')을 통해 빗물이 실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서 필름의 부착위치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부체(31)는 도 3에 도시한 하부체와 외부 형상은 동일한데, 하부체 내부에 막대 형상의 제1돌출부(311)가 설치된 위치에 판상(板狀)의 제1구획판(313)이 설치된다는 점이 다르므로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설명이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하부체(31)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대향(對向)하도록 제1구획판(313)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제1구획판(313)의 선단부(先端部)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서 이격된 부분이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양 제1구획판(313)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면서 하부체(31)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313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구획판(313)를 설치하지 않고 하부체(31)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 사이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313a)만 설치할 수도 있다.
상부체(32)에서 판상의 하부에는 하부체(31)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1구획판(313)을 연결하는 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름(33)의 상단부가 삽입될 홈(slot)이 구비된 필름삽입부(3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필름(33)의 상단부가 필름삽입부(322)의 홈에 삽입되고, 필름(33)의 양 측면 부분이 제1구획판(313) 선단부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양 제1구획판(313)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 즉 실외측으로만 개방되게 된다.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실외측배수공(312')을 통과한 바람이 지나가는 양 제1구획판(313)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필름(33)이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312)을 통과하여 제1구획판(313)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실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개방시킴으로써 실외측배수공(312')을 통해 빗물을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는 도 4에서 제1구획판(313)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한 실시예인데, 동일한 부분은 설명이 중복되므로 도 4에 도시한 구조와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하부체(31)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312, 312')이 형성된 양 측벽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대향(對向)하도록 각각 제2구획판(313')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제2구획판(313')은 선단부(先端部)끼리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양 제2구획판(313')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면서 하부체(31)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313a')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체(31)의 내부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구획판(313')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므로,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312, 312')은 하부체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구획판(313')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구획판(313')를 설치하지 않고 하부체(31)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313a')만 설치할 수도 있다.
상부체(32)에 형성된 필름삽입부(322)는, 하부체(31)에서 한 쌍의 제2구획판(313')을 연결하는 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필름(33)은 상단부가 필름삽입부(322)에 삽입되고, 양 측면 부분이 제2구획판(313') 선단부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양 제2구획판(313')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 즉 실외측으로만 개방되게 된다.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바람이 지나가는 양 제2구획판(313')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필름(33)이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312)을 통과하여 제2구획판(313')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33)을 실내측에서 실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312')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가장 큰 구성적 특징은 필름(33)을 설치하는 필름삽입대(35)가 하부체(31)나 상부체(32)와 분리된 구성이라는 점이고, 상부체(32)는 판상이고 체결부(321)만 형성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도 3과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은 설명이 중복되므로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하부체(31)는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312, 3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312, 3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길이방향으로 위치한 양 측벽에서 내측을 향해 대향(對向)하도록 제2돌출부(311')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2돌출부(311')의 실외측 면에는 상방이 개방된 형상의 삽입대받침부(315)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2돌출부(311')는 한 쌍만 형성할 수도 있지만,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쌍을 형성하여 복수의 필름을 설치함으로써 바닷가와 같이 바람이 강한 곳에서는 바람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또, 양 제2돌출부(311')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면서 하부체(31)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마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삽입대받침부(315)의 단면(斷面) 형상을 'U' 형상으로 하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고 필름삽입대(35)의 단면 형상도 원형으로 하여, 필름삽입대(35)에 필름(33)이 끼워져서 풍지판에 설치되었을 때 필름삽입대(35)가 삽입대받침부(315)에서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필름(33)이 대향하는 제2돌출부(311')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삽입대(35)는 막대 형상이고, 하부체(31)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삽입대받침부(315)에 막대 형상의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삽입되어 설치된다. 필름(33)은 상단부(上端部)가 필름삽입대(35)에 삽입되고 양 측면 부분이 한 쌍의 제2돌출부(311')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2돌출부(3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 즉 실외측으로만 개방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풍지판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제3실시예의 풍지판(30')은 도 2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풍지판(30)에 비해 하부체의 외부 형상은 동일하지만 내부에 배치된 구성이 다르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하부체(31')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의 제1 및 제2막음판(314, 3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막음판(314, 314')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면서 수로(水路)를 형성해 주도록 구성된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필름이 설치되지 않고 막음판이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되어 바람을 막아주면서 막음판 사이사이로 형성된 통로를 통해 빗물을 배수시키게 된다.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하부체에 형성된 실외측배수공(312')에서 실내측배수공(312)으로 직선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체(31')의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서로 엇갈리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막음판(314, 314')이 바람이 지나가는 직선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게 되고,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31')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312)을 통과하여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막음판(314, 314') 사이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통로가 빗물이 배수되는 수로(水路) 역할을 하게 되면서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풍지판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제4실시예의 풍지판(30")은 제3실시예의 풍지판(30')에 비해 제1 및 제2막음판이 설치되는 개소가 다르고, 제4실시예는 상부체(32")만 구비하고 하부체는 구비하지 않는다.
상부체(3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하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의 제1 및 제2막음판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막음판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면서 빗물이 배수되는 수로(水路)를 형성해 주도록 구성된다.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상부체(32")에 형성된 실외측배수공(323")으로부터 실내측배수공(도면부호 미지정)까지 직선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체(32")의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서로 엇갈리도록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막음판이 바람이 지나가는 직선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게 되고, 창틀 하부프레임(11)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상부체(32")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막음판 사이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통로가 빗물이 배수되는 수로(水路) 역할을 하게 되면서 실외측배수공(323")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창틀프레임 11 : 하부프레임
12 : 실외측레일 13 : 실내측레일
20 ; 창문프레임 21 : 레일삽입홈
22 : 창문구동체 23 : 롤러
30, 30', 30" : 풍지판 31, 31' : 하부체
311, 311' : 제1 및 제2돌출부 312, 312' :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
313, 313' : 제1 및 제2구획판 314, 314' : 제1 및 제2믹음판
315 : 삽입대받침부
32, 32" : 상부체 321 : 체결부
322 : 필름삽입부 323" : 실외측배수공
33 : 필름 34 : 모헤야
35 : 필름삽입대

Claims (15)

  1.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풍지판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체;
    판상(板狀)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는 상부체;
    상기 실내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내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실내측배수공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구성된 필름;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필름이 실내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 측벽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실내측배수공을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실내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대신 실외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외측면에 부착 설치되어 실외측배수공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필름이 실외측배수공이 형성된 하부체 측벽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 측벽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실외측배수공을 개방시켜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3.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풍지판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 측벽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서 내측을 향해 대향(對向)하도록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체;
    판상(板狀)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며, 판상의 하부에는 하부체에서 한 쌍의 제1돌출부를 연결하는 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름삽입부가 형성된 상부체;
    상단부(上端部)가 필름삽입부에 삽입되고 양 측면 부분이 제1돌출부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하부체의 내부공간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되는 필름;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필름의 양 측면 부분이 제1돌출부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면서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1돌출부의 실외측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4. 삭제
  5.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풍지판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형성된 양 측벽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해 각각 제2구획판이 형성되어 있고, 양 제2구획판은 선단부(先端部)끼리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부체;
    판상(板狀)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며, 판상의 하부에는 하부체에서 한 쌍의 제2구획판을 연결하는 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필름삽입부가 형성된 상부체;
    상단부(上端部)가 필름삽입부에 삽입되고, 양 측면 부분이 제2구획판 선단부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양 제2구획판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되는 필름;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은, 하부체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하는 제2구획판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바람이 지나가는 양 제2구획판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필름이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2구획판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6.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풍지판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위치한 양 측벽에서 내측을 향해 대향(對向)하도록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돌출부의 실외측 면에는 상방이 개방된 형상의 삽입대받침부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체;
    막대 형상이고, 상기 하부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삽입대받침부에 막대 형상의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삽입되게 되는 필름삽입대;
    상단부(上端部)가 필름삽입대에 삽입되고 양 측면 부분이 한 쌍의 제2돌출부의 실외측 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게 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게 되는 필름;
    판상(板狀)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는 상부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필름삽입대와 필름이 설치된 하부체에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필름의 양 측면 부분이 제2돌출부의 실외측 면에 밀착되면서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2돌출부의 실외측에 밀착되어 있는 필름을 실내측에서 밀어서 개방시켜 실외측배수공을 통해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7.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풍지판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상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의 제1 및 제2막음판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막음판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면서 수로(水路)를 형성해 주도록 구성된 하부체;
    판상(板狀)이면서 하부체와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체결부가 하부체와 결합되게 되는 상부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체와 상부체가 결합되어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하부체에 형성된 제1 및 제2막음판이 바람이 지나가는 직선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하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막음판 사이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통로가 수로(水路) 역할을 하게 되면서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8.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 하부와 창틀 하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풍지판에 있어서,
    상기 풍지판은,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에서 하방이 개방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의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양 측벽에 실내측 및 실외측배수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측벽에서 각각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의 제1 및 제2막음판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막음판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면서 수로(水路)를 형성해 주도록 구성된 상부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부체가 창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실내측레일과 실외측레일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실외로부터 실내측으로 바람이 불 때는 상부체에 형성된 제1 및 제2막음판이 바람이 지나가는 직선 통로를 막아서 바람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고,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빗물이 고였을 때는 빗물이 상부체에 형성된 실내측배수공을 통과하여 제1 및 제2막음판 사이사이에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통로가 수로(水路) 역할을 하게 되면서 실외측으로 배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9.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상면에는 모헤야, 가스켓 또는 스펀지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돌출부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면서 하부체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11. 삭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구획판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면서 하부체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에 형성된 한 쌍의 제2돌출부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면서 하부체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바닥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28041A 2021-03-03 2021-03-03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KR102534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41A KR102534380B1 (ko) 2021-03-03 2021-03-03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41A KR102534380B1 (ko) 2021-03-03 2021-03-03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38A KR20220124438A (ko) 2022-09-14
KR102534380B1 true KR102534380B1 (ko) 2023-05-18

Family

ID=8327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041A KR102534380B1 (ko) 2021-03-03 2021-03-03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3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79Y1 (ko) 2018-02-02 2020-01-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용 기밀유지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8488U (ja) * 1984-03-12 1985-10-02 ミサワホ−ム株式会社 ル−バサツシ等における排水部構造
KR200163145Y1 (ko) * 1997-10-27 1999-12-15 추두련 창문의 밀봉 배수구조
KR101216681B1 (ko) * 2010-11-01 2012-12-28 김순석 레일은폐형 창호의 배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79Y1 (ko) 2018-02-02 2020-01-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용 기밀유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38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81966B1 (pl) Zestaw oscieznicy z rama do drzwi i okien PL PL PL
US7600346B2 (en) Entryway system including a threshold assembly
US6170207B1 (en) Frame with water stop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542746B2 (en) Sill assembly and subsill for the same
DK165509B (da) Facade- eller tagkonstruktion af glas og metal
KR101421247B1 (ko)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US20060225364A1 (en) Door sealing system for inclement weather
US3080023A (en) Windows
KR101869263B1 (ko)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2064578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200411850Y1 (ko) 결로수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창호
KR102534380B1 (ko)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GB2131072A (en) Window frame construction with water drain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1769570B1 (ko)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2601815B1 (ko) 구조가 간단하면서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창의 풍지판
KR102095198B1 (ko) 시스템 창호용 기밀 유지구
JP3664637B2 (ja) サッシュ構造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US8256162B2 (en) Double hung window with improved water management system
CN219176156U (zh) 一种新结构的双内开平开窗
CN220522379U (zh) 一种推拉门窗的排水装置及推拉门窗
JPH0199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