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578B1 -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578B1
KR102064578B1 KR1020180058364A KR20180058364A KR102064578B1 KR 102064578 B1 KR102064578 B1 KR 102064578B1 KR 1020180058364 A KR1020180058364 A KR 1020180058364A KR 20180058364 A KR20180058364 A KR 20180058364A KR 102064578 B1 KR102064578 B1 KR 102064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gasket
pai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431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80058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57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설치된 레일과 실외측에 설치된 레일 사이에 별도의 수직벽 한 쌍을 설치하고, 수직벽 상부에 커버를 덮으면서 수직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하는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가스켓을 장착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외풍을 차단하는 방풍 기능과 빗물을 배수는 시키지만 역류는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Windshield and drainage structure that can smooth out the drainage of the window frame frame and block the draft}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방풍 및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프레임의 레일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을 배수는 시키면서 역류를 방지하고 외풍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창문을 닫는다고 하더라도 창틀 하부프레임의 레일홈에는 빗물 등이 고이게 되고, 창틀에 고인 빗물은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레일을 타고 넘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 창틀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나 곤충들의 서식지가 되는 등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틀의 바깥쪽 하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내측에 설치되어 창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에 각각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물을 배수시키고 있다. 그런데 배수구멍은 항시 개방되어 있으므로 바람과 빗물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배수구멍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기밀성 및 방풍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 차단을 위해 특허등록 제1238218호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와 같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이는 최외측에 위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에 공기유입차단판을 삽입 장착하여, 창틀에 고인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한 물을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때는 공기유입차단판을 개방하고, 그 외에는 폐쇄시켜서 실내측으로 빗물이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공기유입차단판이 배수구멍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동이 스스로 될 수 없어서 사람이 일일이 개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개폐시켜 주지 않으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769580호 "압출물로 된 레일판을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특허등록 제1817516호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등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관하여 다수의 기술을 개발하여 모두 특허등록을 받았는데, 이들은 창틀프레임에 설치되어 미서기창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판이 하부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하고, 레일판의 양끝 또는 레일판을 분할하여 그 중간에 압출물을 삽입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창틀프레임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레일판이 분리 가능한 창틀프레임이더라도 반드시 압출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중창은 물론 단창으로 설치된 미서기창도 실내측에 설치된 레일과 실외측에 설치된 레일 사이에 방풍과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아무런 수단도 설치되어 있지 않고, 레일 및 바깥쪽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은 항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빗물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그대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강풍이나 태풍이 불 경우에는 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실내측으로 역류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설치된 레일과 실외측에 설치된 레일 사이에 별도의 수직벽 한 쌍을 설치하고, 수직벽 상부에 커버를 덮으면서 수직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하는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가스켓을 장착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외풍을 차단하는 방풍 기능과 빗물을 배수는 시키지만 역류는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설치된 레일과 실외측에 설치된 레일 사이의 적절한 높이에 커버를 장착하여 실내측과 실외측 레일 사이의 공간 상부를 폐쇄하면서 레일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하는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가스켓을 장착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외풍을 차단하는 방풍 기능과 빗물을 배수는 시키지만 역류는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는, 하부프레임 본체에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창틀프레임; 실내측 레일과 실외측 레일의 서로 대면(對面)하게 되는 측면의 일정 높이에 지지턱이 각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고, 양단(兩端)이 상기 지지턱에 얹혀져서 결합되는 판상(板狀)의 커버;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실내측 레일의 측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장착되어, 실내측 레일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해 주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커버가 지지턱이 형성된 된 실내측 레일과 실외측 레일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방풍 및 배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실내측 및 실외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금속재의 외측프레임; 금속재로 제작되어 한 쌍의 외측프레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며, 단면(斷面)이 사각형인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배수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중간프레임; 상기 중간프레임의 양측과 각 외측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PVC 프레임;이 일체로 조립되어 창틀프레임이 구성되고, 양단(兩端)이 중간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판상(板狀)의 커버; 상기 커버의 하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장착되어, 실내측에 위치한 수직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해 주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방풍 및 배수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부프레임 본체에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창틀프레임;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배수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 양단(兩端)이 한 쌍의 수직벽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판상(板狀)의 커버;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실내측에 위치한 수직벽의 측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장착되어, 실내측에 위치한 수직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해 주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스켓을 체결하는 대신 커버가 결합되는 실내측 레일과 실외측 레일 또는 한 쌍의 수직벽 사이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사출물을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출물은, 양 측면과 상면이 'ㄷ'자 형상의 단면(斷面)을 이루고, 'ㄷ'자 형상의 중공부(中空部)가 배수통로가 되며, 레일 또는 수직벽 사이에 삽입했을 때 배수구멍에 접하게 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판상부에 배수통로로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양 배수구멍과 배수통로가 관통되도록 구성된 케이싱; 상단부가 케이싱의 상면 내측에 고정된 사각 형상이며, 상기 케이싱의 배수통로가 형성된 일측 판상부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필름;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은 실외방향 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방풍 및 배수구조는, 미서기창의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설치된 레일과 실외측에 설치된 레일 사이에 한 쌍의 수직벽을 돌출 형성하고, 수직벽 상부에 커버를 덮으면서 수직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하는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필름이나 가스켓 등을 장착했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한 외풍이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방풍 기능과, 빗물을 배수는 시키지만 역류는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양측 배수구멍 사이에 별도로 제작한 사출물을 삽입하고 사출물의 일측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필름이나 가스켓을 장착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미서기창의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설치된 레일과 실외측에 설치된 레일 사이의 적절한 높이에 커버를 장착하여 실내측과 실외측 레일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폐쇄하면서 레일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하는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필름이나 가스켓 등을 장착했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한 외풍이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방풍 기능과, 빗물을 배수는 시키지만 역류는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이 설치된 창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2b는 창틀프레임의 제1실시예 및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창틀프레임의 제1실시예에서 사출물을 레일 사이에 삽입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사용한 사출물을 정면 및 후방 하부에서 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5b는 창틀프레임의 제2실시예 및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창틀프레임의 제2실시예에서 사출물을 수직벽 사이에 삽입한 도면이다.
도 7은 창틀프레임의 제3실시예 및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와 8b는 창틀프레임의 제4실시예 및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창틀프레임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방풍 및 배수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창틀 하부프레임의 실내측에 설치된 레일과 실외측에 설치된 레일 사이를 커버로 덮거나, 또는 실내측과 실외측 레일 사이에 한 쌍의 수직벽을 별도로 설치하여 수직벽 사이를 커버로 덮고, 레일 또는 수직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필름이나 가스켓을 장착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외풍이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빗물을 배수만 시키고 역류를 방지하게 했다는 점이다.
단창과 이중창은 창문이 이중으로 설치되었느냐 아니냐의 차이만 있고, 창틀프레임도 레일의 개수만 다르므로,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은 단창은 물론 이중창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창틀의 하부프레임을 단일 소재로 일체형으로 제작한 창틀프레임은 물론 금속재와 PVC를 조립하여 제작한 조립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창틀프레임(10)은 금속재 또는 PVC 단일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금속재와 PVC를 조합하여 조립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외부에서 봤을 때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레일 사이의 레일홈 내부가 은폐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게 된 프레임인데, 실외측 레일(11)과 실내측 레일(12)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일정 높이에 커버(15)를 결합시켜 폐쇄하고, 가스켓(152)을 장착하여 실내측 레일(12)에 형성된 배수구멍(121)을 실외측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창틀프레임(10)은 하부프레임 본체에 실외측 레일(11) 및 실내측 레일(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레일 사이의 공간인 레일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금속재 또는 PVC 단일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고, 금속재와 PVC를 조합하여 조립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실외측 레일(11) 및 실내측 레일(12)의 하단부에는 배수구멍(111, 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도 2a 및 2b는 이중창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지만, 단창으로 할 때는 실내측과 실외측에서 바깥쪽에 위치한 레일만 각각 삭제하면 된다. 이와 같은 레일홈이 노출된 하부프레임은 보편화 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부호 60은 창문이고, 61은 창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롤러이다.
실외측 레일(11)과 실내측 레일(12)의 서로 대면(對面)하게 되는 측면의 일정 높이에 지지턱(112, 122)이 각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판상(板狀)의 커버(15) 양단(兩端)이 지지턱(112, 122)에 얹혀져서 결합되어, 지지턱(112, 122)이 형성된 된 실외측 레일(11)과 실내측 레일(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상부 부분을 일정 높이에서 커버(15)가 덮게 된다.
또한, 실외내측 레일(11) 및 실내측 레일(12)의 하단부에는 배수구멍(111, 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켓(152, 152')을 장착하여 구멍을 폐쇄하게 되는데, 도 2a는 가스켓(152)을 장착하기 위한 가스켓체결홈(151)이 커버(15)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이고, 도 2b는 가스켓(152')을 체결하기 위한 가스켓체결홈(113)이 실내측 레일(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인데, 가스켓체결홈의 형성 위치에 따라 가스켓(152, 152')의 형상이 약간 달라지게 된다(도 2a, 2b 참조). 본 명세서에서 '가스켓'이라고 기재했지만, 가스켓은 물론이고 필름 또는 고무판 등과 같이 배수구멍을 개폐해 줄 수 있는 모든 부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했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가스켓(152, 152')은 실외방향 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되는데,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물을 배수시킬 때는 실내측에서 물이 미는 힘(무게)에 의해 가스켓이 실외측으로 개방되며, 실외에서 실내측으로 바람이 유입되려고 할 때는 바람의 힘(풍압)에 의해 가스켓(152, 152')이 실내측 레일(12)의 측면에 달라붙어서 배수구멍(121)을 폐쇄시켜 바람막이 역할을 해준다.
도 3은 가스켓(152, 152')을 체결하지 않고, 커버(15)가 결합되는 실외측 레일(11)과 실내측 레일(12) 사이에 배수통로(173)가 형성된 사출물(17)을 삽입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출물(17)은 내부에 배수통로(173)가 형성된 케이싱(171)과, 배수통로(173)로 통하는 구멍을 개방하거나 폐쇄해 주는 필름(17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도 4 참조).
케이싱(171)은 양 측면과 상면이 'ㄷ'자 형상의 단면(斷面)을 이루는데, 물론 단면 형상을 어떻게 변경하더라도 상관없으며 단지 배수통로가 되는 중공부(中空部)만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레일 사이에 삽입했을 때 양쪽 레일에 형성된 배수구멍(111, 121)에 접하게 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판상부(172)에 배수통로(173)와 연결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ㄷ'자 형상의 중공부(中空部)가 배수통로(173)가 되며, 양 배수구멍(111, 121)과 배수통로(173)가 이어져서 관통되게 된다. 판상부(172)는 케이싱(171)의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필름(174)은 사각 형상인데, 사각형의 상단부가 케이싱(171)의 상면 내측에 고정되고, 일측 판상부(172)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실외방향 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필름(174)은 재질을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배수구멍(121)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구멍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제작한 얇은 판상의 구성인데, 필름(174)은 창틀프레임(10) 내부(레일홈)에 고인 빗물이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는 물의 미는 힘에 의해 배수구멍(121)을 개방시켰다가 배출이 끝나면 필름 재질이 갖는 탄력에 의해 배수구멍(121)을 자동으로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필름(174)이 배수구멍(121)을 일방향(실외측 방향)으로만 개방시키는 체크밸브와 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물을 외부로는 배출시키지만, 외부로부터 빗물이 실내로는 유입되려고 할 때는 배수구멍(121)을 폐쇄시켜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실외에서 실내쪽으로 바람이 불면 바람의 힘에 의해 필름(174)이 판상부(172)에 밀착되면서 배수통로(173)와 연결되는 판상부(172)의 구멍을 폐쇄하게 되어 바람이나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게 된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창틀프레임(20)은 금속재와 PVC를 조합하여 조립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일단 조립되고 난 다음에는 일체형으로 제작한 창틀프레임과 동일하며, 외부에서 봤을 때 창틀프레임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폐되게 된 프레임인데, 창틀프레임(20)은 금속재의 중간프레임(22)과, 중간프레임(2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PVC 프레임(21, 21')과, 각 PVC 프레임(21, 21')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는 금속재의 외측프레임(23, 23')이 일체로 결합되어 창틀프레임(20)을 구성하게 되고, PVC 프레임(21, 2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덮개판(214)을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는 '2'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외측프레임(23, 23')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어, 실내측 및 실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창틀프레임(20)의 외측면을 이루게 되는데,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측벽과, 각 측벽의 하단부 측면에서 PVC 프레임(21, 21') 쪽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측벽의 상단부분 내측면에는 모헤야나 가스켓을 결합시킬 수 있는 모헤야체결홈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프레임(2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어,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외측프레임(23, 23')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데, 단면(斷面)이 사각형인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된 본체부(221)와, 본체부(221)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하부에 배수구멍(222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222)과, 본체부(221)의 양 측면에서 PVC 프레임(21, 21') 쪽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출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PVC 프레임(21, 21')은 PVC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 중간프레임(22)의 양측과 각 외측프레임(23, 23')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PVC 프레임(21, 21')은, 단면(斷面)이 사각형인 중공부가 구비되고 중공부를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을 구비하여 구성된 하부체(211)와, 하부체(211)의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지지부(212)와, 하부체(211)의 양 측면에 외측프레임(23, 23')의 결합부 및 중간프레임(22)의 결합돌출부와 결합되게 되는 한 쌍의 결합함몰부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결합함몰부와 결합부 및 결합돌출부를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할 때는, 결합시킨 후에는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기계작업으로 결합시키는 널링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틀프레임(20)의 양측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의 외측프레임(23, 23')이 위치하기 때문에 창틀프레임(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서 창틀프레임의 외관이 미려하며, 중간에 금속재의 중간프레임(22)이 위치하면서 중간프레임(22) 양측에 PVC 프레임(21, 21')이 결합되기 때문에 PVC만으로 창틀프레임을 제작했을 때보다 강도가 훨씬 강하고 물리적인 하중이나 외부충격 및 외기온도 변화에 의해 휘거나 변형되지 않으며, PVC 프레임(21, 21')의 폭('폭'은 실내외 방향을 말함)이 금속재인 중간프레임(22)이나 외측프레임(21, 21')의 폭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창틀프레임의 단열성이 현저하게 상승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만으로 제작된 창틀프레임과 동일한 효과를 내면서 가격은 현저하게 저렴한 창틀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덮개판(214)은 외측프레임(23, 23')의 측벽 상단부와 중간프레임(22)의 수직벽(222)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게 되는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면서 PVC 프레임(21, 21')의 돌출지지부(21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해 주기 위하여 돌출지지부(212)와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다. 덮개판(214)은, 판상(板狀)으로 형성된 판상부(214a)와, 판상부(214a)의 상면에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면에서 창문의 롤러(61)가 슬라이딩하게 되는 레일(214b)과, 판상부(214a)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214c)를 구비하고, 판상부(214a)의 양단(兩端)에서 하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모헤야체결홈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60은 창문이고, 61은 롤러이며, 62는 창문프레임 의 실내측 및 실외측에 위치하면서 외측프레임(23, 23')의 상단부와 덮개판의 판상부(214a) 양단에서 하향 절곡된 부분 사이에 위치하면서 창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이다. 판상부(214a)의 하향 절곡부와 외측프레임(23, 23')의 측벽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모헤야체결홈에 모헤야나 가스켓 등을 결합하면, 모헤야 또는 가스켓 선단이 슬라이딩가이드(62)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먼지나 이물질 및 바람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PVC 프레임(21, 21')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지지부(2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짝을 이루어 형성되어, PVC 프레임의 돌출지지부(212)와 덮개판의 지지부(214c)가 서로 결합되면서 조립되어 고정되게 된다. 단창의 경우에는 각 PVC 프레임(21, 21')의 상면에 한 쌍의 돌출지지부(212)만 형성되지만, 이중창의 경우에는 각 PVC 프레임(21, 21')의 상면에 두 쌍의 돌출지지부(212)가 형성되어야 하고, 두 쌍의 돌출지지부(212)가 형성된 경우에는 양쪽 돌출지지부(212) 사이에 차단벽(2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벽(213)의 높이는 덮개판(214)을 PVC 프레임(21, 21')에 결합시켰을 때 덮개판의 판상부(214a)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단벽(213)의 상단부 양측면에도 모헤야나 가스켓을 결합시키는 모헤야체결홈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프레임(22)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222)에는 배수구멍(2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수직벽의 하단부분에 형성된 배수구멍(222a)을 실외측 방향으로만 개방해 주는 가스켓(224)을 실내측에 위치한 수직벽의 내측면에 접해지도록 설치하며, 한 쌍의 수직벽(222) 상단 사이에는 판상(板狀)의 커버(223)를 장착하여 수직벽(222) 사이의 공간 상부를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켓(224)은 실내측 수직벽에 장착할 수도 있고(도 5b 참조), 커버(223)의 하면에 장착할 수도 있다(도 5a 참조). 가스켓(224, 224')의 기능이나 작동은 제1실시예의 가스켓(152, 152')과 동일하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켓(224, 224')을 체결하지 않고, 수직벽(222)의 배수구멍(222a)이 형성된 부분 사이에 사출물(17)을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제1실시예의 사출물(17)과 동일하다.
도 7은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단지 제1실시예는 이중창이고, 제3실시예는 단창인데, 이중창과 단창은 레일의 개수만 차이가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는 '3'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8은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제4실시예는 '4'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으며, 제3실시예와 다른 점은 실내측과 실외측 레일 사이에 별도로 한 쌍의 수직벽(43)을 설치했다는 점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수직벽(43)은 한 쌍이 설치되는데, 실외측 레일(41) 및 실내측 레일(42)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하부에 배수구멍(431)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벽(43)의 상단에는 판상(板狀)의 커버(45, 45')가 결합되어 수직벽(43)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덮어주게 된다. 가스켓(452, 452')이 결합되어 배수구멍(431)을 개폐하는 구조나 기능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제5실시예는 '5'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으며, 창틀프레임(50)은 금속재 또는 PVC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창문을 열었을 때 창틀프레임의 내부가 레일은폐판(53)에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폐되며, 레일은폐판(53)의 평평한 상면만 보이게 된 프레임이다.
창틀프레임(50)은 하부프레임(51)에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이 설치되고, 실내측 레일과 실외측 레일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측벽(511)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측벽의 하단부분에는 배수구멍(511a)이 형성되어 있다.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은 하부프레임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이 형성된 레일판을 하부프레임(51)에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레일은폐판(53)은 창틀프레임(51)의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켜 주는 구성으로 한 쌍이 설치되며, 창문구동체(52)를 밀어서 창문을 개방했을 때 바닥면은 레일은폐판(53)에 가려져서 레일이 보이지 않고, 레일은폐판(53)의 평평한 상면만 보이게 된다. 창문구동체(52)는 창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단면(斷面)을 'ㄷ'자 형상 또는 하부의 일부가 개방된 'ㅁ'자 형상 등으로 하여 'ㄷ'자 또는 'ㅁ'자 형상의 내부 공간부에 레일은폐판(53)이 위치하게 되고, 창문을 개방시킴에 따라 레일은폐판(53)이 노출되게 된다.
커버(54)는 판상(板狀)의 상판(541)과, 상판(541)의 양단(兩端) 부분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벽(542)과, 한 쌍의 수직벽(542)의 하단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판(54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측벽(511) 사이에 결합되어 설치되게 된다. 커버(54)는 한 쌍의 측벽(511)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어, 커버의 상판(541)과 한 쌍의 레일은폐판(53)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가스켓(55)은 커버의 하부연결판(543)의 하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장착되어,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위치한 측벽(511)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실외측 방향으로만 개방해 주도록 체결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가스켓체결홈을 하부연결판(543)에 형성하지 않고 실내측에 위치한 측벽(511)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스켓(55)을 체결하지 않고, 양 측벽(511) 사이에 앞에서 설명한 사출물(17)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30 : 창틀프레임 11, 31 : 실외측 레일
111, 311 : 배수구멍 112 : 지지턱
113 : 가스켓체결홈 12, 32 : 실내측 레일
121, 321 : 배수구멍 122 : 지지턱
15, 15', 35, 35' : 커버 151 : 가스켓체결홈
152, 152', 352, 352' : 가스켓
17 : 사출물 171 : 케이싱
172 : 판상부 173 : 배수통로
174 : 필름
20 : 창틀프레임 21, 21' : PVC 프레임
211 : 하부체 212 : 돌출지지부
213 : 차단벽 214 : 덮개판
22, 22' : 중간프레임 221 : 본체부
222 : 수직벽 223, 223' : 커버
224, 224' : 가스켓 23, 23' : 외측프레임
40 : 창틀프레임 41 : 실외측 레일
411 : 배수구멍 42 : 실내측 레일
421 : 배수구멍 43 : 수직벽
431 : 배수구멍 45 : 커버
452, 452' : 가스켓
50 : 창틀프레임 51 : 하부프레임
511 : 측벽 52 : 창문구동체
53 : 레일은폐판 54 : 커버
541 : 상판 542 : 수직벽
543 : 하부연결판 55 : 가스켓
60 : 창문 61 : 롤러
62 : 슬라이딩가이드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실내측 및 실외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금속재의 외측프레임;
    금속재로 제작되어 한 쌍의 외측프레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며, 단면(斷面)이 사각형인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배수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중간프레임;
    상기 중간프레임의 양측과 각 외측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PVC 프레임;
    이 일체로 조립되어 창틀프레임이 구성되고,
    양단(兩端)이 중간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판상(板狀)의 커버;
    상기 커버의 하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장착되어, 실내측에 위치한 수직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해 주는 가스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4. 하부프레임 본체에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창틀프레임;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배수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수직벽;
    양단(兩端)이 한 쌍의 수직벽 상단에 결합되어 수직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판상(板狀)의 커버;
    상기 커버의 하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장착되어, 실내측에 위치한 수직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해 주는 가스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체결홈은 커버의 하면에 형성되는 대신 실내측에 위치한 수직벽의 측면에 형성되고, 가스켓은 수직벽의 측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이 체결되는 대신 커버가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벽 사이에는 배수통로가 형성된 사출물을 더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출물은,
    양 측면과 상면이 'ㄷ'자 형상의 단면(斷面)을 이루고, 'ㄷ'자 형상의 중공부(中空部)가 배수통로가 되며, 수직벽 사이에 삽입했을 때 배수구멍에 접하게 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판상부에 배수통로로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양 배수구멍과 배수통로가 관통되도록 구성된 케이싱;
    사각 형상이고 상단부가 케이싱의 상면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싱의 배수통로가 형성된 일측 판상부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필름;
    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은 실외방향 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7. 하부프레임에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이 설치되고, 실내측 레일과 실외측 레일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측벽이 수직으로 설치된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내측 레일 및 실외측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켜주는 한 쌍의 레일은폐판;
    판상(板狀)의 상판과, 상판의 양단(兩端) 부분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한 쌍의 수직벽과, 한 쌍의 수직벽의 하단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판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부연결판의 하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장착되어,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위치한 측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해 주도록 체결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가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어, 커버의 상판과 한 쌍의 레일은폐판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체결홈은 커버의 하부연결판에 형성되는 대신 실내측에 위치한 창틀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되고, 가스켓은 측벽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이 체결되는 대신 창틀프레임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는 배수통로가 형성된 사출물을 삽입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출물은,
    양 측면과 상면이 'ㄷ'자 형상의 단면(斷面)을 이루고, 'ㄷ'자 형상의 중공부(中空部)가 배수통로가 되며, 측벽 사이에 삽입했을 때 배수구멍에 접하게 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판상부에 배수통로로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양 배수구멍과 배수통로가 관통되도록 구성된 케이싱;
    사각 형상이고 상단부가 케이싱의 상면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싱의 배수통로가 형성된 일측 판상부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필름;
    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름은 실외방향 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1020180058364A 2018-05-23 2018-05-23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102064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364A KR102064578B1 (ko) 2018-05-23 2018-05-23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364A KR102064578B1 (ko) 2018-05-23 2018-05-23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042A Division KR20200000428A (ko) 2019-12-26 2019-12-26 창틀프레임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 차단이 가능한 배수 및 방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431A KR20190133431A (ko) 2019-12-03
KR102064578B1 true KR102064578B1 (ko) 2020-02-11

Family

ID=6883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364A KR102064578B1 (ko) 2018-05-23 2018-05-23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243B1 (ko) * 2020-04-14 2020-08-18 김병철 교실용 슬라이딩 도어
KR102601815B1 (ko) * 2021-04-28 2023-11-13 김순석 구조가 간단하면서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창의 풍지판
KR102655569B1 (ko) * 2021-05-06 2024-04-08 최선정 기밀성과 방풍기능 향상 및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창틀하부프레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270Y2 (ja) * 1978-03-17 1983-06-27 不二サッシ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サツシの引戸の召合せ框下方部の風止片
KR20140001381A (ko) * 2012-06-26 2014-01-07 성윤기 슬라이드 개폐형 창틀의 집수 및 드레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431A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319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2064578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100901994B1 (ko)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US6530183B1 (en) Adjustable door frame assembly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US20100115877A1 (en) Sash for windows and doors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rails
US20110139379A1 (en) Door assembly
US20060225364A1 (en) Door sealing system for inclement weather
KR101869263B1 (ko)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US20150368965A1 (en) Transparent roller shutter
US8359800B2 (en) Shutter border frame with channel and cover plug
US5016526A (en) Ventilated sliding closure assembly
KR101769570B1 (ko)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20200000428A (ko) 창틀프레임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 차단이 가능한 배수 및 방풍구조
KR200375065Y1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CN211115646U (zh) 一种门窗防排水构件
KR200281154Y1 (ko) 새시용 방음방풍구조
KR200394726Y1 (ko)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루버창
KR102095198B1 (ko) 시스템 창호용 기밀 유지구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101086370B1 (ko) 소음 차단구조를 구비한 이중창호
KR20060040036A (ko) 시스템 창호의 조립식 창틀구조
KR101010298B1 (ko) 미닫이 창문
KR101016428B1 (ko) 바닥 은폐형 계단식 안전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