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70B1 -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570B1
KR101769570B1 KR1020150144651A KR20150144651A KR101769570B1 KR 101769570 B1 KR101769570 B1 KR 101769570B1 KR 1020150144651 A KR1020150144651 A KR 1020150144651A KR 20150144651 A KR20150144651 A KR 20150144651A KR 101769570 B1 KR101769570 B1 KR 10176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rail
lower frame
fram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930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5014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5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양 수직벽의 내측에 하부연결판의 상부로 쌍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구성되고, 각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는 레일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는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 판상(板狀)의 평판부와, 평판부의 양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에 평판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레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평판부에는 제1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된 쪽에 위치하게 되는 절곡부에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압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압출물의 절곡부의 선단이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 상면에 지지되면서 레일부를 하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부에 덮어씌워서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압출물의 레일부의 상면은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출물이 하부프레임의 양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적인 구성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창틀프레임이다.

Description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Drain structure of sash frame equipped with detachable extruded plate having seal and windbreak function}
본 발명은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고정 설치된 창틀의 하부프레임에서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덧씌워서 얹혀져 분리 가능하도록 압출물을 조립 설치하여,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창문을 닫는다고 하더라도 하부프레임의 레일홈에는 빗물 등이 고이게 되고, 창틀에 고인 빗물은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레일을 타고 넘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 창틀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나 곤충들의 서식지가 되는 등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틀의 바깥쪽 하부프레임에 배수구멍을 뚫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히 베란다와 같은 실외측에 설치된 창틀의 경우 레일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이 쉽게 쌓이게 되는데,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멍은 항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빗물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손쉽게 침투하여 기밀성 및 방풍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틀의 레일홈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를 개발하여 특허등록 제1055326호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등 여러 건을 특허받았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상면이 평판인 레일은폐체로 레일의 상부를 덮도록 장착한 것이므로 레일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레일홈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외관이 미려하며 청소가 매우 간편하여 창호에 관한 많은 문제를 해결했지만, 창틀에 형성한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를 완전히는 해결하지 못했다.
한편,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 차단을 위해 특허등록 제1238218호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와 같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이는 최외측에 위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에 공기유입차단판을 삽입 장착하여 창틀에 고인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한 물을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때는 공기유입차단판을 개방하고, 그외에는 폐쇄시켜서 실내측으로 빗물이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공기유입차단판이 배수구멍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동이 스스로 될 수 없어서 사람이 일일이 개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개폐시켜 주지 않으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고정 설치된 창틀의 하부프레임에서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압출물을 덧씌워서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 설치하여, 창틀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압출물 상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한,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 또는 압출물의 배수구멍에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고 배수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수구멍을 폐쇄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양 수직벽의 내측에 하부연결판의 상부로 쌍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구성되고, 각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는 레일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는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 판상(板狀)의 평판부와, 평판부의 양단(兩端)이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에 평판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레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평판부에는 제1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된 쪽에 위치하게 되는 절곡부에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압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출물의 절곡부의 선단(先端)이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 상면에 지지되면서 레일부를 하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부에 덮어 씌워서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압출물의 레일부의 상면은 단부(端部)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출물이 하부프레임의 양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출물은 길이방향에서 2∼4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제1배수구멍은, 레일부와 레일부 사이 및 레일부와 실외측 수직벽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필름은 하부프레임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측면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출물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의 하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필름은 압출물 상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1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양 수직벽의 내측에 하부연결판의 상부로 쌍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구성되고, 각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는 레일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는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 판상의 부재가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져서 제1 및 제2평판부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평판부의 양단(兩端)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평판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레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1평판부에는 제1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된 쪽에 위치하게 되는 절곡부에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압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출물의 절곡부의 선단(先端)이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 상면에 지지되면서 레일부를 하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부에 덮어 씌워서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압출물의 레일부의 상면은 단부(端部)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출물이 하부프레임의 양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출현한 대부분의 미서기창 창틀에서 하부프레임에는 창문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이 돌출되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이 돌출되게 고정된 창틀의 하부프레임 상부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덧씌워서 조립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 하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얹혀지게 되는 레일부가 형성된 압출물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서 창틀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압출물의 레일부 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하여 창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압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필름을 부착하여 필름이 체크밸브와 같은 기능을 하면서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어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고, 배수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수구멍을 폐쇄시키게 되어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기밀성과 방풍성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부프레임 배수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프레임 배수구조의 제2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하부프레임 배수구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프레임 배수구조의 제4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 배수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창틀 하부프레임에 덧씌워서 조립 설치하여 압출물 상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 및 창틀의 유지 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 및/또는 압출물의 배수구멍에 부착된 필름이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해서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만시키고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창틀프레임은 양 수직프레임이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45°이음부위를 갖도록 조립되며, 하부 및 상부프레임에는 가이드레일이 프레임 본체와 일체로 고정 제작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은 빗물이나 이물질이 고이게 되는 미서기창의 창틀 하부프레임에 덧씌워서 조립 설치되는 압출물을 착탈 가능한 분리형으로 제작했고, 배수를 위해 형성해 둔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는 시키지만, 빗물과 바람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필름을 부착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중창으로 된 도면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중창은 단창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조 즉, 단창일 경우에는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에 가이드레일이 한쌍 설치되고, 이중창일 경우에는 두쌍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차이만 있기 때문에 이중창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또, 압출물(15, 25, 35, 45)은 합성수지를 압출방식으로 제작하거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다이캐스팅 공법 등으로 제작한 것인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어떤 재료를 사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제조했든 '압출물'이라고 명명하여 사용한다는 점을 밝혀둔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 배수구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프레임(11)은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111)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112)과, 양 수직벽(112)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연결판(111)의 상부로 돌출되어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 가이드레일(113)이 일체로 구성되고, 양 수직벽(112) 사이의 공간에서 가이드레일(113) 상부에 압출물(15)이 얹혀져서 덧씌워져 장착되게 되며, 각 가이드레일(113)의 하단부에는 레일배수구멍(115)이 형성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112)에는 측면배수구멍(114)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길이방향 양단(兩端)에서 수직프레임(12)과 각각 45°이음부위를 갖도록 연결된다. 측면배수구멍(114)은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프레임(11)의 양단 부분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압출물(15)은, 판상(板狀)의 평판부(151)와, 평판부(151)의 양단(兩端)을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절곡시킨 절곡부(151a)와, 하부프레임(11)의 각 가이드레일(113)과 대응하는 위치에 평판부(15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레일부(152)가 일체로 구성된다. 조립시 수직프레임(12)과 접하게 되는 압출물(15)의 양단부에 형성된 레일부(152)의 상면은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절개하여 절개부(152a)를 형성해 두어야 절개부(152a)로 수직프레임(12)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면서 양 수직프레임(12) 사이에 압출물(15)을 수월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판부(151)에는 제1배수구멍(15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배수구멍(114)이 형성된 쪽에 위치하여 조립시 측면배수구멍(114)을 막게 되는 절곡부(151a)에는 제2배수구멍(154)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제2배수구멍(154)은 측면배수구멍(114)과 형성된 위치 및 개수가 같아야 한다.
이와 같은 압출물(15)은 레일부(152)가 하부프레임(11)의 가이드레일(113) 상부에 덮어 씌워져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게 되며, 절곡부(151a)의 선단(先端)이 하부프레임(11)의 하부연결판(111) 상면에 지지되면서 레일부(152)가 가이드레일(113)에 덮어 씌워져 압출물(15)이 하부프레임(11)의 양 수직벽(11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압출물(15)의 평판부(151) 하부와 하부프레임(11)의 하부연결판(111) 상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되며, 압출물(15)의 평판부(151) 상부에 고인 빗물이 제1배수구멍(153)을 통해 압출물(15)과 하부프레임(11) 사이의 공간부로 배수된 후에, 제2배수구멍(154)과 측면배수구멍(114)를 통해 실외측로 배수되게 된다.
평판부(151)에 형성되는 제1배수구멍(153)은, 레일부(152)와 레일부(152) 사이 및 레일부(152)와 실외측 수직벽(112)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하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에서 봤을 때 하부프레임의 실외측 수직벽(112)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114)이 형성된 부분과 같은 위치에 제1배수구멍(15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부(152)와 실내측 수직벽(112) 사이에는 배수구멍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부프레임(11)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114)의 실외측 면에는 배수구멍의 형상과 같은 사각형상의 필름(17)을 부착했다는 점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인데, 필름(17)은 전체면을 하부프레임(11)에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각형상 중에서 상부 일변만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설치하거나, 배수구멍 상단부에 슬릿을 형성한 부재를 고정시킨 다음 슬릿에 필름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필름(17)의 재질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이므로, 필름(17)은 하부프레임(11)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는 빗물의 미는 힘에 의해 측면배수구멍(114)을 개방시켰다가 배출이 끝나면 필름 재질이 갖는 탄력에 의해 측면배수구멍(114)을 자동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필름(17)이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시키는 체크밸브와 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물은 외부로 배출시키지만, 외부로부터 빗물, 바람 또는 이물질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필름(17)을 측면배수구멍(114)이 형성된 하부프레임(11)의 실외측에만 부착해도 되지만, 압출물(15)의 평판부(151)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53)의 하면에도 배수구멍의 형상과 같은 사각형상 필름을 더 부착하여 평판부(151) 상부에 고인 빗물을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1배수구멍(153)을 폐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측면배수구멍(114)과 레일배수구멍(115)에서 제1배수구멍(153)으로 연결되는 선이 일직선이 아니고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배수구멍에 필름(17)을 부착하지 않더라도 배수구멍을 통해서 빗물이나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는데, 측면배수구멍(114)과 제1배수구멍(153)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필름(17)을 부착함으로써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이나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부프레임은 동일하고, 압출물을 일체형으로 하지 않고 복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부프레임(21)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압출물(25)을 분할 형성함으로 인하여 달라진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도면부호는 '2'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다는 점을 밝혀둔다.
제2실시예의 압출물(25)은 길이방향에서 2∼4 조각으로 분할하여 제작한 것인데, 분할되어 있으므로 하부프레임(21)에 조립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수월해 질 수 있다. 조립시 단부(端部)가 수직프레임(22)과 접하게 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분리된 구성에는 제1 및 제2배수구멍(253, 254)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물론 수직벽(212)에 측면배수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면 분리된 구성 부분에도 제1 및 제2배수구멍(253, 254)도 형성해야 한다. 또한, 조립시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압출물에는 레일부(252) 단부에 절개부(252a)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도 4와 5를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제3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부프레임은 동일하고, 압출물을 단(段)이 지도록 형성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부프레임(31)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압출물(35)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도면부호는 '3'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다는 점을 밝혀둔다.
제3실시예의 압출물(35)은 판상의 부재가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져서 제1 및 제2평판부(351, 351')로 구분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평판부(351, 351')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으로 절곡시켜 절곡부(351a, 351a')를 형성하며, 각 가이드레일(3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평판부(351, 35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레일부(352)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조립시 수직프레임(32)과 접하게 되는 압출물(35)의 양단부에 형성된 레일부(352)의 상면은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절개하여 절개부(352a)를 형성해 두어야 절개부(352a)로 수직프레임(32)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면서 양 수직프레임(32) 사이에 압출물(35)을 수월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평판부(351)에는 제1배수구멍(353)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배수구멍(314)이 형성된 쪽에 위치하여 조립시 측면배수구멍(314)을 막게 되는 절곡부(351a)에는 제2배수구멍(354)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제2배수구멍(354)은 측면배수구멍(314)과 형성된 위치 및 개수가 같아야 한다.
제1배수구멍(353)은, 제1 및 제2평판부(351, 351') 사이의 단(段)이진 수직면과 레일부(352) 사이와, 레일부(352)와 실외측 수직벽(312)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레일부(352)와 실내측 수직벽 사이에는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고 실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수를 시키기 위해서는 단(段)이지도록 형성된 압출물(35)에서 높이가 더 낮은 제1평판부(351)를 실외측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제4실시예가 제3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부프레임은 동일하고, 압출물을 일체형으로 하지 않고 복수개로 분할하여 제작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부프레임(41)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압출물(45)에서 분할됨으로 인하여 달라진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4실시예의 도면부호는 '4'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다는 점을 밝혀둔다.
제4실시예의 압출물(45)은 길이방향에서 2∼4 조각으로 분할하여 분리 제작한 것인데, 분할되어 있으므로 하부프레임(41)에 조립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수월해 질 수 있다. 조립시 단부(端部)가 수직프레임(42)과 접하게 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분리된 구성에는 제1 및 제2배수구멍(453, 454)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물론 수직벽(412)에 측면배수구멍(414)이 형성되어 있다면 분리된 구성 부분에도 제1 및 제2배수구멍(453, 454)도 형성해야 한다. 또한, 조립시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압출물에는 레일부(452) 단부에 절개부(452a)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30, 40 : 창틀프레임
11, 21, 31, 41 : 하부프레임
111,211, 311, 411 : 하부연결판 112, 212, 312, 412 : 수직벽
113, 213, 313, 413 : 가이드레일 114, 214, 314, 414 : 측면배수구멍
115, 215, 315, 415 : 레일배수구멍
12, 22, 32, 42 : 수직프레임
15, 25, 35, 45 :압출물
151, 251 : 평판부 152, 252, 352, 452 : 레일부
153, 253, 353, 453 : 제1배수구멍 154, 254, 354, 454 : 제2배수구멍
17, 27, 37, 47 : 필름
351, 451 : 제1평판부 351', 451' : 제2평판부

Claims (10)

  1. 양 수직프레임이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양 수직벽의 내측에 하부연결판의 상부로 쌍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구성되고, 각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는 레일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는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
    판상(板狀)의 평판부와, 평판부의 양단(兩端)이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에 평판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레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평판부에는 제1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된 쪽에 위치하게 되는 절곡부에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압출물;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출물의 절곡부의 선단(先端)이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 상면에 지지되면서 레일부를 하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부에 덮어 씌워서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압출물의 레일부의 상면은 단부(端部)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출물이 하부프레임의 양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은 길이방향에서 2∼4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배수구멍은, 레일부와 레일부 사이 및 레일부와 실외측 수직벽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하부프레임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측면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출물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의 하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압출물 상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1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6. 양 수직프레임이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양 수직벽의 내측에 하부연결판의 상부로 쌍을 이루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구성되고, 각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는 레일배수구멍이 형성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는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
    판상의 부재가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져서 제1 및 제2평판부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평판부의 양단(兩端)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각 가이드레일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평판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레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1평판부에는 제1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된 쪽에 위치하게 되는 절곡부에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압출물;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출물의 절곡부의 선단(先端)이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 상면에 지지되면서 레일부를 하부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부에 덮어 씌워서 착탈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압출물의 레일부의 상면은 단부(端部)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출물이 하부프레임의 양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은 길이방향에서 2∼4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8. 제6항 또는 제7에 있어서,
    제1배수구멍은, 제1 및 제2평판부 사이의 단(段)이진 수직면과 레일부 사이와, 레일부와 실외측 수직벽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9. 제6항 또는 제7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하부프레임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측면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10. 제6항 또는 제7에 있어서,
    압출물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의 하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압출물 상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1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20150144651A 2015-10-16 2015-10-16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176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651A KR101769570B1 (ko) 2015-10-16 2015-10-16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651A KR101769570B1 (ko) 2015-10-16 2015-10-16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930A KR20170044930A (ko) 2017-04-26
KR101769570B1 true KR101769570B1 (ko) 2017-08-18

Family

ID=5870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651A KR101769570B1 (ko) 2015-10-16 2015-10-16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5245B (zh) * 2020-02-14 2022-06-10 重庆大学 窗户内腔清洁装置
CN112096232B (zh) * 2020-09-26 2022-05-03 广东恒锋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化密封门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598Y1 (ko) * 2003-05-29 2003-08-19 현우공업 주식회사 창틀용 배수구
KR100396299B1 (ko) * 2001-04-28 2003-09-02 주식회사 동광에이치티에스 창틀부재
JP2004169476A (ja) * 2002-11-21 2004-06-17 Tostem Corp 開口部装置
KR200368318Y1 (ko) * 2004-08-12 2004-11-18 강태혁 창틀 커버
JP2009286306A (ja) * 2008-05-30 2009-12-1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ウインドウサッ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99B1 (ko) * 2001-04-28 2003-09-02 주식회사 동광에이치티에스 창틀부재
JP2004169476A (ja) * 2002-11-21 2004-06-17 Tostem Corp 開口部装置
KR200323598Y1 (ko) * 2003-05-29 2003-08-19 현우공업 주식회사 창틀용 배수구
KR200368318Y1 (ko) * 2004-08-12 2004-11-18 강태혁 창틀 커버
JP2009286306A (ja) * 2008-05-30 2009-12-1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ウインドウサッ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930A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346B2 (en) Entryway system including a threshold assembly
US20150096235A1 (en) Door sill assembly, door sill and kit therefor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869263B1 (ko)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769570B1 (ko)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US7347155B2 (en) Sliding window arrangement
KR102064578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200480099Y1 (ko) 건물창틀용 빗물받이기구
KR101817516B1 (ko)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769572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KR101769580B1 (ko) 압출물로 된 레일판을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1769584B1 (ko)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769578B1 (ko) 분리 가능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WO2017057840A1 (ko)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1753037B1 (ko)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GB2131072A (en) Window frame construction with water drain
US8286388B2 (en) Jalousie window
CN216477064U (zh) 具有二次排水功能的快装门窗隐藏排水件及门窗框体
KR102534380B1 (ko)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KR101479703B1 (ko)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CA2868499A1 (en) Door sill assembly, door sill and kit therefor
KR101010298B1 (ko) 미닫이 창문
JP4268121B2 (ja) 建具
KR20190062810A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가스켓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