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703B1 -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 Google Patents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703B1
KR101479703B1 KR20130008819A KR20130008819A KR101479703B1 KR 101479703 B1 KR101479703 B1 KR 101479703B1 KR 20130008819 A KR20130008819 A KR 20130008819A KR 20130008819 A KR20130008819 A KR 20130008819A KR 101479703 B1 KR101479703 B1 KR 10147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horizontal
detacha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879A (ko
Inventor
양재권
박재원
김상준
김은실
Original Assignee
양재권
박재원
김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권, 박재원, 김상준 filed Critical 양재권
Priority to KR2013000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7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2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mounted on pole, e.g. pole transformer sub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세로 창틀과 가로 창틀로 이루어진 창틀; 상기 창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창짝을 포함하되, 상기 가로 창틀에는 세로 창틀 쪽에 위치한 가로 창틀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한 창틀 탈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WINDOW FRAME DETACHABLE SLIDING WINDOWS}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창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창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활할 수 있는 고층건물 또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는 전망 확보와 건축물의 미려함을 위해 다수의 창문이 구비되며, 상기 창문에는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개방하여 공기를 환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창문은 그 개폐 형태에 따라 미닫이 또는 여닫이 창문으로 구분하고 있다.
상기 미닫이 창문은 통상적으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창문을 형성하기 위한 지점에 설치된 창틀 내에서 창짝이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목적하는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미닫이 창문은 창짝이 창틀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창틀이나 창짝의 상부 또는 하부에 로울러가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와 대응 결합되어 창짝이 슬라이딩 되는 구간을 안내하는 레일이 창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닫이 창문은 창틀과 창짝의 가장자리에 경첩 또는 힌지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경첩 또는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창짝을 안팎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창문 중 특히 종래의 미닫이 창문은 창짝을 창틀로부터 쉽게 분리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손이 닿지 않는 안쪽 창짝은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86603(2010.08.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짝을 창틀로부터 쉽게 분리하거나 창짝을 창짝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은, 세로 창틀과 가로 창틀로 이루어진 창틀; 상기 창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창짝을 포함하되, 상기 가로 창틀에는 세로 창틀 쪽에 위치한 가로 창틀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한 창틀 탈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은, 상기 창틀 탈착편의 하면에 상기 창틀 탈착편에 대응하며 상기 가로 창틀 일부를 구성하는 창틀 고정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창틀 탈착편과 창틀 고정판은 서로 나사 체결되거나 서로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창틀 탈착편은 창짝 하나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에 따르면, 상기 가로 창틀은, 상기 창틀 탈착편 이외의 나머지 창틀이 연질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연질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로 창틀은, 상기 창틀 탈착편 이외의 나머지 창틀이 연질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연질부와,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진 경질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분리해야 하는 창짝과 대응하는 쪽의 연질부의 일측은 상기 가로 창틀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상기 창짝의 외측 경계면에 일부 밀착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에 의하면, 창틀 일부를 창문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어서 창짝을 창문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 시 창짝 전체 면을 손쉽게 닦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짝의 유리 교체시에도 쉽게 유리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을 나타내는 작동도로서, 도 2는 창문을 오픈한 상태에서 창틀 탈착편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창짝을 창틀 탈착편쪽을 통해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은, 창틀(100)과, 상기 창틀(100)을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창짝(200)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100)은 미닫이 창문을 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면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매립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세로 창틀(110)과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가로 창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로 창틀(120)은 상면에 창짝(200)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의 레일(120a)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필요에 따라 상기 창짝(200)에 연결 설치되기 위한 다른 구성요소, 예컨대 창문 잠금을 위한 잠금장치(미도시), 우수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미도시) 등의 구성 요소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장치, 배수로 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로 창틀(120)에는 세로 창틀(110) 쪽에 위치한 가로 창틀(120)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한 창틀 탈착편(121)이 형성되고, 상기 창틀 탈착편(121)의 하면에는 상기 창틀 탈착편(121)에 대응하며 상기 가로 창틀(120) 일부를 구성하는 창틀 고정판(122)이 설치된다.
상기 창틀 탈착편(121)과 창틀 고정판(122)은 서로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창틀 고정판(122)에 상기 창틀 탈착편(121)을 탈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상관없다.
예컨대 상기 창틀 고정판(122)과 창틀 탈착편(121)을 서로 끼움 고정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창틀 탈착편(121)은 창짝(200) 하나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창틀 탈착편(121)의 동일 선상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창틀 탈착편(121) 이외의 나머지 창틀(100)은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연질부(123)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창틀 탈착편(121)을 창문으로부터 분리하고 난 후 분리된 공간을 통해 창짝(200)을 분리시 상기 창짝(200)의 일부가 연질부(123)를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가 창짝(200)을 창틀(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창틀 탈착편(121) 이외의 나머지 창틀(100) 전체가 연질부(123)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창짝(200)을 지지하는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으므로 일부는 연질부(123)로 형성하고 나머지 창틀(100)은 통상의 창틀 소재로 이루어진 단단한 경질부(124), 즉 나무, 알루미늄 샤시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창틀 탈착편(121)과 연질부(123)를 합한 길이는 상기 창짝(200) 하나의 폭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하는 것이 당연하다.
즉, 상기 창틀 탈착편(121)을 창문으로부터 분리하고 난 후 상기 창짝(200)을 창틀 탈착편(121)쪽의 분리된 공간과 연질부(123)를 통과시켜 창문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거나 또는 창문에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도 2 및 도 3참조).
특히 필요에 따라 분리해야 하는 창짝(200)과 마주하는 쪽의 연질부(123)의 일측은 상기 가로 창틀(120)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상기 창짝(200)의 외측 경계면(210)에 일부 밀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창짝(200)과 연질부(123)의 접촉 면적을 줄여 창짝(200)을 창틀(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짝(200)을 창문으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므로 청소 시 창짝(200) 전체 면을 손쉽게 닦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창짝(200)의 유리 교체시에도 쉽게 유리를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창틀 110 : 세로 창틀
120 : 가로 창틀 121 : 창틀 탈착편
122 : 창틀 고정판 123 : 연질부
124 : 경질부 200 : 창짝

Claims (7)

  1. 세로 창틀과 가로 창틀로 이루어진 창틀;
    상기 창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창짝을 포함하되,
    상기 가로 창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의 레일이 구비되며, 세로 창틀 쪽에 위치한 가로 창틀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탈착 가능한 창틀 탈착편과, 상기 창틀 탈착편의 동일 선상에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연질부를 포함하되,
    상기 창틀 탈착편은 창짝 하나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분리해야 하는 창짝과 마주하는 쪽의 연질부의 일측은 상기 가로 창틀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상기 창짝의 외측 경계면에 일부 밀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탈착편의 하면에는 상기 창틀 탈착편에 대응하며 상기 가로 창틀 일부를 구성하는 창틀 고정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탈착편과 창틀 고정판은 서로 나사 체결되거나 서로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30008819A 2013-01-25 2013-01-25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KR10147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819A KR101479703B1 (ko) 2013-01-25 2013-01-25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819A KR101479703B1 (ko) 2013-01-25 2013-01-25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79A KR20140095879A (ko) 2014-08-04
KR101479703B1 true KR101479703B1 (ko) 2015-01-07

Family

ID=5174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8819A KR101479703B1 (ko) 2013-01-25 2013-01-25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4890B (zh) * 2017-09-30 2020-05-08 北京国风建业门窗制造有限公司 一种方便清洁的铝塑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23Y1 (ko) * 1989-08-30 1992-12-19 송점수 창문용 조립식 안내레일
JP2004346494A (ja) * 2003-05-20 2004-12-09 Tostem Corp 開口部装置
KR100817228B1 (ko) *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23Y1 (ko) * 1989-08-30 1992-12-19 송점수 창문용 조립식 안내레일
JP2004346494A (ja) * 2003-05-20 2004-12-09 Tostem Corp 開口部装置
KR100817228B1 (ko) *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79A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62732B2 (en) Hidden rail type window and door system
KR100754926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1281428B1 (ko) 시스템 창호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US20180002958A1 (en) Pivot Hinge Assembly For Glass Door
US20160230458A1 (en) Sliding anti-insect window constructing structure having segmented detachable rail frames
WO2016000498A1 (zh) 一种门窗
KR101582459B1 (ko) 여닫이식 출입문의 단열 및 기밀 유지장치
KR100942482B1 (ko) 미닫이 창문
KR102132968B1 (ko) 창문프레임 일체형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
KR101479703B1 (ko)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KR101769570B1 (ko)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20100118924A (ko) 자동 유리 닦는 미서기창문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KR20090126075A (ko)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KR20110002841U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1905932B1 (ko) 레일 은폐형 미서기 창호
KR100979489B1 (ko) 실링의 설치를 위한 창틀 구조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200360335Y1 (ko) 창문
KR20160022013A (ko) 청소 및 배수가 용이한 창틀프레임
CN203285267U (zh) 方便清洁卫生的推拉窗
US20150020337A1 (en) Built-in wiper system for single and multiple planar surfaces
KR101055258B1 (ko) 교실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