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075A -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 Google Patents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075A
KR20090126075A KR1020080052243A KR20080052243A KR20090126075A KR 20090126075 A KR20090126075 A KR 20090126075A KR 1020080052243 A KR1020080052243 A KR 1020080052243A KR 20080052243 A KR20080052243 A KR 20080052243A KR 20090126075 A KR20090126075 A KR 20090126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window frame
window
rai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479B1 (ko
Inventor
윤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금속
Priority to KR102008005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47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7Covering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insulation, e.g. foam fi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게 되어 있는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음 및 방풍 뿐만 아니라 창문틀 바닥의 이물질이나 먼지가 보이지 않도록 해주는 커버부재를 갖춘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틀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 부분을 덮는 방식으로 창문틀 바닥 부분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새로운 형태의 커버부재를 구현함으로써, 방음 및 방풍 기능은 물론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창문틀 바닥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을 제공한다.
창문, 미닫이, 창문틀, 창문짝, 레일, 커버부재

Description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Sliding door window with cover}
본 발명은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게 되어 있는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 및 방풍 뿐만 아니라 창문틀 바닥의 이물질이나 먼지가 보이지 않도록 해주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옥 등의 건축물 벽면에는 실내의 환기 및 채광을 위하여 창문(window)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창문은 벽면을 일정한 넓이로 개구하고, 개구된 내측에 창문틀과, 창문틀 내에서 개폐되어 실내외부를 차단 및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창문짝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창문은 창문짝의 개폐 방법에 따라 여닫이, 미닫이, 붙박이 등으로 구분되고, 이 중 현대식 가옥에서는 주로 미닫이 창문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여닫이 창문의 경우 창문짝의 일측이 축으로 창문틀에 연결되어 있어 손쉽게 창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여닫이 창문은 대부분 안정성보 다는 건물의 미적감각을 중요시 할 때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미닫이 창문의 경우 창문틀의 상하부에 레일을 형성하여 레일을 따라 창문짝이 미끄러지면서 개폐되는 방식이며, 보통 학교나 공공시설물 등 현대식 주택의 창문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 창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닫이 창문은 창문틀(10)과 창문짝(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문틀(10)의 상하부에는 레일(12)이 설치되고, 창문짝(11)의 상하부에는 상기 레일(12)에 접촉결합되어 창문짝(11)이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드부(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12)에는 창문짝(11)측으로 돌출된 레일 돌기(14)를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창문짝(11)의 상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드부(13)에는 레일 돌기(14)에 얹혀져 회전되는 롤러(15)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3)의 하단쪽에는 레일(12)측과 접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차단부재(16)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이물질 차단부재(16)는 창문짝(11)의 하측 양쪽 전구간에 걸쳐 형성된 털 형태의 직물이 주로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닫이 창문은 창문틀에 전후방의 창문짝이 수평한 상태, 즉 창문짝의 상부와 하부가 상호 수평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의 기후변화에 의해 거세게 유입되는 바람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 이물질 차단부재는 털 형태의 직물이기 때문에 일부 이물질 등은 차단할 수 있지만, 바람의 유입 자체를 차단하기 힘들며, 흔히 "틈새바람"의 유입에 의해 실내의 냉난방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는 평상시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기는 하지만, 먼지 등이 창문틀의 바닥에 잔류하여 창문짝의 개폐시 먼지가 실내로 비산되는 등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현재 사용 중인 창문의 창문틀은 바닥이 깊어 청소하기가 무척 까다롭고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흔히 있고, 이로 인해 항상 창문틀 바닥에 먼지 및 오물이 쌓여 있는 등 미관상 지저분할 뿐만 아니라 위생상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창문틀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 부분을 덮는 방식으로 창문틀 바닥 부분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새로운 형태의 커버부재를 구현함으로써, 방음 및 방풍 기능은 물론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창문틀 바닥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은 레일을 갖는 창문틀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창문짝이 배치되어, 창문짝이 창문틀의 레일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창문틀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가면서 조성되는 창문틀과의 틈새를 마감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방음 및 방풍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창문틀 바닥에 쌓일 수 있는 이물질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는 창문틀측에 끼워지는 한쪽을 고정부로 하면서 다른 한쪽의 접촉부를 이용하여 레일측에 접촉되면서 틈새를 마감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부재 접촉부의 경우 끝이 단차진 모양, 끝이 약간 구부러진 모양, 끝이 둥글게 말린 모양 등으로 제작하여 레일의 상단부 밑면, 윗면, 측면 등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닫이 창문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커버부재와 이물질 차단부재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바람, 먼지 등을 두 차례에 걸쳐 차단함으로써, 방음 및 방풍 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등 창문의 밀폐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레일과 창문틀 간의 틈새를 커버부재로 막아줌으로써, 창문틀 바닥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특히 커버부재가 창문틀 바닥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기 때문에 깨끗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위생상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커버부재의 경우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에 대해 더욱 우수한 밀폐효율을 갖게 되므로서, 기후변화에 대해 대응력이 향상되고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개략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과 양쪽에 각각 접촉부를 갖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닫이 창문은 내측 상면과 하면에 레일(12)이 설치된 창문틀(10)과, 상기 창문틀(10)의 레일(11)에 상하부가 결합되어 창문틀(10)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공간을 개폐하는 창문짝(1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창문짝(11)은 창문틀(10)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배치된 한쌍의 미닫이 문짝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미닫이 창문에서 창문틀(10)의 하면에 설치된 레일(11)과 창문틀(10) 사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틈새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틈새로는 바람이나 소음 등이 유입될 수 있고, 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창문틀 바닥쪽에 쌓일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11)과 창문틀(10) 사이에는 커버부재(17)가 설치되며, 이때의 커버부재(17)에 의해 바람의 유입이나 외부 소음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고, 또 이물질이 창문틀 바닥쪽으로 유입되는 것도 사전에 봉쇄할 수 있는 동시에 혹시 다른 루트를 통해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창문틀 바닥에 쌓이는 경우에도 이를 보이지 않도록 가려줄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7)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길다란 스트립 형태로 되어 있으며, 레일(11)과 창문틀(10) 간의 틈새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폭방향의 한쪽 고정부(18)를 이용하여 창문틀(10)에 지지되면서 폭방향의 다른 한쪽 접촉 부(19)를 이용하여 레일(11)측과 접촉하는 구조로 틈새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17)의 고정부(18)는 원형단면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이 창문틀(10)에 형성되는 원형의 홈부에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커버부재(17) 전체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8)는 커버부재 설치시 홈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끼워넣는 형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7)의 접촉부(19)는 레일(12)측과 접하면서 실질적으로 틈새를 마감하는 부분으로서, 끝 부분이 단차진 모양으로 되어 있어 레일(12)의 상단부 밑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촉될 수 있다.
즉, 창문짝(11)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커버부재(17)의 단차진 접촉부(19)가 레일(12)의 상단부 밑면에 밀착되면서 창문틀(10)의 바닥쪽을 외부와 격리시켜줌으로써, 바닥쪽으로의 이물질 등의 유입이 사실상 봉쇄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7)에는 날개부(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창문짝(11)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도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날개부(20)는 커버부재(17)의 윗면에서 고정부(18)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날개부(20)는 커버부재(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면서 창문짝(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창문짝(11)이 닫힌 상태에서 커버부재(17)의 접촉부 부분은 아래 쪽으로 휘어지게 되지만, 이때 날개부(20)가 창문짝(11)측과 접하면서 틈새를 막아주게 되므로서, 틈새를 통한 바람, 소음,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창문틀(10)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창문짝(11)의 바깥쪽으로 각각 설치되는 커버부재(17)의 경우에는 하나의 고정부(18)와 하나의 접촉부(19)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특히 전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창문짝(11)의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7)의 경우에는 하나의 고정부(18)와 양쪽의 접촉부(19)를 갖는 좌우 대칭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레일(12) 간에 조성되는 틈새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개략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7a,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측과 양쪽에 각각 접촉부를 갖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기본적인 형태가 위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레일(12)측과 접하는 접촉부(19)의 모양이 다른 커버부재(17)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19)의 접촉부(19)는 끝 부분이 약간 구부러진 모양, 즉 부재가 폭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진행되다가 끝에 가서 아래쪽으로 일정각도 꺽인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부재(19)는 이러한 접촉부(19)를 이용하여 레일(12)의 상단부 윗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문짝(11)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커버부재(17)의 꺽인 모양의 접촉부(19)가 레일(12)의 상단부 윗면에 밀착되면서 창문틀(10)의 바닥쪽을 외부와 격리시켜줄 수 있고, 결국 창문틀 바닥쪽으로의 이물질 등의 유입이 사실상 봉쇄된다.
한편, 창문짝(11)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는 고정부(18)를 제외한 커버부재(17) 전체가 윗쪽으로 휘어지면서 그 접촉부(19)를 통해 창문짝(11)측에 밀착되므로서, 창문짝(11)을 닫은 상태에서도 틈새를 통한 소음, 바람,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개략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측과 양쪽에 각각 접촉부를 갖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기본적인 형태가 위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레일(12)측과 접하는 접촉부(19)의 모양이 다른 커버부재(17)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19)의 접촉부(19)는 끝 부분이 아래쪽으로 둥글게 말린 모양, 즉 부재가 폭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진행되다가 끝에 가서 아래쪽으로 반원 정도의 모양으로 말린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부재(19)는 이때의 둥글게 말린 부분을 이용하여 레일(12)의 상단부 측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문짝(11)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커버부재(17)의 둥글게 말린 모양의 접촉부(19)가 레일(12)의 상단부 측면에 밀착되면서 창문틀(10)의 바닥쪽을 외부와 격리시켜줄 수 있고, 결국 창문틀 바닥쪽으로의 이물질 등의 유입이 사실상 봉쇄된다.
물론, 창문짝(11)을 닫아 놓은 상태에서는 위의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부(18)를 제외한 커버부재(17) 전체가 윗쪽으로 휘어지면서 그 접촉부(19)를 통해 창문짝(11)측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창문짝(11)을 닫은 상태에서도 틈새를 통한 소음, 바람,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세가지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창문틀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가면서 조성되는 창문틀과의 틈새를 다양한 형태의 커버부재로 마감처리함으로써, 커버부재가 발휘하는 방음 및 방풍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틈새를 통한 소음, 바람, 이물질 등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창문짝의 개폐여부와 관계없이 커버부재로 창문틀의 바닥쪽을 상시 덮어줄 수 있으므로 깨끗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위생적으로도 문제의 소지를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닫이 창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과 양쪽에 각각 접촉부를 갖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개략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a,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측과 양쪽에 각각 접촉부를 갖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개략사시도
도 9은 도 8의 단면도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측과 양쪽에 각각 접촉부를 갖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틀 11 : 창문짝
12 : 레일 13 : 슬라이드부
14 : 레일 돌기 15 : 롤러
16 : 이물질 차단부재 17 : 커버부재
18 : 고정부 19 : 접촉부
20 : 날개부

Claims (7)

  1. 레일(12)을 갖는 창문틀(10)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창문짝(11)이 배치되어, 창문짝(11)이 창문틀(10)의 레일(12)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12)을 따라가면서 조성되는 창문틀(10)과의 틈새를 마감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방음 및 방풍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창문틀 바닥에 쌓일 수 있는 이물질을 가려주는 역할을 하는 커버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7)는 창문틀(10)측에 끼워지는 한쪽을 고정부(18)로 하면서 다른 한쪽의 접촉부(19)를 이용하여 레일(12)측에 접촉되면서 틈새를 마감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7)의 접촉부(19)는 끝이 단차진 모양으로 이루어져 레일(12)의 상단부 밑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7)는 창문짝(11)측과 접촉을 위한 날개부(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7)의 접촉부(19)는 끝이 약간 구부러인 모양으로 이루어져 레일(12)의 상단부 윗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7)의 접촉부(19)는 끝이 둥글게 말린 모양으로 이루어져 레일(12)의 상단부 측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10)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창문짝(11)의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7)의 경우 하나의 고정부(18)와 양쪽의 접촉부(19)를 갖는 좌우 대칭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KR1020080052243A 2008-06-03 2008-06-03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KR100968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243A KR100968479B1 (ko) 2008-06-03 2008-06-03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243A KR100968479B1 (ko) 2008-06-03 2008-06-03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075A true KR20090126075A (ko) 2009-12-08
KR100968479B1 KR100968479B1 (ko) 2010-07-07

Family

ID=4168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243A KR100968479B1 (ko) 2008-06-03 2008-06-03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25Y1 (ko) * 2012-10-12 2013-03-13 (주) 일진 방풍 및 방음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23Y1 (ko) 2011-04-20 2013-06-19 김용하 창문 밀폐구조
KR101446096B1 (ko) 2014-03-17 2014-10-06 동방시스템주식회사 레일 커버링 고기밀성 창호
KR200478715Y1 (ko) * 2014-06-17 2015-11-09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977A (ja) * 1993-09-09 1995-03-20 Sekisui Chem Co Ltd 結露防止材
KR100508237B1 (ko) * 2002-11-14 2005-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JP3867985B2 (ja) 2004-09-07 2007-01-17 新日軽株式会社 防音サッシ
KR20070051535A (ko) * 2005-11-15 2007-05-18 이금로 아파트 베란다 창틀 구조.
KR200442401Y1 (ko) 2007-07-05 2008-11-10 신정원 조립식 패널 및 도어 관람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825Y1 (ko) * 2012-10-12 2013-03-13 (주) 일진 방풍 및 방음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479B1 (ko)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319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0901994B1 (ko)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CA2780995C (en) Watertight patio door assembly
KR100968479B1 (ko) 커버부재가 구비된 미닫이 창문
KR101528662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225671B1 (ko) 창호 시스템
KR20070024108A (ko) 슬라이드창호의 방음구조
KR100942482B1 (ko) 미닫이 창문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102346373B1 (ko) 먼지 소음 유입 및 먼지 증적 차단용 창호
KR100543792B1 (ko)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KR20110002841U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20160054225A (ko) 문틀의 측벽용 모헤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102121309B1 (ko) 방풍재
KR101010298B1 (ko) 미닫이 창문
KR200281154Y1 (ko) 새시용 방음방풍구조
KR102099674B1 (ko) 벨트창호
JP2020079555A (ja) 建具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20090113427A (ko) 미닫이 창문
KR102399349B1 (ko) 실내 미서기문의 가이드 홈 마감장치
KR101479703B1 (ko) 창짝 탈착식 미닫이 창문
JP7483533B2 (ja) 下枠カバーおよび引違いサッシ
KR200467423Y1 (ko) 창문 밀폐구조
KR20080000050U (ko) 출입문용 바람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