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84B1 -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584B1
KR101769584B1 KR1020170080242A KR20170080242A KR101769584B1 KR 101769584 B1 KR101769584 B1 KR 101769584B1 KR 1020170080242 A KR1020170080242 A KR 1020170080242A KR 20170080242 A KR20170080242 A KR 20170080242A KR 101769584 B1 KR101769584 B1 KR 101769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ain hole
lower frame
longitudinal direction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859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7008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5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 양단(兩端)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사출물을 각각 설치하고, 양 사출물 사이에는 레일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 커버판을 착탈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한,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Drain structure of sash frame equipped with detachable lower frame having seal and windbreak function}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의 하부프레임 양단(兩端)에 사출물을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에 커버판을 착탈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필름을 부착하여 실외측으로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고 나머지는 폐쇄되어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창문을 닫는다고 하더라도 하부프레임의 레일홈에는 빗물 등이 고이게 되고, 창틀에 고인 빗물은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레일을 타고 넘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으며, 창틀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나 곤충들의 서식지가 되는 등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틀의 바깥쪽 하부프레임에 배수구멍을 뚫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히 베란다와 같은 실외측에 설치된 창틀의 경우 레일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이 쉽게 쌓이게 되는데,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멍은 항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빗물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손쉽게 침투하여 기밀성 및 방풍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틀의 레일홈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를 개발하여 특허등록 제1055326호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등 여러 건을 특허받았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상면이 평판인 레일은폐체로 레일의 상부를 덮도록 장착한 것이므로 레일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레일홈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외관이 미려하며 청소가 매우 간편하여 창호에 관한 많은 문제를 해결했지만, 창틀에 형성한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를 완전히는 해결하지 못했다.
한편,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 차단을 위해 특허등록 제1238218호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와 같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이는 최외측에 위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에 공기유입차단판을 삽입 장착하여 창틀에 고인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한 물을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때는 공기유입차단판을 개방하고, 그외에는 폐쇄시켜서 실내측으로 빗물이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공기유입차단판이 배수구멍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동이 스스로 될 수 없어서 사람이 일일이 개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개폐시켜 주지 않으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 양단(兩端)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사출물을 각각 설치하고, 양 사출물 사이에는 레일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 커버판을 착탈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한,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 또는 사출물의 배수구멍에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고 배수 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수구멍을 폐쇄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구비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는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 판상(板狀)의 평판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고, 평판부의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평판부의 양단(兩端)이 상기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게 되는 커버판; 상면이 상기 커버판의 평판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한쌍의 레일이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면의 하부로는 함(函) 형상의 본체함이 구비되며, 한쌍의 레일 사이 및 레일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본체함의 일면에는 제2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에서 수직프레임과 각각 접하여 조립되게 되는 사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판은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양 사출물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으로는 하부프레임의 양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필름은 하부프레임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측면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출물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의 하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더 부착되어 있고, 필름은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1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 양단(兩端)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사출물을 각각 설치하고, 양 사출물 사이에는 레일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 커버판을 착탈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레일이 형성된 커버판만을 분리시킬 수 있어서 창틀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하다. 또한, 배수구멍의 실외측에는 배수시에만 개방되도록 필름을 부착하여 커버판의 평판부 상부에 있는 레일홈에 빗물이 고일 경우에는 사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실외측 하부프레임의 측면배수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로부터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돌출된 레일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필름을 부착하여 필름이 체크밸브와 같은 기능을 하면서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어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고, 배수 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수구멍을 폐쇄하게 되어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구조를 갖는 제1실시예의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구조를 갖는 제2실시예의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구조를 갖는 제3실시예의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창틀 하부프레임의 양단(兩端)에 사출물을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에는 레일이 상부로 돌출 형성된 커버판을 착탈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유지 관리 및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수월하게 했다는 점과,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 또는 사출물의 배수구멍에 부착된 필름이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해서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만시키고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창틀프레임은 양 수직프레임이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45°이음부위를 갖도록 조립되어 연결되며, 하부 및 상부프레임은 레일이 프레임 본체와 일체로 제작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은 빗물이나 이물질이 고이게 되는 하부프레임의 커버판을 착탈 가능한 분리형으로 제작했고, 배수를 위해 형성해 둔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는 시키지만, 빗물과 바람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필름을 부착했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중창으로 된 도면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중창은 단창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이중창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과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 배수구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프레임(11)은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111)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112)과, 수직벽(112)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1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양 수직벽(112) 사이의 공간에 사출물(13)과 커버판(14)이 장착되게 되며, 실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112)에는 배수를 위해 복수의 측면배수구멍(114)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길이방향 양단(兩端)에서 수직프레임(12)과 각각 45°이음부위를 갖도록 연결된다.
사출물(13)은 합성수지를 사출방식으로 제작하여 조립하거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다이캐스팅 공법 등으로 제작한 것인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어떤 재료를 사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제조했든 '사출물'이라고 명명하여 사용한다는 점을 밝혀둔다.
사출물(13)은 상면이 커버판(14)의 평판부(14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한쌍의 레일(132)이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하부로는 육면체인 함(函) 형상의 본체함(131)이 구비되어 구성되며, 사출물(13)은 하부프레임(11)의 양단에서 수직프레임(12)과 각각 접하여 조립되게 된다. 또한, 한쌍의 레일(132) 사이 및 레일(132)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112) 사이의 사출물(13) 상면에는 각각 제1배수구멍(133)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함(131)의 일측면(즉, 조립시 커버판 쪽에 위치하게 되는 면을 말함)에는 제2배수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함(131)은 상면을 일면으로 하는 육면체 형상인데, 조립시 수직프레임(12)과 접하게 되는 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해도 상관없으며, 조립시 수직프레임(12)과 접하게 되는 면은 개구(開口)된 면으로 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다. 하부프레임(11)에 고인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본체함(131)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단(135)을 형성하고, 본체함(131)의 상면 양단(兩端)은 하부프레임의 수직벽(112) 사이에 밀착되면서 위치하게 되지만, 본체함(131)의 측면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112)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본체함(131)의 바닥면과 측면(하부프레임의 수직벽을 향하는 면)에 배수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체함(131)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33)을 통해 레일홈(143)('레일홈'은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 및 레일과 수직벽 사이의 공간을 말함)에 고인 빗물이 본체함(131)으로 배수되고, 본체함(131)으로 모인 빗물은 일측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134)을 통해 하부프레임(11)의 내부로 모여서 수직벽(112)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114)을 통해 실외로 배수되게 된다. 제2배수구멍(134) 1개만 형성해도 되지만, 빠르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복수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본체함(131)에서 한쌍의 레일(132) 사이의 상면에 형성하는 제1배수구멍(133)도 레일(132)의 간격을 고려하여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판(14)은 판상(板狀)의 평판부(141)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142)이 돌출 형성되고, 평판부(141)의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144)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하부지지대(144)가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111)에 지지되어 길이방향으로는 양 사출물(13)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으로는 평판부(141)의 양단(兩端)이 하부프레임의 받침턱(113)에 얹혀져서 양 수직벽(11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판(14)이 착탈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관리도 쉬울 뿐만 아니라 레일(142)과 레일(142) 사이 및 레일(142)과 수직벽(112) 사이에 형성된 레일홈(143)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였을 때는 커버판(14)을 위로 잡아당겨 간단히 분리하여 깨끗하게 청소한 다음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사출물(13)과 커버판(14)에 형성되어 있는 각 레일(132, 142)은 높이가 동일하여야 하고, 사출물(13)의 상면과 커버판(14)의 평판부(141)는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레일홈(143)에 고인 물이 사출물(13)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33)을 통해 잘 배출되게 된다.
하부프레임(11)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114)의 실외측 면에는 배수구멍의 형상과 같은 사각형상의 필름(15)을 부착했다는 점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인데, 필름(15)은 전체면을 하부프레임(11)에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각형상 중에서 상부 일변만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설치하거나, 배수구멍 상단부에 슬릿을 형성한 부재를 고정시킨 다음 슬릿에 필름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필름(15)의 재질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이므로, 필름(15)은 하부프레임(11)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는 빗물의 미는 힘에 의해 측면배수구멍(114)을 개방시켰다가 배출이 끝나면 필름 재질이 갖는 탄력에 의해 측면배수구멍(114)을 자동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필름(15)이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시키는 체크밸브와 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물은 외부로 배출시키지만, 외부로부터 빗물, 바람 또는 이물질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필름(15)을 측면배수구멍(114)이 형성된 하부프레임(11)의 실외측에만 부착해도 되지만, 사출물(13)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33)의 하면에도 사각형상 필름을 더 부착하여 레일홈(143)에 고인 빗물을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1배수구멍(133)을 폐쇄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제2배수구멍(134)에도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측면배수구멍(114)에서 제1 및 제2배수구멍(133, 134)으로 연결되는 선이 일직선이 아니고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배수구멍에 필름(15)을 부착하지 않더라도 배수구멍을 통해서 빗물이나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는데, 배수구멍 중에서 일부 또는 모두에 필름(15)을 부착함으로써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이나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4를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부프레임은 동일하고, 사출물과 커버판을 단(段)이 지도록 형성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부프레임(21)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고, 사출물(23)과 커버판(24)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도면부호는 '2'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다는 점을 밝혀둔다.
커버판(24)은 제1 및 제2평판부(241, 2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형성되는데, 제2평판부(241')가 제1평판부(241)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2평판부(241')의 단부(端部)가 하향 절곡되어 절곡된 선단(先端)이 제1평판부(241)의 높이와 같다. 만일, 제2평판부(241')의 단부를 절곡시키지 않으려면 제2평판부(241')의 단부가 놓이게 되는 받침턱(213)의 높이를 높게 설치하면 된다.
제1 및 제2평판부(241, 241')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242)이 돌출 형성되어 쌍을 이루며, 제1 및 제2평판부(241, 241')의 경계가 되는 단(段)이진 부분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244)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제1평판부(241)의 단부(端部)와 제2평판부(241') 단부의 하향 절곡된 선단(先端)이 하부프레임의 받침턱(213)에 각각 얹혀져서 조립된다. 또한, 커버판(24)은 길이방향으로는 양 사출물(23)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으로는 하부프레임(21)의 양 수직벽(212)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된다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사출물(23)은 육면체 함(函) 형상의 제1 및 제2본체함(231, 231')이 구비되는데, 제2본체함(231')이 제1본체함(231)의 일측 레일(232) 양쪽으로 배치되며, 제1본체함(231)의 상면이 제1평판부(24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2본체함(231')의 상면은 제2평판부(24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수직프레임(22)과의 조립을 고려하여 길이방향에서 제2본체함(231')의 길이가 제1본체함(23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본체함(231, 231')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232)이 돌출 형성되어 쌍을 이루게 되고, 레일(232)과 수직벽(21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본체함(231, 231')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23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레일(232)과 레일(232)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본체함(231')의 측면에는 제2배수구멍(2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본체함(231')의 바닥면에는 제3배수구멍(2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본체함(231)의 일측면(커버판이 조립되게 되는 쪽의 면을 말함)에는 제4배수구멍(236)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프레임(21)의 양단에서 수직프레임(22)과 각각 접하여 조립된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인 하부프레임(21)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214)의 실외측 면에는 배수구멍과 같은 형상인 사각형상의 필름(25)을 부착했으며, 필름(25)의 구성과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배수구멍(233)의 하면과 제4배수구멍(236)의 내측면에도 필름을 부착할 수 있으며, 모든 배수구멍에 필름을 부착할 수도 있다.
도 5와 6을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제3실시예는 사출물(33)만 단(段)이지도록 형성했다. 그러므로 제3실시예의 하부프레임(31)은 제1 및 제2실시예의 하부프레임(11, 21)과 동일하고, 사출물(33)은 제2실시예의 사출물(23)과 동일하며, 커버판(34)은 제1실시예의 커버판(14)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각 구성은 이미 제1 및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설명했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의 도면부호는 '3'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다는 점을 밝혀둔다. 또한 필름(35)을 부착하는 것도 앞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창틀프레임
11 : 하부프레임 111 : 하부연결판
112 : 수직벽 113 : 받침턱
114 : 측면배수구멍 12 : 수직프레임
13 : 사출물 131 : 본체함
132 : 레일 133 : 제1배수구멍
134 : 제2배수구멍 135 : 지지단
14 : 커버판 141 : 평판부
142 : 레일 143 : 레일홈
144 : 하부지지대 15 : 필름
20 : 창틀프레임
21 : 하부프레임 211 : 하부연결판
212 : 수직벽 213 : 받침턱
214 : 측면배수구멍 22 : 수직프레임
23 : 사출물 231, 231' : 제1 및 제2본체함
232 : 레일 233 : 제1배수구멍
234 : 제2배수구멍 235 : 제3배수구멍
236 : 제4배수구멍 237 : 지지단
24 : 커버판 241, 241' : 제1 및 제2평판부
242 : 레일 243 : 레일홈
244 : 하부지지대 25 : 필름
30 : 창틀프레임
31 : 하부프레임 311 : 하부연결판
312 : 수직벽 313 : 받침턱
314 : 측면배수구멍 32 : 수직프레임
33 : 사출물 331, 331' : 제1 및 제2본체함
332 : 레일 333 : 제1배수구멍
334 : 제2배수구멍 335 : 제3배수구멍
336 : 제4배수구멍 337 : 지지단
34 : 커버판 341 : 평판부
342 : 레일 343 : 레일홈
344 : 하부지지대 35 : 필름

Claims (3)

  1. 양 수직프레임이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결합되어 구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구비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는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11);
    판상(板狀)의 평판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고, 평판부의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평판부의 양단(兩端)이 상기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게 되는 커버판(14);
    상면이 상기 커버판의 평판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한쌍의 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면의 하부로는 함(函) 형상의 본체함이 구비되며, 한쌍의 레일 사이 및 레일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133)이 각각 형성되고, 본체함의 일측면에는 제2배수구멍(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에서 수직프레임과 각각 접하여 조립되게 되는 사출물(13);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판은 길이방향으로는 양 사출물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으로는 하부프레임의 양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게 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하부프레임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측면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33)의 하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더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1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170080242A 2017-06-26 2017-06-26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76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242A KR101769584B1 (ko) 2017-06-26 2017-06-26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242A KR101769584B1 (ko) 2017-06-26 2017-06-26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850A Division KR101769578B1 (ko) 2015-09-30 2015-10-07 분리 가능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59A KR20170077859A (ko) 2017-07-06
KR101769584B1 true KR101769584B1 (ko) 2017-08-18

Family

ID=5935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242A KR101769584B1 (ko) 2017-06-26 2017-06-26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265B1 (ko) * 2019-04-15 2020-07-09 김순석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598Y1 (ko) * 2003-05-29 2003-08-19 현우공업 주식회사 창틀용 배수구
JP2004169476A (ja) * 2002-11-21 2004-06-17 Tostem Corp 開口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476A (ja) * 2002-11-21 2004-06-17 Tostem Corp 開口部装置
KR200323598Y1 (ko) * 2003-05-29 2003-08-19 현우공업 주식회사 창틀용 배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265B1 (ko) * 2019-04-15 2020-07-09 김순석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59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346B2 (en) Entryway system including a threshold assembly
KR101575007B1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KR101869263B1 (ko)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US20030230034A1 (en) Condensation evacuating window sill
KR101769584B1 (ko)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769572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KR101817516B1 (ko)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769578B1 (ko) 분리 가능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64578B1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101769570B1 (ko)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WO2017057840A1 (ko)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1753037B1 (ko)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769580B1 (ko) 압출물로 된 레일판을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JPH019915Y2 (ko)
US6009928A (en) Complex window having multiple window types
JP4675836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KR102132265B1 (ko)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JPS6348790Y2 (ko)
JPH019914Y2 (ko)
KR102534380B1 (ko)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CN216477064U (zh) 具有二次排水功能的快装门窗隐藏排水件及门窗框体
CN212837480U (zh) 一种门窗排水孔盖
JP3232403B2 (ja) 合成樹脂製の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