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57840A1 -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57840A1
WO2017057840A1 PCT/KR2016/008595 KR2016008595W WO2017057840A1 WO 2017057840 A1 WO2017057840 A1 WO 2017057840A1 KR 2016008595 W KR2016008595 W KR 2016008595W WO 2017057840 A1 WO2017057840 A1 WO 20170578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5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372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5303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4085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6957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446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17516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ublication of WO20170578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578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tructure of a window frame of the US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the injection molding at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of the window frame and to be detachably detachable rail plate there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rail plate of the lower frame is detachable and airtight so that the film is attached to the drainage hole formed in the injection molding so that the film is opened only during drainage and the rest is closed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wind and foreign matters through the drainage hole. And it relates to a window frame frame drainage structure of the unknown window having a windproof function.
  •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a window that improves the airtightness of the structure that the rail groove of the window frame is not ex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patented a number of cases such as Korean Patent No. 1055326 "rail concealed window and door device".
  • the patent has a structure that is mount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rail with a closed upper surface of the rai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rail groov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ail groove does not accumulate foreign matter,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very easy to clean the window
  • many problems have been solved, the problem of inflow of wind and foreign matter into the room through the drainag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has not been completely solv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ely mounting the injection molding and the rail plate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window frame to the window sliding, respectively, the rail is formed, It is to provide a window frame frame drainage structure of a small window which is easy to maintain the window frame and very easy to clean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rail groove, the rail plate of the lower frame is detachable and has airtight and windproof function.
  • the rail plate of the lower frame is to provide a window frame frame drainage structure of the small window with a detachable, airtight and windproof function.
  • the window frame of the US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plate on which the US window is sliding and the injection molding formed with a drainage hole are assembl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of the window frame, respectively, the lower frame and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injection
  • the film was opened only when drained and closed automatically after draining to close the drain hole to prevent rainwater, wind and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oom.
  •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frame of the US window is a structure in which the injection frame or rail plate is assembled to the lower frame of the window frame to which the window slides, and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lower frame. It is easy to maintain the window frame and the cleaning work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rail groove is very easy.
  •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frame of the micro-ceramic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film to the outdoor side of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lower frame of the window frame or the injection molding, the film is opened only at the time of drainage water to the outside The drainage is closed automatically after draining, closing the drainage hole, and the film acts like a check valve, preventing rainwater, wind, and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oom. You can.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ndow frame frame having a drainag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jection molding of FIG.
  • FIG.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drainage in the window frame frame of FIG.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frame frame having a drainag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FIG. 5.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frame frame having a drainage structure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is opened while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FIG. 7.
  • 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suppor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of the injection molding in the third embodiment.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frame frame having a drainage structure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FIG. 10.
  •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frame frame having a drainage structure of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FIG. 12.
  •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frame frame having a drainage structure of the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frame frame having a drainage structure of the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 the window fram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lower and upper frames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window frame frame, both ends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to be positioned horizontally A vertical wall formed vertic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ing jaw protruding i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each vertical wall to face each other, A lower frame 11 formed with side drainage holes; A rail plate 14 having a pair of rails protruding from the plate-shaped fla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rails are formed to protrude, and a box-shaped main box is provided between the rails and the outside of each rail,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drain holes 133, respectively, on one side and the bottom of each main box.
  • the 134 is formed to include an injection molding 13 is formed, the injection molding is projected upwards than the flat plate of the rail plate in both ends of the rail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the width Both ends of the rail plate and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in the direction are characterized by being mounted on the support jaw 113 of the lower frame.
  •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US window window fram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ssemble and install the injection molding and the rail plate detachable from the window frame lower frame to facilitate the clean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window fram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rail groove
  • the film attached to the outdoor side of the drainage hole formed in the lower frame or the drainage hole formed in the injection molding acts as a check valve to drain only through the drainage hole, and rain or wind flows from the outside into the room. It is not allowed.
  • the window frame frame of the US window is assembled and connected so that both vertical frames at the corners have joints connected to the lower and upper frames at 45 °, respectively, and the lower and upper frames ar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frame.
  •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il-shaped injection molding and the rail plate is made of a detachable type detachable to the lower frame where rain water or foreign matters are accumulated.
  • the film that acts as a check valve is attached to the outdoor side of the drain hole.
  • a double window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double window is a double window structure, that is, in the case of a single window, a pair of rails are installed between both vertical walls of the lower frame, in the case of a double window, two pairs of rails are installed. Note that this applies equally to both single and double windows, as there are only differences.
  • the lower frame 11 has a vertical wall 112 formed vertic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111 to be horizontally positioned, an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wall 1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butment 113 is formed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side to face each other, and the injection molding 13 and the cover plate 14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vertical walls (112) 113 is placed on the vertical wall 112 to be assembled to the outdoor side, a plurality of side drain holes 114 are formed for drainage, the vertical frame 1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11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ssembled.
  • the injection molding material 13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synthetic resin by injection molding or by a die casting method using a metal such as aluminu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it is used as a 'injection' regardless of what material is used in which way. To reveal.
  •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13 has a pair of rails 132 protruding from each other, and a box-shaped main box 131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ails 132 and outside of each rail 132, respectively. 131 has a hexahedron shape, and the injection moldings 13 which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rail plate 14 at the time of assembly are opposed to each other (that is, the face facing each other with the rail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first drain hole 133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has a second drain hole 134 formed therein.
  • the lower support 135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x 131 located in the center, so that the lower support 135 is supported by the lower connecting plate 111 of the lower fra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econd drain hole 134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 135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box 131 located in the center.
  • the rail groove 143 refers to a space between the rail 142 and the rail 142 and a space between the rail 142 and the vertical wall 112.
  • the rail plate 14 has a pair of rails 142 protruding from the plate-shaped flat portion 141. Although there is no need for the lower support 144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lat plate portion 1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support 144 may be formed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flat plate portion 141, and the lower support 144 is When formed, the lower support 144 is supported by the lower connecting plate 111 of the lower frame, the rail plate 14 is located between both vertical walls 112 of the lower frame 11, both ends of the support jaw 113 ) Will be assembled on top of each other. Since the rail plate 14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frame 11 by simply lifting the rail plate 14 from the lower frame 11, it is not only easy to maintain, but also between the rails 142 and the rail 142. When dirt or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rail groove 143 formed between the vertical wall 112 and the rail plate 14,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simply pull up the rail plate 14 to clean it and then clean it again.
  • the rails 132 and 142 formed o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13 and the rail plate 14 must have the same heigh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13 and the flat plate portion 141 of the rail plate 14 have the same height.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rain hole 133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13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lat plate portion 141 of the rail plate 14, water accumulated in the rail groove 143 may be formed. It is well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133).
  • a rectangular film 15 may be attached to the outdoor side surface of the side drain hole 114 formed in the lower frame 11, but the film 15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rather than attaching the entire surface to the lower frame 11. Only one side of the upper side is adhered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adhesive or an attachment means to attach. Since the material of the film 15 is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the film 15 opens the side drain holes 114 by the pushing force of the rain water when the rain water accumulated in the lower frame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e end, the side drainage hole 114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lm material. In this way, the film 15 operates as a check valve that opens the drainage hole in only one direction, 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rainwater, wind, or foreign matter cannot be introduced into the room from the outside.
  • the film 15 may be attached only to the outdoor side of the lower frame 11 having the side drain holes 114 formed therein, the rectangular film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ain holes 134 formed i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13 so that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may be attached.
  • the second drainage hole 134 may be closed after the discharge is finished, and the outdoor side of the first drainage hole 133 (the water flows out)
  •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film.
  • the film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drain holes 133 and 134 also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lms attached to the side drain holes 114.
  • a second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Reference numerals of the second embodiment used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2' for the same part, and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heights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injection molding 23 and the rail plate 24 are the same. It is.
  • the first embodiment is assembl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ing 13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plate 14, while the second embodiment is assembled so that the upper surfaces of the injection molding 23 and the rail plate 24 are the same.
  • the structure of the lower frame 21 and the rail plate 24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description is duplicated with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part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ing 23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lat plate 241,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plate 24, a pair of rails 232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ing,
  •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box-shaped main box 231, the injection molding 23 is assembled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frame 22 at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21, respectively.
  • a first drain hole 23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ing 23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rails 232 and between the rail 232 and the vertical wall 212 of the lower frame.
  • the second drain hole 23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box 231 of the injection molding 23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plate 24 so as to face each other (that is, the surfac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rail plate during assembly). Formed.
  • a third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eference numerals of the third embodiment used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3' for the same parts, and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rail plates 3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33. ) Is placed.
  • the injection molding 23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ail plate 24, an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rail plate 34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injection molding 33,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Therefore, 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description is duplicated with the second embodiment, only the part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33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lat plate portion 341 of the rail plate 34, and the rail 332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 the main body box 331 is provided, and the injection-molded material 33 is assembled between the rail plate 34 and the rail plate 34.
  • a first drainage hole 333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33 between the rails 332 and between the rails 332 and the vertical wall 312 of the lower fram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ox 331.
  • the second drainage hole 334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rail plate.
  •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33 may be assemb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middle part of the lower frame 31, that is, between the rail plate 34 and the rail plate 34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31 ( It may be assembled in both i) and intermediate.
  • the support end 335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x 331 for smooth drainage of water accumulated in the lower frame 31, and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x 331 when assembl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wall 312 of the lower frame, it is preferable to have a predetermined gap formed between the side of the main box 331 and the vertical wall 312 of the lower frame, the main box 331 Drainage hole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lower frame (the side facing the vertical wall of the lower frame).
  • the supporter 336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supporter 344 of the rail plate 34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out forming the main box 33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33. )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see reference numeral 33 in FIG. 9). At this time, the second drain hole 334 does not need to be formed.
  • a fourth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Reference numerals of the fourth embodiment used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4' for the same parts, and the fourth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injection molding 43 is short, partly the injection molding 43 and the rails.
  •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44 is the same, and the remaind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ing 43 protrudes from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plate 44.
  • the lower frame 41 and the rail plate 44 of the fourth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lower frame 11 and the rail plate 14 of the first embodiment, and only the structur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43 is different. Therefore, in the fourth embodiment, since the description is duplicated with the first embodiment, only portion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t does not matter whether the high part or the low part is disposed in the indoor side or the outdoor side in the short binary part.
  •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43 has a second main box 431 'positioned at one side of an upper portion of the box-shaped first main body 431, and each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body boxes is stepped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ii) is formed so as to form a pair of rails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box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box 431 is the same as the flat plate of the rail plate.
  • a first drainage hole 43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box located between the rail and the vertical wall, and a second drain hole on one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box located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434 is formed, and a fourth drainage hole 43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box.
  • a fifth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 Reference numerals of the fifth embodiment used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5' for the same part, and the fifth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both the injection molding 53 and the rail plate 54 are short. Except for the same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at is, the fifth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rail plate 54 is also shorter than the fourth embodiment, so that the heights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injection molding 53 and the rail plate 54 are the same.
  • the lower frame 51 of the fif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lower frame 11 of the first embodiment
  • the injection molding 53 is the same as the injection molding 43 of the fourth embodiment. Therefore, in the fifth embodiment, since the descrip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parts having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 the rail plate 54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flat plate portions 541 and 541 'are short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541' is the first flat plate.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541 ′ is bent downward, the tip end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541 ′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541. If the end of the second flat plate 541 'is not to bend, the height of the supporting jaw 513 on which the end of the second flat plate 541' is placed may be set high.
  •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lat plate portions 541 and 541 ' are paired by protruding rails 54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t plate portions 541 and 541' is defined.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rail plate 54 by forming a lower support 54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stepped binary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5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bent tip of the lower part and the end of the second flat part 541 'are assembled on the supporting jaw 513 of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 the rail plate 54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injection moldings 53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51 are mounted on the support jaw 513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oth vertical walls 512 of the lower frame 51 are positioned.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inserted and assembled therebetween.
  • a sixth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6' are used for the same parts.
  • the rail plates 64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injection molding 63, respectively.
  • both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63 and the rail plate 64 are formed to be short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espectiv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at plate portions 641 and 641 'are formed.
  • the rail plate 64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flat plate portions 641 and 641 'such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short at the center of the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lengt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lat plate portions.
  • the rails protrude along the direction to form a pair, and the lower support 644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stepped portion that forms the boundary of the first and second flat plates.
  • the injection-molded product 63 is a plate-shaped horizontal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lates 631 and 631 'are formed so as to be short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 631 'and the first horizontal plate 631 are formed in a box shape, respectively, and upper rails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lates 631 and 631'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figured to be paired.
  • a seventh embodiment of the drainag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reference numerals starting with '7'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nd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lower support 736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jection molding 73 instead of the box shape. Same as the embodiment.
  •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73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lates 731 and 731 ', which are plate-shaped horizontal pl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tepp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731 is provided.
  • ') Forms a box shape at one upp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731, and the lower support 736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731, the first and second water
  • the upper portions of the flat plates 731 and 731 ' are formed so that the rails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o form a pair.
  •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lates 731 and 731' are disposed between the rail and the vertical wall.
  • the first drainage hole 733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 the second drainage hole 734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flat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 the window frame of the US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is attached to the outdoor side of the drainage hole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injection molding so that the film is opened only when draining and the rest is closed so that rain water and wind and foreign matter through the drainage hole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and since the injection molding and the rail plate are assembled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frame, cleaning work to remov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rail groove and maintenance of the window frame are very convenient. This can be very useful as a window frame frame of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레일이 형성되어 제작된 서로 분리 가능한 사출물과 레일판을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조립 설치함으로써, 창틀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하며, 또한,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 또는 사출물이나 레일판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고 배수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수구멍을 폐쇄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본 발명은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의 하부프레임 양단(兩端)에 사출물을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에 레일판을 착탈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하부프레임 및 사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고 나머지는 폐쇄되어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창문을 닫는다고 하더라도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레일홈에는 빗물 등이 고이게 되고, 창틀에 고인 빗물은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레일을 타고 넘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 창틀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나 곤충들의 서식지가 되는 등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틀의 바깥쪽 하부프레임에 배수구멍을 뚫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실외측에 설치된 창틀의 경우 레일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쉽게 쌓이게 되므로,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멍이 항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빗물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손쉽게 침투하여 기밀성 및 방풍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틀의 레일홈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킨 창호를 개발하여 한국특허 제1055326호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등 여러 건을 특허받았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상면이 평판인 레일은폐체로 레일의 상부를 덮도록 장착한 구조이므로 레일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레일홈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외관이 미려하며 청소가 매우 간편하여 창호에 관한 많은 문제를 해결했지만, 창틀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했다.
한편,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 차단을 위해 한국특허 제1238218호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와 같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이는 최외측에 위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에 공기유입차단판을 삽입 장착하여 창틀에 고인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한 물을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때는 공기유입차단판을 개방하고, 그 외에는 폐쇄시켜서 실내측으로 빗물이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공기유입차단판이 배수구멍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동이 스스로 될 수 없어서 사람이 일일이 개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개폐시켜 주지 않으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레일이 형성되어 제작된 사출물과 레일판을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 설치함으로써, 창틀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한,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 또는 사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고 배수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수구멍을 폐쇄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은, 미서기창이 슬라이딩하는 레일이 형성된 레일판과 배수구멍이 형성된 사출물을 각각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 설치하고, 하부프레임과 사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고 배수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수구멍을 폐쇄하여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사출물 또는 레일판을 조립하고, 하부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레일이 형성된 사출물 또는 레일판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서 창틀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도 매우 수월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 또는 사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어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고, 배수후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수구멍을 폐쇄시키게 되어 필름이 체크밸브와 같은 기능을 하면서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기밀성과 방풍성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배수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출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창틀프레임에서 배수(排水)되는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배수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배수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면서, 사출물의 측면이 개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서 사출물의 수평판 하부에 하부지지대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배수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배수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배수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배수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은 수직프레임의 양단에서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인데,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의 제1실시예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각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구비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11); 판상의 평판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레일판(14);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 사이 및 각 레일의 외측으로는 박스 형상의 본체함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본체함의 일측면과 바닥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배수구멍(133, 134)이 형성되어 구성된 사출물(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레일판의 양단(兩端)에 사출물이 레일판의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각각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에서 상기 레일판과 사출물의 양단이 각각 하부프레임의 받침턱(113)에 얹혀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창틀 하부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한 사출물과 레일판을 조립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 및 창틀의 유지 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 또는 사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부착된 필름이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해서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만시키고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은 모서리에서 양 수직프레임이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45°로 연결되는 이음부위를 갖도록 조립되어 연결되며, 하부 및 상부프레임에는 레일이 프레임과 일체로 제작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은 레일이 형성된 사출물과 레일판을 빗물이나 이물질이 고이게 되는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분리형으로 제작했고,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는 시키지만, 빗물과 바람 및 곤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필름을 부착했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중창으로 된 도면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중창은 단창을 이중으로 설치한 구조 즉, 단창일 경우에는 하부프레임의 양 수직벽 사이에 레일이 한쌍 설치되고, 이중창일 경우에는 두쌍의 레일이 설치되는 차이만 있기 때문에 단창이나 이중창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먼저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프레임(11)은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111)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112)과, 수직벽(112)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113)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양 수직벽(112) 사이의 공간에 사출물(13)과 커버판(14)이 받침턱(113)이 얹혀져서 조립되게 되며,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112)에는 배수를 위해 복수의 측면배수구멍(114)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수직프레임(12)과 각각 연결되어 조립된다.
사출물(13)은 합성수지를 사출방식으로 제작하여 조립하거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한 것인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어떤 재료를 사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제조했든 '사출물'이라고 명명하여 사용한다는 점을 밝혀둔다. 사출물(13)은 한쌍의 레일(13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레일(132) 사이 및 각 레일(132)의 외측으로는 박스 형상의 본체함(131)이 각각 구비되는데, 본체함(131)은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시 레일판(14)의 양단에 위치하게 되는 사출물(13)끼리 서로 대향하게 되는 면(즉, 조립시 레일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면을 말함)에는 제1배수구멍(133)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제2배수구멍(134)이 형성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본체함(131)의 육면체 형상에서 조립시 수직프레임(12)과 접하게 되는 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도 3 참조), 경사진 면으로 형성할 경우 수직프레임(12)과의 조립이 수월하고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면이 서로 접하게 되므로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시 수직프레임(12)과 접하게 되는 면은 개구(開口)된 면으로 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다.
본체함(131)의 제1배수구멍(133)을 통해 레일홈(143)에 고인 빗물이 본체함(131)으로 배수되고, 본체함(131)으로 모인 빗물은 바닥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134)을 통해 본체함(131) 하부로 배수되게 된다. 중앙에 위치하는 본체함(131)의 바닥면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135)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지지대(135)가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111)에 지지되게 된다. 중앙에 위치하는 본체함(131)의 바닥면에는 하부지지대(135) 양측으로 제2배수구멍(13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홈(143)은 레일(142)과 레일 (142)사이의 공간 및 레일(142)과 수직벽(112) 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레일판(14)은 판상의 평판부(141) 상부로는 한쌍의 레일(14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141)의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144)가 없어도 되지만, 평판부(141)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하부지지대(144)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하부지지대(144)가 형성된 경우 하부지지대(144)는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111)에 지지되게 되고, 레일판(14)은 하부프레임(11)의 양 수직벽(112) 사이에 위치하면서 양단이 받침턱(113)에 각각 얹혀져서 조립되게 된다. 레일판(14)을 하부프레임(11)에서 들어올리기만 하면 레일판(14)이 하부프레임(11)에서 분리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관리도 쉬울 뿐만 아니라 레일(142) 사이 및 레일(142)과 수직벽(112) 사이에 형성된 레일홈(143)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였을 때는 레일판(14)을 위로 잡아당겨 간단히 분리하여 깨끗하게 청소한 다음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레일홈(143)에 고인 물이 본체함(131) 측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33)과 바닥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134)을 통해 사출물(13)과 커버판(14)의 하부에 있는 하부프레임(11)의 공간으로 배수된 후 측면배수구멍(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레일판(14)의 하부지지대(14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하부프레임의 하부연결판(111) 상면과 완전히 밀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배수에는 문제가 없지만, 레일판(14)의 하부지지대(144)에도 배수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사출물(13)과 레일판(14)에 형성되어 있는 각 레일(132, 142)은 높이가 동일하여야 하고, 사출물(13)의 바닥면과 레일판(14)의 평판부(141)는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출물(13)의 측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133)의 하부는 레일판(14)의 평판부(141) 높이와 동일하게 되므로, 레일홈(143)에 고인 물이 제1배수구멍(133)을 통해 잘 배출되게 된다.
하부프레임(11)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114)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의 필름(15)을 부착할 수 있는데, 필름(15)은 전체면을 하부프레임(11)에 접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각형상 중에서 상부 일변만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접착시켜서 부착한다. 필름(15)의 재질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이므로, 필름(15)은 하부프레임(11)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는 빗물의 미는 힘에 의해 측면배수구멍(114)을 개방시켰다가 배출이 끝나면 필름 재질이 갖는 탄력에 의해 측면배수구멍(114)을 자동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필름(15)이 배수구멍을 일방향으로만 개방시키는 체크밸브와 같이 작동하기 때문에 물은 외부로 배출시키지만, 외부로부터 빗물, 바람 또는 이물질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필름(15)을 측면배수구멍(114)이 형성된 하부프레임(11)의 실외측에만 부착해도 되지만, 사출물(13)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134)의 하면에도 사각형상 필름을 더 부착하여 사출물(13) 내부에 고인 빗물을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제2배수구멍(134)을 폐쇄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제1배수구멍(133)의 실외측(물이 흘러나가는 쪽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도 3 참조) 면에도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제1 및 제2배수구멍(133, 134)에 부착한 필름도 측면배수구멍(114)에 부착한 필름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배수구멍(114)에서 제1 및 제2배수구멍(133, 134)으로 연결되는 선이 일직선이 아니고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배수구멍에 필름(15)을 부착하지 않더라도 배수구멍을 통해서 빗물이나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는데, 측면배수구멍(114)과 제1 및 제2배수구멍(133, 134) 중에서 일부 또는 모두에 필름(15)을 부착함으로써 배수구멍을 통해 빗물이나 바람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6을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도면부호는 동일 부분에 대하여 '2'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고,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사출물(23)과 레일판(24)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1실시예는 사출물(13)의 상면이 레일판(14)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조립되는데, 제2실시예는 사출물(23)과 레일판(24)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도록 조립되며, 하부프레임(21)과 레일판(24)의 구조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구성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사출물(23)의 상면은 레일판(24)의 상면인 평판부(24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한쌍의 레일(232)이 사출물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하부로는 박스 형상의 본체함(231)이 구비되어 구성되며, 사출물(23)은 하부프레임(21)의 양단에서 수직프레임(22)과 각각 접하여 조립되게 된다. 또한, 한쌍의 레일(232) 사이 및 레일(232)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212)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사출물(23) 상면에는 각각 제1배수구멍(233)이 형성되어 있고, 조립시 레일판(24)의 양단에 위치하게 되는 사출물(23)의 본체함(231)끼리 서로 대향하게 되는 면(즉, 조립시 레일판 쪽에 위치하게 되는 면을 말함)에는 제2배수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함(231)의 상면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233)을 통해 레일홈(243)에 고인 빗물이 본체함(231)으로 배수되고, 본체함(231)으로 모인 빗물은 일측면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234)을 통해 하부프레임(21)의 내부로 모여서 수직벽(212)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214)을 통해 실외로 배수되게 된다. 제2배수구멍(234)은 1개만 형성해도 되지만, 빠르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복수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제2배수구멍(234)이 형성된 본체함(231)의 일측면 전체를 개방되게 할 수도 있으며(도 8에서 도면부호 33 부분 참조), 이때는 제2배수구멍(234)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출물(23)의 상면 하부에 본체함(231)을 형성하지 않고, 레일판(24)의 하부지지대(244)와 동일한 높이의 하부지지대만 형성할 수도 있다(도 9에서 도면부호 33 부분 참조). 이때도 제2배수구멍(234)은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7을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도면부호는 동일 부분에 대하여 '3'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고, 제3실시예가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사출물(33)의 양단(兩端)에 레일판(34)이 배치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2실시예는 사출물(23)은 레일판(24)의 양단에 배치되어 조립되는데, 제3실시예는 레일판(34)이 사출물(33)의 양단에 배치되며, 나머지 구성은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가 동일하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구성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사출물(33)은 상면이 레일판(34)의 평판부(34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레일(332)이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하부로는 박스 형상의 본체함(331)이 구비되어 구성되며, 사출물(33)은 레일판(34)과 레일판(34) 사이에 조립되게 된다. 또한, 레일(332) 사이 및 레일(332)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312) 사이의 사출물(33) 상면에는 각각 제1배수구멍(333)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함(331)의 일측면(즉, 조립시 레일판 쪽에 위치하게 되는 면을 말함)에는 제2배수구멍(3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출물(33)은 길이방향에서 봤을 때 하부프레임(31)의 중간부분, 즉 레일판(34)과 레일판(34)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될 수도 있고, 하부프레임(31)의 양단(兩端)과 중간 모두에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함(331)에서 제2배수구멍(334)이 형성된 면은 개방된 면으로 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으며(도 8의 도면부호 33 부분 참조), 이때는 개방된 면이 제2배수구멍(334)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제2배수구멍(334)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하부프레임(31)에 고인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본체함(331)의 바닥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단(335)을 형성하고, 조립시 본체함(331)의 상면 양단(兩端)은 하부프레임의 수직벽(312) 사이에 밀착되면서 위치하게 되지만, 본체함(331)의 측면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312)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본체함(331)의 바닥면과 측면(하부프레임의 수직벽을 향하는 면)에 배수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물(33)의 상면 하부에 본체함(331)을 형성하지 않고 판상으로 형성하여, 레일판(34)의 하부지지대(344)와 동일한 높이의 지지대(336)를 판상의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도 9의 도면부호 33 부분 참조). 이때도 제2배수구멍(334)은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10과 11을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예의 도면부호는 동일 부분에 대하여 '4'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고, 제4실시예는 사출물(43)이 단(段)이지도록 형성되어, 일부는 사출물(43)과 레일판(44)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고, 나머지 부분은 사출물(43)의 상면 높이가 레일판(44)의 상면 높이보다 돌출되어 있다는 점 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제4실시예의 하부프레임(41)과 레일판(44)은 제1실시예의 하부프레임(11) 및 레일판(14)과 동일하고, 사출물(43)의 구조만 다르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구성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단(段)이진 부분에서 높은 부분 또는 낮은 부분이 실내측 또는 실외측 어디로 배치되든 상관없다.
사출물(43)은 박스 형상의 제1본체함(431) 상부 일측에 제2본체함(431')이 위치하면서 제1 및 제2본체함의 각 상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본체함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쌍을 이루게 되고, 제1본체함(431)의 상면이 상기 레일판의 평판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레일과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본체함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433)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본체함의 일측면에는 제2배수구멍(4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본체함의 일측면에는 제4배수구멍(43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12와 13을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실시예의 도면부호는 동일 부분에 대하여 '5'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고, 제5실시예는 사출물(53)과 레일판(54) 모두가 단(段)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 외에는 제4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비교하여 레일판(54)도 단(段)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사출물(53)과 레일판(54)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제5실시예의 하부프레임(51)은 제1실시예의 하부프레임(11)과 동일하고, 사출물(53)은 제4실시예의 사출물(43)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5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설명이 중복되므로 구성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레일판(54)은 제1 및 제2평판부(541, 5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형성되는데, 제2평판부(541')가 제1평판부(541)보다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2평판부(541')의 단부(端部)가 하향 절곡되어 절곡된 선단(先端)이 제1평판부(541)의 높이와 같다. 만일, 제2평판부(541')의 단부를 절곡시키지 않으려면 제2평판부(541')의 단부가 놓이게 되는 받침턱(513)의 높이를 높게 설치하면 된다.
제1 및 제2평판부(541, 541')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542)이 돌출 형성되어 쌍을 이루며, 제1 및 제2평판부(541, 541')의 경계가 되는 단(段)이진 부분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544)를 형성하여 레일판(54)을 지지해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제1평판부(541)의 단부(端部)와 제2평판부(541') 단부의 하향 절곡된 선단(先端)이 하부프레임의 받침턱(513)에 각각 얹혀져서 조립된다. 또한, 레일판(54)은 길이방향에서 볼 때 양 사출물(53)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으로는 양단이 받침턱(513)에 얹혀져서 하부프레임(51)의 양 수직벽(512)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된다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4를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6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실시예의 도면부호는 동일 부분에 대하여 '6'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고, 제6실시예는 사출물(63)의 양단(兩端)에 레일판(64)이 각각 배치된다는 점 외에는 제5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사출물(63)과 레일판(64) 모두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형성되어, 제1 및 제2평판부(641, 641')의 각 상면이 제1 및 제2수평판(631, 631')의 각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하부프레임(61)의 길이방향에서 사출물(63)의 양단(兩端)에 레일판(64)이 각각 위치하게 조립된다.
레일판(64)은 상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폭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제1 및 제2평판부(641, 641')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평판부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쌍을 이루며, 제1 및 제2평판부의 경계가 되는 단(段)이진 부분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64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사출물(63)은 상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판상의 수평판이고,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제1 및 제2수평판(631, 631')이 형성되고, 제2수평판(631')과 제1수평판(631)은 각각 박스 형상을 이루게 되며, 제1 및 제2수평판(631, 631')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63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배수구조의 제7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실시예의 도면부호는 동일 부분에 대하여 '7'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했고, 제7실시예는 사출물(73)의 하부에 박스 형상 대신 하부지지대(736)를 설치했다는 점 외에는 제6실시예와 동일하다.
사출물(73)은 상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판상의 수평판인 제1 및 제2수평판(731, 731')이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형성되고, 제2수평판(731')은 제1수평판(731)의 일측 상부에서 박스 형상을 이루게 되며, 제1수평판(731)의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736)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수평판(731, 731')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레일과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수평판(731, 731')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73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평판의 측면에는 제2배수구멍(73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은, 하부프레임 및 사출물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실외측에 필름을 부착하여 배수시에만 필름이 개방되고 나머지는 폐쇄되도록 작동되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바람 및 이물질의 실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사출물과 레일판이 하부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 및 레일홈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과 창틀의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므로, 건축물에 설치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수직프레임의 양단에서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각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구비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11);
    판상의 평판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레일판(14);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 사이 및 각 레일의 외측으로는 박스 형상의 본체함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본체함의 일측면과 바닥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배수구멍(133, 134)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함의 바닥면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가 설치되어 구성된 사출물(13);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레일판의 양단(兩端)에 사출물이 레일판의 평판부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각각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에서 상기 레일판과 사출물의 양단이 각각 하부프레임의 받침턱(113)에 얹혀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2. 수직프레임의 양단에서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각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구비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21);
    판상의 평판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레일판(24);
    상면이 상기 레일판의 평판부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게 되고, 한쌍의 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면의 하부로는 박스 형상의 본체함이 구비되며, 한쌍의 레일 사이 및 레일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233)이 각각 형성되고, 본체함의 일측면에는 제2배수구멍(234)이 형성되어 구성된 사출물(23);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레일판의 양단(兩端)에 각각 사출물이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에서 상기 레일판과 사출물의 양단이 각각 하부프레임의 받침턱(213)에 얹혀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3. 수직프레임의 양단에서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각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구비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31);
    판상의 평판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레일판(34);
    판상의 수평판이 상기 레일판의 평판부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게 되고, 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판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쌍을 이루며, 수평판의 하부로는 박스 형상의 본체함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레일과 레일 사이 및 레일과 하부프레임의 수직벽 사이의 수평판에는 제1배수구멍(333)이 각각 형성되고, 본체함의 양측면에는 제2배수구멍(334)이 형성되어 구성된 사출물(33);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사출물의 양측에 레일판이 각각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에서 상기 레일판과 사출물의 양단이 각각 하부프레임의 받침턱(313)에 얹혀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33)은, 조립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본체함의 측면은 개방된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의 상면은 판상의 수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판의 평판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수평판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쌍을 이루게 되며, 수평판의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336)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배수구멍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하부프레임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7. 수직프레임의 양단에서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각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구비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41);
    판상의 평판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레일판(44);
    박스 형상의 제1본체함(431) 상부 일측에 제2본체함(431')이 위치하면서 제1 및 제2본체함의 각 상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본체함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쌍을 이루게 되고, 제1본체함(431)의 상면이 상기 레일판의 평판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레일과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본체함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433)이 형성되어 있고,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본체함의 일측면에는 제2배수구멍(4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본체함의 일측면에는 제4배수구멍(436)이 형성되어 구성된 사출물(43);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레일판의 양단(兩端)에 각각 사출물이 위치하게 되고, 폭방향에서 상기 레일판과 사출물의 양단이 각각 하부프레임의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8. 수직프레임의 양단에서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하부연결판의 양단(兩端)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벽과, 각 수직벽의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받침턱을 구비하고, 실외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직벽에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구성된 하부프레임(51);
    상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제1 및 제2평판부(541, 541')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평판부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쌍을 이루며, 제1 및 제2평판부의 경계가 되는 단(段)이진 부분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544)가 형성되어 구성된 레일판(54);
    박스 형상의 제1본체함(531) 상부 일측에 제2본체함(531')이 위치하면서 제1 및 제2본체함의 각 상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본체함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이 돌출 형성되어 쌍을 이루게 되고, 레일과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본체함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53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본체함의 측면에는 제2배수구멍(5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본체함의 바닥면에는 제3배수구멍(535)이 형성되어 제1본체함으로 연결되고, 제1본체함의 측면에는 제4배수구멍(536)이 형성되어 구성된 사출물(53);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본체함의 각 상면이 제1 및 제2평판부의 각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레일판의 양단(兩端)에 각각 사출물이 위치하게 조립되며, 폭방향에서 상기 레일판과 사출물의 양단이 각각 하부프레임의 받침턱에 얹혀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사출물의 양단에 각각 레일판이 위치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조립시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본체함의 측면은 개방된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은, 상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판상의 수평판인 제1 및 제2수평판(731, 731')이 폭방향의 중앙에서 단(段)이지도록 형성되고, 제2수평판(731')은 제1수평판(731)의 일측 상부에서 박스 형상을 이루게 되며, 제1수평판(731)의 하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지지대(736)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수평판(731, 731')의 상부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레일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레일과 수직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수평판(731, 731')의 상면에는 제1배수구멍(73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레일과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제2수평판의 측면에는 제2배수구멍(734)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배수구멍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하부프레임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13. 제1항, 제2항, 제3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측면배수구멍의 실외측 면에는 사각형상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필름은 하부프레임 내부에 고인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개방되었다가 배출이 끝나면 측면배수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 및 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PCT/KR2016/008595 2015-09-30 2016-08-04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WO201705784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280 2015-09-30
KR1020150137280A KR101753037B1 (ko) 2015-09-30 2015-09-30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15-0140850 2015-10-07
KR1020150140850A KR101769578B1 (ko) 2015-10-07 2015-10-07 분리 가능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150144633A KR101817516B1 (ko) 2015-10-16 2015-10-16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15-0144633 2015-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840A1 true WO2017057840A1 (ko) 2017-04-06

Family

ID=5842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595 WO2017057840A1 (ko) 2015-09-30 2016-08-04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578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575A (zh) * 2017-05-03 2017-07-21 海宁宏厦装饰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密封隐藏式排水铝合金节能门窗
CN108612432A (zh) * 2018-05-09 2018-10-02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关闭和雨水排出功能的智能窗户
CN114922548A (zh) * 2022-05-30 2022-08-19 安徽理工大学 一种隐藏式微量排水的铝合金门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270B1 (ja) * 1998-12-09 2000-02-21 清 吉 李 引戸式サッシ構造
KR20090081841A (ko) * 2008-01-25 2009-07-29 김용호 창호의 방음 및 빗물, 해충 침투 방지용 보조레일
KR101055326B1 (ko) * 2011-03-17 2011-08-08 김순석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KR20130036749A (ko) * 2013-03-18 2013-04-12 박영기 미닫이창문의 문틀에 설치하는 개폐식 보막이
KR20150069678A (ko) * 2013-12-16 2015-06-24 (주)엘지하우시스 조립식 레일을 구비한 창틀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270B1 (ja) * 1998-12-09 2000-02-21 清 吉 李 引戸式サッシ構造
KR20090081841A (ko) * 2008-01-25 2009-07-29 김용호 창호의 방음 및 빗물, 해충 침투 방지용 보조레일
KR101055326B1 (ko) * 2011-03-17 2011-08-08 김순석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KR20130036749A (ko) * 2013-03-18 2013-04-12 박영기 미닫이창문의 문틀에 설치하는 개폐식 보막이
KR20150069678A (ko) * 2013-12-16 2015-06-24 (주)엘지하우시스 조립식 레일을 구비한 창틀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575A (zh) * 2017-05-03 2017-07-21 海宁宏厦装饰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密封隐藏式排水铝合金节能门窗
CN108612432A (zh) * 2018-05-09 2018-10-02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关闭和雨水排出功能的智能窗户
CN114922548A (zh) * 2022-05-30 2022-08-19 安徽理工大学 一种隐藏式微量排水的铝合金门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3239C2 (ru) Рама для окон и дверей с присоединяемыми и отсоединяемыми рельсами
US8683747B2 (en) Modular window apparatus with liquid drainage ability
WO2013015507A1 (ko)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 장치
WO2012124865A1 (ko)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KR101955402B1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WO2017057840A1 (ko)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WO2010067957A2 (ko) 방수 및 통기성을 구비한 창문 구조
KR101869263B1 (ko) 하부프레임에 착탈식 레일판을 장착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WO2018062640A2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위한 사출물
KR20190133431A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KR102169716B1 (ko)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817516B1 (ko) 하부프레임의 레일판이 분리 가능하고 기밀·방풍기능을 갖는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WO2021025208A1 (ko) 레일 은폐형 창호
WO2022158794A1 (ko) 먼지 소음 유입 및 먼지 증적 차단용 창호
KR101932031B1 (ko) 다중로울러를 구비한 창호장치
KR101769570B1 (ko)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압출물을 장착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101769584B1 (ko)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KR101769578B1 (ko) 분리 가능한 하부프레임을 구비하고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1753037B1 (ko)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102089623B1 (ko)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KR101769580B1 (ko) 압출물로 된 레일판을 하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하여 기밀·방풍기능을 강화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배수구조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19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519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